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267B1 -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267B1
KR100500267B1 KR10-2003-0034468A KR20030034468A KR100500267B1 KR 100500267 B1 KR100500267 B1 KR 100500267B1 KR 20030034468 A KR20030034468 A KR 20030034468A KR 100500267 B1 KR100500267 B1 KR 100500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lay
input
predetermined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524A (ko
Inventor
선학규
임희성
Original Assignee
선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학규 filed Critical 선학규
Priority to KR10-2003-003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26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전압을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하는 제 1변압기와, 제 1 변압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을 단속하여 회로결선을 수행하는 파워 릴레이부와, 파워 릴레이부의 소정 릴레이의 릴레이 접점에 대한 단속에 연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전압을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하는 제 2 변압기와, 제 2 변압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값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을 단속하여 입력 전압을 외부로 전달하는 지연 릴레이부와, 지연 릴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AC 전압을 소정의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와, 정류 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DC 전압을 안정화 시키기 위한 평활 회로부; 및 제 1 변압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파워 릴레이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릴레이, 상기 제 2 릴레이 및 상기 제 4 릴레이의 릴레이 접점으로 회로 결선을 수행한 후, 정류 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DC 전압을 용접장치의 메인 트랜스로 전달하는 IGBT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해당 릴레이 접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릴레이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자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입력전압에 따라 구동 전압을 수시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과전압에 의한 구성 회로 소자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시간 지연 타이머를 구비함으로써, 갑작스런 전압 변동으로부터 회로 소자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또한 제공한다.

Description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Voltage transformable equippment for welding equippment having a variable relay based on input voltage}
본 발명은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해당 릴레이 접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릴레이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는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대식 용접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은 제 1차 세계대전 당시에 재료의 절약과 노력 흑감의 요구에 따라 신흥 기술로서 등장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기 시작하면서 산업분야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특히, 전기 용접은 그 작업이 신속하고 간단하며 제품의 강도 재료 및 경상비의 절약등 각 방면에 있어서 대단히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으므로 조선 , 항공기 , 건축 , 기계 , 철도 , 수도 및 소규모의 공업으로부터 귀금속 공업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중요한 것으로 용접은 그 자체가 공업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보편성과 중요성으로 인하여 산업분야의 각 방면에 더욱 널리 쓰이고 더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아.
용접장치란, 상술한 바와 같은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정의 열원, 예를 들면 가스 , 아크 , 전기 , 저항열 , 마찰열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용접 부를 용융 상태로 하든가 용융 상태로 하지 않을 정도로 가열한 부재 또는 상온 상태의 부재를 서로 접촉시키고, 인가된 전압에 의거하여 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상호 접합시켜 두개의 금속을 일체화 시키거나 또는 접합할 금속 사이에 가열한 다른 금속을 사이에 넣고 결합시키는 것으로써, 나사 또는 리벳을 사용하는 기계적 이음과는 달리 용접된 이음부분은 분해할 수 없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 이와 같은 용접장치는, 입력되는 구동전압의 종류, 예를 들면 440 볼트 또는 220 볼트 중 어느 하나의 구동 전압에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440 볼트를 정격 전압으로 사용하는 용접장치를 220 볼트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변압기를 통하여 입력전압을 승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200 볼트를 정격 전압으로 사용하는 용접장치를 440볼트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변압기를 통하여 입력 전압을 감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해당 릴레이 접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릴레이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는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 입력단자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과전압에 의한 구성 회로 소자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시간 지연 타이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에 이용되는 구동 전원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써,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을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하는 제 1변압기; 상기 제 1 변압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을 단속하여 회로결선을 수행하는 제 1릴레이, 제 2 릴레이 및 제 4릴레이로 구성된 파워 릴레이부; 상기 파워 릴레이부의 제 4릴레이의 소정 릴레이 접점에 대한 단속에 연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감압하는 제 2 변압기; 상기 제 2 변압기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소정의 전압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을 단속하여 상기 입력 전압을 외부로 전달하는 지연 릴레이부; 상기 지연 릴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AC 전압을 소정의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DC 전압을 평활 콘덴서를 통하여 안정화 시키기 위한 평활 회로부; 및 제 1 변압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파워 릴레이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릴레이, 상기 제 2 릴레이 및 상기 제 4 릴레이의 릴레이 접점과 회로 결선을 수행한 후, 정류 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DC 전압을 용접장치의 메인 트랜스로 전달하는 IGBT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갑작스럽게 입력되는 공급전원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시간 지연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의 구성 및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변압기(1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 예를 들면 산업 현장에 서 공급되는 단상/삼상 220볼트, 380볼트 및 440볼트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용접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전압인 110볼트 또는 220볼트로 다운시킨 후, 이를 후술하는 파워 릴레이부(120)로 공급한다.
