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108B1 - 전원 회로, 상기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 및 전원회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회로, 상기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 및 전원회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108B1
KR100500108B1 KR10-2002-0056757A KR20020056757A KR100500108B1 KR 100500108 B1 KR100500108 B1 KR 100500108B1 KR 20020056757 A KR20020056757 A KR 20020056757A KR 100500108 B1 KR100500108 B1 KR 10050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ower
storage unit
power storage
burst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636A (ko
Inventor
사사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화학 전지셀의 에너지 사용 효율이 향상되고 부하 전류에서의 단속적인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전원 회로가 제공된다. 홀수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은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부하가 구동되고 짝수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은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부하가 구동되므로, 부하 버스트 기간이 발생하는 동안 한 주기에서 부하 버스트 기간의 듀티 비율이 50%를 초과하더라도,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 필요한 에너지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또는 제 2의 전력 저장부로부터 공급되고, 화학 전지셀은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공급부의 내부 임피던스로 인한 전압 하강이 작아지고, 그 결과, 상기 전원 회로가 전원에서 일시적인 전압 하강으로 인해 실행할 수 없게 되는 전자 장치에 적용되면, 전원부의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전원 회로, 상기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 및 전원 회로의 제어 방법{POWER SOURCE CIRCUIT, ELECTRONIC DEVICE BEING EQUIPPED WITH SAME POWER SOURCE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POWER SOURCE CIRCUIT}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원 회로,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 및 전원 회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에 장착되어 전자파의 전송을 위해 전력 증폭기의 전원부와 같이, 단속적으로 부하 전류가 변하는 부하에 전원 공급시 적합한 전원 회로, 상기 전원 회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원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본 특개평 제 2001-284088호(2001. 9. 18)의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종래의 기술
화학 전지셀을 사용하는 전원 회로에서, 부하 전류가 단속적으로 변하는 부하가 접속될 때, 화학 전지셀의 내부 임피던스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부하 전류에 순간적인 증가가 발생함과 동시에 전압이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비교적 작은 임피던스를 갖는 커패시터가 화학 전지셀에 병렬로 접속된다. 그 결과, 화학 전지셀의 내부 임피던스보다 낮은 합성 임피던스가 화학 전지셀에 접속되더라도, 동일한 화학 전지셀이 단일로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순간 강하율이 낮아지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전원 회로는 화학 전지셀(1) 및 화학 전지셀(1)에 병렬로 접속된 커패시터(2)를 포함하고, 부하(L)는 화학 전지셀(1) 및 커패시터(2) 양쪽에 접속된다. 화학 전지셀(1)은 니켈 카드뮴 셀, 니켈 수소 셀, 리튬 이온 셀 등과 같은 2차 전지셀 또는 알칼리 1차 전지셀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에너지를 저장하고, 기전력(V1; 즉, 전압)을 생성하여 부하(L)에 공급한다. 화학 전지셀(1)은 내부 임피던스(1a)를 갖는다. 커패시터(2)는 예를 들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로 이루어지고, 화학 전지셀(1)의 전압(V1)에서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고, 축적된 전력을 부하(L)에 공급한다. 커패시터(2)는 내부 임피던스(2a)를 갖는다. 부하(L)는 예를 들어, 전송 전자파를 방출하기 위해 부하 전류가 단속적으로 충전되고 펄스와 같은 부하 전류(IL)가 흐르는 휴대 전화에 장착된 파워 증폭기이다.
도 8은 도 7의 종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신호의 타이밍 차트이다. 전류 및 전압은 세로 좌표에 기입되고, 시간은 가로 좌표에 기입된다. 도 7에 도시된 전원 회로의 동작은 도 8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시간(t1)에서, 부하 전류(IL)는 순간적으로 증가되고, 화학 전지셀(1)의 전압(V1)은 전압값(Va)으로터 전압값(Vb)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전원 회로의 내부 임피던스(Z)는 다음 공식에 의해 주어진다.
Z = R1 x R2 / (R1 + R2) . . . . 공식(1)
"R1"은 내부 임피던스(1a)의 값이고, "R2"는 내부 임피던스(2a)의 값이다. 따라서, 내부 임피던스(Z)는 내부 임피던스(1a) 보다 작아진다. 전원이 화학 전지셀(1)로 이루어질 때 생성되는 전압값(Vc)에 비해 전압값(Vb)의 하강율이 작아진다. 시간(t2)에서, 펄스와 같은 부하 전류(IL)가 순간적으로 감소되고, 화학 전지셀(1)의 전압(V1)이 전압값(Vb)으로부터 전압값(Va)으로 돌아간다. 커패시터(2)의 전압(V1)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커패시터(2)가 화학 전지셀(1)에 병렬로 접속될 때, 전압값(Vb)의 하강율이 전압값(Vc)에 비해 작아지므로, 화학 전지셀(1)이 2차 전지셀로 이루어지면, 각 단일 충전 사이클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전원 회로가 화학 전지셀(1)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길어진다. 또한, 화학 전지셀(1)이 비교적 높은 내부 임피던스를 갖는 알칼리 1차 전지셀로 이루어지면, 화학 전지셀(1)로만 이루어질 때보다 전원 회로의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원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전원 회로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화학 전지셀(1)의 잔여 용량이 충분한지 불충분한지 여부는 전압(V1)의 하락에 의해서만 판정된다. 따라서, 전압(V1)이 순간적으로 하락되더라도, 화학 전지셀(1)의 잔여 용량이 불충분하다고 판정된다. 그러나, 화학 전지셀(1)이 예를 들어, 알칼리 1차 전지셀로 이루어지면, 화학 전지셀(1)의 잔여 용량이 특정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에 불충분하다고 판정되더라도, 동일한 잔여 용량이 다른 특정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에는 충분하다고 판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화학 전지셀(1)의 용량이 완전히 소진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화학 전지셀(1)은 화학 전지셀(1)의 방전 깊이(즉, 정격 용량에 대한 이미 방전된 용량의 비율)가 작고 그 결과 화학 전지셀(1)의 에너지의 사용 효율이 낮아지는 상태가 수명의 끝이라고 판정된다. 또한, 화학 전지셀(1)이 예를 들어, 2차 전지셀, 니켈 카드뮴셀, 니켈 수소셀, 리튬 이온셀 등으로 이루어질 때, 화학 전지셀(1)의 용량이 다 소진되지 않는다면, 각 단일 충전 사이클에 대해 사용가능한 시간은 원래 셀 용량에 사용가능한 시간보다 매우 작아진다. 또한, 커패시터(2)의 용량에 의해, 커패시터(2)의 전압이 부하 전류(IL)에서의 단속적인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 전지셀의 에너지의 이용효율의 향상, 사용 가능한 시간의 연장, 및 부하 전류에서의 단속적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원 회로, 상기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원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따르면,
부하 전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동안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에 있어서,
기전력을 생성하고 이를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전력을 축적하는 다수의 전력 저장부; 및
각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이미 충전된 전력 저장부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고,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선택된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며, 아직 충전되지 않은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상에 따르면, 부하 전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동안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에 있어서,
기전력을 생성하고 이를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전력을 축적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전력을 축적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 및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 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에는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고,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짝수 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은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부하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모니터하고, 모니터 결과에 의해, 부하 버스트 기간의 생성을 나타내는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하 상태 모니터부;
