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480Y1 - 이어폰용 스피커 - Google Patents

이어폰용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480Y1
KR200392480Y1 KR20-2005-0015287U KR20050015287U KR200392480Y1 KR 200392480 Y1 KR200392480 Y1 KR 200392480Y1 KR 20050015287 U KR20050015287 U KR 20050015287U KR 200392480 Y1 KR200392480 Y1 KR 200392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agnet
speaker
fixed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천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천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천정밀
Priority to KR20-2005-0015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4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4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용 스피커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에 하향 요입되는 삽입홈(11)을 형성하고, 삽입홈(11)의 중앙에는 바닥면에 고정축(12)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요크(10)와; 상기 요크(10)의 삽입홈(11)으로 삽입되는 마그네트(20)와; 상기 마그네트(20)의 상부면에 얹혀지면서 중앙 부위가 상기 고정축(12)과 접착 수단(32)에 의해 접합되는 보강판(30)과; 상기 마그네트(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보이스 코일(40)과; 외주연 단부는 상기 요크(10)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링(60)에 의해 고정되고, 저면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40)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한 진동판(5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 공정을 더욱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하면서 작업의 편의성과 제품의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도록 하며, 또한 조립 과정에서 마그네트(20)에 어떠한 충격도 가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조립과 더욱 음질과 소리의 감도가 향상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대폭 향상되도록 하는 이어폰용 스피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어폰용 스피커{Speaker for earphone}
본 고안은 이어폰용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에서 요크에 마그네트 및 보강판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하는 고정축이 일체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보다 손쉽고 안전하면서 신속한 조립과 함께 더욱 향상된 감도를 제공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기적인 진동을 음파로 바꾸는 변환기의 일종으로서, 이어폰에 적용되는 스피커는 그 사이즈가 대단히 작게 이루어진다.
이어폰은 외부의 소리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이어폰에서 발생되는 소리만을 귀로만 직접 전달되도록 하므로 소리 전달 효과가 매우 탁월할 뿐만 아니라 집중도를 높여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어폰은 사용 분야 또한 업무용에서 난청자들을 위한 보청기 등과 같은 의료 보조 기구로도 사용되기도 하고, 최근에는 국제적인 모임에서의 동시통역이나 학습용과 같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어폰의 최대 장점은 실내 및 실외에서도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여 최근의 휴대 전화나 MP3 등과 같은 기기의 폭발적인 보급과 함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이어폰에 대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미 등록실용신안 제0189138호(이어폰 구조)를 통해 일부 구성을 개선한 구조를 제안한 바 있으나, 이어폰에 적용되고 있는 소형의 스피커는 그 형상이 대부분 유사하다.
도 1은 종전의 이어폰용 스피커의 요부 구조를 분리시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로서, 요크(1)는 중앙이 소정의 깊이로 요입되게 한 평판의 원형 플레이트이다.
요크(1)에서 하향 요입되는 부위는 마그네트(2)가 삽입되는 삽입홈(1a)을 이루고, 이 삽입홈(1a)의 중앙은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있다.
삽입홈(1a)에는 중앙이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홀(2a)을 형성한 마그네트(2)가 안치되며, 이 마그네트(2)의 상부면에는 마그네트(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의 보강판(3)이 얹혀진다.
그리고 삽입홈(1a)에서 마그네트(2)의 외측으로는 보이스 코일(4)이 마그네트(2)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요크(1)의 외측 단부에서 외주연 단부가 고정 링(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저면에는 보이스 코일(4)의 상단부가 연결되게 하는 진동판(5)이 구비되도록 하여 이 진동판(5)에 의해서 요크(1)의 상부가 완전 커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마그네트(2)를 요크(1)에 고정시키는 것은 통상 요크(1) 중앙을 관통하여 마그네트(2) 중앙의 관통홀(2a)을 지나 보강판(3)을 포함하여 리벳팅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리벳팅을 조립 공정에서 수행하다 보니 조립 공정 시간이 다소 지연되면서 생산성이 낮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리벳(7)의 양단부를 압착시키다 보면 마그네트(2)에 손상을 입히기도 하고, 리벳이 통상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서 구비되면서 마그네트(2)의 자성을 악화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리벳팅을 위한 설비를 조립 라인에서 해야 하므로 제작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요크를 제조하는 공정 라인에서 이미 고정용 축이 축고정되도록 하고, 조립 과정에서는 고정용 축에 마그네트와 보강판이 접착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도록 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에 하향 요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의 중앙에는 고정축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요크와; 상기 요크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에 얹혀지면서 중앙 부위가 상기 고정축과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는 보강판과; 상기 마그네트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보이스 코일과; 외주연 단부는 상기 요크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링에 의해 고정되고, 저면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한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의 분리된 구성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요크(10)와 마그네트(20)와 보강판(30)과 보이스 코일(40)과 진동판(5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다.
