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810B1 - 파형 등화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파형 등화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810B1
KR100500810B1 KR10-2000-0063718A KR20000063718A KR100500810B1 KR 100500810 B1 KR100500810 B1 KR 100500810B1 KR 20000063718 A KR20000063718 A KR 20000063718A KR 100500810 B1 KR100500810 B1 KR 10050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step size
signal
value
tap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309A (ko
Inventor
도쿠나가나오야
우에다가즈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03H2021/007Computation saving measures; Accelerating measures
    • H03H2021/0076Measures relating to the convergence time
    • H03H2021/0078Measures relating to the convergence time varying the step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375Passband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598Algorithms
    • H04L2025/03611Iterative algorithms
    • H04L2025/03617Time recursive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598Algorithms
    • H04L2025/03681Control of adaptation
    • H04L2025/03687Control of adaptation of step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파형 등화기에 있어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와 저C/N시의 안정성을 양립하여, 고성능이면서 저비용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101)를 구비하여, 탭계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파형 등화기(101)의 출력 신호(101S)로부터 오차 신호(102S)를 추정하여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02)와, 임의의 크기의 스텝 사이즈(104S)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104)와, 오차 신호(102S)와 스텝 사이즈(104S)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로부터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파형 등화 제어 장치{WAVEFORM EQUALIZATION CONTROLLER}
본 발명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에 이용되는 디지털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의 탭계수의 갱신 제어를 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당초 위성 방송을 주체로 하여 이루어져 왔지만, 최근에는 지상파 방송에도 디지털화의 물결이 밀려들고 있다. 이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전송로 왜곡을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 기술은 필수적인 것이다. 이하,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종래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대하여, 미국에서 채용하고 있는 8치 VSB(Vestigial Side Band:잔류측파대) 변조 방식을 이용한 DTV(Digital Television)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9는 DTV 방식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종래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를 입력으로 하여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한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901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901)와, 스텝 사이즈(104S),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 및 오차 신호(1901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를 구비한다. 또한, 오차 추정부(1901)는 출력 신호(101S)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1501S)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1502)와,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902)를 구비한다.
도 20은 DTV 방식의 신호 포맷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TV 방식의 신호 포맷은, 영상이나 음성 등의 데이터 신호(3101)를 포함하는 영역과, 필드 동기 신호(3102)를 포함하는 영역과, 세그먼트 동기 신호(3103)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도 21은 필드 동기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드 동기 신호(3102)는 PN511 신호(3201)와, 3개의 PN63 신호(3202)와, 제어 신호(3203)를 포함한다. 또, 필드 동기 신호 #2와 필드 동기 신호 #1의 차이는, PN63 신호(3202)의 2번째 값이 역으로 되어 있다는 것뿐이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 좌측에 기입되어 있는 수치(+7, +5, +3, +1, -1, -3, -5, -7)는 8치 VSB 변조 방식이 취하는 8가지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DTV 신호는, 1 프레임당 832 심볼, 313 세그먼트이다. 또한, PN511 신호(3201)는, PN511=X^9+X^7+X^6+X^4+X^3+X+1(생성 다항식:식중의 "^"는 멱승을 나타냄)이고, Pre-load 010000000(초기값의 2진 표현)으로 표시된다. PN63 신호(3202)는, PN63=X^6+X+1이고, Pre-load 100111로 표시된다. PN511 신호(3201)는 511심볼, PN63 신호(3202)는 각각 63심볼, 제어 신호(3203)는 128심볼이며, 필드 동기 신호(3102) 전체로 828심볼이다.
다음에, 종래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DTV 방식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치 VSB 변조된 DTV 신호를 파형 등화기(101)에서 파형 등화에 의해 왜곡을 저감시켜 그 출력 신호(101S)를 생성하고, 출력 오차 추정부(1502)에서 이 출력 신호(101S)와 8가지의 심볼값 중 가장 확실할 것 같은 심볼값과의 오차를 출력 오차 신호(1501S)로서 생성한다. 도 22에 출력 오차 신호와 오차 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2(a)에 나타내는 출력 오차 신호(1501S)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902)에서, Blind Equalization and Carrier Recovery Using a "Stop-and-Go", Decision-Directed Algorithm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 COM35, NO.9, SEPTEMBER 1987의 pp.877-887에 기재되어 있는 Stop&Go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출력 신호(101S)의 값에 따라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차 신호(1901S)로 변환된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는, 오차 신호(1901S)와 스텝 사이즈(104S)와, 계수 갱신용 데이터(105S)를 이용하여, LMS(Least Mean Square;최소 제곱 오차)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생성한다.
LMS 알고리즘은, 하기의 수학식 1에 근거하여 파형 등화기(101)의 트랜스버셜 필터에 있어서의 탭 i의 탭계수 Ci의 n회째의 갱신을 실행하는 알고리즘이다.
여기서, α는 스텝 사이즈(104S)를, e(n)은 오차 신호(1901S)를, di(n)는 계수 갱신용 데이터(105S)를 나타내며, -α×e(n)×di(n)가 탭계수 갱신량(106S)을 나타낸다. 또, 계수 갱신용 데이터(105S)란, n회째 갱신시의 탭 i에 있어서의 데이터이다.
출력 오차 추정부(1502)에 의한 출력 오차 신호(1501S)의 생성 방법은 2가지가 있다. 그 중 한 방법은, DTV 신호에 있어서의 필드 동기 신호(3102)에 포함되어 있는 PN511 신호(3201) 및 PN63 신호(3202)를 수신하여, 상기 PN511 신호(3201) 및 PN63 신호(3202)의 이상값과 비교한 후, 그 오차를 출력 오차 신호(1501S)로 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은, DTV 신호의 데이터 기간에 삽입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3101)와 가장 값이 가까운 8치 VSB 변조의 고정값을 비교하여, 그 오차를 출력 오차 신호(1501S)로 하는 방법이다.
DTV 신호는, 8치 VSB 변조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8가지의 값(+7, +5, +3, +1, -1, -3, -5, -7)을 갖는데, 일반적으로 8치 VSB 변조된 DTV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10 비트 정도의 양자화를 실행한다. 예컨대 10 비트로 양자화된 DTV 신호는 왜곡이 전혀 없는 경우에 있어서, 10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값(0∼1023)에 대해 8가지의 고정값밖에는 취할 수가 없다. 출력 오차 추정부(1502)는, 입력된 DTV 신호의 필드 동기 신호(3102)에 대해서는 PN511 신호(3201) 및 PN63 신호(3202)의 이상값으로부터의 오차를 산출하고, 데이터 신호(3101)에 대해서는 상기 8가지의 고정값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값과의 오차를 산출하여 이 오차를 출력 오차 신호(1501S)로 한다.
종래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해당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파형 등화기를 제어하여 왜곡을 저감시킨 DTV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즉,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여, 이것을 상쇄시키도록 파형 등화기가 갖는 트랜스버셜 필터의 탭계수를 매회 스텝 사이즈의 단위로 갱신하도록 학습 제어를 행함으로써,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서 전송로 왜곡을 저감시킨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 1 문제점은,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스텝 사이즈를 크게 하면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향상되지만, 반면에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저(低)C/N시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반대로, 스텝 사이즈를 작게 하면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게 되어 저C/N시의 안정성은 향상되지만,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그 변동에 대한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파형 등화 동작의 수속 속도가 저하한다.
제 2 문제점은, 1 탭의 계수 갱신량을 계산하기 위해 계수 갱신량 계산부에 2개의 승산기가 필요하여 회로 규모가 크다고 하는 점이다.