제 1의 전력 저장부의 전압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의 전압을 모니터하고, 모니터 결과에 의해, 제 1 의 전력 저장부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에서 충전 및 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및 방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력 저장부 모니터 회로; 및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에 대한 정보 및 충전/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에는 이미 충전된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고 충전되지 않은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며,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짝수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은 충전된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고 충전되지 않은 제 1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전력 공급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 각각은 하나의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력 공급부는 화학 전지셀 또는 최대 출력 전류가 소정의 전류 레벨로 한정되는 직류 전원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또는 2차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의 양상에 따르면, 부하 전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동안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기전력을 생성하고 이를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전력을 축적하고 축적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전력 공급부에 의해 생성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전력을 축적하고 축적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전력 저장부에 의해 생성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부하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가 증가하는 동안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할 때,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 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에는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고,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짝수 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은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양상에 따르면, 부하 전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동안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며, 상기 방법은,
기전력을 생성하고 전력을 축적하여 이를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전력을 축적하고 전력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축적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전력을 축적하고 축적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며 전력 저장부에 의해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배치하는 단계;
부하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모니터하고, 모니터 결과에 의해, 부하 버스트 기간의 생성을 나타내는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하 상태 모니터 단계;
제 1의 전력 저장부의 전압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의 전압을 모니터하고, 모니터 결과에 의해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에서 충전 및 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및 방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저장부를 모니터하는 단계;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에 대한 정보 및 충전/방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 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이미 충전된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고 아직 충전되지 않은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제 1의 전력 공급 단계; 및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짝수 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충전된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고 충전되지 않은 제 1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제 2의 전력 공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의 양상에 따르면, 부하 전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동안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며, 전원 회로는,
기전력을 생성하고 이를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전력을 축적하는 다수의 전력 저장부; 및
각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이미 충전된 전력 저장부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고,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선택된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고, 아직 충전되지 않은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5의 양상에서, 상기는 휴대 전화에 관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련되는 것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제 6의 양상에서, 부하 전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동안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며, 전원 회로는,
기전력을 생성하고 이를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전력을 축적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전력을 축적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 및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 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부하에 공급하고,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짝수 순의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5의 양상에서, 상기는 휴대 전화에 관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련되는 것도 양호하다.
상기 구성에서, 홀수 순으로 나타나는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부하가 구동되고, 짝수 순으로 나타나는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부하가 구동되며, 부하 버스트 기간이 발생하는 동안 한 주기에서 부하 버스트 기간의 듀티 비율이 50%를 초과하더라도,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 필요한 에너지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또는 제 2의 전력 저장부로부터 공급되고, 화학 전지셀은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공급부의 내부 임피던스로 인한 전압 하강이 작아지고, 그 결과, 상기 전원 회로가 전원에서 일시적인 전압 하강으로 인해 실행할 수 없게 되는 전자 장치에 적용될 때, 전원부의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상의 모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기재한다.
제 1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실시예의 전원 회로는 화학 전지셀(11),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 스위치(13), 스위치(14), 커패시터(16), 커패시터(17), 스위치 구동 회로(18), 스위치 구동 회로(19), 스위치 구동 회로(20), 스위치 선택 회로(21), 커패시터 판정 회로(22),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 및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를 포함한다. 부하(L)는 전원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된다.
화학 전지셀(11)은 니켈 카드뮴셀, 니켈 수소셀, 리튬 이온셀 등과 같은 2차 전지셀 또는 알칼리 건전지, 망간 건전지, 리튬 전지 등의 1차 전지셀로 이루어지고, 전기적 화학 반응에 의해 기전력을 생성하고, 소정의 내부 임피던스(11a; 등가 직렬 저항)를 갖는다. 정전류/정전합 충전 회로(12)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정전류 회로(도시되지 않음)와 정전압 회로(도시되지 않음) 및 화학 전지셀(11)로부터 정전압 회로를 통해 커패시터(16 및 17) 각각에 소정의 전류값(B)을 갖도록 정전류 회로에 의해 한정된 전류를 공급하고, 커패시터(16 및 17) 각각의 전압값(C 및 D)을 검출하며, 전압값(C 및 D)이 소정의 전압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을 계속하는 전압 검출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스위치(13)는 예를 들어, 전자기 릴레이, FET(전계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신호(N)에 의해 ON/OFF가 제어된다. 스위치(14)는 예를 들어, 전자기 릴레이, FET등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신호(P)에 의해 접점(b1 및 b2), COM 단자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제어한다. 스위치(15)는 예를 들어, 전자기 릴레이, FET 등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신호(Q)에 의해 접점(c1 및 c2), COM 단자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제어한다. 커패시터(16)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부하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내부 임피던스(16b) 및 정전기 용량(16a)을 갖는다. 커패시터(17)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커패시터(16)를 구성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부하(L)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내부 임피던스(17b) 및 정전기 용량(17a)을 갖는다. 내부 임피던스(16b 및 17b)의 특성값이 가능한한 작으면 좋은 반면, 정전기 용량(16a 및 17a)의 특성값은 가능한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커패시터(16 및 17)는 경량 및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13)가 FET로 이루어진다면, 스위치 구동 회로(18)는,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구조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스위치(13)가 전자기 릴레이로 이루어진다면, 전자기 릴레이의 코일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G)를 수신하고 스위치(13)에 구동 신호(N)를 공급한다. 