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119B1 -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119B1
KR100498119B1 KR1020040093523A KR20040093523A KR100498119B1 KR 100498119 B1 KR100498119 B1 KR 100498119B1 KR 1020040093523 A KR1020040093523 A KR 1020040093523A KR 20040093523 A KR20040093523 A KR 20040093523A KR 100498119 B1 KR100498119 B1 KR 10049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washing
sludge discharge
washing tank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석
Original Assignee
백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운석 filed Critical 백운석
Priority to KR102004009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2Spiral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수가 담긴 세척조와; 구동수단과;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마련된 복수개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세척조 내에 배치되어 모래를 세척하면서 세척된 모래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마련된 슬러지배출부와; 상기 슬러지배출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되, 상기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이송스크루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조 내에 침지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상기 슬러지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재생모래 세척시 발생한 시멘트슬러지가 세척조 내의 바닥에 잔존하지 않고 모래 세척과 함께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모래 세척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Apparatus for washing regenerated sand}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생모래 세척시 발생한 시멘트슬러지가 세척조 내의 바닥에 잔존하지 않고 모래 세척과 함께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모래 세척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재개발과 더불어 건물의 노후 및 기능 저하에 의한 건물의 해체와 도로의 보수가 증가함에 따라 폐콘크리트나 폐시멘트, 혹은 건설현장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들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다량으로 발생되는 건축폐기물 중에서 불필요한 쓰레기는 분리하여 폐기하고 나머지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은 자원 및 에너지 절약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그 중요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건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대안이나 구조적인 시스템이 잘 갖추어지지 않고 있기에 건설페기물들이 도로의 기층, 보조기층재, 콘크리트용 골재 및 우수한 도시 기반 형성재로 재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및 처리시스템은 건축폐기물을 파쇄하고 토분, 금속류, 부유물질 등 기타 쓰레기를 제거한 다음, 유용한 재생골재만을 소요입경별로 분리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은 건축폐기물을 파쇄하는 방법 및 장치, 재생골재를 소요입경별로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쓰레기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들이 핵심기술이라 하겠다.
건축폐기물 중 쓰레기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로는, 재생골재와 쓰레기의 무게차에 따라 물의 부력을 이용하는 것과 풍력을 이용하는 것이 있었다. 물의 부력을 이용하는 장치는 물 세척을 함으로써 재생골재가 깨끗해지고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폐수처리가 어렵고 기계에 물이 묻을 경우 마로율이 높을뿐 아니라 파손될 위험이 많아 관리가 어렵고 겨울에 기계가 얼어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풍력을 이용하는 장치는 폐수처리의 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비산 먼지가 발생하여 비산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살수시설이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건축폐기물 중에서도 특히 모래를 선별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이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4-6887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27640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25295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공개된 기술을 포함하여 종래의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기술을 살펴보면, 콘트리트나 기타 이물질이 섞인 모래를 세척조 안에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있는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그 효율이 떨어진다.
특히 세척시 발생한 시멘트나 기타 이물질의 찌꺼기(이하, 시멘트슬러지라 함)가 세척조 내의 바닥에 그대로 잔존하기 때문에 이들의 처리해야만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낳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모래 세척시 발생한 시멘트슬러지가 세척조 내의 바닥에 잔존하지 않고 모래 세척과 함께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모래 세척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세척수가 담긴 세척조와; 구동수단과;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마련된 복수개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세척조 내에 배치되어 모래를 세척하면서 세척된 모래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마련된 슬러지배출부와; 상기 슬러지배출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되, 상기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이송스크루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조 내에 침지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상기 슬러지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배출부재는, 상기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을 향해 소정각도 경사진 복수의 경사날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경사날개부 각각은 상호 분해조립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날개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러지 배출부재에 인접한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는 세척대상의 모래가 투입되는 투입용호퍼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투입용호퍼의 하부에는 상기 세척대상의 모래 덩어리를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로 투입시켜 상기 세척대상의 모래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전동식 스프레더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동식 스프레더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상기 세척조를 가로지르는 봉과; 상기 봉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대상의 모래 덩어리를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로 투입시켜 상기 세척대상의 모래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스프레딩커터와; 상기 봉의 일단에 마련된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 및 피동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한다.
상기 슬러지배출부에 연계하되, 상기 슬러지배출부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물을 수용하여 내부의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깨끗한 물을 취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조의 타측에는 모래의 세척효율을 배가시키는 샤워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샤워부는 별도의 순환배관에 의해 최후의 침전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순환배관에는 펌프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시멘트슬러지란 시멘트 가루나 입자를 포함하여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 재생모래를 제외한 모든 이물질을 가리키는 용어로써 정의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슬러지 배출부재의 사진, 도 4b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는, 크게 세척조(10), 구동수단(26), 이송스크루(30) 및 슬러지 배출부재(35)를 가지고 있다.
