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792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792B1
KR100499792B1 KR1020040081650A KR20040081650A KR100499792B1 KR 100499792 B1 KR100499792 B1 KR 100499792B1 KR 1020040081650 A KR1020040081650 A KR 1020040081650A KR 20040081650 A KR20040081650 A KR 20040081650A KR 100499792 B1 KR100499792 B1 KR 10049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seat plate
chair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이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윤 filed Critical 이규윤
Priority to KR102004008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792B1/ko
Priority to PCT/KR2004/002829 priority patent/WO200604123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받침대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의자(100)는, 착석가능한 좌판(120)과; 상기 좌판(120)에 지지프레임(130)을 매개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된 등받이(140)와; 상기 좌판(120)과 상향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하부의 로드(152)가 좌판(120)을 관통하여 설치된 보조좌판(150)과; 상기 등받이(140)의 전면에 등받이(140)와 이격되게 설치된 허리받침대(170)와; 상기 등받이(140)를 관통하여 그 양단부가 각각 허리받침대(170)와 보조좌판(150)의 로드(152)에 연결되고 그 일측은 좌판(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좌판(150)과 허리받침대(170)가 연동되도록 한 연결프레임(16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허리받침대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음과 동시에 허리받침대가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도록 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의자는 대개 좌판과 등받이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의 등받이는, 사용자가 좌판에 앉아 등받이에 기댈 경우,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좌판의 후방으로 일정각도만큼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등받이가 휘어지면, 등의 허리부위와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허리부위를 전혀 받치지 못하게 됨으로써 오랜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허리부위에 피로가 가중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별도의 방석이나, 작은 쿠션 등을 의자의 등받이와 허리에 대고 앉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의자는, 사용시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에 별도의 방석이나 쿠션 등을 댄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석이나 쿠션은 의자에 고정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 즉 등받이의 젖혀짐에 대해서는 제자리를 유지하지 못하고 심하게 유동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항상 일정하게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등받이와 별도로 작동되는 허리받침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음과 동시에 허리받침대가 자동적으로 연동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 지지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자는, 착석가능한 좌판과; 상기 좌판과 상향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하부의 로드가 좌판을 관통하여 설치된 보조좌판과; 상기 보조좌판의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일측은 좌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보조좌판과 연동되는 허리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리받침대의 후방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좌판에 지지프레임으로 연결되어 탄력 지지되는 등받이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에는 연결프레임이 관통하는 장공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보조좌판과 좌판 사이의 로드에는 보조좌판을 좌판과 이격되게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좌판 하부의 돌출된 로드는 보조좌판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허리받침대는 이에 일체로 성형된 브라켓을 통해 연결프레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대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의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20)과, 등받이(140), 허리받침수단 등으로 대별되어 구성되지만, 허리받침수단의 허리받침대(170)가 등받이 역활도 하기 때문에 등받이(140)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좌판(120)은, 그 하면에 판상의 고정판체(122)가 부착 고정되고, 이 고정판체(122)에는 다수의 구름가능한 바퀴(112)를 갖는 지지부재(110)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좌판(120)이 지지부재(110)상에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140)는, 대략 좌판(120)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좌판(120)의 고정판체(122)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등받이(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프레임(130)에 의해서 사용자의 등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허리받침수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0)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 지지하는 허리받침대(170)와, 이 허리받침대(170)와 연동되는 보조좌판(150)으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조좌판(150)은, 좌판(120)의 상면에 좌판(120)과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하면에는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로드(152)가 각각 좌판(120)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좌판(12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152)는 보조좌판(1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출 성형된다.
한편, 상기 보조좌판(150)과 좌판(120) 사이의 로드(152)에는 보조좌판(150)을 좌판(120)과 상향 이격되게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54)이 설치되어, 보조좌판(15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허리받침대(170)는, 등받이(140)의 전면에 등받이(140)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 허리받침대(170)와 보조좌판(150)은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60)으로 연결되어 상호 연동된다.
상기 허리받침대(170)는 그 후면에 대략 "ㄷ"자 형상의 브라켓(172)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이 브라켓(172)에 연결프레임(160)이 회전가능하게 힌지(174)되고, 이 힌지(174)를 축으로 허리받침대(170)가 상,하로 회전됨으로써 허리받침대(170)가 다양하게 굽어지는 사용자의 등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의자(100)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등받이(140)를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허리받침대(170)가 등받이 역활도 하기 때문에 등받이(140)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60)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그 일단은 허리받침대(170)의 후면에 연결되며, 타단은 등받이(140)를 관통하여 보조좌판(150)의 로드(152)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60)은 그 일측이 고정판체(122)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124)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62)되고, 이 힌지(162)를 축으로 연결프레임(160)이 지렛대와 같은 원리로 회전됨으로써 보조좌판(150)과 허리받침대(170)가 서로 연동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160)이 관통되는 등받이(140)에는 장공(142)이 천공되어, 연결프레임(160)이 간섭되지 않고 작동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상기 허리받침대(170)와 보조좌판(150)은 의자(100)의 표면을 형성하는 외장재에 의해서 등받이(140)와 좌판(120)에 각각 내장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허리받침대(170)와 보조좌판(150)의 작동을 고려할 때 허리받침대(170)와 보조좌판(150)이 각각 등받이(140)와 좌판(120)과 분리되어 돌출된 외장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허리받침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100)의 좌판(120)상에 앉으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좌판(12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던 보조좌판(150)이 압축스프링(154)을 압축시키며 좌판(120)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하강하는 보조좌판(150)에 의해서 로드(152)가 하강하게 되고, 로드(152)의 하강으로 인해 로드(152)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결프레임(160)이 고정판체(122)의 브라켓(124)과의 힌지(162)를 축으로 지렛대와 같이 회전되면서 연결프레임(160)의 타단이 연결된 허리받침대(170)를 등받이(140)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인출된 허리받침대(170)는 의자(100)에 앉는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견고하게 받쳐 지지하게 된다.
이때, 허리받침대(170)가 브라켓(172)을 통해 연결프레임(16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74)되어 있으므로 다양하게 굽어지는 사용자의 등에 허리받침대(170)가 견고하게 밀착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160)이 관통한 등받이(140)에는 연결프레임(160)의 작동 즉 이동방향에 대응한 장공(142)에 천공되어 있어, 연결프레임(160)은 등받이(140)에 간섭되지 않고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의 허리받침대(170)는 의자(100)에 앉는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일정한 위치에서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받쳐 지지하게 됨으로써 허리부위에 작용되는 피로를 풀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된 허리받침대(170)는 사용자가 의자(100)에서 일어서면, 보조좌판(150)과 좌판(120) 사이의 압축스프링(154)이 원상태로 인장되면서 하강되어 있던 보조좌판(150)을 상승시키게 되고, 상승되는 보조좌판(150)에 의해서 연결프레임(160)이 힌지(162)를 축으로 전술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던 허리받침대(170)를 등받이(140)측으로 인입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음과 동시에 허리받침대가 등받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의자를 앉아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이면서도 견고하게 받쳐 주므로써,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작용되는 피로를 풀어주어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허리받침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대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대를 갖는 의자의 작동전과 작동후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의자 110 : 지지부재
112 : 바퀴 120 : 좌판
122 : 고정판체 124 : 브라켓
130 : 지지프레임 140 : 등받이
150 : 보조좌판 152 : 로드
154 : 압축스프링 160 : 연결프레임
162 : 힌지 170 : 허리받침대
172 : 브라켓 174 : 힌지