스위치 구동 회로(19)는 스위치 구동 회로(18)의 경우와 같이, CMOS 구조 구동 회로, 전력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제어신호(K)를 수신하며, 스위치(14)에 구동 신호(P)를 전송한다. 스위치 구동 회로(20)는 스위치 구동 회로(18)의 경우와 같이, CMOS 구조 구동 회로, 전력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M)를 수신하며, 스위치(15)에 구동 신호(Q)를 전송한다. 스위치 선택 회로(21)는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J)를 수신하고, 스위치(14 또는 15) 중 하나를 선택하며, 제어신호(K 또는 M)을 출력한다.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 스위치(13 내지 15), 스위치 구동 회로(18), 스위칭 회로(19), 스위치 구동 회로(20) 및 스위치 선택 회로(21)는 전원 제어 회로를 구성한다.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는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E) 및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H)를 수신하고, 커패시터(16 또는 17)중 하나가 부하(L)의 상태에 따라 부하(L)에 접속되어 있는지 판정하고, 제어신호(J; 커패시터(16 및 17)에서 충전/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는 예를 들어, 전압 판정 회로(도시되지 않음) 및 연산 증폭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는 전압 비교 회로(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지고, 커패시터(16)의 전압값(C) 및 커패시터(17)의 전압값(D)을 검출하며, 전압값(C 및 D)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신호(E; 충전/방전 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한다. 커패시터 판정 회로(22) 및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는 전력 저장부 모니터 회로를 구성한다.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는 예를 들어, 기준값으로서 부하 전류(IL)의 소정의 값을 사용하는 비교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F)를 수신하고, 스위치(13)에서 접속 상태를 판정하고, 제어신호(G;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스위치 구동 회로(18)로 전송하는 동시에 제어신호(H)를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한다.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는 예를 들어, 전류 검출 레지스터와 같은 전류 검출 장치(도시되지 않음), 전류 전압 변환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부하(L)의 상태를 모니터 하기 위해 부하 전류(IL)를 검출하고, 모니터한 결과 나타난 신호를 제어신호(F)로서 출력한다.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 및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는 부하 상태 모니터 회로를 구성한다. 부하(L)는 많은 양의 부하 전류(IL)가 흐르는 기간(부하 버스트 기간) 및 적은 양의 부하 전류(IL)가 흐르는 기간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부하 전류가 단속적으로 변하는 전송 전자파를 방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의 전원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많은 양의 부하 전류(IL)의 흐르는 기간이 적은 양의 부하 전류(IL)가 흐르는 기간보다 길고, 온-듀티 비율은 약 67%이다.
도 2는 도 1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신호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2에서, 전류, 전압 또는 스위치(13 내지 15)의 상태는 세로 좌표에 기입되고, 시간은 가로 좌표에 기입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전원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1) 내지 (7)를 이하에 기재한다.
(1) 시간(t0)에서의 제어 방법
시간(t0)에서, 화학 전지셀(11)은 충전 에너지가 저장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6 및 17)는 충전되지 않은 상태이며, 부하(L)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는 부하 전류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보다 작은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F)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 전송된다.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보다 작으면, 스위치(13)를 ON 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G)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18)전송된다. 상기는 스위치 구동 회로(18)가 스위치(13)를 ON 상태로 하기 위한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N)를 출력하도록 한다. 커패시터(16)가 미충전 상태에 있을 때,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는 커패시터(16)의 전압값(C)이 미충전 검출 전압값(VCMIN) 이하인 것을 검출하여, 커패시터 판정 회로(22)에 제어신호(E)를 전송한다. 전압값(C)이 미충전 검출 전압값(VCMIN)보다 작으면, 제어신호(J)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부터 스위치 선택 회로(21)로 전송된 후, 제어신호(K)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19)로 전송된다. 상기는 스위치 구동 회로(19)가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P)를 출력하고 스위치(14)의 COM 단자 및 접점(b1)이 ON 상태가 되게 한다.
커패시터(17)가 미충전 상태인 동안,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는 커패시터(17)의 전압값(D)이 미충전 검출 전압값(VCMIN)보다 작은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E)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전압값(D)이 미충전 검출 전압값(VCMIN)보다 낮을 때, 제어신호(J)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부터 스위치 선택 회로(21)로 전송된 후, 제어신호(M)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20)로 전송된다. 상기는 스위치 구동 회로(20)가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Q)를 출력하고 스위치(15)의 COM 단자 및 접점(c1)이 ON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스위치(13 내지 15) 사이에 접속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13)의 상태에 따르면, 부하(L)는 화학 전지셀(11)에 접속된다. 스위치(14)의 상태에 따르면, 커패시터(16)는 화학 전지셀(11)로부터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공급된 전류의 소정의 값(B)으로 충전된다. 스위치(15)의 상태에 따르면, 커패시터(17)는 화학 전지셀(11)로부터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공급된 전류의 소정값(B)으로 출정된다. 이 때, 커패시터(16 및 17)를 충전하기 위해 화학 전지셀(11)이 소정의 전류값으로 방전되므로, 화학 전지셀(11)의 전압값(A)은 소정의 내부 임피던스(11a)로 인해 떨어지게 되고, 무부하 전압(V0)으로부터 저하된 전압으로 인해 발생된 커패시터 충전시 전압(VChg)으로 변경된다. 커패시터(16 및 17)에서, 화학 전지셀(11)에 의해 충전이 시작되어 단자 전압값(C 및 D)이 상승한다.
(2) 시간(t01)에서의 제어 방법
시간(t01)에서, 화학 전지셀(11)은 충전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6 및 17)가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갖도록 충전된 상태(즉,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고, 부하(L)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상기 시간(t01)의 상태가 계속되고, 소정의 전압값(VCap10)을 갖도록 커패시터(16)가 충전되고, 소정의 전압값(VCap20)을 갖도록 커패시터(17)가 충전된 후, 전압값(VCap10 및 VCap20)이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에 의해 검출되어 충전이 중단된다.
(3) 시간(t10)에서의 제어 방법
시간(t10)에서, 화학 전지셀(11)은 충전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6 및 17)는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갖도록 충전된 상태(즉,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고, 부하(L)가 제 1의 버스트를 시작한 상태에 있다. 부하(L)가 제 1의 부하 버스트를 시작할 때,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는 (부하 상태 모니터 처리에 의해)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 전압(ITH)보다 큰 것을 검출하고, 그 결과 제어신호(F)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 전송된다.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보다 클 때, 스위치(13)를 OFF 상태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신호(G)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18)로 전송된다. 상기는 스위치 구동 회로(18)가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N)를 출력하도록 하여, 그 결과, 스위치(13)가 OFF상태가 된다.
커패시터(16 및 17)의 충전이 완료된 후, 커패시터(16 및 17)의 전압값(C 및 D)은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에 의해 각각 비교되고,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신호(E)로서 전송된다(전력 저장부 모니터 처리). 시간(t10)에서, 예를 들어, 커패시터(16)의 전압값(C)이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에 의해 커패시터(17)의 전압값(D)보다 높다고 판정되면, 제어신호(E)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또한, 부하 전류(IL)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에 의해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제어신호(H)는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는 제어신호(E 및 H)에 의해 제어신호(J)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J)를 스위치 선택 회로(21)로 전송한다.
