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409B1 - 수평드라이브신호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수평드라이브신호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409B1
KR100498409B1 KR1019970038225A KR19970038225A KR100498409B1 KR 100498409 B1 KR100498409 B1 KR 100498409B1 KR 1019970038225 A KR1019970038225 A KR 1019970038225A KR 19970038225 A KR19970038225 A KR 19970038225A KR 100498409 B1 KR100498409 B1 KR 10049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ignal
horizontal drive
drive signal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876A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3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40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수평방향 편향을 위한 수평드라이브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모든 부분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한 수평드라이브신호 발생회로를 개시한다.
수평방향 편향을 위한 수평드라이브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신호 처리과정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 트래킹부와, 수평동기신호 쉬프트 보상부와, 제1 신호 발생 비교기와, 수평 위치 보상부와, 제2 신호 발생 비교기와, FBP인터페이스와, 위상 검출기와, 루프 필터와, 수평 드라이브 신호 처리 지연 보정부와, 수평 드라이브 신호 수평방향 보정부, 듀티 조정부와, 엑스선 및 수평드라이브 보호부, 및 수평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평 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는 신호처리과정의 모든 부분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게함으로써 편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하여 세밀한 조정을 용이하게하고, 신호 처리와 1 칩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Horizontal drive signal generation circuit}
본 발명은 영상 모니터의 편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방향 편향을 위한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을 이용하는 텔레비젼이나 모니터는 화면을 디스플레이(Display)하기 위하여 편향(Deflection) 시스템(System)을 갖추고 있다.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전자 빔(E-Beam)을 편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편향코일에 전류를 흐르게함으로써 전류의 세기에 따라 자기장이 변하게하여 편향이 이루어지도록한다.
수평방향으로 선형적(Linear)인 전류와 CRT의 EHT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플라이백 변환기(Flyback Transformer:이하 "FBT"라 함)를 이용하는데 이때, 구동 트랜지스터 스위치(TR switch)를 온/오프(on/off)하여 전류의 방향을 바꾸는 수평 드라이버 신호(HD OUT)가 필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리트레이스(Retrace)기간에 해당하는 플라이백 펄스(Flyback pulse:"FBP"라 함)가 형성되고 이 신호가 수평드라이드 신호 형성 시스템에 피드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두 개의 피엘엘(PLL1, PLL2)를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는 PLL1(100)과, PLL2(150)와, X_Ray보호기(110) 및 Hout 드라이버(111)를 구비한다. 상기 PLL1(100)은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in_hsync)와, 전압조정발진기(Voltage Control Oscillator:이하 "VCO"라 함)(104)에서 발생한 톱니파 출력(Sawtooth Out)을 H_position조정기(105)로 수평위치(H_position) 데이터만큼 조정된 펄스 신호를 위상 검출기(101)로 위상을 비교하여 챠아지펌프(Charge Pump:102)의 업/다운신호를 발생시키고, 챠아지펌프(102)에서는 루프 필터(loop filter:103)에 전하를 충전/방전(Charge/Discharge)하여 vco(104)의 입력전압을 결정하며, 상기 vco(104)에서는 입력되는 in_hsync 신호 주기의 sawtooth 파형과 osc out 펄스를 형성시킨다.
상기 PLL2(150)에서는 상기 vco(104)에서 발생된 sawtooth 파형으로 펄스를 형성시키고 위상검출기(Phase Detector:153)에서는 sawtooth와 CRT에서 피드백되어 FBP 인터페이스(152)를 거친 FBP 신호와의 위상을 비교하여 챠아지펌프(154)의 업-다운신호를 발생시키고, H_duty 조정부(155)에서 VCO에서 발생한 Sawtooth out 파형으로부터 수평드라이브 듀티조정(HD duty control)과 챠아지 펌프의 양을 조절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156)에서 오프시간(OFF time)이 조절된 펄스를 만들며 이 펄스와 osc out 신호의 조합으로 수평출력 드라이버(Hout Driver:111)에서는 수평드라이브 출력 신호(HD OUT)를 만든다. 또한 오버 엑스선(OVER X_ray)이 발생할 때, HD OUT 신호를 중단(mute)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평방향 편향을 조정하는 수평드라이브 출력(HD OUT) 펄스발생은 아날로그 PLL를 이용한 방식이므로 최근에 영상신호처리(Video Signal Process)를 디지탈(Digital) 방식으로 처리하는 디지탈신호처리(DSP)시와 1칩화(one-chip solution)를 하고자 할 때, 공정 및 회로 구성상 여러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방향 편향을 위한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모든 부분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한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 편향을 위한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신호 처리과정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 트래킹부와, 수평동기신호 쉬프트 보상부와, 제1 신호 발생 비교기와, 수평 위치 보상부와, 제2 신호 발생 비교기와, FBP인터페이스와, 위상 검출기와, 루프 필터와, 수평 드라이브 신호 처리 지연 보정부와, 수평드라이브 신호 수평방향 보정부, 듀티 조정부와, 엑스선 및 수평드라이브 보호부, 및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수평 방향 트래킹부는 입력되는 수평동기 신호를 안정적인 동기 신호로 출력하기 위하여 윈도우를 이용한 카운트 다운 방법을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동기신호 누락을 보상하며, 동기신호의 입력 유무를 판단하여 무신호시 수평동기신호를 자체발진시킨다.