파워 릴레이부(120)는, 상기 제 1 변압기(11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을 단속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초기 구동 회로 결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입력전압에 연동하여 구동하는 제 1 릴레이(121), 제 2 릴레이(122) 및 제 4 릴레이(123)와 상기 각각의 릴레이의 구동에 의거하여 단속되는 릴레에 접점 (A) 및 (B)로 구성된다.
여기서, 릴레이 접점(A)는 입력 전원이 440볼트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1 릴레이, 제 2 릴레이 및 제 4 릴레이의 구동에 의거하여 단속되고, 릴레이 접점(B)은 입력 전원이 220볼트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1 릴레이, 제 2 릴레이 및 제 4 릴레이의 구동에 의거하여 단속되어 입력되는 전원에 연동하여 전압 변환 장치의 초기 구동 회로 결선을 수행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워 릴레이부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변압기의 1차측에 인가되는 공급전압이 440볼트인 경우, 상기 제 1 변압기(110)는 1차측에 입력된 공급전압을 감압하여 2차측으로 220볼트의 전압이 출력한 후, 이를 후술하는 파워 릴레이부(120)를 구성하는 제 1 릴레이(121), 제 2 릴레이(122) 및 제 4 릴레이(123)에 인가한다.
상기 제 1 변압기(110)의 2차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압, 즉 220볼트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파워 릴레이부(120)의 각각의 릴레이는 인가된 220볼트의 전압에서 전압 변환 장치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해당 릴레이 접점인 (A) 접점을 단속하여 전압 변환 장치의 초기 회로 결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변압기(110)의 1차측에 인가되는 공급전원이 220볼트인 경우, 상기 제 1 변압기(110)의 2차측에는 110볼트의 전압이 출력된다.
이후, 상기 제 1 변압기(110)의 2차측에 출력된 전압이 파워 릴레이부(120)를 구성하는 제 1 릴레이(121), 제 2 릴레이(122) 및 제 4릴레이(123)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릴레이는 인가된 110볼트의 전압에서 전압 변환 장치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해당 릴레이 접점인 (B) 접점을 단속하여 전압 변환 장치의 초기 회로 결선을 수행한다.
제 2 변압기(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 예를 들면 산업 현장에 서 공급되는 단상/삼상 220볼트, 380볼트 및 440볼트의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용접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전압인 110볼트 또는 220볼트로 다운시킨 후, 이를 후술하는 지연 릴레이부(140)로 공급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변압기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메인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 2 변압기(130)에 440볼트 또는 380볼트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4 릴레이(123)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즉 440볼트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 (A)의 단속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 4 릴레이(123)의 동작에 의거하여 릴레이 접점(A)이 단속되어 상기 제 2 변압기(130)의 1차측에 대한 초기 회로 결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2 변압기(130)는 1차측의 전압을 상기 용접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전압인 220볼트로 다운시킨 후, 이를 후술하는 지연 릴레이부(140)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제 2 변압기(130)에 220볼트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4 릴레이(123)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즉, 220볼트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 (B)의 단속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 4 릴레이(123)의 동작에 의거하여 릴레이 접점(B)이 단속되어 상기 제 2 변압기(130)의 1차측에 대한 초기 회로 결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2 변압기(130)는 1차측의 전압을 상기 용접 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전압인 110볼트로 다운시킨 후, 이를 후술하는 지연 릴레이부(1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는 인가 전압의 용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마그네트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 하여야 한다.
지연 릴레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변압기(13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후술하는 정류 회로부(15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전압의 종류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 3 릴레이(141)와 상기 릴레이(141)의 동작에 의거하여 단속되는 릴레이 접점(A), (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메인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종류에 따른 상기 지연 릴레이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2 변압기(130)의 2차 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압, 즉 220볼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동작 스위치를 턴 온 시 지연 릴레이부(140)의 제 3 릴레이 (141)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릴레이(141)는 인가되는 전압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 (A)의 단속을 수행하여 인가된 소정의 전압을 후술하는 정류 회로부(150)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제 2 변압기(130)의 2차 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압, 즉 110볼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동작 스위치를 턴 온 시 지연 릴레이부(140)의 제 3 릴레이(141)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릴레이(141)는 인가되는 전압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 (B)의 단속을 수행하여 인가된 소정의 전압을 후술하는 정류 회로부(1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지연 릴레이부(140)는 메인 전원으로부터 갑작스럽게 입력되는 입력 전압으로부터 내부 소자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예를 들면 3 내지 5초 동안 입력 전압을 지연시키기 위한 시간 지연 타이머(1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릴레이는 인가 전압의 용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마그네트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 하여야 한다.