제어신호(K)는 제어신호(J)에 의해,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스위치 구동회로(19)로 전송되고, 비-활성 모드 구동 신호(P)가 스위치 구동 회로(19)로부터 출력되어, 스위치(14)에서의 접점(b2)과 COM 단자가 ON 상태가 된다. 또한, 제어신호(M)가 제어신호(J)에 의해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20)로 전송되고,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Q)가 스위치 구동 회로(20)로부터 출력되어, 스위치(15)의 COM 단자 및 접점(c1)이 ON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스위치(13 내지 15)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13)의 상태에 따라, 화학 전지셀(11)과 부하(L) 사이의 접속이 차단된다. 스위치(14)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6)가 부하(L)에 접속된다. 스위치(15)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7)는 정전류/정전압 충전회로(12)를 통해 화학 전지셀(11)과의 접속을 유지한다. 부하(L)가 차단되고, 커패시터(17)의 충전이 완료되기 때문에, 화학 전지셀(11)이 무-부하 상태가 되므로, 전압(A)은 부하 전압(V0)이 없는 상태가 된다. 부하(L)의 접속으로 인해, 커패시터(16)가 부하(L)에 전기 에너지 공급을 시작한다. 커패시터(17)는 충전이 완료되고 전기적으로 안정된 상태이다(즉, 제 1의 전력 공급 처리).
(4) 시간(t11)에서의 제어 방법
시간(t11)에서, 화학 전지셀(11)은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6)는 부하 버스트에 에너지 공급이 완료된 상태이며, 커패시터(17)는 소정의 전압값을 갖도록 충전된 상태(즉,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고, 부하(L)는 제 1의 부하 버스트가 완료된 상태이다. 부하(L)가 제 1의 부하 버스트를 완료할 때,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는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보다 작은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F)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 전송된다.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는 제어신호(F)에 의해 부하 전류(IL)의 상태를 판정한다.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보다 작으면, 스위치(13)를 ON 상태로 하기위해 사용되는 제어신호(G)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18)로 전송된다. 상기는 스위치 구동 회로(18)가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N)를 출력하게 하고, 스위치(13)를 ON 상태로 되돌린다.
제 1의 부하 버스트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공급으로 인해, 커패시터(16)는 방선된 상태에 있고, 그 전압은 충전된 전압(VCap10)으로부터 방전된 전압(VCap11)으로 떨어지게 된다(도 2에 도시). 커패시터(16)의 방전된 전압(VCap11)은 커패시터 검출 회로(23)에 의해 충전된 상태인 커패시터(17)의 충전된 전압(VCap20)과 비교되고, 상기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신호(E)로서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시간(t11)에서, 예를 들어,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가 커패시터(16)의 전압값(C)이 커패시터(17)의 전압값(D)보다 낮은 것을 검출하면, 제어신호(E)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또한,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가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보다 낮다고 판정하면, 제어신호(H)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는 제어신호(E)에 의해 제어신호(J)를 생성하고, 이를 스위치 선택 회로(21)로 공급한다.
제어신호(J)에 의해, 제어신호(K)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P)가 출력되는 스위치 구동 회로(19)로 전송되어, 스위치(14)의 접점(b1) 및 COM 단자가 ON 상태가 되게 한다. 또한, 제어신호(J)에 의해, 제어신호(M)이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Q)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 회로(20)로 전송되어, 스위치(15)의 접점(c1) 및 COM 단자가 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동작으로 인해, 스위치(13 내지 15)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13)의 상태에 따라, 부하(L)가 화학 전지셀(11)에 접속된다. 스위치(14)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6)가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화학 전지셀(11)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소정값으로 충전된다. 스위치(15)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7)는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화학 전지셀(11)에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화학 전지셀(11)은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보다 낮은 경부하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부하(L)에 공급하고, 동시에, 소정의 전류값으로 방전하여 커패시터(16)를 재충전하고, 화학 전지셀(11)에서의 내부 임피던스로 인해 화학 전지셀(11)의 전압값(A)이 무부하 전압(V0)으로부터 커패시터 충전 전압 + 경부하 방전 전압(VL; 경부하 방전 전압값 및 커패시터 충전 전압값의 합)으로 떨어진다. 커패시터(16)는 화학 전지셀(11)에 의해 재충전이 개시되고, 이로인해 커패시터의 전압값(C)이 증가하게 된다. 커패시터(17)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 및 전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5) 시간(t12)에서의 제어 방법
시간(t12)에서, 화학 전지셀(11)은 충전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6)는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이고, 커패시터(17)는 소정의 전압값을 갖도록 충전된 상태(충전이 완료된 상태)이며, 부하(L)가 제 2의 부하 버스트를 시작한다. 부하(L)가 제 2의 부하 버스트를 시작하면,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는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상인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F)를 부하 전류 판정 회로(24)로 전송한다.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는 제어신호(F)에 의해 부하 전류(IL)의 상태를 판정한다. 그리고,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상이면, 스위치(13)를 OFF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G)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18)로 전송된다. 상기는 스위치(13)가 OFF 상태가 되게 한다.
커패시터(16)는 화학 전지셀(11)로부터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공급된 전류의 소정값으로 충전되는 중이다. 커패시터(17)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다. 커패시터(16)의 전압값(C)은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에 의해 커패시터(17)의 전압값(D)과 비교되고,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신호(E)로서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한다. 시간(t12)에서, 예를 들어,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는 커패시터(16)의 전압값(C)이 커패시터(17)의 전압값 이하인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E)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또한,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는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상인 것을 판정하고, 제어신호(H)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는 제어신호(E 및 H)에 의해 제어신호(J)를 생성하고, 스위치 선택 회로(21)에 이를 공급한다.
제어신호(J)에 의거하여, 제어신호(K)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구동 신호(P)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 회로(19)로 전송되고, 스위치(14)의 접점(b1) 및 COM 단자가 ON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제어신호(J)에 의해, 제어신호(M)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비-활성 모드 구동 신호(Q)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 회로(20)로 전송되고, 스위치(15)의 접점(c2) 및 COM 단자가 ON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스위치(13 내지 15)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13)의 상태에 따라, 화학 전지셀(11)과 부하(L) 사이의 접속이 차단된다. 스위치(14)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6)는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화학 전지셀(11)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소정의 값으로 충전된다. 스위치(15)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7)는 부하(L)에 접속된다. 화학 전지셀(11)이 부하(L)에 접속되지 않고 커패시터(16)가 충전되는 상태에 있으므로, 화학 전지셀(11)의 전압값(A)은 소정의 내부 임피던스(A)로 인해 떨어지게 되고 무부하 전압(V0)으로부터 전압 하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커패시터 충전시 전압(VChg)이 된다. 커패시터(16)는 충전중인 상태이므로, 단자 전압값(C)이 증가하게 된다. 커패시터(17)는, 부하(L)에 접속되므로, 부하(L)에 에너지 공급을 시작한다(즉, 제 2의 전력 공급 단계).