세척조(10)는 실질적으로 모래가 세척되는 장소로써 그 내부에는 통상의 물인 세척수가 담겨져 있다. 도면을 참조할 때, 세척조(10)는 단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다리부재(12)에 의해 지면(14)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세척조(10)에서 지면(14)에 인접하게 위치한 도 2의 좌측 상단을 보면, 세척대상의 모래가 투입되는 투입용호퍼(16)가 마련되어 있다. 참고로, 건축폐기물에서 재활용될 수 있는 모래는 일반적인 모래와는 달리 콘크리트나 기타 이물질 등이 달라붙어 있는 모래 덩어리일 수 있다. 이러한 모래덩어리가 그대로 세척조(10) 내에 투입되면 모래세척에의 효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투입용호퍼(16)의 하부에 별도의 전동식 스프레더(20)를 더 두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전동식 스프레더(20)는 모터(21)와, 모터(21)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22)와, 세척조(10)를 가로지르는 봉(23)과, 봉(23)에 연결된 복수개의 스프레딩커터(24)와, 봉(23)의 일단에 마련된 피동기어(25)와, 구동 및 피동기어(22,25)를 연결하는 체인(26)을 포함한다.
이에, 모터(21)가 동작하면 구동 및 피동기어(22,25), 그리고 체인(26)에 의해 봉(23)이 회전한다. 봉(23)의 회전에 의해 봉(23)에 마련된 복수개의 스프레딩커터(24)가 회전함으로써 투입용호퍼(16)를 통해 투입된 모래 덩어리들은 잘게 부셔진 후, 세척조(10) 내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스프레딩커터(24)의 회전방향과 더불어 그 회전력에 의해 파쇄된 모래덩어리는 세척조(10)의 세척조 내로 강하게 투입되면서 세척조(10)의 표면으로 가능한 한 넓게 퍼져 들어간다. 넓게 퍼져 들어가기 때문에 재생모래의 세척에 보다 효율이 높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프레더(20)의 역할로 인해, 세척 대상의 모래는 1차적으로 모래와 시멘트슬러지 상태로 분리될 수 있다.
세척조(10)의 상부 영역에는 전동식 스프레더(20)에 이격된 위치에 샤워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샤워부(22)는 복수개의 샤워노즐(미도시)을 가지고 세척조(10)를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척조(10) 내에서 이송스크루(30)를 통해 1차로 세척된 모래는 샤워부(22)에 의해 2차로 세척될 수 있기에 모래의 세척효율이 배가될 수 있어 양질의 모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샤워부(22)는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고려할 때, 세척수의 상부로 떠오른 시멘트슬러지를 도 2의 화살표방향을 따라 슬러지배출부(25)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척된 모래에는 더 이상의 시멘트슬러지가 혼합되지 않기에 양질의 모래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스프레딩커터(24)의 회전방향, 샤워부(22)의 물 분사방향, 그리고 슬러지 배출부재(35)의 회전 등에 의해 슬러지배출부(25)로 배출되는 것은 비단 시멘트슬러지뿐만 아니라 물도 함께 배출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세척조(10) 내의 물(세척수)이 줄어들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세척조(10)의 외부에 장착되어 슬러지배출부(25)와 연계한 제1 내지 제3침전조(51~53)를 더 두고 있다. 즉, 도 2를 참조할 때, 슬러지배출부(25)의 배출관(25a)을 통해 배출된 시멘트슬러지와 물은 일단 제1침전조(51)에 침전된다.
일정기간 침전되면, 1차적으로 시멘트슬러지는 가라앉는데, 이 때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제1침전조(51) 내의 물이 제2침전조(52)로 옮겨져 다시 침전되고, 다시 제3침전조(53)로 옮겨져 침전된다. 결국, 제3침전조(53)에 이르면, 시멘트슬러지는 거의 사라지고 깨끗한 물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제3침전조(53)의 깨끗한 물은 별도의 순환배관(54)을 통해 샤워부(22)로 옮겨지고, 샤워부(22)에서는 제3침전조(53)의 깨끗한 물을 다시 세척조(10)로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조(10) 내의 물이 줄어들거나 혼탁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3침전조(53)의 깨끗한 물을 샤워부(22)로 옮기는 수단으로써 순환배관(54)에는 펌프(55)가 마련되어 있고 일영역에는 밸브(56)가 갖춰져 있다.
한편, 세척조(10)에서 지면(14)에 인접하게 위치한 도 2의 좌측 상단을 보면, 슬러지배출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슬러지배출부(25)로는 세척시 발생한 시멘트슬러지가 배출된다.
슬러지배출부(25)에 대향한 세척조(10)에는 구동수단(26)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수단(26)은 이송스크루(30)와 연계되어 있다. 이송스크루(30)는 회전축(31)과 회전축(31)에 마련된 복수개의 회전날개(32)를 갖는다.
