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284B1 -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 Google Patents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284B1
KR100859284B1 KR1020070064643A KR20070064643A KR100859284B1 KR 100859284 B1 KR100859284 B1 KR 100859284B1 KR 1020070064643 A KR1020070064643 A KR 1020070064643A KR 20070064643 A KR20070064643 A KR 20070064643A KR 100859284 B1 KR100859284 B1 KR 100859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erminal
power
contact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철
Original Assignee
신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철 filed Critical 신종철
Priority to KR102007006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 B23K9/091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characterised by the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41Electric supp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23K9/1043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circuit
    • B23K9/1068Electric circuits for the supply of power to two or more arcs from a single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085Weldin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13Method or apparatus with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장치를 개량하여 전원의 변환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하여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전원(10)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20)와, 제1, 2콘덴서부(30a)(30b)와, 상기 제1, 2콘덴서부(30a)(30b) 양단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고주파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2고주파 변환회로(40a)(40b) 및 입력전원(10)을 전환시키는 전원전환장치(50)로 구성되어 전원전환장치의 제1단자(51), 제2단자(52)는 정류회로(20), 제3단자(53)는 제1콘덴서부(30a) 및 제4단자(54)는 제2콘덴서부(30b)에 각각 연결되어 연결구(57a)(57b)로 전원이 전환되게 한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환장치(50)를 6개의 접점(S1)(S2)(S3)(S4)(S5)(S6) 중 한 조의 접점(S2)(S5)이 두 조의 다른 접점(S1)(S4)(S3)(S6) 중 한 조에 연결되는 스위치(S)로 구성하고, 스위치(S)의 접점(S3)(S6)을 서로 연결 구성하며, 상기 제1단자(51)를 스위치(S)의 접점(S1)과, 제2단자(52)를 스위치(S)의 접점(S4)과, 제3단자(53)를 스위치(S)의 접점(S2)과, 제4단자(54)를 스위치(S)의 접점(S5)에 각각 연결하여 한번의 스위치(S) 작동으로 전원이 전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전기용접기, 인버터

Description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Apparatus for changing switch of electrical wel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회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220V일 때의 스위치 작동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440V일 때의 스위치 작동도,
도 3a는 종래의 220V일 때의 연결구 연결도,
도 3b는 종래의 440V일 때의 연결구 연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입력전원 20 : 정류회로
30a : 제1콘덴서부 30b : 제2콘덴서부
40a : 제1고주파 변환회로 40b : 제2고주파 변환회로
50 : 전원전환장치 51 : 제1단자
52 : 제2단자 53 : 제3단자
54 : 제4단자 57a,57b : 연결구
본 발명은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변환장치를 개량하여 전원의 변환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하여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용접기는 전기 용접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용접기계로, 용접방식에 따라 열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융하는 저항 용접과 아크 용접으로 구별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저항용접은 접합하는 두 금속에 전류를 통하여 접촉시켜 접촉부가 고온으로 가열될 때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용접법이고, 전기 아크용접은 직렬저항을 통하여 전원에 연결한 전극을 한번 접촉시킨 다음에 격리시키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아크 방전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 용접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 인버터를 이용한 용접기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인버터를 이용한 용접기는 상용교류를 컨버터에서 직류로 변환하고, 인버터에서 고주파의 교류를 만든 다음 다시 직류로 변환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즉, 인버터 용접기는 일반 교류식이 위상제어로 용접전류를 제어하는 