제 3 문제점은, Stop&Go 알고리즘에서는 Stop이라고 판정된 경우, 다음 이터레이션(탭계수의 갱신)까지 계수 갱신량 계산부의 출력은 "0"으로 되어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고, 또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의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 및 저C/N시의 안정성을 양립시켜, 고성능이면서 저비용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의 상한값과 하한값인 스텝 사이즈 상한값 및 스텝 사이즈 하한값을 입력으로 하여, 해당 스텝 사이즈 상한값 이하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하한값 이상의 범위에서 해당 오차 신호에 따른 크기의 스텝 사이즈를 적응적으로 생성해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제곱하여 제곱 오차를 생성하는 승산기와, 전회의 탭계수 갱신시에 생성한 제곱 오차를 기억하는 제곱 오차 기억부와, 상기 승산기가 출력하는 제곱 오차와 상기 제곱 오차 기억부가 기억하는 전회의 탭계수 갱신시에 생성한 제곱 오차와의 차인 제곱 오차의 차를 생성하는 감산기와, 상기 제곱 오차와 제 1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1 비교기와, 상기 제곱 오차와 제 2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2 비교기와,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과 제 3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3 비교기와, 전회의 탭계수 갱신시에 사용한 스텝 사이즈를 기억하는 스텝 사이즈 기억부와, 상기 스텝 사이즈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스텝 사이즈와,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 3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스텝 사이즈 상한값과, 상기 스텝 사이즈 하한값을 입력으로 하여, 금번의 탭계수 갱신에 사용할 스텝 사이즈를 생성하는 스텝 사이즈 증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발산 경향으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작으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收束)중 또는 수속 완료 중 어느 한쪽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인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3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 완료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스텝 사이즈 증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비교기의 비교 결과로부터 제곱 오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감소시키고,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감소시키며,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증가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발산 경향으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작으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 또는 수속 완료 중 어느 한쪽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인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3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 완료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스텝 사이즈 증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비교기의 비교 결과로부터, 제곱 오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 비율 감소시키고,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 비율 감소시키며,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 비율 증가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출력 신호에 대한 오차 추정의 판정 오류 확률의 대소를 판정하여, 판정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판정부와, 상기 판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로서 상기 판정 신호에 따른 크기의 값을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5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정부는, 상기 출력 신호가 기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큰 것을 나타내는 경우의 3가지의 판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6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판정 신호가 상기 출력 신호가 기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보다 작은 값인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큰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보다 작은 값인 제 3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임계값과 복수의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8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텝 사이즈 설정값은,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과,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보다 값이 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과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는 선택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9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일 때에 상기 파형 등화기가 거의 수속한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고,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차 양자화부와, 상기 양자화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1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차 양자화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 중 상기 오차 신호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오차 신호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1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차 양자화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 중 상기 오차 신호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오차 신호 이상인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양자화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상기 양자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5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1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양자화부는,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 중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6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1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양자화부는,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 중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 이상인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7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양자화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8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17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는, 상기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 중 상기 스텝 사이즈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9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17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는, 상기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 중 상기 스텝 사이즈 이상의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0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추정한 오차 중, 상기 출력 신호의 소정의 범위에 대응하는 오차를 0으로 한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와, 상기 오차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계수 갱신량 계산부가 탭계수 갱신량을 복수 심볼 간격으로 계산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갱신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20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계수 갱신 계산부가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타이밍을, 전회의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심볼 간격 이상 경과하고 상기 오차 신호가 0이 아닌 최초의 심볼 시점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 및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출력 오차 신호의 일부 구간을 일정 비율로 감소시켜서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를 갖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3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오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오류율 측정 회로와,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 및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오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를 갖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제 23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는, 상기 오류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오류의 비율이 소정 비율보다 작은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오차 신호로서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동일한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 1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예 1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킨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02)와, 오차 신호(102S), 스텝 사이즈(104S), 및 계수 갱신에 이용할 데이터(105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와, 오차 신호(102S), 스텝 사이즈 상한값(107S), 및 스텝 사이즈 하한값(108S)을 입력으로 하여 스텝 사이즈(104S)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104)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실시예 1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10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스텝 사이즈 결정부(104)는 오차 신호(102S)를 제곱하여 제곱 오차(201S)를 생성하는 승산기(201)와, 제곱 오차(201S)를 기억하는 제곱 오차 기억부(202)와, 승산기(201)의 출력인 제곱 오차(201S)와 제곱 오차 기억부(202)가 기억하는 제곱 오차와의 차를 계산하여, 그것을 제곱 오차의 차(202S)로서 출력하는 감산기(203)와, 제곱 오차(201S)와 제 1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1 비교기(204)와, 제곱 오차(201S)와 제 2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2 비교기(205)와, 제곱 오차의 차(202S)의 절대값과 제 3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3 비교기(206)와, 스텝 사이즈를 기억하는 스텝 사이즈 기억부(207)와,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1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송로로부터의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튜너와 검파기를 거쳐서 입력 신호(100S)로서 파형 등화기(101)에 입력된다. 오차 추정부(102)는 파형 등화기(101)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101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기 위한 오차를 추정하고, 해당 추정한 오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한다. 또, 오차 추정부(102)는, 종래예의 출력 오차 추정부(1502)와 같이 출력 신호(101S)가 하나의 값밖에는 취하지 않는 경우, 그 값의 이상값과 출력 신호(101S)와의 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하고, 출력 신호(101S)가 여러 값을 취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그 여러 값의 이상값 중, 출력 신호(101S)에 가장 가까운 이상값과 출력 신호(101S)의 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단,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입력 신호(100S)는 DTV 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스텝 사이즈 결정부(104)는, 오차 신호(102S)와, 스텝 사이즈의 상한을 결정하는 값인 스텝 사이즈 상한값(107S)과, 스텝 사이즈의 하한을 결정하는 값인 스텝 사이즈 하한값(108S)을 입력으로 하여, 스텝 사이즈 하한값(108S) 이상이고 스텝 사이즈 상한값(107S) 이하인 범위내에서 오차 신호(102S)에 따라 값을 변화시킨 스텝 사이즈(104S)를 출력한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는, 오차 신호(102S)와 스텝 사이즈(104S)와 데이터(105S)를 입력으로 하여, 전술한 수학식 1의 우변 제2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의 승산을 실행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여기서, 계수 갱신에 이용되는 데이터(105S)로서는, 파형 등화기(101)가 갖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FIFO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다. 또, 계수 갱신용 데이터(105S)를 저장하는 FIFO를, 파형 등화 제어 장치가 별도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스텝 사이즈의 상한값(107S)이나, 스텝 사이즈의 하한값(108S)로서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된 값이 이용된다.
다음에, 스텝 사이즈 결정부(104)의 동작을 설명한다. 오차 신호(102S)를 승산기(201)를 이용하여 제곱해서 제곱 오차(201S)를 생성한다. 제곱 오차 기억부(202)는 전회의 계수 갱신시의 제곱 오차를 기억하고 있다. 감산기(203)는 제곱 오차(201S)와, 상기 전회의 계수 갱신시의 제곱 오차와의 차를 계산하여, 그것을 제곱 오차의 차(202S)로서 출력한다. 제곱 오차 기억부(202)는 금번의 제곱 오차(201S)를 기억한다. 제 1 비교기(204)는 제곱 오차(201S)와 제 1 임계값을 비교한다. 제 2 비교기(205)는 제곱 오차(201S)와 제 2 임계값을 비교한다. 제 3 비교기(206)는 제곱 오차의 차(202S)의 절대값과 제 3 임계값을 비교한다.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에는, 제 1 비교기(204)의 비교 결과와 제 2 비교기(205)의 비교 결과와 제 3 비교기(206)의 비교 결과와 스텝 사이즈 기억부(207)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전회의 계수 갱신시의 스텝 사이즈와 스텝 사이즈 상한값(107S)과 스텝 사이즈 하한값(108S)이 입력된다.