상기 수평동기신호 쉬프트 보상부는 영상신호의 액티브 출발(active start)지점이 기준 영상 신호의 수평동기(hsync)신호로부터 거리가 다를시 씨알티에 디스플레이될 때, 그 차이만큼 시작점의 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수평동기신호를 그 차이만큼 증가/감소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 및 공백구간 신호를 생성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Pixel value)은 상기 수평 방향 트래킹부의 픽셀 값에서 수평동기신호 쉬프트량을 가감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제1 신호 발생 비교기는 픽셀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수평동기신호와 관련된 신호와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수평 위치 보상부는 편향 처리와 영상신호디스플레이처리와의 지연에 의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위치량만큼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를 증가/감소 방향으로 이동시켜 편향 수평동기신호를 만든다.
상기 편향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은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에 수평위치량을 더함으로써 결정되며, 이 수평동기신호는 수직편향 및 동/서(East/West) 왜곡보정 하는 처리의 기준이 되는 수평동기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제2 신호 발생 비교기는 픽셀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원 수평동기 신호와 위상차만을 가진 편향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FBP인터페이스는 CRT로부터 입력되는 히터 전압을 분할하여 구형파로 만들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위상 검출기는 수평 드라이브 신호의 라이징지점부터 FBP 신호의 라이징 지점까지의 위상차를 측정하는 회로로 픽셀 카운터로 측정하여 루프 필터의 입력으로 보낸다.
상기 루프 필터는 저 주파수대역 통과와 단일 이득특성을 지닌 저주파통과필터로 위상량이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떨림이 생기지 않도록한다.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처리 지연 보정부는 상기 플라이백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톱니파 전류를 생성시키는 처리와 동/서 왜곡보정 전류 생성 처리와의 지연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수평 드라이브 신호 생성에 이 지연차를 가감한다.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휨/굴절 보정부는 편향코일의 기구적인 오차로 수직방향으로 생기는 휨/굴절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 수평주사선마다 보정값을 가감하여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생성시킨다.
상기 듀티 조정부는 외부에서 듀티 제어 데이터를 받아 수평드라이브 신호의 폴링 시간을 가변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의 온 구간을 원하는 듀티로 픽셀 클록 (Pixel clock)단위로 조정하는데 정상적인 톱니파 전류가 되기 위해서는 온 타임 구간이 전체주기의 50%이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엑스선 및 수평드라이브 보호부는 초과 엑스선 발생 및 수직 톱니파가 생성되지 않을시 등 CRT의 보호가 필요할 때, 구동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므로써 CRT를 보호할 수 있도록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하이(High)로 뮤트(mute)시킨다.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부는 픽셀카운트와 위상검출기를 구비하여 구동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여 편향 시스템의 전류를 바꾸게하는 수평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는 신호처리과정의 모든 부분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게함으로써 편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하여 세밀한 조정을 용이하게하고, 신호 처리와 1 칩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는 신호 처리과정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 트래킹부(H-tracking, 201)와, 수평동기신호 쉬프트 보상부(202)와, 제1 신호 발생 비교기(203)와, 수평 위치 보상부(204)와, 제2 신호 발생 비교기(205)와, FBP인터페이스(218)와, 위상 검출기(217)와, 루프 필터(216)와, 수평 드라이브 신호 처리 지연 보정부(215)와, 수평 드라이브 신호 휨/굴절 보정부(214), 듀티 조정부(211)와, 엑스선 및 수평드라이브 보호부(212), 및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부(213)를 구비한다.