(6) 시간(t13)에서의 제어 방법
시간(t13)에서, 화학 전지셀(11)은 충전 에너지가 저장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7)는 제 2의 부하 버스트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완료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6)는 충전이 진행중인 상태이고, 부하(L)는 제 2의 부하 버스트가 종료된 상태이다. 부하(L)가 제 2의 부하 버스트 상태를 종료할 때,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는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하인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F)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 전송된다.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에서, 부하 전류(IL)의 상태는 제어신호(F)에 의해 판정된다.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하이면, 스위치(13)를 ON 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G)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18)로 전송된다. 상기는 스위치 구동 회로(18)가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N)를 출력하게 하여, 스위치(13)가 ON 상태가 되도록 한다.
커패시터(17)는 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방전되어 제 2의 부하 버스트를 시작한 상태이고, 따라서, 커패시터(17)의 전압은 충전된 전압(VCap20)으로부터 방전된 전압(VCap21)으로 떨어진다. 방전된 전압(VCap21)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에 의해 충전되고 있는 커패시터(16)의 전압(VCap12; 충전된 전압(VCap10) 과 방전된 전압(VCap11) 사이의 중간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제어신호(E)로서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한다. 시간(t13)에서, 예를 들어,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에서, 커패시터(17)의 전압값(D)이 커패시터(16)의 전압값 이하라고 판정되면, 제어신호(E)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또한,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에서,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하라고 판정되면, 제어 신호(H)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는 제어신호(E 및 H)에 의해 제어신호(J)를 생성하고, 이를 스위치 선택 회로(21)로 전송한다.
제어신호(J)에 의해, 제어신호(M)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Q)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 회로(20)로 전송된다. 그 결과, 스위치(15)의 접점(c1) 및 COM 단자가 ON 상태가 된다. 또한, 제어신호(J)에 의해, 제어신호(K)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P)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 회로(19)로 전송되고, 그 결과, 스위치(14)의 접점(b1) 및 COM 단자가 ON 상태가 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스위치(13 내지 15)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13)의 상태에 따라, 부하(L)가 화학 전지셀(11)에 접속된다. 스위치(14)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6)가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화학 전지셀(11)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소정값으로 충전된다. 스위치(15)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7)가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화학 전지셀(11)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소정값으로 충전된다. 화학 전지셀(11)은 부하 전류가 부하전류 임계값(ITH) 이하인 경부하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를 부하(L)에 공급하고, 전류의 소정값으로 방전하여 커패시터(16 및 17)를 재충전하고, 그 결과, 화학 전지셀(11)의 전압값(A)이 소정의 내부 임피던스로 인해 저하되며, 무부하 전압(V0)으로부터 강하된 전압에 의해 발생된 커패시터 충전 전압 + 경부하 방전 전압(VL)으로 변경된다. 커패시터(16 및 17)는 화학 전지셀(11)에 의해 재충전되고 단자 전압값(C 및 D)이 증가된다.
(7) 시간(t14)에서의 제어 방법
시간(t14)에서, 화학 전지셀(11)은 충전 에너지가 저장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6)는 소정의 전압값으로 충전된 상태(즉,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7)는 충전중인 상태이고, 부하(L)는 제 3의 부하 버스트가 시작된 상태이다. 부하(L)가 제 3의 부하 버스트를 시작할 때, 부하 전류 검출 회로(25)는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상인 것을 검출하고, 제어신호(F)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 전송된다.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에서, 부하 전류(IL)의 상태가 제어신호(F)에 의해 판정된다. 그리고,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상이면, 스위치(13)를 OFF 상태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신호(G)가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로부터 스위치 구동 회로(18)로 전송된다. 상기는 스위치(13)가 OFF 상태가 되게 한다.
커패시터(16)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이고, 커패시터(17)는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화학 전지셀(11)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소정값으로 충전되고 있는 상태이다. 커패시터(16)의 충전된 전압(VCap10)은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에 의해 커패시터(17)의 전압(VCap22; 충전된 전압(VCap20)과 방전된 전압(VCap21) 사이의 중간 전압)과 비교되고,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신호(E)로서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시간(t14)에서, 예를 들어,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23)에서, 커패시터(16)의 전압값(C)이 커패시터(17)의 전압값(D)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제어신호(E)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또한, 부하 상태 판정 회로(24)에서, 부하 전류(IL)가 부하 전류 임계값(ITH)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제어신호(H)가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로 전송된다. 커패시터 판정 회로(22)는 제어신호(E 및 H)에 의해 제어신호(J)를 생성하고, 이를 스위치 선택 회로(21)로 전송한다.
제어신호(J)에 의해, 제어신호(K)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비-활성 모드 구동 신호(P)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 회로(19)로 전송되면, 스위치(14)의 접점(b2) 및 COM 단자가 ON 상태가 된다. 또한, 제어신호(J)에 의해, 제어신호(M)가 스위치 선택 회로(21)로부터 액티브 모드 구동 신호(Q)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 회로(20)로 전송되면, 스위치(15)의 접점(c1) 및 COM 단자가 ON 상태가 된다.
상기 동작으로 인해, 스위치(13 내지 15)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13)의 상태에 따라, 화학 전지셀(11)은 부하(L)와 접속이 끊어진다. 스위치(14)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6)는 부하(L)과 접속된다. 스위치(15)의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17)는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12)를 통해 화학 전지셀(11)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소정값으로 충전된다. 화학 전지셀(11)이 부하(L)과 접속이 끊어지고 커패시터(17)가 충전되는 중이므로, 화학 전지셀(11)의 전압(A)이 내부 임피던스(11a)로 인해 저하되고, 무부하 전압(V0)으로부터의 전압 하락으로 인해 발생한 커패시터 충전시 전압(VChg)으로 변경된다. 부하(L)에 접속되기 때문에, 커패시터(16)는 부하(L)의 전기 에너지 공급을 시작한다. 커패시터(17)는 충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커패시터(17)의 전압값(D)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공정(1) 내지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력 공급 회로에서, 커패시터(16 및 17)는 아직 충전되지 않은 상태이고, 시간(t0)으로부터 시간(t1)까지의 기간동안 발생하는 동작에 의해, 회로 동작에 대한 초기 환경이 마련되며, 그 후, 부하 버스트의 주기와 동기하여, 시간(t0)으로부터 시간(t14)까지의 주기를 1동작 주기로 갖는 동작이 반복된다.