여기서, 제 2 임계값은 제곱 오차(201S)가 그 값보다도 크면 파형 등화기(101)에 있어서의 전송로 왜곡을 경감시키는 파형 등화 동작이 제어 불능 상태인 발산 경향으로 되는 값이다. 또한, 제 1 임계값은 제곱 오차(201S)가 그 값보다 작으면 파형 등화기(101)에서의 파형 등화 동작이 수속중 또는 수속 완료 중 어느 한쪽의 상태로 되는 값이다. 또한, 제 3 임계값은 제곱 오차(201S)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제곱 오차의 차(202S)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상이면 파형 등화기(101)에 있어서의 파형 등화 동작이 수속중인 상태로 되는 값이고, 제 3 임계값 이하이면 파형 등화기(101)에 있어서의 파형 등화 동작이 수속 완료 상태로 되는 값이다.
실제로는, 이들 제 1 내지 제 3 임계값은 시뮬레이션에 의해 대강의 값이 설정되며, 또한 최종적으로는 실제 동작의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설계자의 판단에 의해 각각 설정된다.
즉, 제 2 임계값은 제곱 오차(201S)가 그 값보다도 크면, 파형 등화기(101)에 있어서의 파형 등화 동작이 발산 경향에 있다고 설계자에 의해 판단되는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 1 임계값은 제곱 오차(201S)가 그 값보다도 작으면, 파형 등화기(101)에 있어서의 파형 등화 동작이 수속중 또는 수속 완료 중의 어느 한쪽이라고, 설계자에 의해 판단되는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 3 임계값은 제곱 오차(201S)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을 경우, 제곱 오차의 차(202S)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상이면 파형 등화기(101)에 있어서의 파형 등화 동작이 수속중이라고 설계자에 의해 판단되고, 제 3 임계값 이하이면 파형 등화기(101)에 있어서의 파형 등화 동작이 수속 완료라고 설계자에 의해 판단되는 값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 1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우선, 도 3에 있어서 제곱 오차(201S)가 영역 1의 범위에 있는 경우, 즉 제 2 비교기(205)에 의해 제곱 오차(201S)가 제 2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 파형 등화기(101)는 발산 경향을 나타낸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는 스텝 사이즈 기억부(207)에 기억된 전회의 스텝 사이즈로부터 일정량 감소시킨 새로운 스텝 사이즈를 구한다.
또한, 제곱 오차(201S)가 영역 2의 범위에 있는 경우, 즉 제 1 비교기(204) 및 제 2 비교기(205)에 의해 제곱 오차(201S)가 제 1 임계값 이상이고 제 2 임계값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 파형 등화기(101)는 안정적으로 동작중에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는 스텝 사이즈 기억부(207)에 기억된 전회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한 스텝 사이즈를 새로운 스텝 사이즈로 한다.
또한, 제곱 오차(201S) 및 제곱 오차의 차(202S)가 영역 3, 또는 영역 5의 범위에 있는 경우, 즉 제 1 비교기(204)에 의해 제곱 오차(201S)가 제 1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정되고, 또한 제 3 비교기(206)에 의해 제곱 오차의 차(202S)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파형 등화기(101)는 수속중에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수속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해서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는 스텝 사이즈 기억부(207)에 기억된 전회의 스텝 사이즈로부터 일정량 증가시킨 새로운 스텝 사이즈를 구한다. 여기서, 영역 5의 범위에 있어서 스텝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은 다이나믹 고스트, 즉 시간적으로 변화되는 고스트에도 적절히 대응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곱 오차(201S) 및 제곱 오차의 차(202S)가 영역 4의 범위에 있는 경우, 즉 제 1 비교기(204) 및 제 3 비교기(206)에 의해 제곱 오차(201S)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고, 또한 제곱 오차의 차(202S)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 파형 등화기(101)는 거의 수속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저C/N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는 스텝 사이즈 기억부(207)에 기억된 전회의 스텝 사이즈로부터 일정량 감소시킨 새로운 스텝 사이즈를 구한다.
또한,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는 새로운 스텝 사이즈가 스텝 사이즈 상한값(107S)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 상한값(107S)을 스텝 사이즈(104S)로서 출력하고, 새로운 스텝 사이즈가 스텝 사이즈 하한값(108S)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 하한값(108S)을 스텝 사이즈(104S)로서 출력하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새로운 스텝 사이즈를 스텝 사이즈(104S)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곱 오차(201S)와 제곱 오차의 차(202S)로부터 파형 등화기(101)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것에 따라서 적절한 스텝 사이즈(104S)를 증감하여 구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104)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수속 속도가 빠르고, 저C/N시의 안정성도 높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예 1에서는 스텝 사이즈 증감의 지표로서 제곱 오차를 이용하였지만, 스텝 사이즈 증감의 지표는 제곱 오차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차의 n승(n은 1, 또는 3 이상의 정수)이어도 마찬가지의 기능이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n이 기수(奇數)일 때에는 오차의 n승의 절대값을 n승 오차로 하여 제 1 및 제 2 비교기(204, 205)등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스텝 사이즈 증감부(208)가 스텝 사이즈를 증감하는 경우에는 전회의 스텝 사이즈에 대하여 소정량을 가감하는 것에 의해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스텝 사이즈의 증감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텝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전회의 스텝 사이즈에 1보다 큰 소정의 값, 예컨대 1.1을 곱하거나, 혹은 스텝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전회의 스텝 사이즈에 1보다 작은 소정의 값, 예컨대, 0.9를 곱한다고 하는 것과 같이, 전회의 스텝 사이즈를 소정의 비율로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더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 2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본 실시예 2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한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02)와, 오차 신호(102S), 스텝 사이즈(104S), 및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와, 판정 신호(401S)를 출력하는 신호 판정부(401)와, 판정 신호(401S)에 따른 스텝 사이즈(104S)를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402)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2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오차 추정부(102)는, 출력 신호(101S)로부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기 위해 오차를 추정하여, 해당 추정한 오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한다. 신호 판정부(401)는 입력 신호(100S)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로부터 출력 신호(101S)의 신호 내용의 종류를 판정하여 출력 신호(101S)에 대한 오차 추정부(102)의 오차의 판정 오류 확률의 대소를 판정 신호(401S)로서 출력한다.
파형 등화기(101)의 입력이 DTV 신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에 판정 신호(401S)와 출력 신호(101S)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 도 21에 있어서, 세그먼트 동기 신호(3103) 및 필드 동기중인 PN511 신호(3201), PN63 신호(3202)는 미리 심볼값을 알고 있기 때문에 출력 신호(101S)에 대한 오차 추정부(102)의 오차의 판정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오차 신호(102S)는 항상 옳은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신호 판정부(401)는 판정 신호(401S)로서 "0"을 출력한다. 제어 신호(3203)는 8치의 DTV 신호에 있고, 2개값밖에는 취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 신호(101S)에 대한 오차 추정부(102)의 오차 판정 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낮다. 이 경우 오차 신호(102S)는 거의 옳은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신호 판정부(401)는 판정 신호(401S)로서 "1"을 출력한다. 그 이외의 신호는 8치의 DTV 신호에 있고, 8치 모두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출력 신호(101S)에 대한 오차 추정부(102)의 오차 판정 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높다. 이 경우 오차 신호(102S)는 옳은 값을 나타낼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신호 판정부(401)는 판정 신호(401S)로서 "2"를 출력한다.