정류 회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연 릴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AC 전압을 삼상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회로를 통하여 소정의 DC 전압으로 정류한 후. 이를 후술하는 평활 회로부(160)로 전달한다.
평활 회로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DC 전압을 소정 개수의 평활 콘덴서, 예를 들면 제 1평활 콘덴서(C1)(161) 및 제 2평활 콘덴서(C2)(162)에 의거하여 상기 DC 전압을 안정화 시킨 후, 이를 후술하는 IGBT모듈(170)로 전달한다.
또한, 평활 회로부(160)는, 메인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후술하는 IGBT모듈(170)의 정격 전압을 초과하여 입력되는 경우, 상기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1 릴레이(121) 및 제 2 릴레이(122)의 동작에 연동하여 단속되는 릴레이 접점 (A),(B) 및 IGBT 모듈(170)과 상기 2개의 평활 콘덴서(161),(162) 상호간의 회로 결선을 통하여 상기 평활 콘덴서(161),(162)를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IGBT 모듈(170)의 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모듈(170)은 상기 제 1 변압기 (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파워 릴레이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릴레이(121), 상기 제 2 릴레이(122)의 릴레이 접점 및 상기 평활 회로부(160)의 평활 콘덴서(161),(162)와 상호 회로 결선을 수행한 후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구동 펄스에 의거하여 턴 온 되어 채널을 형성한 후, 상기 정류 회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DC 전압을 상기 용접장치의 메인 트랜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모듈(170)은 Power-MOSFET의 고속 스위칭 특성을 가진 Bipolar Transistor로써, Gate에 정(+)의 Pulse전압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턴 온 되어 채널을 형성하여 외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Gate에 신호전압이 제거되면 채널을 턴 오프 하여 외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스위칭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모듈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정류 회로부(150)로부터 소정의 DC전압이 평활 회로부(160)로 입력되는 경우, 평활 회로부(160)의 제 1 평활 콘덴서(161)의 양극 전압은 제 1 IGBT의 (+)단자로 결선된 후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1릴레이(121)의 릴레이 접점인 (B)접점으로 결선되고, 제 2 평활 콘덴서(162)의 양극 전압은 제 2 IGBT의 (+)단자로 결선된 후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1릴레이(121)의 릴레이 접점인 (A)접점으로 결선된다.
또한, 정류 회로부(150)로부터 소정의 DC 전압이 평활 회로부(160)로 입력되는 경우, 평활 회로부(160)의 제 2 평활 콘덴서(162)의 음극 전압은 제 2 IGBT(172)의 (-)단자로 결선된 후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2 릴레이(122)의 릴레이 접점인 (B)접점으로 결선되고, 제 1 평활 콘덴서(161)의 음극 전압은 제 1 IGBT(171)의 (-)단자로 결선된 후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2 릴레이(122)의 릴레이 접점인 (A)접점으로 결선된다.
이때,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소정의 전압, 즉 440볼트 내지 380볼트의 전압이 파워 릴레이브(120)의 제 1 릴레이(121) 및 제 2 릴레이(122)에 입력되는 경우,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모듈(170)은 입력 전압에 연동하여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1 릴레이(121) 및 제 2 릴레이(122)가 단속한 릴레이 접점인 (A)접점을 통하여 회로 결선을 수행한 후,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구동 펄스에 의거하여 턴 온 되어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정류 회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DC 전압을 상기 용접장치의 메인 트랜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소정의 전압, 즉 220볼트의 전압이 파워 릴레이브(120)의 제 1 릴레이(121) 및 제 2 릴레이(122)에 입력되는 경우,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모듈(170)은 입력 전압에 연동하여 파워 릴레이부(120)의 제 1 릴레이(121) 및 제 2 릴레이(122)가 단속한 릴레이 접점인 (B)접점을 통하여 회로 결선을 수행한 후,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구동 펄스에 의거하여 턴 온 되어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DC 전압을 상기 용접장치의 메인 트랜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에 따르면,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해당 릴레이 접점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릴레이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자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입력전압에 따라 구동 전압을 수시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과전압에 의한 구성 회로 소자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시간 지연 타이머를 구비함으로써, 갑작스런 전압 변동으로부터 회로 소자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또한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압 변환 장치 110 : 제 1 변압기
120 : 파워 릴레이부 121 : 제 1 릴레이
122 : 제 2 릴레이 123 : 제 4 릴레이
130 : 제 2 변압기 140 : 지연 릴레이부
141 : 제 3 릴레이 142 : 시간 지연 타이머
150 : 정류 회로부 160 : 평활 회로부
161 : 제 1 평활 콘덴서(C1) 162 : 제 2 평활 콘덴서(C2)
170 : IGBT 모듈 171 : 제 1 IGBT(171)
172 : 제 2 IGBT(172)

Claims (4)