각 인가 신호에 관하여 정리하면, 수평동기신호 쉬프트(HS_shift)와, 수평위치(H_position)와, 수평드라이브 듀티 제어(HD duty control)와, 수평드라이브 신호 처리 지연 보정(HD_DEL) 및 수평드라이브 신호 수평방향 보정(H_CORRECT) 신호는 수평 편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하여 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신호이다. 엑스선(X_ray) 및 수평드라이브 뮤트(HD_mute) 신호는 CRT 보호를 위하여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중단(mute) 시키는 제어신호이다. 입력 수평동기신호(in_hsync)는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이고,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Display hsync)는 영상 신호(Video signal)를 처리(process)하는 과정에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이다.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는 편향 처리(process)하는 과정에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이다. FBP(Flayback pulse)는 FBT(Flyback Transformer)에서 수평귀선기간동안 발생하는 펄스로서 보통 히터(Heater)전압을 사용한다.
상기 수평 방향 트레킹부(H-tracking:201)는 픽셀 카운트하고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in_hsync)를 안정적인 수평동기신호(hsync)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 윈도우를 이용한 카운트 다운(Count down)방법을 사용하여 잡음제거, 동기신호 드롭(sync drop)보상, 동기신호(sync)입력 유무신호를 판단하고 무신호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자체발진시키는 등 보상된 안정적인 수평동기신호(hsync)를 형성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평동기신호 쉬프트(HS_shift) 보상부(202)는 도 4와 같이 영상신호(video signal)의 액티브 출발(active start)지점이 기준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hsync)부터 거리가 다를시, CRT에 디스플레이될 때, 그 차이만큼 시작점의 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수평동기신호 쉬프트(HS_shift)량 만큼 수평동기신호(hsync)를 증가(+)/감소(-)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처리(process)의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Display hsync) 및 공백(blank)구간을 생성시키는데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Pixel value)은 수평 방향 트레킹(201)의 픽셀 값에서 수평동기신호 쉬프트(HS_shift)량을 가감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제1 신호 발생 비교기(203)는 픽셀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수평동기신호와 관련된 신호인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Display Hsync)를 생성한다.
상기 수평 위치(H_position) 보상부(204)는 편향 처리(process)와 영상신호 디스플레이처리(Video signal Display process)와의 지연에 의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위치(H_position)량 만큼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Display hsync)를 증가(+)/감소(-) 방향으로 이동시켜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를 만든다. 상기 편향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Deflection hsync pixel value)은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Display hsync pixel value)에 수평위치(H_position)량을 더함으로써 결정되며, 이 수평동기신호(hsync)는 수직편향 및 동/서(East/West) 왜곡보정 하는 처리(process)의 기준이 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로 사용된다.
상기 제2 신호 발생 비교기(205)는 픽셀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수평동기신호와 관련된 신호인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를 생성한다.
상기 FBP 인터페이스(Flayback pulse Interface:218)는 CRT로부터 입력되는 히터(Heater)전압을 분할(Slice)하여 구형파로 만들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보통 슈미트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상기 위상 검출기(217)는 수평드라이브(HD) 신호의 라이징지점으로부터 FBP신호의 라이징 지점까지의 위상차를 측정하는 회로로 픽셀 카운터로 측정하여 루프필터(217)의 입력으로 보낸다.
상기 루프 필터(217)는 저 주파수 대역과 단일 이득(unity gain) 특성을 지닌 저역통과필터(LPF)로 위상량이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떨림(Jitter)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처리 지연(HD_DET) 보정부(215)는 수평편향코일에 FBT에서 생성된 톱니파 전류와 CRT의 곡면특성상 생기는 수직방향의 동(East)/서(West) 왜곡을 보정한 전류와 변조(Modulation)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정교한 편향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FBT에 의해 생성된 톱니파(Sawtooth) 전류를 생성시키는 처리(process)와 CRT의 동(East)/서(West) 왜곡보정 전류 생성 처리(process)와의 지연(Delay)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수평드라이브(HD) 신호생성에 이 지연(Delay)차를 가감한다.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수평방향(H_CORRECT) 보정부(214)는 편향코일의 기구적인 오차로 수직방향으로 생기는 휨/굴절(BOW/ANGLE)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 수평주사선마다 구한 보정값을 가감하여 수평드라이브(HD) 신호을 생성시킨다.