스텝 사이즈 결정부(402)는 판정 신호(401S)의 값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3 종류의 스텝 사이즈로부터 선택하여 스텝 사이즈(104S)를 출력한다. 판정 신호(401S)가 "0"인 경우 가장 큰 스텝 사이즈를, 판정 신호(401S)가 "1"인 경우, 2번째로 큰 스텝 사이즈를, 판정 신호(401S)가 "2"인 경우 가장 작은 스텝 사이즈를, 스텝 사이즈(104S)로서 출력한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는 오차 신호(102S)와 스텝 사이즈(104S)와 데이터(105S)를 입력으로 하여, 그들을 승산한 후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출력 신호(101S)에 대한 오차 추정부(102)의 오차의 판정 오류가 발생할 확률에 따른 판정 신호(401S)를 출력하는 신호 판정부(401)와, 판정 신호(401S)에 대응한 미리 설정된 스텝 사이즈를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402)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출력 신호(101S)에 대한 오차 추정의 판정 오류 확률에 따라 스텝 사이즈(104S)의 값을 전환할 수 있고, 오차 신호(102S)가 옳은 경우에는 탭계수 갱신량(106S)이 커지기 때문에, 수속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수속 속도가 빠르고, 저C/N시의 안정성도 높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예 2에서는, 입력 신호(100S)가 DTV 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입력은 DTV 신호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판정 신호(401S)를 3단계로 설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단계 또는 4단계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판정 신호(401S)의 신호값도 "0", "1", "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선택되는 스텝 사이즈(104S)도 3가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가지 또는 4가지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신호 판정부(401)가 입력 신호(100S)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 신호(401S)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신호 판정부(401)는 출력 신호(101S)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 신호(401S)를 생성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 3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본 실시예 3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킨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02)와, 오차 신호(102S), 스텝 사이즈(104S), 및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와, 오차 신호(102S), 임계값(601S),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602S), 및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603S)을 입력으로 하여, 스텝 사이즈(104S)를 생성해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601)를 구비한다. 스텝 사이즈 결정부(601)는 비교기(602)와, 선택기(603)를 더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3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파형 등화기(101)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101S)에 근거하여 오차 추정부(102)는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기 위해 오차를 추정하여, 해당 추정한 오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한다. 비교기(602)는 오차 신호(102S)의 절대값과 임계값(601S)을 비교한다. 비교기(602)의 비교 결과로부터 오차 신호(102S)의 절대값이 임계값(601S) 이하인 경우, 선택기(603)는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602S)을 스텝 사이즈(104S)로서 출력한다. 비교기(602)의 비교 결과로부터 오차 신호(102S)의 절대값이 임계값(601S)을 넘는 경우, 선택기(603)는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602S)보다 큰 스텝 사이즈인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603S)을 스텝 사이즈(104S)로서 출력한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는, 오차 신호(102S)와 스텝 사이즈(104S)와 데이터(105S)를 입력으로 하여 그들을 승산한 후,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임계값(601S)의 값은 오차 신호(102S)의 절대값이 임계값(601S) 이하인 경우, 파형 등화기(101)는 거의 수속된 상태와 같은 값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3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오차 신호(102S)의 대소에 따라서, 스텝 사이즈(104S)의 크기를 전환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601)를 구비함으로써, 오차가 큰, 즉 아직 파형 등화기(101)가 수속되어 있지 않은 단계에서는 큰 스텝 사이즈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속 속도를 향상시키고, 오차가 작은, 즉 파형 등화기(101)가 거의 수속된 단계에서는 작은 스텝 사이즈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저C/N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수속 속도가 빠르고, 저C/N시의 안정성도 높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예 3에서는, 2단계로 스텝 사이즈를 전환하였지만, 임계값을 비교기(602)에 복수 입력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3단계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선택기(603)에서 선택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 4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본 실시예 4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킨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02)와, 오차 신호(102S)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701S)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차 양자화부(701)와, 양자화 오차 신호(701S), 스텝 사이즈(104S), 및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702)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4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파형 등화기(101)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101S)에 근거하여 오차 추정부(102)는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기 위해 오차를 추정하여, 해당 추정한 오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한다. 오차 양자화부(701)는, 오차 신호(102S)를 2의 멱승 중, 102S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102S 이하인 최대의 절대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701S)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8에 오차 신호(102S)와 그것을 변환한 양자화 오차 신호(701S)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102S가 "0"인 경우에는 701S도 "0"으로 한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702)는, 양자화 오차 신호(701S)와 스텝 사이즈(104S)와 데이터(105S)를 입력으로 하여, 종래에는 2회 승산으로 실행하고 있었던 처리를, 2의 멱승의 값 또는 "0"밖에는 취하지 않는 양자화 오차 신호(701S)를 이용함으로써, 오차를 승산하는 처리가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이것을 대용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4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오차 양자화부(701)에 있어서 오차 신호(102S)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701S)로 변환하고, 양자화 오차 신호(701S)를 이용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구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계수 갱신량 계산부(702)에 있어서 승산을 시프트 연산으로 치환할 수 있고, 1탭의 계수 갱신량을 계산하기 위한 승산기를 1개로 할 수 있는 것에 의해, 회로 규모의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고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예 4에서는, 오차 신호(102S)를 양자화 오차 신호(701S)로 변환할 때,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변환을 행하였지만, 오차 신호(102S)를 2의 멱승 중 오차 신호(102S)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오차 신호(102S)의 절대값 이상인 최소의 절대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701S)로 변환하여도 무방하며, 혹은, 오차 신호(102S)를 2의 멱승 중 오차 신호(102S)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오차 신호(102S)의 절대값에 가장 가까운 절대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701S)로 변환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 5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본 실시예 5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킨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02)와,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901S)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양자화부(901)와, 오차 신호(102S), 스텝 사이즈(104S), 및 양자화 데이터(901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902)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5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파형 등화기(101)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101S)에 근거하여 오차 추정부(102)는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기 위해 오차를 추정하고, 해당 추정한 오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양자화부(901)는, 데이터(105S)를 2의 멱승 중, 105S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데이터(105S) 이하인 최대의 절대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901S)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0에 데이터(105S)와 그것을 변환한 양자화 데이터(901S)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데이터(105S)가 "0"인 경우에는, 901S도 "0"으로 한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902)는 오차 신호(201S)와 스텝 사이즈(104S)와 양자화 데이터(901S)를 입력으로 하여, 종래 2회의 승산으로 실행하고 있었던 처리를, 2의 멱승의 값 또는 "0"밖에는 취하지 않는 양자화 데이터(901S)를 이용함으로써 오차를 승산하는 처리가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이것을 대용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5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데이터 양자화부(901)에 있어서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901S)로 변환하고, 양자화 데이터(901S)를 이용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구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계수 갱신량 계산부(902)에 있어서 승산을 시프트 연산으로 치환할 수 있어, 1탭의 계수 갱신량을 계산하기 위한 승산기를 1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규모의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 5에서는,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를 양자화 데이터(901S)로 변환할 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환을 실행하였지만, 데이터(105S)를 2의 멱승 중, 데이터(105S)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데이터(105S)의 절대값 이상인 최소의 절대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901S)로 변환하더라도 무방하며, 혹은, 데이터(105S)를 2의 멱승 중, 데이터(105S)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데이터(105S)의 절대값에 가장 가까운 절대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901S)로 변환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 6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본 실시예 6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킨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02)와, 스텝 사이즈(104S)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1101)와, 오차 신호(102S),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 및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102)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6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파형 등화기(101)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101S)에 근거하여 오차 추정부(102)는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기 위해 오차를 추정하고, 해당 추정한 오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한다.