따라서, 제 1의 실시예의 전원 회로에 따르면,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주기 동안, 부하(L)는 커패시터(16)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짝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주기 동안, 부하(L)는 커패시터(17)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1주기에서의 부하 버스트 기간의 듀티 비율이 50%를 초과하더라도,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 필요한 에너지가 커패시터(16 또는 17)로부터 공급되고, 화학 전지셀(11)이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학 전지셀(11)의 소정의 내부 임피던스(11a)로 인해 저하된 전압(A)의 양이 작아지게 되고, 그 결과, 제 1의 실시예의 전원 회로가 전원에서의 일시적인 전압 하락으로 인해 동작불능이 된 전자 장치에 적용되면, 화학 전지셀(11)의 동작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제 2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 1에 도시된 제 1의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의 실시예의 전원 회로에서, 도 1에 도시된 화학 전지셀(11) 대신, 직류 전원(31)이 새로 제공된다. 직류 전원(31)은 전류 제한 기능을 갖는 직류 안정 전원, DC-DC 컨버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최대 출력 전류가 소정값으로 제한된다. 직류 전류 전원(31) 이외의 구성 요소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제 2의 실시예의 전원 회로는 커패시터(16 및 17)가 직류 전원(31)으로부터 출력된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는 점이 제 1의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부하(IL)가 직류 전원(31)에 의해 한정된 전류 이상이더라도, 부하(L)는 커패시터(16 및 17)로부터 전류를 수신하고, 결함없이 구동된다.
따라서, 제 2의 실시예의 전원 회로에 따르면, 커패시터(16 및 17)가 직류 전원 회로(31)로부터 출력된 전류에 의해 충전되므로, 부하 전류(IL)가 직류 전원 회로(31)에 대해 한정된 전류 이상이더라도, 부하(L)는 결함없이 구동된다. 상기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장점과 더불어 직류 전원(31)을 소형화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제 3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도 1에 도시된 제 1의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의 실시예의 전원 회로에서,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16 및 17) 대신, 니켈 카드뮴셀, 니켈 수소셀, 및 리튬 이온셀과 같은 2차 전지셀(26 및 27)이 배치된다. 다른 구성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전원 회로에서는,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고,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제 4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41), 전력 증폭기(42), 신호 전송 및 수신부(43), 제어부(44), 드라이버(45), 디스플레이(46), 마이크로폰/스피커(47), 전원 회로(48) 및 레귤레이터(49)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40)에 관한 것이다. 전력 증폭기(42)는 신호 전송 및 수신부(4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따라 신호 전송용 전자기파로서 전송한다. TDMA법으로서, PDC(personal digiral cellular)법이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고,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법이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다.
신호 전송 및 수신부(43)는 안테나(41)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제어부(44)는 CPU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어 프로그렘에 의해 전체 휴대 전화(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드라이버(45)는 마이크로폰/스피커(47)로부터 제공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마이크로폰/스피커(47)로 전송한다. 또한, 드라이버(45)는 디스플레이용 신호를 디스플레이(47)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46)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전원 회로(48)는 화학 전지셀(48a)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도시된 제 1의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출력 전압을 전력 증폭기(42)로 공급한다. 레귤레이터(49)는 전원 회로(48)로부터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소정의 전압을 갖는 정전압을 신호 전송 및 수신부(43), 제어부(44), 드라이버(45), 및 마이크로폰/스피커(47)로 출력한다.
휴대 전화(40)는 TDMA 방식에 따라 신호 전송용 전자기파를 전송한다. 이 때, TDMA 방식에 따라 형성된 주파수를 갖는 펄스형 부하 전류가 전원 회로(48)로부터 취해진다. 전원 회로(48)가 도 1의 제 1의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전력 증폭기(42)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더라도, 화학 전지셀(48a)에서 전압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의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압의 감소에 의해 화학 전지셀(48a)의 수명이 판정되더라도, 화학 전지셀(48a)은 방전 깊이가 작은 상태가 그 수명의 끝이라고 판정되지 않는다. 그 결과, 화학 전지셀(48a)의 에너지 사용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의 듀티 비율이 50% 이상이더라도,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필요한 에너지는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16 또는 17)로부터 공급된다. 즉, 제 4의 실시예는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51), 화상 처리/메모리 제어 회로(52), 모터부(53), 스트로브 발광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및 전원 회로(55)를 포함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50)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51)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50)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화상 처리/메모리 제어 회로(52)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50)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등에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모터부(53)는 초첨 모터, 줌 모터, 렌즈 셔터 모터, 스로틀 모터(throttle motor) 등을 포함한다. 스트로브 발광 제어부는 스트로브(도시되지 않음)가 빛을 방출하도록 한다. 전원 회로(55)는 화학 전지셀(55a)로 이루어지고, 제 1의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스크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51), 화상 처리/메모리 제어 회로(52), 모터부(53), 스트로브 발광 제어부에 출력 전압을 공급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50)에서, 화상 처리/메모리 제어 회로(52), 모터부(53) 및 스트로브 발광 제어부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면, 큰 부하 전류가 순간적으로 전원 회로(55)로부터 취해진다. 전원 회로(55)가 도 1에 도시된 제 1의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부하 전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더라도, 화학 전지셀(55a)의 전압이 저하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5의 실시예에서, 전원 회로(55)가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스크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51), 화상 처리/메모리 제어 회로(52), 모터부(53), 및 스트로브 발광 제어부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더라도, 화학 전지셀(55a)의 전압이 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의 실시예와 같이, 화학 전지셀(55a)의 수명이 전압의 감소에 의해 판정되더라도, 방전 깊이가 작은 상태가 수명의 끝이라고 판정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화학 전지셀(55a)의 에너지 사용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 듀티 비율이 50% 이상이더라도,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 필요한 에너지가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16 또는 17)로부터 공급되므로,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주기 동안, 부하(L)는 커패시터(16)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짝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주기 동안, 부하(L)는 커패시터(17)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1주기에서의 부하 버스트 기간의 듀티 비율이 50%를 초과하더라도, 부하 버스트 기간 동안 필요한 에너지가 커패시터(16 또는 17)로부터 공급되고, 화학 전지셀(11)이 부하 버스트 기간동안 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학 전지셀(11)의 소정의 내부 임피던스(11a)로 인해 저하된 전압(A)의 양이 작아지게 되고, 그 결과, 전원 회로가 전원에서의 일시적인 전압 하락으로 인해 동작불능이 된 전자 장치에 적용되면, 화학 전지셀(11)의 동작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커패시터(16 또는 17) 또는 도 4에 도시된 2차셀(26 및 27)과 같은 전력 저장부의 수는 2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에 의해 이미 충전된 전력 저장부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용 전원 회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가 단속적으로 변하는 전자 장치 또는 시동시 큰 부하 전류가 흐르는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
도 7은 종래의 전원 회로의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종래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신호의 타이밍 차트.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화학 전기셀 12 : 정전류/정전압 충전 회로
13 내지 15 : 스위치 16 및 17 : 커패시터
16a : 정전기 용량 16b : 내부 임피던스
17a : 정전기 용량 17b : 내부 임피던스
18 내지 20 : 스위치 구동 회로 21 : 스위치 선택 회로
22 : 커패시터 판정 회로 23 : 커패시터 전압 검출 회로
24 : 부하 상태 판정 회로 25 : 부하 전류 검출 회로

Claims (14)

  1. 대전류가 흐르는 부하 버스트 기간과 소전류가 흐르는 소전류 기간이 주기적으로 발생하여 구동되는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에 있어서,
    기전력을 발생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복수의 전력 저장부; 및