상기 듀티 조정부(DUTY Adjust:211)는 외부에서 듀티 제어 데이터(duty control data)를 받아 수평드라이브(HD) 신호의 폴링(falling) 시점을 가변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의 온(On) 구간을 원하는 듀티로 픽셀 클럭(Pixel clock)단위로 조정하는데 정상적인 톱니파(Sawtooth) 전류가 되기 위해서는 온(On)구간이 전체주기의 50%이상이 되도록 해야한다.
상기 엑스선 및 수평드라이브 보호부(X_ray & HD protect:212)는 초과 엑스선(over X-ray) 발생 및 수직적인 톱니파(vertical sawtooth)가 생성되지 않을시 등 CRT의 보호가 필요할 때, 구동 트랜지스터를 오프(OFF)시키므로써 CRT를 보호할 수 있도록 수평드라이브(HD)를 높음(High)으로 하여 뮤트(mute)시킨다.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부(HD GEN :213)는 픽셀카운트(213a)와 위상검출기(213b)를 구비하여 구동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여 편향 시스템의 전류를 바꾸게하는 수평드라이브 신호(HD OUT)를 발생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을 사용하는 CRT에 수평드라이브 펄스를 생성시키는 회로는, 입력하는 수평동기신호에 트레킹하면서 잡음 제거, 드롭 아웃(Drop out) 보상, 무동기(No sync)를 판단하여 동기신호(sync)를 생성시키는 등 수평동기신호를 안정화 시킨후, 동기신호와 액티브 영상 구간까지의 시간차를 보정하여 영상신호 처리의 수평동기 신호를 만들고, 편향 처리와 영상 신호 처리간의 지연차를 보정하여 편향단의 수평동기를 만들며, 픽셀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만들 때 수평드라이브신호와 수평귀선기간 발생하는 FBP와의 위상차를 측정하고, 그 값을 떨림(Jitter)이 형성되지 않도록 루프필터로 처리하고, FBT의 톱니파 전류와 동/서 보정 전류와의 지연차를 더한 후 수직 방향으로 생기는 휨/굴절 보정 값을 더한 값과 픽셀 값을 비교하여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만드는데 듀티 제어 데이터로 FBT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온 시점을 가변하여 듀티를 조정하고 초과 엑스선 발생 및 CRT 보호가 요구될 때 구동 트랜지스터를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한 수평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한 FBT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오프 시점은 수평동기의 총 픽셀 수에서 수평드라이브 신호와 FBP의 위상차를 빼고 톱니파 전류와 동/서 보정 전류와의 지연차를 빼며, 휨/굴절 보정 값을 뺀 값과 픽셀 카운터 값이 일치하는데서 만들고, 구동 트랜지스터의 온 시점은 오프 시점에서 수평드라이브 듀티 값은 뺀 값에서 픽셀 카운터 값과 일치하는 시점에서 만들게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Timing)도를 나타낸 것이다.
CRT로부터 피드백되는 FBP는 재주사(Retrace) 기간동안 생성되므로 이상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와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FBP는 수평드라이브(HD) 신호의 오프(OFF)시간에 의해 결정되므로 FBP와 입력되는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는 항상 일정한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평드라이브(HD) 신호와 FBP간의 위상차를 측정하여 그 값만큼 수평드라이브(HD) 신호 펄스를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 앞에서 발생시킨다면 항상 FBP와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의 위상차는 일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픽셀 카운트(Pixel count: 213a)에서는 입력되는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에 동기시켜 카운팅을 하여 픽셀 값을 발생시키고 이 값과 수평드라이브(HD) 신호를 발생하고자 하는 값과 비교하여 수평드라이브 출력 신호(HD OUT)의 라이징, 폴링지점을 결정한다.
수평드라이브 출력 신호(HD OUT)의 라이징값 = 편향 수평동기신호(Deflection hsync)의 픽셀수 - {수평방향보정값(H_CORRECT) + 처리지연보정값(HD_DET)+ 필터출력값(FILTER_OUT)}
수평드라이브 출력 신호(HD OUT)의 폴링값 = 수평드라이브 출력 신호(HD OUT)의 라이징값 - 듀티제어값(Duty control value)
으로 결정하며 라이징 시점이 FBT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오프(OFF)시점을, 폴링시점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온(ON) 시점을 나타낸다.
듀티 조정(DUTY adjust)는 항상 FBT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OFF 시점은 일정해야 함으로 수평드라이브(HD) 신호의 폴링시점을 가변해서 수평드라이브 듀티(HD duty)를 조절한다.
