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066B1 -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066B1
KR100498066B1 KR10-2000-0079218A KR20000079218A KR100498066B1 KR 100498066 B1 KR100498066 B1 KR 100498066B1 KR 20000079218 A KR20000079218 A KR 20000079218A KR 100498066 B1 KR100498066 B1 KR 10049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meandering
roll
casting machin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894A (ko
Inventor
박철민
김완수
하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7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06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3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by liquid pressure, e.g. hydromechanical adju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04Lateral deviation, meandering, camber of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주조기에서 주조되어 압연되는 박판의 중앙을 사행발생이 없도록 올바르게 교정하면서 박판인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판주조기에서 주조되어 압연기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박판이 로울러테이블(90)상을 일방향 진행하면서 발생되는 사행을 교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하부면과 외주면이 접하여 아이들구동되는 제 1,2하부롤(10)(20)을 하부프레임(15)상에 박판의 폭방향으로 각각 갖추고, 상기 제 1,2하부롤(10)(20)사이에 위치하고, 하강작동시 상기 박판의 상부면과 외주면이 접하여 아이들구동되는 상부롤(30)을 갖추며, 상기 상부롤(30)의 좌우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블록(31)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40a)(40b)를 상부프레임(17)에 갖추는 한편, 상기 제 1,2하부롤(10)(20)상을 통과하는 박판의 좌우에지부를 감지하여 사행발생시 상기 실린더부재(40a)(40b)를 하강작동시키는 광센서(50a)(50b)를 포함하는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apparatus for arranging strip center in strip caster}
본 발명은 박판주조기에서 주조되어 압연되는 박판의 중앙을 사행발생이 없도록 올바르게 교정하면서 박판인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쌍롤식 박판주조기는 용강이 채워진 턴디쉬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서 용강을 수냉되고 있는 한쌍의 주조롤사이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주조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들의 표면에서 생성된 한쌍의 응고쉘이 근접점에서 합체되어 두께 1 내지 6 mm 정도의 주편을 연속적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 주편을 상,하부롤로 이루어진 압연기를 통과시킴으로서 박판을 주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연기의 후단에는 주조된 주편을 통과시켜 원하는 두께로 압연된 박판을 출측으로 이동안내하는 로울러테이블이 설치되고, 이러한 로울러테이블에서는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로울러테이블에는 통상 압연된 박판을 냉각시킬수 있는 스프레이장치, 박판에 인장을 주기 위한 장치, 코일러까지 일방향 진행되는 박판진행시 발생되는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 박판표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장치, 박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이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박판이 로울러테이블상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는 사행현상없이 코일러까지 진행되어야 하는데, 박판의 사행은 여러 조건에 의해 알 수 없는 위치로 발생되며, 종래에는 이러한 사행을 교정하기 위하여 CPC(center position controll)장치를 장착해서 박판진행시 발생되는 사행을 방지하고 하였으나, 상기 박판이 진행되는 로울러 테이블이 길면 사행을 교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즉, 상기 박판이 진행되는 로울러 테이블의 전체길이 중앙부에 CPC장치를 설치해 놓으면 상기 CPC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전후방을 진행하는 박판의 사행을 교정할수 있지만, 상기 장치가 사행을 교정할수 없는 영역에서는 박판사행이 발생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또다른 CPC장치를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로울러 테이블에 가이딩 플레이트 또는 가이드 롤을 장착하여 박판을 정렬하여 사행을 교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통상 대부분의 박판주조기를 운용하는 나라에서는 CPC장치 또는 EPC(edge position controll)장치를 사용하여 박판의 사행을 조절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CPC장치나 EPC장치에서 사행을 교정하는 메커니즘은 사다리꼴 형상의 4절 링크로 되어 있으며 박판의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와 사절링크를 움직이는 유압실린더, 주편을 핀칭(pinching)하는 유압실린더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은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박판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4절링크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로 신호를 보내면, 상기 박판이 핀칭된 상태에서 롤이 틸팅(tilting)하게 되어 사행된 박판을 올바르게 바로 잡아주는 것이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전,후방 중 한곳을 잡아주는 방법으로 보통 후방의 박판 사행을 교정하며, 이것도 조절범위를 넘기면 조절이 불가해지는 장치운영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연후 로울러테이블을 타고 진행하는 박편의 사행을 간편하게 교정함과 동시에 박판의 인장을 조정할수 있고, 설치비용 및 운전비용을 절감할수 있는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박판주조기에서 