    상기 각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전력 저장부 중에서 이미 충전된 임의의 하나의 전력 저장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당해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한편, 상기 소전류 기간에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의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고, 또, 미충전의 전력 저장부에는, 상기 소전류 기간 중에서도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도 충전을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2. 대전류가 흐르는 부하 버스트 기간과 소전류가 흐르는 소전류 기간이 주기적으로 발생하여 구동되는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에 있어서,
    기전력을 발생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저장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상기 전력 저장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 및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 홀수번째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한편,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 짝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고, 또, 상기 소전류 기간에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의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3. 부하전류가 버스트 방식으로 증감하는 기간인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에 있어서,
    기전력을 발생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상기 전력 공급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의 짝수번째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모니터하고, 상기 모니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을 나타내는 부하 버스트 기간 발생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부하 상태 모니터 회로;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의 각 전압을 모니터하고, 상기 모니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에서의 충전 및 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전력 저장부 모니터 회로;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발생에 대한 정보 및 충전/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충전된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함과 동시에, 미충전된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고,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 짝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이미 충전된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한편, 미충전된 제 1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전력 공급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는, 적어도 1회의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 상기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최대 출력 전류가 소정의 전류값으로 제한된 직류 전원 또는 화학 전지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력 저장부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또는 2차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6. 부하전류가 버스트 방식으로 증감하는 기간인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에 있어서,
    기전력을 발생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상기 전력 공급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 짝수번째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를 모니터하고, 상기 모니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을 나타내는 부하 버스트 기간 발생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부하 상태 모니터 수단;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의 각 전압을 모니터하고, 모니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서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및 방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전력 저장부 모니터 수단; 및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발생에 대한 정보 및 충전/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중에서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이미 충전된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함과 동시에, 미충전된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며,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 주에서 짝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충전된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한편, 미충전된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7. 부하전류가 버스트 방식으로 증감하는 기간인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전력을 생성하여 이를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전력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제 1의 전력 저장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의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전력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에 흐르는 부하 전류가 증가하는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할 때,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짝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제어 방법.
  8. 부하 전류가 부하 버스트 방식으로 증감하는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전력을 생성하고 전력을 축적하여 이를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고, 상기 전력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축적 전력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상기 전력 저장부에 의해 공급된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전력을 축적하고, 상기 축적 전력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부하에 흐르는 부하 전류를 모니터하고, 상기 모니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을 나타내는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하 상태 모니터 단계;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의 각 전압을 모니터하고, 상기 모니터 결과에 의해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 및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서 충전 및 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방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저장부 모니터 단계;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의 발생에 대한 정보와 충전/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이미 충전된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함과 동시에, 미충전된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제 1의 전력 공급 단계; 및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짝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충전된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저장하는 한편, 미충전된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제 2의 전력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제어 방법.
  9. 부하 전류가 부하 버스트 방식으로 증감하는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는,
    기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복수의 전력 저장부; 및
    각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이미 충전된 상기 전력 저장부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고, 아직 충전되지 않은 전력 저장부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 전화에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부하 전류가 부하 버스트 방식으로 증감하는 부하 버스트 기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는,
    기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제 1의 전력 저장부;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기전력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축적하는 제 2의 전력 저장부; 및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홀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1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고, 상기 부하 버스트 기간에서, 짝수번째의 부하 버스트 기간에는, 상기 제 2의 전력 저장부에 축적된 전력만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 전화에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2-0056757A 2001-09-18 2002-09-18 전원 회로, 상기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 및 전원회로의 제어 방법 KR100500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4088A JP3741630B2 (ja) 2001-09-18 2001-09-18 電源回路、該電源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電源回路の制御方法
JPJP-P-2001-00284088 2001-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636A KR20030024636A (ko) 2003-03-26
KR100500108B1 true KR100500108B1 (ko) 2005-07-11

Family

ID=1910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57A KR100500108B1 (ko) 2001-09-18 2002-09-18 전원 회로, 상기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 및 전원회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19416B2 (ko)
EP (1) EP1313196B1 (ko)
JP (1) JP3741630B2 (ko)
KR (1) KR100500108B1 (ko)