Claims (6)

  1. 착석가능한 좌판(120)과; 상기 좌판(120)에 상향 이격되게 설치된 보조좌판(150)과; 상기 보조좌판(150)과 좌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보조좌판(150)을 좌판(120)과 이격되게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54)와; 상기 좌판(120)에 지지프레임(130)으로 연결되어 탄력 지지된 등받이(140)와; 상기 등받이(140)의 전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보조좌판(150)과 연동되는 허리받침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보조좌판(150)의 하면에는 압축스프링(154)과 좌판(1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로드(15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로드(1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140)를 관통하여 허리받침대(170)의 브라켓(17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로드(152)와 인접한 일측은 상기 좌판(12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자 형상의 연결프레임(16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60)이 관통된 등받이(140)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장공(142)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40081650A 2004-10-13 2004-10-13 의자 KR10049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650A KR100499792B1 (ko) 2004-10-13 2004-10-13 의자
PCT/KR2004/002829 WO2006041232A1 (en) 2004-10-13 2004-11-04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650A KR100499792B1 (ko) 2004-10-13 2004-10-13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9792B1 true KR100499792B1 (ko) 2005-07-07

Family

ID=3614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650A KR100499792B1 (ko) 2004-10-13 2004-10-13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9792B1 (ko)
WO (1) WO2006041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9701A1 (en) 2008-03-31 2010-12-15 Victor Toso Adjustable ergonomic chai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5908D0 (en) * 1984-10-12 1984-11-21 Anderle E Seat with dynamic lumbar support
DE4135948C2 (de) * 1991-10-31 1993-12-23 Rolf Voelkle Stuhl, insbesondere Bürodrehstuhl
JPH10137067A (ja) * 1996-11-06 1998-05-26 Norio Akaoka 背凭れの一部を可動式にした椅子
KR200269743Y1 (ko) * 2001-11-21 2002-03-25 이준구 허리보조받침장치를 구비한 일체형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41232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443Y1 (ko)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FI73585C (fi) Monteringsanordning foer en stolsits.
KR100499792B1 (ko) 의자
US3308483A (en) Toilet seat construction
CN111315260A (zh) 座位模块和倾斜机构
JP5243566B2 (ja) 椅子
KR102383272B1 (ko) 부분 교체 가능한 복합 의자
JP4759128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CN209121620U (zh) 办公椅
KR200340269Y1 (ko)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US2825392A (en) Adjustable reclining chaise
JP5024778B2 (ja) 椅子
JP4520622B2 (ja) 椅子における座の取付装置
US2843182A (en) Adjustable chair seat
KR200431465Y1 (ko) 절첩식 의자
JP2005245866A (ja) 椅子へのハンガーの取付構造
KR102163520B1 (ko) 휠체어 등받이 장착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휠체어
KR20040063327A (ko) 등받이 각도 조절 가능한 의자
JP7299004B2 (ja) 椅子
KR20090052434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JP2000157365A (ja) ヘッドレスト機能付き椅子
JP6695218B2 (ja) 背凭れ、ランバーサポート、及び椅子
JP4629919B2 (ja) 携帯用便器の肘掛け取付け構造
ATE383793T1 (de) Sitzmöbel mit verschwenkbarem fussteil
JPS62117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