도 3에서 dt1 = t1 + H_CORRECT + HD_DEL, dt2 = t2 + H_CORRECT + HD_DEL 이 된다. 수평드라이브(HD) 펄스의 폴링지점은 수평드라이브 듀티(HD DUTY) 조절을 위해 가변됨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입력하는 영상 신호의 액티브 영상 구간이 수평동기 신호부터 거리가 다를 때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를 만드는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수평동기신호(Hsync)는 초기에 수평동기와 액티브 영상 구간을 셋팅한 기준신호이고, 비교 수평동기신호(Hsync)는 기준 수평동기신호(Hsync)와 다르게 입력되는 비교신호이다. 수평동기신호 쉬프트(HS_shift)량은 두 신호간의 수평동기신호부터 액티브 영상 구간까지의 거리 차이다. 보정된 수평동기신호(Hsync)는 비교 수평동기신호(Hsync)가 입력시 수평동기신호 쉬프트(HS_shift)량 만큼 보정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 지연(Display hsync Delay)량으로, 수평동기신호 쉬프트(HS_shift)량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는 수평편향에 사용되는 수평드라이브신호 발생을 전 디지털 (Full Digital)적으로 처리(Process)함으로써 편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하여 세밀한 조정이 용이하고 신호처리(signal process)와 씨모스(CMOS) 1칩으로 구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는 신호처리과정의 모든 부분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게함으로써 편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하여 세밀한 조정을 용이하게하고, 신호 처리와 1 칩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두 개의 피엘엘(PLL1, PLL2)를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수평 드라이브신호 발생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드라이브신호 발생회로의 동작 타이밍(Timing)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입력하는 영상 신호의 액티브 영상 구간이 수평동기 신호부터 거리가 다를 때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를 만드는 타이밍도이다.

Claims (14)

  1. 수평방향 편향을 위한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신호 처리과정을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수평동기신호에 트래킹하면서 잡음 제거, 드롭 아웃 보상, 무 동기신호를 판단하여 동기신호를 생성시키는 등 수평동기 신호를 안정화 시키는 수평 방향 트래킹부와;
    동기신호와 액티브 영상 구간까지의 시간차를 보정하여 영상 신호 처리의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하는 수평동기신호 쉬프트 보상부와;
    상기 수평동기신호 쉬프트 보상부를 거친 수평동기신호로부터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발생 비교기와;
    편향 처리와 영상 신호 처리간의 지연차를 보정하여 편향단의 수평동기를 만드는 수평 위치 보상부와;
    상기 수평 위치 보상부를 거친 수평동기신호로부터 편향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발생 비교기와;
    FBT에서 수평귀선기간 동안 발생하는 펄스를 받아들이는 FBP 인터페이스와;
    픽셀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만들 때 수평드라이브신호와 수평귀선기간 발생하는 FBP와의 위상차를 측정하는 위상 검출기와;
    떨림이 형성되지 않도록 저주파통과필터로 처리하는 루프 필터와;
    상기 루프 필터를 거친 신호에 FBT의 톱니파 전류와 동/서 보정 전류와의 지연차를 더하는 수평드라이브 신호 처리 지연 보정부와;
    상기 신호 처리 지연 보정부에서 보정된 신호에 수직 방향으로 생기는 휨/굴절 보정값을 더하는 수평드라이브 신호 수평방향 보정부와;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처리 지연 보정부와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수평방향 보정부를 거쳐 보정된 값과 픽셀 카운트 값을 비교하여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만드는데 듀티 제어 데이터로 FBT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온 시점을 가변하여 듀티를 제어하는 듀티 조정부와;
    초과 엑스선 발생 및 CRT 보호가 요구될 때 구동 트랜지스터를 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엑스선 및 수평드라이브 보호부; 및
    상기 제2 신호 발생 비교기와, 상기 듀티 조정부와, 상기 엑스선 및 수평드라이브 보호부, 및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수평방향 보정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편향시스템의 전류를 바꾸게 하는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 트래킹부는 입력되는 수평동기 신호를 안정적인 동기 신호로 출력하기 위하여 윈도우를 이용한 카운트 다운 방법을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동기신호 드롭을 보상하며, 동기신호의 입력 유무를 판단하여 무신호시 수평동기신호를 자체발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신호 쉬프트 보상부는 영상신호의 액티브 출발지점이 기준 영상 신호의 수평동기신호로부터 거리가 다를시 씨알티에 디스플레이될 때, 그 차이만큼 시작점의 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수평동기신호 쉬프트량 크기만큼 수평동기신호를 증가/감소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 및 공백구간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Pixel value)은 상기 수평 방향 트래킹부의 픽셀 값에서 수평동기신호 쉬프트량을 