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1101)는 스텝 사이즈(104S)를 2의 멱승 중, 104S 이하의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2에 스텝 사이즈(104S)와 그것을 변환한 양자화 스텝 사이즈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104S가 "0"인 경우에는 1101S도 "0"으로 한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1102)는 오차 신호(201S)와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와 데이터(105S)를 입력으로 하여, 종래 2회의 승산으로 실행하고 있던 처리를, 2의 멱승의 값 또는 "0"밖에 취하지 않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오차를 승산하는 처리가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6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1101)에 있어서 스텝 사이즈(104S)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로 변환하고,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를 이용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구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계수 갱신량 계산부(1102)에 있어서 승산을 시프트 연산으로 치환할 수 있고, 1탭의 계수 갱신량을 계산하기 위한 승산기를 1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규모의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 6에서는, 스텝 사이즈(104S)를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로 변환할 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환을 실행하였지만, 스텝 사이즈(104S)를 2의 멱승 중, 스텝 사이즈(104S) 이상의 최소의 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로 변환하더라도 무방하며, 혹은 스텝 사이즈(104S)를 2의 멱승 중, 스텝 사이즈(104S)에 가장 가까운 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1101S)로 변환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 7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본 실시예 7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킨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그 추정한 오차 중, 상기 출력 신호의 소정 범위에 대응하는 오차를 0으로 한 오차 신호(102S)를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303)와, 오차 신호(102S)를 입력으로 하여, 탭의 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갱신 타이밍 신호(1301S)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1301)와, 오차 신호(102S), 갱신 타이밍 신호(1301S), 스텝 사이즈(104S), 및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302)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7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본 실시예 7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탭계수 갱신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파형 등화기(101)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101S)에 근거하여 오차 추정부(1303)는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기 위해 오차를 추정하고, 해당 추정 오차를 오차 신호(102S)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오차 추정부(1303)는, Stop&Go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오차 신호(102S)를 작성한다.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1301)는, 도 14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회의 계수 갱신 타이밍으로부터 일정한 심볼 간격(여기서는 n 심볼로 하고 있음. 단, n은 1 이상의 정수로 함) 이상 경과하고, 오차 신호(102S)가 "0"이 아닌 최초의 심볼에서 갱신 타이밍 신호(1301S)를 ON으로 한다. 그 이외의 심볼에서는 갱신 타이밍 신호(1301S)를 OFF로 한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1302)는 갱신 타이밍 신호(1301S)가 ON일 때에만, 오차 신호(102S)와 스텝 사이즈(104S)와 데이터(105S)를 입력으로 하여 그들을 승산한 후,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종래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심볼 간격(여기서는 n 심볼로 하고 있음. 단, n은 1 이상의 정수로 함)으로 계수 갱신량 계산부가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하고 있었다. Stop&G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차 신호(102S)를 생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2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차 추정부(1303)의 출력인 오차 신호(102S)는 약 1/2의 확률로 "0"으로 된다. 탭계수 갱신량(106S)은 -α×e(n)×di(n)이기 때문에, 오차 신호(102S)가 "0", 즉 e(n)=0이면, 탭계수 갱신량(106S)은 "0"으로 된다. 즉, 계수 갱신량 계산부는 n 심볼에 한 번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하지만, 그 약 반수는 "0"이며, 실질적인 계수 갱신 간격은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n 심볼이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 7의 예에서는,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인 계수 갱신 간격은 (n+1)심볼 정도이며, 종래의 약 절반으로 단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7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계수 갱신량 계산부(1302)가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1301)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계수 갱신 간격을 대폭 단축하여, 파형 등화기(101)의 수속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예 7에서는, Stop&Go 알고리즘을 이용한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입출력 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오차 신호(102S)를 0으로 하는, 즉, 계수 갱신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가 있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관해서도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 7에 따른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1301)는, 전회의 계수 갱신 타이밍으로부터 n 심볼 이상 경과하고, 오차 신호(102S)가 "0"이 아닌 최초의 심볼에서 갱신 타이밍 신호(1301S)를 ON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회의 계수 갱신 타이밍으로부터, n 심볼 이상 경과하고, 오차 신호(102S)가 "0"이 아닌 2번째 심볼에서 갱신 타이밍 신호(1301S)를 ON으로 하는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 등, 오차 신호(102S)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갱신 타이밍 신호(1301S)를 ON으로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 8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본 실시예 8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킨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502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501)와, 오차 신호(1502S), 스텝 사이즈(104S), 및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를 구비한다. 오차 추정부(1501)는, 또한, 출력 신호(101S)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1501S)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1502)와, 출력 오차 신호(1501S), 및 출력 신호(101S)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1501S)의 일부 구간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켜, 오차 신호(1502S)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503)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8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파형 등화기의 입력이 DTV 신호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파형 등화기(101)의 출력인 출력 신호(101S)에 근거하여 출력 오차 추정부(1502)에 의해 가장 확실할 것 같은 심볼값과의 오차인 출력 오차 신호(1501S)를 추정한다.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503)는 출력 오차 신호(1501S)와 출력 신호(101S)를 입력으로 하여, 도 2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top&Go 알고리즘에서는 "0"을 출력하고 있었던 출력 오차 신호(1501S)에 대하여, 출력 오차 신호(1501S)의 25%의 값을 오차 신호(1502S)로서 출력하도록 한다. 도 16에 출력 오차 신호(1501S)와 오차 신호(1502S)의 관계를 나타낸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는, 오차 신호(1502S)와 스텝 사이즈(104S)와 데이터(105S)를 입력으로 하여 그들을 승산한 후,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8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Stop&Go 알고리즘에서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가 출력 오차 신호를 "0"으로 변환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고 있었던 것을, 출력 오차 신호(1501S)의 25%의 값으로 변환하여 오차 신호(1502S)로서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503)를 구비한 것으로, 탭계수의 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오차 신호가 많아져, 파형 등화기(101)의 수속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예 8에서는, 입력이 DTV 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입력은 DTV 신호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503)로 변환할 때에 이용하는 비율인 25%는 이 값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 9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본 실시예 9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100S)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킨 출력 신호(101S)를 출력하는 파형 등화기(101)와, 출력 신호(101S)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1701S)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1701)와, 오차 신호(1701S), 스텝 사이즈(104S), 및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105S)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106S)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와, 출력 신호(101S)로부터 데이터의 오류율을 측정하여, 그 오류율을 오류 신호(1702S)로서 출력하는 오류율 측정 회로(1703)를 구비한다. 오차 추정부(1701)는, 또한, 출력 신호(101S)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1501S)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1502)와, 출력 오차 신호(1501S), 출력 신호(101S), 및 오류 신호(1702S)를 입력으로 하여, 오차 신호(1701S)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702)를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 9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파형 등화기(101)의 입력이 DTV 신호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파형 등화기(101)의 출력인 출력 신호(101S)에 의해 출력 오차 추정부(1502)에서 가장 확실할 것 같은 심볼값과의 오차인 출력 오차 신호(1501S)를 추정한다. 오류율 측정 회로(1703)는 파형 등화기(101)의 출력 신호(101S)에 포함되는 오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오류율이 소정의 값, 예컨대 10%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오류 신호(1702S)를 ON으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오류 신호(1702S)를 OFF로 한다. 여기서, 오류율 측정 회로(1703)는, 출력 신호(101S)에 포함되는 ECC용 데이터, 혹은 ECC용 비트 등을 이용하여 오류율을 측정한다.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702)는, 출력 오차 신호(1501S)와 출력 신호(101S)와 오류 신호(1702S)를 입력으로 하여, 오류 신호(1702S)가 ON인 경우에는 종래대로 Stop&Go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도 22의 (b)에 도시한 오차 신호와 마찬가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오류 신호(1702S)가 OFF인 경우에는, 출력 오차 신호(1501S)는 거의 옳은 값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Stop&Go 알고리즘에 근거한 변환을 중단하고, 출력 오차 신호(1501S)를 그대로 오차 신호(1701S)로서 출력한다. 도 18에 오류 신호(1702S)가 OFF인 경우의 출력 오차 신호(1501S)와 오차 신호(1701S)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계수 갱신량 계산부(103)는 오차 신호(1701S)와 스텝 사이즈(104S)와 데이터(105S)를 입력으로 하여 그들을 승산한 후 탭계수 갱신량(106S)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9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Stop&Go 알고리즘에 있어서, 출력 신호(101S)의 오류율에 따라 오류 신호(1702S)를 ON으로 하든가 또는 OFF로 하는 오류율 측정 회로(1703)와, 오류 신호(1702S)가 ON일 때에는, 출력 오차 신호(1501S)의 일부를 "0"으로 변환하여 오차 신호(1701S)로서 출력하여, 오류 신호가 OFF의 때에는 "0"으로 변환하는 것을 중지하고 출력 오차 신호(1501S)를 그대로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702)를 구비한 것으로, 탭의 계수 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오차 신호(1701S)가 많아져서, 파형 등화기(101)의 수속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예 9에서는 입력이 DTV 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입력은 DTV 신호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오류율 측정 회로(1703)가 오류 신호(1702S)의 ON과 OFF를 전환하는 오류율의 임계값을 10%로 하였지만, 이 값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오류 신호(1702S)가 ON일 때에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702)가 Stop&Go 알고리즘에 의해서 오차 신호(1701S)를 생성한다고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오류 신호(1702S)가 ON일 때에,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가 실시예 8의 도 16의 (b)에 도시되는 오차 신호(1502S)를 출력하더라도 무방하며, 오류 신호(1702S)가 ON일 때에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1702)가 출력하는 오차 신호(1701S)가, 출력 오차 신호(1501S)와 동일하지 않은, 즉 출력 오차 신호(1501S)를 소정 범위, 혹은 낮은 비율로 감쇠시켰거나, 또는 0으로 한 것과 같은 것이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파형 등화기(101)의 출력 신호(101S)가 도시하지 않은 오류 정정부(Forward Error Correction Unit)에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오류 정정부에 포함되는 오류율 측정 회로를 본 실시예 9에 따른 오류율 측정 회로(1703)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의 상한값과 하한값인 스텝 사이즈 상한값 및 스텝 사이즈 하한값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스텝 사이즈 상한값 이하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하한값 이상인 범위에서 