것과는 달리 3상 교류전원(AC)을 직류(DC)로 변환한 후 다시 스위칭 소자를 사용해 고주파로 스위칭 하여 교류로 만든 후 이를 정류하여 직류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용접전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전기 용접기에 사용되는 인버터의 입력전원은 220V, 380V, 440V등이 전용으로 사용하므로 입력전원에 따라 인버터의 전원전환장치를 통하여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인버터의 전원전환장치는 단자들 간의 연결을 변경함으로서 병렬 연결된 평활 콘덴서 및 고주파 변환회로와, 병렬 연결된 다른 평활 콘덴서 및 다른 고주파 변환회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도록 하여 입력전원의 변경에 따라 간단하게 입력회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단자들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를 단자에서 분리하여 다른 방법으로 단자를 연결해주었던 것으로 즉, 220V에서는 연결구가 2개를 필요로 하나 440V에서는 연결구가 1개만 필요하여 440V로 연결되었을 때 나머지 하나의 연결구를 보관하였다가 220V로 전환할 때 다시 사용하는 것이 이 연결구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분실로 인하여 인버터의 입력전원을 전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 용접기의 인버터 전원전환장치를 개량하여 단자를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게 구성하여 스위치 작동만으로 입력전원의 전환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한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전원(10)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20)와, 제1, 2콘덴서부(30a)(30b)와, 상기 제1, 2콘덴서부(30a)(30b) 양단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고주파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2고주파 변환회로(40a)(40b) 및 입력전원(10)을 전환시키는 전원전환장치(50)로 구성되어 전원전환장치의 제1단자(51), 제2단자(52)는 정류회로(20), 제3단자(53)는 제1콘덴서부(30a) 및 제4단자(54)는 제2콘덴서부(30b)에 각각 연결되어 연결구(57a)(57b)로 전원이 전환되게 한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환장치(50)를 6개의 접점(S1)(S2)(S3)(S4)(S5)(S6) 중 한 조의 접점(S2)(S5)이 두 조의 다른 접점(S1)(S4)(S3)(S6) 중 한 조에 연결되는 스위치(S)로 구성하고, 스위치(S)의 접점(S3)(S6)을 서로 연결 구성하며, 상기 제1단자(51)를 스위치(S)의 접점(S1)과, 제2단자(52)를 스위치(S)의 접점(S4)과, 제3단자(53)를 스위치(S)의 접점(S2)과, 제4단자(54)를 스위치(S)의 접점(S5)에 각각 연결하여 한번의 스위치(S) 작동으로 전원이 전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전원(10)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20)와, 직류에 포함된 리플전압을 평활 시키기 위한 제1콘덴서부(30a)와 제2콘덴서부(30b), 제1콘덴서부(30a)와 제2콘덴서부 양단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고주파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고주파 변환회로(40a)와 제2고주파 변환회로(40b) 및 입력전원(10)을 변환시켜주는 전원전환장치(50)인 스위치(S)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전환장치(50)인 스위치(S)는 6개의 접점(S1)(S2)(S3)(S4)(S5)(S6)으로 구성되며, 6개의 접점(S1)(S2)(S3)(S4)(S5)(S6) 중 한 조의 접점(S2)(S5)이 두 조의 다른 접점(S1)(S4)(S3)(S6) 중 한 조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S)는 DPDT(Double Pole Double Throw)스위치라 불리며 두 개의 스위치가 하나의 동작으로 작동된다.
상기 스위치(S)의 접점(S1)에는 상기 정류회로(20)와 제2콘덴서부(30b)가 연결되는 접점에 연결된 제1단자(51)가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S)의 접점(S2)에는 상기 제1콘덴서부(30a)의 타측 단자 즉, 정류회로(20)와 연결되지 않은 단자에 연결된 제3단자(53)가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S)의 접점(S4)에는 상기 정류회로(20)와 제1콘덴서부(30a)가 연결되는 접점에 연결된 제2단자(52)가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S)의 접점(S5)에는 상기 제2콘덴서부(30b)의 타측 단자 즉, 정류회로(20)와 연결되지 않은 단자에 연결된 제4단자(54)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S)의 접점(S3)(S6)은 서로 연결된다.
스위치(S)의 각 접점(S1)(S2)(S3)(S4)(S5)(S6)에 각 단자(51)(52)(53)(54)가 연결된 스위치(S)는 한 번의 스위치(S) 작동으로 스위치(S) 접점(S1)(S2), 접점(S4)(S5)을 연결하거나, 스위치(S) 접점(S2)(S3), 접점(S5)(S6)을 연결해주어 전원이 전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장치의 전원전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용접기를 220V 입력전원에서 사용하는 경우 및 440V 입력전원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나누어서 설명하면, 우선 입력전원(10)이 220V일 경우에는 스위치(S)를 일측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접점(S1)(S2)이 연결됨과 동시에 접점(S4)(S5)이 연결된다.
스위치(S)의 접점(S1)(S2)이 연결됨과 동시에 접점(S4)(S5)이 연결되면, 정류회로(20), 제1콘덴서부(30a) 및 제1고주파 변환회로(40a)가 병렬 연결되고, 정류회로(20), 제2콘덴서부(30b) 및 제2고주파 변환회로(40b)가 병렬 연결되어 동일한 입력전원(10)을 사용할 뿐 독립적인 회로로서 동작된다.