주조된 주편이 압연기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로울러테이블상을 일방향 진행하면서 발생되는 사행을 올바르게 교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하부면과 외주면이 접하여 아이들구동되는 제 1,2하부롤을 하부프레임상에 박판의 폭방향으로 각각 갖추고, 상기 제 1,2하부롤사이에 위치하고, 하강작동시 상기 박판의 상부면과 외주면이 접하여 아이들구동되는 상부롤을 갖추며, 상기 상부롤의 좌우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블록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를 상부프레임에 갖추는 한편, 상기 제 1,2상부롤상을 통과하는 박판의 좌우에지부를 감지하고 사행발생시 상기 실린더부재를 하강작동시키는 광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에 채용되는 롤부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조후 압연기를 거치면서 압연된 박판이 로울러테이블(90)상을 일방향 진행되는 도중 발생되는 박판의 우측 또는 좌측 사행을 롤외부면과 박판과의 접촉면차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교정함과 동시에 박판의 인장을 조정할수 있도록 로울러테이블(90)의 길이중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00)는 제 1,2하부롤(10)(20), 상부롤(30), 실린더부재(40a)(40b) 및 광센서(50a)(50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2하부롤(10)(20)은 바닥면에 위치고정된 하부프레임(15)상에 좌우양단의 베어링블록(11)(21)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박판의 진행을 일방향으로 안내할수 있도록 복수개의 안내롤(95)을 갖는 로울러테이블(90)의 길이중간에 상기 박판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2하부롤(10)(20)은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하부면과 그 외주면이 서로 접하여 아이들구동되며, 상기 제 1,2하부롤(10)(20)과 안내롤(95)은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30)은 상기 제 1,2하부롤(10)(20)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되고, 하강작동시 상기 박판의 상부면과 외주면이 접하여 아이들구동되는 롤부재이며, 상기 상부롤(30)의 좌우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블록(31)은 상부프레임(17)의 좌우양단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부재(40a)(40b)의 로드선단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18)은 중간프레임(18)을 매개로 하여 하부프레임(15)과 확고히 연결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8)의 선단에는 상기 제 1,2하부롤(10)(20)의 상부를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의 좌우에지부를 감지하여 박판의 사행여부를 판단하는 좌우한쌍의 광센서(50a)(50b)을 갖추며, 상기 광센서(50a)(50b)는 박판의 사행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실린더부재(40a)(40b)측으로 전송하여 로드선단을 하강작동시킴으로서 이에 장착된 상부롤(30)을 박판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50a)(50b)는 박판의 에지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설정된 관측값과 비교하여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관찰하고, 박판이 사행되는 상태를 디지털신호로 전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로 갖추어지며, 압연되는 박판의 폭크기에 맞추어 적절히 좌우 설치폭을 넓히거나 좁힐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7)의 선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상,하부롤(10)(20)(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과 접촉시 접촉면적의 차이에 의해서 접촉이 많은 쪽으로 이동하려는 속도벡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좌우양단에 1:12 또는 1:15의 경사구배를 갖는 경사부(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경사부(2)는 상기 박판의 1.5 내지 1.8배의 길이를 갖는 롤전체길이의 1/4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박판주조기에서 주조된 주편은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일정두께로 압연이 이루어지고, 압연된 박판은 코일형태로 박판을 권취하는 코일러까지 로울러테이블(90)을 타고서 일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일방향으로 진행하던 박판은 상기 로울러테이블(90)의 길이중간에 설치된 제 1,2하부롤(10)(20)의 외부면에 하부면이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 1,2하부롤(10)(20)을 아이들회전시키면서 일방향으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7)의 선단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광센서(50a)(50b)에 의해서 관측되는 상기 박판 좌우양단의 에지부가 관측범위내에 있으면, 이는 박판이 사행발생없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실린더부재(40a)(40b)에 장착된 상부롤(30)를 상승상태 그대로 배치시킨다.
반면에, 상기 광센서(50a)(50b)에 관측되는 박판의 좌우 에지부중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박판이 좌측으로 사행됨으로서 상기 상부프레임(17)의 좌측 광센서(50a)에서 측정되는 박판에지부의 관측량이 많아지고, 우측 광센서(50b)에서 측정되는 박판에지부의 관측량이 적어지면, 상기 광센서(50a)(50b)는 박판의 사행이 발생됨으로 판단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신호가 실린더부재(40a)(40b)측으로 전송되어 로드선단을 하강작동시킴으로서 이에 장착된 상부롤(30)은 좌측으로 사행되어 진행하는 박판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경우, 좌우양단에 경사부(2a)(2b)를 갖는 상부롤(30)은 좌측으로 사행되어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상부면에 가압되어 접해지면서 그 접촉부위에 마찰력을 발생키키면서 아이들회전구동되고, 이와 동시에 제 1,2하부롤(10)(20)도 박판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부위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아이들회전구동된다.