상기 오차 신호에 따른 크기의 스텝 사이즈를 적응적으로 생성해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르고, 또한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으며, 저C/N시의 안정성도 높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제곱하여 제곱 오차를 생성하는 승산기와, 전회(前回)의 탭계수 갱신시에 생성한 제곱 오차를 기억하는 제곱 오차 기억부와, 상기 승산기가 출력하는 제곱 오차와 상기 제곱 오차 기억부가 기억하는 전회의 탭계수 갱신시에 생성한 제곱 오차와의 차인 제곱 오차의 차를 생성하는 감산기와, 상기 제곱 오차와 제 1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1 비교기와, 상기 제곱 오차와 제 2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2 비교기와,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과 제 3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3 비교기와, 전회의 탭계수 갱신시에 사용한 스텝 사이즈를 기억하는 스텝 사이즈 기억부와, 상기 스텝 사이즈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스텝 사이즈와,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 3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스텝 사이즈 상한값과, 상기 스텝 사이즈 하한값을 입력으로 하여, 금번의 탭계수 갱신에 사용하는 스텝 사이즈를 생성하는 스텝 사이즈 증감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르고, 또한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으며, 저C/N시의 안정성도 높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발산 경향으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작으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收束)중 또는 수속 완료 중 어느 한쪽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인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3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 완료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스텝 사이즈 증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비교기의 비교 결과로부터 제곱 오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감소시키고,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감소시키며,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증가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파형 등화기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스텝 사이즈로 함으로써,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르고, 또한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으며, 저C/N시의 안정성도 높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발산 경향으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작으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 또는 수속 완료 중 어느 한쪽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인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3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 완료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스텝 사이즈 증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비교기의 비교 결과로부터, 제곱 오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감소시키고,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감소시키며,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증가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파형 등화기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스텝 사이즈로 함으로써,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르고, 또한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으며, 저C/N시의 안정성도 높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출력 신호에 대한 오차 추정의 판정 오류 확률의 대소를 판정하여, 판정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판정부와, 상기 판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로서 상기 판정 신호에 따른 크기의 값을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에 따라 스텝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5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정부는, 상기 출력 신호가 기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큰 것을 나타내는 경우의 3가지의 판정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에 따라 스텝 사이즈를 증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6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판정 신호가 상기 출력 신호가 기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보다 작은 값인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큰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보다 작은 값인 제 3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출력하기 때문에,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에 따라 스텝 사이즈를 증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임계값과 복수의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임계값과의 관계로부터 스텝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고,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8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텝 사이즈 설정값은,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과,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보다 값이 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과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는 선택기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로부터 스텝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고,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9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일 때에 상기 파형 등화기가 거의 수속한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고,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기 때문에, 상기 비교기에 있어서의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로부터, 파형 등화기가 아직 수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큰 스텝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차 양자화부와, 상기 양자화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종래에는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으나,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이를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는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1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차 양자화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 중 상기 오차 신호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오차 신호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탭계수 갱신량을 구하는 데 있어서 종래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던 것을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는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1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차 양자화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 중 상기 오차 신호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오차 신호 이상인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탭계수 갱신량을 구하는 데 있어서 종래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던 것을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는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양자화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상기 양자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종래에는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으나, 이를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는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5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1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양자화부는,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 중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탭계수 갱신량을 구하는 데 있어서 종래에는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지만, 이를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는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6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1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양자화부는,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 중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 이상인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탭계수 갱신량을 구하는 데 종래에는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지만, 이를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가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7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양자화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종래에는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지만, 이를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가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8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17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는, 상기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 중 상기 스텝 사이즈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탭계수 갱신량을 구하는 데 종래에는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지만, 이를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가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9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17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는, 상기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 중 상기 스텝 사이즈 이상의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탭계수 갱신량을 구하는 데 종래에는 2회의 승산 처리가 필요했지만, 이를 1회의 승산과 1회의 시프트 연산으로 대용할 수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성능을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가 작은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0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추정한 오차 중, 상기 출력 신호의 소정의 범위에 대응하는 오차를 0으로 한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와, 상기 오차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계수 갱신량 계산부가 탭계수 갱신량을 복수 심볼 간격으로 계산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갱신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 오차 신호가 "0"이 아닌 경우 상기 계수 갱신량 계산부에서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심볼 간격으로 계수 갱신을 행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비하여 계수 갱신 간격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1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20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계수 갱신 계산부가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타이밍을, 전회의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심볼 간격 이상 경과하고 상기 오차 신호가 0이 아닌 최초의 심볼 시점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오차 신호가 "0"이 아닌 경우 상기 계수 갱신량 계산부에서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함으로써, 사전 결정된 심볼 간격으로 계수 갱신을 행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비하여 계수 갱신 간격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2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 및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출력 오차 신호의 일부 구간을 일정 비율로 감소시켜서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를 갖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에서 "0"으로 변환되어 있던 출력 오차 신호를 일정한 비율을 곱해 값을 작게 한 오차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Stop&Go 알고리즘에 비해 탭계수 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오차 신호가 많아져,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3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오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오류율 측정 회로와,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 