KR100501183B1 -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183B1
KR100501183B1 KR10-2002-0029634A KR20020029634A KR100501183B1 KR 100501183 B1 KR100501183 B1 KR 100501183B1 KR 20020029634 A KR20020029634 A KR 20020029634A KR 100501183 B1 KR100501183 B1 KR 100501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ase
outer structure
mol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551A (ko
Inventor
정석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1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ring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및 진동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멀티 액츄에이터의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스프링을 인서트하여 사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외측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프링을 인서트하고, 사출 후 외측 구조물을 절단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프링을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으로 스프링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홈을 가이드로 사용하지 않고, 다수개의 스프링 어레이 상태에서 스프링 외측에 가이드 구멍을 마련하여 금형에 스프링을 어레이 상태로 인서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금형에 스프링을 인서트 할 때, 스프링 외측 구조물의 구멍을 가이드로 사용함으로써, 케이스의 사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사출시 스프링에 간섭을 주지 않아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Injection method of inserting spring in multi-functional actuator}
본 발명은 멀티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을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액츄에이터{multi-functional actuator}는 전기로 수신되는 음성신호 또는 미리 입력된 벨 또는 멜로디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로서 출력시키거나 진동신호를 착신신호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멀티 액츄에이터의 기능은 최근 핸드폰, 페이져 등 이동통신 수단에 이용되어 왔다.
종래의 일반적인 멀티 액츄에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나타내는데, 우선 내면에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내측에 홈을 마련한 케이스(108)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외측단부가 고정되는 음향 발생용 떨림판(101)과: 상기 떨림판의 하단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102)과: 수직으로 착자된 마그네트(104)와: 상기 마그네트에 부착되어 자계를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103)와: 상기 마그네트와 함께 자계를 형성하는 요크(105)와: 상기 요크와 함께 진동체를 구성하는 웨이트(106)와: 상기 케이스의 홈에 고정되는 스프링(107,109) 및 상기 케이스(108)에 연결된 하부 그릴(111)에 설치되어 자계내에 형성된 자속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용 코일(110)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멀티 액츄에이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8)로는 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며, 특히 범용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카보네이트(PC)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멀티 액츄에이터의 케이스(108)에 고정되는 스프링(107, 109)은 그 고정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을 케이스 사출 금형에 인서트하여 조립함으로써 스프링을 고정하는 방법과 스프링과 케이스를 본딩을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자와 같이 스프링을 케이스의 사출 금형에 인서트하여 조립하는 방법은 후자의 본딩에 의한 방법보다 스프링을 케이스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프링을 사출 금형에 인서트하여 조립하는 과정 또는 사출 과정에서 스프링이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종래의 인서트 사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스프링을 나타낸다.
종래의 일반적인 스프링(107)은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홈(107a)을 가이드로 사용하여 케이스(108)를 사출하는 케이스 사출 금형에 스프링을 개별적으로 인서트 조립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도 3은 스프링이 인서트 되어있는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스프링(107)의 경우 상기 스프링의 내측을 가이드(107a)로 사용하는 경우 사출시 사출물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가이드 핀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이 가이드 핀의 간섭을 받아 케이스(108) 내의 스프링(107)의 높이가 변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 조립시의 조립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을 케이스에 인서트하여 사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프링을 케이스 금형에 인서트하는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케이스의 사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인서트 되는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음향 및 진동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멀티 액츄에이터의 케이스에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일체로 연결된 상기 스프링 둘레의 외측 구조물 및 상기 스프링과 외측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V자형 노치부를 갖는 스프링 어레이의 상기 외측 구조물을 가이드로 사용하여 상기 스프링 어레이를 금형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금형에 액체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 각각의 스프링과 결합된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외측 구조물과 상기 스프링 사이의 V자형 노치부를 절단하여 상기 외측 구조물을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스프링 어레이를 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외측 구조물의 가이드 구멍을 상기 금형의 가이드 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은, 상기 스프링 어레이를 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에 균일한 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는 상기 외측 구조물의 가이드 구멍을 상기 금형의 가이드 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음향 및 진동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멀티 액츄에이터의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스프링을 인서트하여 사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외측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프링을 인서트하고, 사출 후 외측 구조물을 절단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프링을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으로 스프링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홈을 가이드로 사용하지 않고, 다수개의 스프링 어레이 상태에서 스프링 외측에 가이드 구멍을 마련하여 금형에 스프링을 어레이 상태로 인서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금형에 스프링을 인서트 할 때, 스프링의 외측 구조물의 가이드 구멍을 사용함으로써, 사출시 스프링에 간섭을 주지 않아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멀티액츄에이터의 스프링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스프링의 어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단면 A-A'에 해당하는 단면도로서, V자형 노치(notch)를 추가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나타내기 위한 스프링의 어레이 상태에서 사출된 직후의 제품인 케이스의 어레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4내지 5개의 연속적인 스프링(2)을 포함하고 있는 스프링 어레이(1)는 스프링(2)과 사출용 가이드 구멍(3a)을 구비한 외측 구조물(3)과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사출용 가이드 구멍(3a)은 종래의 스프링의 내측에 구비된 홈을 가이드로 사용하는 가이드 홈(107a)의 경우에 있어서, 일측에 의한 가이드로서의 역할만 했던 것과는 달리, 외측 구조물(3)에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주 전체에 걸쳐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스프링(2)의 외측 구조물(3)은 케이스(4)를 만들기 위한 금형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스프링(2)을 조립하는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을 케이스에 인서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 4에 의한 스프링 어레이(1)를 케이스 금형과 함께 위치시킨 후, 상기 사출용 가이드 구멍(3a)에 금형의 가이드 핀을 결합한다. 이 후 상기 금형에 액체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하면 사출 후 어레이 상태의 케이스가 얻어지게 된다.
도 6은 이러한 어레이 상태의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케이스(4)는 외측 구조물(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치부(n)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이를 분리해내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액츄에이터가 완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직접적으로 도시 및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할지라도,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액츄에이터는 제품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케이스 사출시 스프링의 인서트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에 간섭을 주지 않는 부분을 가이드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변형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멀티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멀티액츄에이터에서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스프링이 인서트 되어있는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스프링의 어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단면 A-A'에 해당하는 단면도로서, V자형 노치(notch)를 추가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나타내기 위한 스프링의 어레이 상태에서 사출된 직후의 제품인 케이스의 어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프링 어레이, 2: 스프링
3 : 외측 구조물 3a : 사출용 가이드 구멍
4 : 케이스 n : 노치부