이에, 구동수단(26)이 동작하면 구동수단(26)에 연계한 회전축(31)이 회전하면서 회전날개(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세척조(10) 내에 투입된 모래는 세척되면서 이송스크루(3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어 세척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구동수단(26)은 전술한 스프레더(20)의 구성과 유사한 형태로써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슬러지배출부(25)의 하부 영역에는 이송스크루(30)의 회전축(31)에 일체로 장착되어 이송스크루(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세척조(10) 내에 침지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슬러지배출부(25)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부재(35)가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되, 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슬러지 배출부재(35)는, 이송스크루(30)의 회전축(31)에 고정되는 몸체부(36)와, 몸체부(36)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을 향해 소정각도 경사진(θ) 복수의 경사날개부(37)를 포함한다.
복수의 경사날개부(37)는 회전시 시멘트슬러지를 함유한 혼탁한 물을 슬러지배출부(25)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할 때, 슬러지 배출부재(35) 영역에 도시된 수많은 도트(Dot)들이 슬러지 배출부재(35)의 구동시, 소정각도 경사진(θ) 복수의 경사날개부(37)에 의해 상향된 후, 후방으로 이동하여 슬러지배출부(25)로 배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부호 B는 몸체부(36)에 경사날개부(37)를 고정시키기 위해 몸체부(36)와 경사날개부(37) 사이에 용접되는 브래킷이다.
이 때, 복수의 경사날개부(37) 각각은 상호 분해조립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날개부분(37a,37b)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몸체부(36)에 고정된 단위날개부분(37a)에 외측의 단위날개부분(37b)이 3개의 볼트(3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슬러지 배출부재(35)가 동작하여 세척조(10) 내에 침지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슬러지배출부(25)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되풀이 하다 보면, 복수의 경사날개부(37)의 단부가 마모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경사날개부(37) 각각을 상호 분해조립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날개부분(37a,37b)으로 마련하고 있기에 복수의 경사날개부(37)의 단부가 마모되면 마모된 외측의 단위날개부분(37b)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이 그만큼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덩어리가 투입용호퍼(16)를 통해 투입된다. 그러면 전동식 스프레더(20)가 동작하여 복수개의 스프레딩커터(24)가 회전시킴으로써 투입된 모래 덩어리들은 복수개의 스프레딩커터(24)에 의해 잘게 부셔진다.
그리고는 스프레딩커터(24)의 회전방향과 그 회전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세척조(10)의 물로 투입되는 동시에 세척조 내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넓게 퍼진다. 따라서 재생모래에 달라붙어 있던 시멘트슬러지는 1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그 방향으로 볼 때, 슬러지배출부(25)를 향하도록 회전하고 있기에, 1차로 분리된 시멘트슬러지 및 혼탁한 물의 일부분은 이미 슬러지배출부(25)로 향하게 된다.
전동식 스프레더(20)에 의해 1차적으로 재생모래와 시멘트슬러지가 분리된 재생모래가 세척조(10) 내에 투입되면, 구동수단(26)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루(30)에 의해 세척조(10) 내의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이 때, 슬러지 배출부재(35)의 경사날개부(37)는 이송스크루(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세척조(10)의 하단 일측에 모아진 슬러지를 부상시킨다. 그리고는 그 경사진 각도(θ)에 따라 슬러지를 후방으로 배출하여 슬러지배출부(25)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샤워부(22)는 제3침전조(53)로부터 제공된 깨끗한 물을 제공받아 세척수의 표면을 강타한다. 따라서 시멘트슬러지는 샤워부(22)에 의해 강타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는 한편 슬러지 배출부재(35)의 경사날개부(37)에 의해 부상되고 다시 후방으로 옮겨져 슬러지배출부(25)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샤워부(22)를 통해서 나오는 물은 깨끗한 물이고, 슬러지배출부(25)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시멘트슬러지를 포함한 혼탁한 물이기 때문에 세척조(10) 내의 물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스프레더(20), 슬러지 배출부재(35) 및 샤워부(22)에 의한 복수의 과정을 통해 재생모래는 세척되는 동시에 세척시 발생하는 시멘트슬러지는 슬러지배출부(25)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깨끗한 양질의 재생모래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조(10) 내의 물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연속적으로 재생모래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침전조를 3개로 두고 있지만, 2개 이하로 구성하든지 혹은 4개 이상으로 침전조를 구성하든지 무관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모래 세척시 발생한 시멘트슬러지가 세척조 내의 바닥에 잔존하지 않고 모래 세척과 함께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모래 세척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슬러지 배출부재의 사진,
도 4b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척조 12 : 다리부재
16 : 투입용호퍼 20 : 전동식 스프레더
22 : 샤워부 25 : 슬러지배출부
26 : 구동수단 30 : 이송스크루
35 : 슬러지 배출부재 51~53 : 침전조

Claims (8)

  1. 세척수가 담긴 세척조와;
    구동수단과;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마련된 복수개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세척조 내에 배치되어 모래를 세척하면서 세척된 모래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마련된 슬러지배출부와;