및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오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를 갖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탭계수의 갱신 간격이 단축되게 되고, 또한 탭계수 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오차 신호가 많아지게 됨에 따라,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4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 23 특징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는, 상기 오류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오류의 비율이 소정 비율보다 작은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오차 신호로서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동일한 값을 출력하기 때문에, 탭계수의 갱신 간격이 단축되게 되고, 또한 탭계수 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오차 신호가 많아지게 됨에 따라,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이 변동한 경우의 추종성이나 초기 동작시의 수속 속도가 빠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 사이즈 결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 사이즈 증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판정 신호와 출력 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오차 신호와 양자화 오차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데이터와 양자화 데이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스텝 사이즈와 양자화 스텝 사이즈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탭계수 갱신의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9는 종래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0은 DTV 신호 형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DTV 신호중의 필드 동기 신호 형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종래의 파형 등화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파형 등화기
102, 1303, 1501, 1701, 1901 : 오차 추정부
103, 702, 902, 1102, 1302 : 계수 갱신량 계산부
104, 402, 601 : 스텝 사이즈 결정부
201 : 승산기 202 : 제곱 오차 기억부
203 : 감산기 204 : 제 1 비교기
205 : 제 2 비교기 206 : 제 3 비교기
207 : 스텝 사이즈 기억부 208 : 스텝 사이즈 증감부
401 : 신호 판정부 602 : 비교기
603 : 선택기 701 : 오차 양자화부
901 : 데이터 양자화부 1101 :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
1301 :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
1502 : 출력 오차 추정부
1503, 1702, 1902 :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
1703 : 오류율 측정 회로 3101 : 데이터 신호
3102 : 필드 동기 3103 : 세그먼트 동기
3201 : PN511 신호 3202 : PN63 신호
3203 : 제어 신호 101S : 출력 신호
102S, 1502S, 1701S, 1901S : 오차 신호
104S : 스텝 사이즈 105S : 데이터
106S : 탭계수 갱신량 107S : 스텝 사이즈 상한값
108S : 스텝 사이즈 하한값 201S : 제곱 오차
202S : 제곱 오차의 차 401S : 판정 신호
601S : 임계값
602S :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
603S :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
701S : 양자화 오차 신호 901S : 양자화 데이터
1101S : 양자화 스텝 사이즈 1301S : 갱신 타이밍 신호
1501S : 출력 오차 신호 1702S : 오류 신호

Claims (24)

  1.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의 상한값과 하한값인 스텝 사이즈 상한값 및 스텝 사이즈 하한값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스텝 사이즈 상한값 이하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하한값 이상인 범위에서 상기 오차 신호에 따른 크기의 스텝 사이즈를 적응적으로 생성해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제곱하여 제곱 오차를 생성하는 승산기와,
    전회(前回)의 탭계수 갱신시에 생성한 제곱 오차를 기억하는 제곱 오차 기억부와,
    상기 승산기가 출력하는 제곱 오차와 상기 제곱 오차 기억부가 기억하는 전회의 탭계수 갱신시에 생성한 제곱 오차와의 차(差)인 제곱 오차의 차를 생성하는 감산기와,
    상기 제곱 오차와 제 1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1 비교기와,
    상기 제곱 오차와 제 2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2 비교기와,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과 제 3 임계값을 비교하는 제 3 비교기와,
    전회의 탭계수 갱신시에 사용한 스텝 사이즈를 기억하는 스텝 사이즈 기억부와,
    상기 스텝 사이즈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스텝 사이즈와,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 3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스텝 사이즈 상한값과, 상기 스텝 사이즈 하한값을 입력으로 하여, 금번의 탭계수 갱신에 사용하는 스텝 사이즈를 생성하는 스텝 사이즈 증감부
    를 포함한 것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발산 경향으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작으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收束)중 또는 수속 완료 중 어느 한쪽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인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3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 완료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스텝 사이즈 증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비교기의 비교 결과로부터 제곱 오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감소시키고,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감소시키며,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량 증가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발산 경향으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그 값보다 작으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 또는 수속 완료 중 어느 한쪽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제곱 오차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중인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제 3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파형 등화기가 수속 완료의 상태로 되는 값이며,
    상기 스텝 사이즈 증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비교기의 비교 결과로부터, 제곱 오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 비율 감소시키고,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 비율 감소시키며,
    상기 제곱 오차가 제 1 임계값보다도 작고, 상기 제곱 오차의 차의 절대값이 제 3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일정 비율 증가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5.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해당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해당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출력 신호에 대한 오차 추정의 판정 오류 확률의 대소를 판정하여, 판정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판정부와,
    상기 판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로서 해당 판정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을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정부는,
    상기 출력 신호가 기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큰 것을 나타내는 경우의 3가지의 판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판정 신호가 상기 출력 신호가 기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며,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보다 작은 값인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판정 오류의 확률이 큰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보다 작은 값인 제 3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8.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해당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해당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임계값과 복수의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로서, 해당 입력된 복수의 스텝 사이즈 설정값으로부터 해당 오차 신호와 임계값에 대응하는 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결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텝 사이즈 설정값은,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과,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보다 값이 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과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는 선택기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일 때에 상기 파형 등화기가 거의 수속한 상태로 되는 값이고,
    상기 스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제 1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고, 상기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 상기 제 2 스텝 사이즈 설정값을 상기 스텝 사이즈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1.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차 양자화부와,
    상기 양자화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양자화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 중 상기 오차 신호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오차 신호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양자화부는, 상기 오차 신호를, 2의 멱승 중 상기 오차 신호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오차 신호 이상인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오차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4.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양자화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상기 양자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양자화부는,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 중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양자화부는,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2의 멱승 중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와 동일 부호이고 절대값이 상기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 이상인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7.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오차 신호로서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의 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양자화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는, 상기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 중 상기 스텝 사이즈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사이즈 양자화부는, 상기 스텝 사이즈를, 2의 멱승 중 상기 스텝 사이즈 이상의 최소값을 갖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20.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의 오차를 추정하여, 추정한 오차 중, 상기 출력 신호의 소정의 범위에 대응하는 오차를 0으로 한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와,
    상기 오차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계수 갱신량 계산부가 탭계수 갱신량을 복수 심볼 간격으로 계산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갱신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갱신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계수 갱신 계산부가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타이밍을, 전회의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심볼 간격 이상 경과하고 상기 오차 신호가 0이 아닌 최초의 심볼 시점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22.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 및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출력 오차 신호의 일부 구간을 일정 비율로 감소시켜서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를 갖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23. 입력 신호의 전송로 왜곡을 LMS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저감시키는 파형 등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파형 등화기가 갖는 필터의 탭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오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오류율 측정 회로와,
    상기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오차 추정부, 및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오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를 갖는 오차 추정부와,
    상기 오차 신호와, 상기 탭계수의 갱신 단위인 스텝 사이즈와, 탭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탭계수 갱신량을 계산하는 계수 갱신량 계산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갱신용 오차 생성부는, 상기 오류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오류의 비율이 소정 비율보다 작은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오차 신호로서 상기 출력 오차 신호와 동일한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등화 제어 장치.