가감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위치 보상부는 편향 처리와 영상신호디스플레이처리와의 지연에 의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위치량만큼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를 증가/감소 방향으로 이동시켜 편향 수평동기신호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은 디스플레이 수평동기신호의 픽셀 값에 수평위치량을 더함으로써 결정되며, 이 수평동기신호는 수직편향 및 동/서 왜곡보정 하는 처리의 기준이 되는 수평동기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BP인터페이스는 CRT로부터 입력되는 히터 전압을 분할하여 구형파로 만들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기는 수평 드라이브 신호의 라이징지점부터 FBP 신호의 라이징 지점까지의 위상차를 측정하는 회로로 픽셀 카운터로 측정하여 루프 필터의 입력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필터는 저 주파수대역 통과와 단일 이득특성을 지닌 저주파통과필터로 위상량이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떨림이 생기지 않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톱니파 전류를 생성시키는 처리와 동/서 왜곡보정 전류 생성 처리와의 지연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수평 드라이브 신호 생성에 이 지연차를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수평방향 보정부는 편향코일의 기구적인 오차로 수직방향으로 생기는 휨/굴절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 수평주사선마다 보정값을 가감하여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조정부는 외부에서 듀티 제어 데이터를 받아 수평드라이브 신호의 폴링 시간을 가변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의 온 구간을 원하는 듀티로 픽셀 클록 (Pixel clock)단위로 조정하는데 정상적인 톱니파 전류가 되기 위해서는 온 구간이 전체주기의 50%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및 수평드라이브 보호부는 초과 엑스선 발생 및 수직 톱니파가 생성되지 않을시 등 CRT의 보호가 필요할 때, 구동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므로써 CRT를 보호할 수 있도록 수평드라이브 신호를 하이로 뮤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부는 픽셀카운트와 위상검출기를 구비하여 구동 트랜지스터를 온/오프하여 편향 시스템의 전류를 바꾸게하는 수평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식 수평드라이브 신호 발생회로.
KR1019970038225A 1997-08-11 1997-08-11 수평드라이브신호발생회로 KR10049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225A KR100498409B1 (ko) 1997-08-11 1997-08-11 수평드라이브신호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225A KR100498409B1 (ko) 1997-08-11 1997-08-11 수평드라이브신호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76A KR19990015876A (ko) 1999-03-05
KR100498409B1 true KR100498409B1 (ko) 2005-09-08

Family

ID=3730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225A KR100498409B1 (ko) 1997-08-11 1997-08-11 수평드라이브신호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074B1 (ko) 2003-10-01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 구조를 가지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76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2363B1 (en) Display frame rate adaptation
KR100498409B1 (ko) 수평드라이브신호발생회로
US6795043B2 (en) Clock generation circuit having PLL circuit
US5760839A (en) Horizontal synchronizing apparatus
US4814671A (en) Convergence circuit
US6590620B1 (en) CRT display image horizontal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KR19990044779A (ko) 음극선관을 위한 디지탈 편향처리장치 및 그의 편향처리방법
FI104775B (fi) Tahdistettu vaakapyyhkäisy vaakataajuuden monikerroilla
US6894731B2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arrangement
US5977936A (en) Raster scan display for reducing vertical moire phenomenon
JP2794693B2 (ja) 水平偏向回路
KR200142871Y1 (ko)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JP2565174B2 (ja) 鋸歯状波発生回路
JP2545773B2 (ja) 左右ピン歪補正回路
JPH09284591A (ja) ビデオモニタの調整システム
KR100370073B1 (ko) 디지털 방송의 vcr 녹화용 출력을 위한 프레임 싱크제어 장치 및 방법
RU2215372C2 (ru) Система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отклонения
JP2000047623A (ja) Crtディスプレイ画像水平歪補正装置
JPH07253761A (ja) 画面歪補正回路
JPS61133779A (ja) 縦線曲がり補正回路
JPH0429191A (ja) 表示装置
JPH07336705A (ja) 画像補正装置
JPH04276789A (ja) カラーモニターのモアレ低減補正回路
JPH06178141A (ja) 左右糸巻き歪み補正装置
JPH0937100A (ja) 映像表示位置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