입력전원(10)이 440V 일 경우를 설명하면, 스위치(S)를 타측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접점(S2)(S3)이 연결됨과 동시에 접점(S5)(S6)이 연결되어 접점(S2)(S3)(S6)(S5)이 하나로 결선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스위치(S)의 접점(S2)(S3)(S6)(S5)이 하나로 결선 되면 제1콘덴서부(30a) 및 제1고주파 변환회로(40a)가 병렬 연결된 회로와 제2콘덴서부(30b) 및 제2고주파 변환회로(40b)가 병렬 연결된 회로가 직렬로 연결되어 동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전원(10)을 스위치(S)의 작동에 따라 220V 또는 440V로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연결구(57a)(57b)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그로 인하여 연결구(57a)(57b)를 분실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원전환장치(50)를 6개의 접점(S1)(S2)(S3)(S4)(S5)(S6) 중 한 조의 접점(S2)(S5)이 두 조의 다른 접점(S1)(S4)(S3)(S6) 중 한 조에 연결되는 스위치(S)로 개량하여 스위치(S)의 작동으로 입력전원(10)을 전환할 수 있어 종래의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구(57a)(57b)의 분실을 방지하고 입력전원의 전환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력전원(10)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20)와, 제1, 2콘덴서부(30a)(30b)와, 상기 제1, 2콘덴서부(30a)(30b) 양단에 각각 병렬 연결되어 고주파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2고주파 변환회로(40a)(40b) 및 입력전원(10)을 전환시키는 전원전환장치(50)로 구성되어 전원전환장치의 제1단자(51), 제2단자(52)는 정류회로(20), 제3단자(53)는 제1콘덴서부(30a) 및 제4단자(54)는 제2콘덴서부(30b)에 각각 연결되어 연결구(57a)(57b)로 전원이 전환되게 한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환장치(50)를 6개의 접점(S1)(S2)(S3)(S4)(S5)(S6) 중 한 조의 접점(S2)(S5)이 두 조의 다른 접점(S1)(S4)(S3)(S6) 중 한 조에 연결되는 스위치(S)로 구성하고, 스위치(S)의 접점(S3)(S6)을 서로 연결 구성하며, 상기 제1단자(51)를 스위치(S)의 접점(S1)과, 제2단자(52)를 스위치(S)의 접점(S4)과, 제3단자(53)를 스위치(S)의 접점(S2)과, 제4단자(54)를 스위치(S)의 접점(S5)에 각각 연결하여 한번의 스위치(S) 작동으로 전원이 전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KR1020070064643A 2007-06-28 2007-06-28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KR10085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643A KR100859284B1 (ko) 2007-06-28 2007-06-28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643A KR100859284B1 (ko) 2007-06-28 2007-06-28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284B1 true KR100859284B1 (ko) 2008-09-22

Family

ID=4002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643A KR100859284B1 (ko) 2007-06-28 2007-06-28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8432A (zh) * 2013-02-26 2013-06-05 苏州工业园区明益电器有限公司 节能中频逆变多变压器自动群焊机
KR20200092082A (ko) 2019-01-24 2020-08-03 하성복 전기 용접기 내부용 인버터 전원 변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553A (ko) * 1995-06-07 1999-03-25 제임스 씨. 앤더슨 무선원격처리기를 구비한 보청기
KR200358227Y1 (ko) 2004-05-18 2004-08-05 웰메이트 주식회사 전기 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장치
US20060138997A1 (en) 2004-12-28 2006-06-29 Pionetics Corporation Power supply for electrochemical ion exchange
KR100716267B1 (ko) 2005-11-14 2007-05-10 신종철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553A (ko) * 1995-06-07 1999-03-25 제임스 씨. 앤더슨 무선원격처리기를 구비한 보청기
KR200358227Y1 (ko) 2004-05-18 2004-08-05 웰메이트 주식회사 전기 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장치
US20060138997A1 (en) 2004-12-28 2006-06-29 Pionetics Corporation Power supply for electrochemical ion exchange
KR100716267B1 (ko) 2005-11-14 2007-05-10 신종철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변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8432A (zh) * 2013-02-26 2013-06-05 苏州工业园区明益电器有限公司 节能中频逆变多变压器自动群焊机
KR20200092082A (ko) 2019-01-24 2020-08-03 하성복 전기 용접기 내부용 인버터 전원 변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68733B (zh) 电源设备
TW200507432A (en) DC-AC converter, and method for supplying AC power
JP6460479B2 (ja) 制御電源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US10778106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JP2010518806A (ja) インバータ
JP4460572B2 (ja) 高力率を有するアーク溶接用発電機
CN100356676C (zh) 用作应用电弧设备的电源装置
KR100859284B1 (ko)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전환스위치
JP2004350354A (ja) インバータ電源装置
JP2018198478A (ja) 電源装置
KR100716267B1 (ko)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변환장치
KR200408726Y1 (ko) 전기용접기용 인버터 전원변환장치
CN115021591A (zh) 一种三相转dc-dc的lcc拓扑电路
KR100500267B1 (ko) 입력 전압 가변형 릴레이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전압 변환장치
JP2013021867A (ja) 電力変換装置及び充電装置
KR20130112369A (ko) 이중 교류입력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용접기
KR100900757B1 (ko) 전기 용접기의 자동 전원 변환 장치
KR200270992Y1 (ko) 발전기용 인버터 용접기
KR100850261B1 (ko) 전기 용접기의 전원 변환 장치
KR200358227Y1 (ko) 전기 용접기용 인버터 전원장치
JP200012554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444204B2 (ja) 電力変換装置
KR200216663Y1 (ko) 전기 용접기용 인버터
JP4597500B2 (ja) 交流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
JP2000037076A (ja) 整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