KR10-2000-0063718A 1999-10-29 2000-10-28 파형 등화 제어 장치 KR100500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09872 1999-10-29
JP30987299 199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309A KR20010051309A (ko) 2001-06-25
KR100500810B1 true KR100500810B1 (ko) 2005-07-12

Family

ID=3463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718A KR100500810B1 (ko) 1999-10-29 2000-10-28 파형 등화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07064B1 (ko)
KR (1) KR100500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06B1 (ko) * 2001-06-30 2007-04-0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다이나믹 고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적응 등화 장치 및 방법
US7139343B2 (en) * 2002-03-27 2006-11-2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Digital radio receiver
KR100467317B1 (ko) * 2002-05-22 2005-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케일러블 적응등화 장치
JP4392153B2 (ja) * 2002-07-17 2009-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波形等化装置
DE10232702B4 (de) * 2002-07-18 2005-06-16 Infineon Technologies Ag Adaptiver Entzerrer mit integrierter Anpassung des Ausgangspegels
US7272176B2 (en) * 2003-02-18 2007-09-1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receiver with an adaptive equalizer
US20040161057A1 (en) * 2003-02-18 2004-08-19 Malladi Durga Prasad Communication receiver with a rake-based adaptive equalizer
US7257377B2 (en) 2003-02-18 2007-08-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channel estimation
US7447284B2 (en) * 2003-03-28 2008-11-0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noise control
US7301998B2 (en) * 2003-12-19 2007-11-27 Intel Corporation Filter with signal taps temporally spaced at fractional symbol intervals
US20050232347A1 (en) * 2004-04-15 2005-10-20 Mediatek In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noise enhancement reduction in an adaptive equalizer
US7739320B2 (en) * 2004-05-19 2010-06-15 Panasonic Corporation Waveform equalizer, waveform equaliz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0698630B1 (ko) * 2004-06-28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텝사이즈 조정기능을 구비한 등화기 및 등화방법
KR100603202B1 (ko) * 2004-06-28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Lms 등화기의 스텝사이즈 자동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0708482B1 (ko) * 2005-03-0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등화기 및 채널 등화 방법
US7702053B2 (en) * 2005-05-05 2010-04-20 Broadcom Corporation State based algorithm to minimize mean squared error
US20090262795A1 (en) * 2005-07-19 2009-10-22 Aaron Reel Bouillet Adaptive equalizer tap stepsize
US20070104263A1 (en) * 2005-11-09 2007-05-10 Chiao-Chih Chang Method for adaptively tuning an equalizer
US7602844B2 (en) * 2005-12-05 2009-10-13 National Taiwan University On-line step-size calculation using signal power estimation and tone grouping of the frequency-domain equalizer for DMT-based transceiver
US7436615B2 (en) * 2005-12-08 2008-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a measured error to determine coefficients to provide to an equalizer to use to equalize an input signal
US8385397B2 (en) * 2007-01-19 2013-02-26 Techwell Llc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ep size for an LMS adaptive equalizer for 8VSB
US7616685B2 (en) * 2007-01-19 2009-11-10 Techwell, Inc. Method for channel tracking in an LMS adaptive equalizer for 8VSB
KR100862715B1 (ko) * 2007-06-22 2008-10-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디지털 적응 간섭제거 중계기
US8300802B2 (en) * 2007-08-31 2012-10-3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aptive filter for use in echo reduction
US7792156B1 (en) * 2008-01-10 2010-09-07 Rosum Corporation ATSC transmitter identifier signaling
US8848774B2 (en) * 2008-08-19 2014-09-30 Lsi Corporation Adaptation of a linear equalizer using a virtual decision feedback equalizer (VDFE)
US9137064B2 (en) 2011-10-14 2015-09-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qualizer device, receiver device and equalization method
CN105099970B (zh) * 2014-04-24 2018-08-14 富士通株式会社 自适应均衡器、自适应均衡方法以及接收机
US10873407B2 (en) * 2018-11-15 2020-12-22 Marvell Asia Pte, Ltd. Transmitter tuning using receiver gradient
CN115967398A (zh) * 2022-12-30 2023-04-14 成都电科星拓科技有限公司 一种时间数字转换器转换系数更新方法、系统以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0007A (en) * 1991-06-28 1993-07-20 Motorola, Inc. Method for optimizing an adaptive filter update coefficient
US5818876A (en) * 1993-02-01 1998-10-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of adaptive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on using a variable convergence step size
KR960012019B1 (ko) * 1993-11-18 1996-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치디티브이(hdtv)의 채널등화기
DE69434518T2 (de) * 1993-12-15 2006-06-22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Adaptiver entzerrer
US5467370A (en) * 1994-03-24 1995-11-14 Silic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aptive three tap transversal equalizer for partial-response signaling
JP2541503B2 (ja) * 1994-04-28 1996-10-09 日本電気株式会社 干渉波除去装置
JPH0879135A (ja) * 1994-09-06 1996-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信号誤り低減装置
US5684827A (en) * 1995-10-04 1997-11-0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mode of an adaptive equalizer
JP2882364B2 (ja) * 1996-06-14 1999-04-12 日本電気株式会社 雑音消去方法及び雑音消去装置
JP3361724B2 (ja) 1997-06-11 2003-01-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エコーキャンセラ装置
JP3865482B2 (ja) 1997-10-07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信号波形等化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럽 특허공보 제0 907 261호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07064B1 (en) 2005-06-14
KR20010051309A (ko) 200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810B1 (ko) 파형 등화 제어 장치
US7151797B2 (en) Adaptive K-factor-improvement filter for receiver of radio signals subject to multipath distortion
KR100556401B1 (ko) Vsb 수신 시스템의 등화 장치
JP4922293B2 (ja) シンボルエラー分布に基づくイコライザモード選択
US20060200511A1 (en) Channel equalizer and method of equalizing a channel
JP2000077979A (ja) 収束時間を減少させる方法及び装置
CN111526104A (zh) 具有分布式算术架构的按需前馈均衡器和方法
US7739320B2 (en) Waveform equalizer, waveform equaliz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0801447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ization
US5572547A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mode of an adaptive equalizer
JP3458098B2 (ja) 波形等化制御装置、及び波形等化制御方法
US8831083B2 (en) Transmission channel estimating device, transmission channel estimating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JP4686252B2 (ja) 波形等化装置、波形等化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819520B1 (en) Method of adaptively controlling the pre-cursor coefficient in a transmit equalizer
US20180167080A1 (en) Phase Adjustment for Interleaved Analog to Digital Converters
US7720139B2 (en) Equaliser circuit
US7826523B2 (en) Effective adaptive filtering techniques
KR100446304B1 (ko) 고화질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등화기 및 등화 방법
US7535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hannel equaliz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464956B1 (ko) 적응 등화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US7158565B2 (en) Waveform equalizer and shift register
US8358683B2 (en) Channel equalizer
US55508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ntering equalizer taps
JP5518261B2 (ja) 等化装置及び等化方法
KR10069826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등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426

Effective date: 2005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