즉 요크(10)는 원형의 평판에 중앙 부위가 소정의 직경으로 하향 요입되게 하여 삽입홈(11)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요크(10)의 구성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요크(10)의 삽입홈(11) 중앙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고정축(12)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축(12)은 특히 자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자성체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고정축(12)의 재질로는 구리 및 구리를 다량 함유하는 합금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고정축(12)은 와이어 타입으로 구비되어 요크(10)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일정 길이가 끼워지게 한 다음 와이어 컷팅과 리켓팅 공법에 의해서 요크(10)에 하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비된다.
마그네트(20)는 요크(10)의 삽입홈(11)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삽입홈(11)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중앙에는 요크(10)의 고정축(12)보다는 큰 직경의 관통홀(21)이 형성되도록 한다.
보강판(30)은 마그네트(20)의 외경보다는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원형의 평판으로서, 마그네트(20)의 상부면에 안치되게 하여 마그네트(20)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마그네트(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즉 보강판(30)의 중앙에도 마그네트(20)에서와 마찬가지로 요크(10)의 고정축(12)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홀(31)을 형성하여 요크(10)의 삽입홈(11)에 마그네트(20)가 안치되게 한 상태에서 마그네트(20)의 상부로 보강판(30)이 안치되면서 보강판(30)에 끼워지는 고정축(12)과 접착 수단(32)에 의해서 접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보이스 코일(40)은 마그네트(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마그네트(20)와의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진동 음파를 발생시키게 되는 구성이다.
진동판(50)은 박막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외주연 단부는 요크(10)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링(60)에 의해 압착 고정되며, 판면에는 저면에 보이스 코일(40)의 상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진동판(50)은 보이스 코일(40)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 진동에 의해 판면이 미세하게 진동하면서 소리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스피커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 즉 요크(10)와 마그네트(20)와 보강판(30)과 보이스 코일(40)과 진동판(50) 및 고정 링(60)은 각각 별도의 제조 라인에서 제작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소규모의 하청업체에서 생산하게 되며, 이들 구성 요소들을 모아 조립해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비교적 큰 완성품 생산업체에서 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의 각 구성 요소들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특히 요크(10)에는 삽입홈(11)의 중앙에서 바닥면에 고정축(12)의 하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요크(10)에 미리 고정축(12)을 일체로 구비되게 하면 이 요크(10)에 결합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은 이후 간단하게 조립될 수가 있다.
즉 미리 요크(10)에 고정축(12)을 일체로 결합되게 제작하면 완제품 생산업체에서는 요크(10)에 마그네트(20)와 보강판(30)을 조립하면서 보강판(30)을 고정축(12)과 접착 수단(32)에 의해 간단히 접합시켜 요크(10)의 내부에서 마그네트(20)와 보강판(3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전에는 요크에 마그네트와 보강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립 과정에서 리벳팅을 시켜야만 했으므로 이들 결합 요소들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특히 마그네트와 보강판이 손상되는 폐해가 속출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마그네트(20)와 보강판(30)을 접합에 의해 고정시키게 되므로 기계적 충격에 의한 손상을 제거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요크(10)에 일체로 구비시킨 고정축(12)이 마그네트(20)의 자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재질로서 구비되게 함으로써 마그네트(20)의 자성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요크(10)에 마그네트(20)와 보강판(30)이 접합에 의해 조립되면 요크(10)의 상부로부터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보이스 코일(40)이 결합된 진동판(50)이 조립되도록 한다.
진동판(50)은 보강판(30)의 상부에서 외주연 단부가 요크(10)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링(60)에 의해 견고하게 압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요크(10)에 주요 구성 요소들을 하나씩 조립하게 되면 대단히 빠르고 손쉬운 제품 제작을 할 수가 있으므로 더욱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종전과 같이 조립 과정에서의 리벳팅 공정이 생략되므로 마그네트(2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특히 마그네트(20) 및 보강판(30)을 요크(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축(12)을 비자성 물질로서 형성시켜 마그네트(20)를 통한 안정된 자력 발생으로 더욱 이어폰의 감도를 높일 수가 있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은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어폰에서 소리를 생성하는 스피커의 주요 구성 요소들 중 자기량이 이동하는 통로로 구비되는 요크(10)에 고정축(12)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이러한 요크(10)에 마그네트(20)와 함께 보강판(30)이 고정축(12)에 접착 수단(32)을 이용하여 간단히 접합시켜 고정 조립되게 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더욱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가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제품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축(12)을 비자성 재질로 구비되도록 하면서 조립 과정에서 마그네트(20)에 어떠한 충격도 가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한 조립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음질과 소리의 감도가 향상된 이어폰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용 스피커 구성을 분리시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의 구성을 분리시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 요크(yoke)
2, 20 : 마그네트
3, 30 : 보강판
4, 40 : 보이스 코일
5, 50 : 진동판
12 : 고정축
32 : 접착 수단