  1.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을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하는 제 1변압기;
    상기 제 1 변압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에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을 단속하여 회로결선을 수행하는 제 1릴레이, 제 2 릴레이 및 제 4 릴레이로 구성된 파워 릴레이부;
    상기 파워 릴레이부의 제 4 릴레이의 소정 릴레이 접점에 대한 단속에 연동하여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감압하는 제 2 변압기;
    상기 제 2 변압기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소정의 전압에 연동하여 해당 릴레이 접점을 단속하여 상기 입력 전압을 외부로 전달하는 지연 릴레이부;
    상기 지연 릴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AC 전압을 소정의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DC 전압에 대하여 소정 갯수의 평활 콘덴서를 사용하여 해당 DC 전압에 대한 평활화 과정을 수행하여 안정화된 DC 전압을 생성하는 평활 회로부; 및
    상기 제 1 변압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파워 릴레이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릴레이, 상기 제 2 릴레이 및 상기 제 4 릴레이의 동작에 연동하여 단속되는 릴레이 접점으로 회로 결선을 수행한 후, 상기 평활 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DC 전압을 상기 용접장치의 메인 트랜스로 전달하는 IGBT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릴레리부는 외부로부터 갑작스럽게 입력되는 공급전원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시간 지연 타이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 회로부의 평활 콘데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값에 연동하여 직렬 및 병렬로 결선되어 상기 IGBT모듈을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회로부는 삼상 브리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 장치.
KR10-2003-0034468A 2003-05-29 2003-05-29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장치 KR10050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468A KR100500267B1 (ko) 2003-05-29 2003-05-29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468A KR100500267B1 (ko) 2003-05-29 2003-05-29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524A KR20040103524A (ko) 2004-12-09
KR100500267B1 true KR100500267B1 (ko) 2005-07-11

Family

ID=3737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468A KR100500267B1 (ko) 2003-05-29 2003-05-29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41B1 (ko) 2007-12-03 2009-06-15 대호용접기 주식회사 다중모드 인버터 용접기의 자동 전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38Y1 (ko) * 2008-10-28 2011-06-10 최재민 절전형 인버터 용접기의 전원 변환 장치
CN103128419B (zh) * 2013-01-18 2015-02-25 浙江容大电力工程有限公司 便携式充电电焊机
CN105382379B (zh) * 2015-12-02 2017-04-12 上海沪工焊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气体保护焊接装置的控制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41B1 (ko) 2007-12-03 2009-06-15 대호용접기 주식회사 다중모드 인버터 용접기의 자동 전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524A (ko)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0120C (en) Arc-machining power supply with switching loss reducing element
TW200507432A (en) DC-AC converter, and method for supplying AC power
US9444351B2 (en) Electrical power conversion device including normally-off bidirectional switch
TW200600251A (en) Power source for high current welding
WO2013175915A1 (ja) フルブリッジ電力変換装置
KR100500267B1 (ko)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장치
JP2004358543A (ja) アーク応用機器電源装置
CN113210802A (zh) 一种用于交直流氩弧焊的辅助维弧电路和方法
WO2013031717A1 (ja) コンデンサ式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US8213196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protecting circuit having switch element for protecting pulse width modulation circuit
KR100859284B1 (ko)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CN109845080A (zh) 直流电压转换器和用于运行直流电压转换器的方法
JP2006296080A (ja) 瞬時電圧低下補償装置の制御方法。
US20090190378A1 (en) Power supply device outputting pulsed electrical current
KR100716267B1 (ko)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변환장치
KR101054990B1 (ko) Led tv용 전원장치의 스탠바이 전원회로
JP2005278370A (ja) トランジスタ制御方法および制御回路
JP200012554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408726Y1 (ko)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변환장치
KR200358227Y1 (ko) 전기 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장치
JP4597500B2 (ja) 交流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
JP2000037076A (ja) 整流回路
KR100956112B1 (ko) 용접기 인버터 회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0340490B (zh) 一种焊接性能提升电路
KR20130023530A (ko) 동기정류기형 저전압직류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