Claims (4)

  1. 음향 및 진동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멀티 액츄에이터의 케이스에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일체로 연결된 상기 스프링 둘레의 외측 구조물 및 상기 스프링과 외측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V자형 노치부를 갖는 스프링 어레이의 상기 외측 구조물을 가이드로 사용하여 상기 스프링 어레이를 금형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금형에 액체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 각각의 스프링과 결합된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외측 구조물과 상기 스프링 사이의 V자형 노치부를 절단하여 상기 외측 구조물을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어레이를 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외측 구조물의 가이드 구멍을 상기 금형의 가이드 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어레이를 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에 균일한 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는 상기 외측 구조물의 가이드 구멍을 상기 금형의 가이드 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4. 삭제
KR10-2002-0029634A 2002-05-28 2002-05-28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KR100501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634A KR100501183B1 (ko) 2002-05-28 2002-05-28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634A KR100501183B1 (ko) 2002-05-28 2002-05-28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551A KR20030091551A (ko) 2003-12-03
KR100501183B1 true KR100501183B1 (ko) 2005-07-18

Family

ID=3238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634A KR100501183B1 (ko) 2002-05-28 2002-05-28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59B1 (ko) * 2009-04-21 2012-05-25 손지혁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수평선형 진동기의 엑츄에이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6799A (ja) * 1988-10-03 1990-04-09 Murata Mfg Co Ltd 圧電ブザーとその製造方法
JPH0678396A (ja) * 1992-08-25 1994-03-18 Murata Mfg Co Ltd 圧電発音体連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74299A (ja) * 1995-04-27 1995-10-20 Murata Mfg Co Ltd 圧電サウンダーの製造方法
JPH09307993A (ja) * 1996-05-15 1997-11-28 Kenwood Corp スピーカ用ダンパ
JP2001211499A (ja) * 2000-01-25 2001-08-03 Pioneer Electronic Corp ダンパの製造方法ならびに同ダンパを用いたスピー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6799A (ja) * 1988-10-03 1990-04-09 Murata Mfg Co Ltd 圧電ブザーとその製造方法
JPH0678396A (ja) * 1992-08-25 1994-03-18 Murata Mfg Co Ltd 圧電発音体連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74299A (ja) * 1995-04-27 1995-10-20 Murata Mfg Co Ltd 圧電サウンダーの製造方法
JPH09307993A (ja) * 1996-05-15 1997-11-28 Kenwood Corp スピーカ用ダンパ
JP2001211499A (ja) * 2000-01-25 2001-08-03 Pioneer Electronic Corp ダンパの製造方法ならびに同ダンパを用いたスピー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551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4494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および携帯情報端末
KR20070033294A (ko) 기계적 보강재를 구비하는 인서트 몰딩된 서라운드
CN109495819B (zh) 发声装置和耳机
EP1315400A2 (en)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peaker
EP0623913A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1184851C (zh) 电声换能器及其制造方法
US6801113B2 (en) Proximity sensor with improved positioning accuracy for detection coil peripheral members
KR100501183B1 (ko) 멀티 액츄에이터의 스프링 인서트 사출방법
US7285236B2 (en) Injection method of inserting spring into multifunctional actuator
JPH09275599A (ja) 電気音響変換器
US4578808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s
CN109040925A (zh) 球顶、扬声器和耳机
KR200392480Y1 (ko) 이어폰용 스피커
JP2002199490A (ja) スピーカ
KR100457705B1 (ko) 전자기 음향 발생 장치
CN105282633A (zh) 扬声器总成
KR20040107014A (ko)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CN217985384U (zh) 发声装置及电子设备
CN109327778A (zh) 发声装置和耳机
KR102667755B1 (ko) 이어폰용 스피커
KR20060044203A (ko) 마이크로 스피커의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스피커
KR20240050952A (ko) 방수용 마이크로스피커 진동판
KR100313161B1 (ko) 버저의 제조방법
JP5533667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および携帯情報端末
KR200190932Y1 (ko) 통신용 부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