Claims (4)

  1. 중앙에 하향 요입되는 삽입홈(11)을 형성하고, 삽입홈(11)의 중앙에는 바닥면에 고정축(12)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요크(10)와;
    상기 요크(10)의 삽입홈(11)으로 삽입되는 마그네트(20)와;
    상기 마그네트(20)의 상부면에 얹혀지면서 중앙 부위가 상기 고정축(12)과 접착 수단(32)에 의해 접합되는 보강판(30)과;
    상기 마그네트(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보이스 코일(40)과;
    외주연 단부는 상기 요크(10)의 외측 단부에서 고정 링(60)에 의해 고정되고, 저면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40)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한 진동판(50);
    으로 이루어지는 이어폰용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10)의 고정축(12)은 상기 요크(10)에 와이어 컷팅과 리벳팅 공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이어폰용 스피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10)의 고정축(12)은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어폰용 스피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12)은 구리 성분을 함유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이어폰용 스피커.
KR20-2005-0015287U 2005-05-30 2005-05-30 이어폰용 스피커 KR200392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87U KR200392480Y1 (ko) 2005-05-30 2005-05-30 이어폰용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87U KR200392480Y1 (ko) 2005-05-30 2005-05-30 이어폰용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480Y1 true KR200392480Y1 (ko) 2005-08-17

Family

ID=4369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287U KR200392480Y1 (ko) 2005-05-30 2005-05-30 이어폰용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4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0941A1 (ko) * 2009-06-24 2010-12-29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111100B1 (ko) * 2010-04-01 2012-03-13 전희성 이어폰용 고음질 스피커 유닛
KR101313837B1 (ko) 2012-06-21 2013-10-01 김송희 스피커모듈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0941A1 (ko) * 2009-06-24 2010-12-29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111100B1 (ko) * 2010-04-01 2012-03-13 전희성 이어폰용 고음질 스피커 유닛
KR101313837B1 (ko) 2012-06-21 2013-10-01 김송희 스피커모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510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US8385581B2 (en) Speaker with dual magnetic circuits
CN109495819B (zh) 发声装置和耳机
JP2005286984A (ja) 携帯端末機用スピー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6160A (ja) スピーカ
KR101927961B1 (ko) 스피커 및 스피커의 제조방법
US20090296979A1 (en) Speaker
US20140376751A1 (en) Moving magnet transducer
KR200392480Y1 (ko) 이어폰용 스피커
KR20050080062A (ko) 초슬림 사각형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CN101583067A (zh) 电声变换器
JP4575515B1 (ja) スピーカ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5080064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416194Y1 (ko) 소형 스피커
WO2020087756A1 (zh) 一种发声装置及其加工方法以及耳机
KR100503006B1 (ko) 소형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CN109327778A (zh) 发声装置和耳机
KR101822186B1 (ko) 틴셀 와이어 삽입형 댐퍼를 구비한 스피커 및 그 댐퍼의 제조방법
CN204206439U (zh) 接收器
KR200436268Y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CN109348339B (zh) 发声装置和耳机
JP4324452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04206443U (zh) 接收器
CN204206445U (zh) 接收器
KR100570857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1129

Effective date: 200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