CN (1) CN1226817C (ko)
DE (1) DE60226563D1 (ko)
TW (1) TW5759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1630B2 (ja) * 2001-09-18 2006-02-01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源回路、該電源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電源回路の制御方法
JP2004297753A (ja) * 2003-02-07 2004-10-21 Nec Tokin Corp 電源回路、及び該電源回路を備えた通信機器
US7327119B2 (en) * 2004-12-08 2008-02-0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extending battery life
US7366924B2 (en) * 2005-04-25 2008-04-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disabling power management in a computer system
DE102005035365A1 (de) 2005-07-21 2007-02-01 Siemens Ag Verfahren zur Spannungsversorgung einer Anordnung und Steuerschaltung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JP4779502B2 (ja) * 2005-08-24 2011-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77483B1 (ko) * 2005-08-2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장치
US7714535B2 (en) 2006-07-28 2010-05-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storage device
US8493036B2 (en) * 2006-10-21 2013-07-23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Controllable charge paths, and related methods
US8310218B2 (en) 2007-08-08 2012-11-13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Time-multiplexed-capacitor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s
US7907074B2 (en) * 2007-11-09 2011-03-15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ircuits and methods to reduce or eliminate signal-dependent modulation of a reference bias
US8242738B2 (en) * 2008-05-28 2012-08-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battery parameters following active operation of the battery
JP4725604B2 (ja) * 2008-06-25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US8390148B2 (en) * 2008-08-13 2013-03-05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upply wear leveling in a blade server chassis
US8754610B2 (en) * 2009-05-22 2014-06-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a load
US8217530B2 (en) * 2009-06-30 2012-07-10 O2Micro, Inc System for managing power based on current monitoring
US9054549B2 (en) * 2010-02-23 2015-06-0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Circuit topology for regulating power from low capacity battery cells
US20120025752A1 (en) * 2010-07-28 2012-02-02 Triune Ip Llc Battery charger
US9203265B2 (en) * 2010-09-21 2015-12-01 Intel Corporation Power supply
DE102010061537A1 (de) * 2010-12-23 2012-06-28 Sma Solar Technology Ag Sicherheitsentlade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Speicherelement
JP6357966B2 (ja) * 2014-08-12 2018-07-18 富士通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および電子装置
WO2016025869A1 (en) 2014-08-14 2016-02-18 Schumacher Electric Corp. Compact multifunctional battery booster
CA2958151C (en) 2014-08-14 2023-10-31 Schumacher Electric Corporation Battery charger st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5024422B (zh) * 2015-06-29 2018-06-2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用户可控的移动智能终端的供电/充电设置方法及系统
CN111771316A (zh) * 2018-01-05 2020-10-13 路创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电池供电装置的补充电力供应装置
JP6732831B2 (ja) * 2018-04-10 2020-07-2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供給装置
US11674490B2 (en) 2018-08-30 2023-06-13 Schumacher Electric Corporation Multifunctional battery booster
US11973366B2 (en) 2020-10-20 2024-04-30 Schumacher Electric Corporation Battery booster
US11073130B1 (en) * 2021-02-19 2021-07-27 Richardson Electronics, Ltd. Ultracapacitor pitch energy module
CN113258553B (zh) * 2021-06-10 2021-09-28 湖北东湖实验室 纯电池动力船舶综合电力系统直流母线电压镇定控制方法
CN113452123A (zh) * 2021-07-23 2021-09-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供电电路、超宽带模块及标签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90A (ko) * 1989-07-27 1991-02-28 도비야마 가즈오 전원장치
JPH08126119A (ja) * 1994-10-28 1996-05-17 Okamura Kenkyusho:Kk 電気自動車
JPH1066274A (ja) * 1996-08-12 1998-03-06 Nec Shizuoka Ltd 電子機器の電源回路
US5734205A (en) * 1996-04-04 1998-03-31 Jeol Ltd. Power supply using batteries undergoing great voltage variations
JP2002135995A (ja) * 2000-10-18 2002-05-10 Nec Corp 電源回路、電源回路の制御方法、及びこの電源回路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092835A (ja) * 2001-09-18 2003-03-28 Nec Tokin Corp 電源回路、該電源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電源回路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0915C2 (nl) * 1995-08-01 1997-02-04 Bartoli N V I O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leveren van elektrische energie, en toestel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SE515882C2 (sv) * 1998-03-17 2001-10-22 Ericsson Telefon Ab L M Elektriskt effekthanteringssystem samt radiokommunikationsanordning innefattande ett sådant system
US6201371B1 (en) * 1998-08-07 2001-03-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S6225781B1 (en) * 1998-08-27 2001-05-01 Jeol Ltd. System for charging capacitors connected in series
JP4368027B2 (ja) * 1999-04-01 2009-11-18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電源ユニット、半導体デバイス試験装置、及び半導体デバイス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90A (ko) * 1989-07-27 1991-02-28 도비야마 가즈오 전원장치
JPH08126119A (ja) * 1994-10-28 1996-05-17 Okamura Kenkyusho:Kk 電気自動車
US5734205A (en) * 1996-04-04 1998-03-31 Jeol Ltd. Power supply using batteries undergoing great voltage variations
JPH1066274A (ja) * 1996-08-12 1998-03-06 Nec Shizuoka Ltd 電子機器の電源回路
JP2002135995A (ja) * 2000-10-18 2002-05-10 Nec Corp 電源回路、電源回路の制御方法、及びこの電源回路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092835A (ja) * 2001-09-18 2003-03-28 Nec Tokin Corp 電源回路、該電源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電源回路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92835A (ja) 2003-03-28
US7019416B2 (en) 2006-03-28
DE60226563D1 (de) 2008-06-26
US20030052645A1 (en) 2003-03-20
EP1313196A2 (en) 2003-05-21
EP1313196A3 (en) 2005-04-13
EP1313196B1 (en) 2008-05-14
TW575995B (en) 2004-02-11
JP3741630B2 (ja) 2006-02-01
CN1405942A (zh) 2003-03-26
CN1226817C (zh) 2005-11-09
KR20030024636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108B1 (ko) 전원 회로, 상기 전원 회로를 장착한 전자 장치 및 전원회로의 제어 방법
KR100969615B1 (ko) 2차 전지용 충전 회로, 2차 전지용 충전 회로에서의 전원전환 방법, 및 전원 유닛
US840682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wer-supply apparatus
KR200185261Y1 (ko) 디지털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US7786696B2 (en) Battery pack charged by external power generator and supplying discharge power to external load in parallel to external power generator
CN110289668B (zh) 一种快速充电的方法、终端、充电器和系统
US11353837B2 (en) Communication device
JP3526028B2 (ja) 電源回路、電源回路の制御方法、及びこの電源回路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2095174A (ja) 電源装置及びその充放電方法
KR100854416B1 (ko) 출력 전압 레벨을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충/ 방전 장치 및방법
CN113728489A (zh) 电池控制器、无线电池控制系统、电池组和电池平衡方法
US7336053B2 (en) Battery-powered electronic equipment with charge control circuit
KR100339109B1 (ko) 전원 회로 및 휴대 전자 장치
JP4774981B2 (ja) 充電装置及び携帯型電子機器
US10658850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system having the same
JP2004208344A (ja) 複数電池を有する携帯端末
GB2309360A (en) Portable terminal power supply with primary and secondary cells
JP2001134881A (ja) 無線検針装置
JP3707090B2 (ja) 2次電池ユニット
CN116632960A (zh) 电池保护芯片和电池管理系统
JP2006114849A (ja) 電気機器
JPH09149559A (ja) 充電装置
JP2005210765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充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ドレス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