    상기 슬러지배출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되, 상기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이송스크루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조 내에 침지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상기 슬러지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 배출부재는, 상기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을 향해 소정각도 경사진 복수의 경사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날개부 각각은 상호 분해조립가능한 복수개의 단위날개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배출부재에 인접한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는 세척대상의 모래가 투입되는 투입용호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용호퍼의 하부에는 상기 세척대상의 모래 덩어리를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로 투입시켜 상기 세척대상의 모래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전동식 스프레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스프레더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상기 세척조를 가로지르는 봉과; 상기 봉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대상의 모래 덩어리를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로 투입시켜 상기 세척대상의 모래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스프레딩커터와; 상기 봉의 일단에 마련된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 및 피동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배출부에 연계하되, 상기 슬러지배출부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물을 수용하여 내부의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깨끗한 물을 취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조를 추가로 포함하는,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타측에는 모래의 세척효율을 배가시키는 샤워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샤워부는 별도의 순환배관에 의해 최후의 침전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순환배관에는 펌프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KR1020040093523A 2004-11-16 2004-11-16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KR100498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23A KR100498119B1 (ko) 2004-11-16 2004-11-16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23A KR100498119B1 (ko) 2004-11-16 2004-11-16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8119B1 true KR100498119B1 (ko) 2005-07-01

Family

ID=3730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523A KR100498119B1 (ko) 2004-11-16 2004-11-16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1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961B1 (ko) * 2007-12-03 2008-07-11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순환골재의 표면박리와 입도개선 장치
KR100938567B1 (ko) * 2008-03-19 2010-01-25 주식회사 프레코 놀이터용 모래 세척장치
KR101177303B1 (ko) 2010-06-04 2012-08-30 윤지영 폐 콘크리트원석의 세척분리장치
KR101745833B1 (ko) * 2016-08-11 2017-06-09 유) 태경 나선라이너와 면상라이너에 의한 마쇄 기능과 세척-이송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종말 처리기
KR101969720B1 (ko) * 2018-10-12 2019-08-13 박용탁 모래 세척 드럼
CN111195599A (zh) * 2020-03-12 2020-05-26 舟山市东杭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建筑原料的全自动清洗装置
KR102197370B1 (ko) 2020-04-29 2020-12-31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파쇄기능이 포함된 로더밀 동시 회전형 선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961B1 (ko) * 2007-12-03 2008-07-11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순환골재의 표면박리와 입도개선 장치
KR100938567B1 (ko) * 2008-03-19 2010-01-25 주식회사 프레코 놀이터용 모래 세척장치
KR101177303B1 (ko) 2010-06-04 2012-08-30 윤지영 폐 콘크리트원석의 세척분리장치
KR101745833B1 (ko) * 2016-08-11 2017-06-09 유) 태경 나선라이너와 면상라이너에 의한 마쇄 기능과 세척-이송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종말 처리기
KR101969720B1 (ko) * 2018-10-12 2019-08-13 박용탁 모래 세척 드럼
CN111195599A (zh) * 2020-03-12 2020-05-26 舟山市东杭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建筑原料的全自动清洗装置
CN111195599B (zh) * 2020-03-12 2024-05-28 舟山市东杭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建筑原料的全自动清洗装置
KR102197370B1 (ko) 2020-04-29 2020-12-31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파쇄기능이 포함된 로더밀 동시 회전형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994503U (zh) 一种垃圾破碎浮选装置
CN210393963U (zh) 一种泥浆脱水处理系统
CN208105171U (zh) 一种多级高效一体化冰雪处理车
CN108343023A (zh) 一种多级高效一体化冰雪处理车
CN205816394U (zh) 移动式水选轻物质分离机
KR100498119B1 (ko)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CN113578474B (zh) 一种用于节能建筑的再生回收装置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100943230B1 (ko) 다수의 임팩트 바와 임팩트 패널이 장착된 시멘트 페이스트 박리장치
CN111346726A (zh) 移动式洗砂站
KR100764136B1 (ko)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CN104815834A (zh) 砂石分离机
CN212120789U (zh) 砂石分离回收系统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CN210206167U (zh) 混凝土废水回收系统
CN113941586B (zh) 一种建筑废弃物再生处理设备
CN113800713B (zh)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0616525B1 (ko) 골재 세척장치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CN215143279U (zh) 一体化有机垃圾处理装置
KR20030078574A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CN113058846A (zh) 一种新型振动式砂石分离机
CN211885783U (zh) 一种斗提式细砂回收设备
KR200275796Y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
CN204602788U (zh) 砂石分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