이때, 좌측으로 사행된 박판의 좌측에지부는 경사부(2a)측으로 이동되면서 롤외부면과의 접촉면적이 적어지게 되는 반면에, 그 반대편인 우측에지부는 롤외부면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즉, 상기 박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경사부(2a)측으로 이동된 박판의 상부면과 롤과의 접촉면적보다 그 반대측 박판상부면과 롤과의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박판좌우양측의 상부면에서는 서로 다른 마찰력이 발생되게 되며, 이는 경사부(2a)(2b)를 갖는 제 1,2하부롤(10)(20)과 접하는 박판의 하부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좌측 접촉면에서의 마찰력보다 우측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는 마찰력의 차이로 인해서 상기 박판에는 직진속도벡터(V)에 대하여 우측속도벡터(V1)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좌측으로 사행된 박판은 접촉면적이 많이 일어나는 우측으로 진행되면서 박판진행을 올바르게 유지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반대로 도 4(c)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방향 진행하던 박판이 우측으로 사행됨으로서 좌측 광센서(50a)에서 측정되는 박판에지부의 관측량은 적어지는 반면에, 우측 광센서(50b)에서 측정되는 박판에지부의 관측량이 많아지면, 상기 광센서(50a)(50b)에서 발생되는 사행검지신호에 의해서 실린더부재(40a)(40b)가 하강작동되면서 상부롤(30)이 하강작동되어 우측으로 사행진행하는 박판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경우, 우측으로 사행된 박판의 좌측에지부는 좌측 경사부(2a)로부터 벗어나 롤외부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는 반면에 우측에지부는 우측 경사부(2b)측으로 이동되어 접촉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상기 우측으로 사행된 박판좌우양측의 상부면과 롤외부면에서는 서로 다른 마찰력이 발생되게 된다.
즉, 우측 접촉면에서의 마찰력보다 좌측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는 마찰력의 차이로 인해서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에는 직진속도벡터(V)에 대하여 좌측속도벡터(V2)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우측으로 사행된 박판은 접촉면적이 많이 일어나는 좌측으로 교정진행되면서 박판진행을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올바르게 유지할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박판의 진행중심이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롤의 중심과 서로 일치되어 상기 박판의 좌우양단 에지부가 광센서(50a)(50b)의 관측범위이내에 측정되면, 상기 실린더부재(40a)(40b)는 상승복귀되어 상부롤(30)을 박판상부면으로부터 이격복귀시킨다.
한편, 우측 또는 좌측으로 사행된 박판을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한 상부롤(30)의 하강작동시 상기 제 1,2하부롤(10)(20)상을 주행하던 박판이 제 1,2하부롤(10)(20)사이로 하강되는 상부롤(30)의 외부면에 접하여 하부로 쳐지게 됨으로서 상기 박판의 인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부재(40a)(40b)의 작동시 하강되는 로드선단이 작동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박판에 인가되는 인장크기를 적절히 조절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박판주조기에 주조되어 압연기를 거치면서 제조된 박판이 로울러테이블을 거쳐 코일러까지 일방향 진행하는 동안 발생되는 사행을 올바르게 교정함과 동시에 박판의 인장을 조정함으로서 설비의 비용을 절감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줄일수 있고, 박판의 올바른 정렬로 인하여 로울러테이블상에서의 여러 가지 작업을 무리없이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에 채용되는 롤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a)(b)(c)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a,2b ... 경사부 15,17 ... 상,하부프레임
10,20 ... 제 1,2하부롤 30 .... 상부롤
40a,40b ... 실린더부재 50a,50b ... 광센서
90 ... 로울러 테이블 95 .... 안내로울러

Claims (2)

  1. 박판주조기에서 주조되어 압연기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박판이 로울러테이블(90)상을 일방향 진행하면서 발생되는 사행을 교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하부면과 외주면이 접하여 아이들구동되는 제 1,2하부롤(10)(20)을 하부프레임(15)상에 박판의 폭방향으로 각각 갖추고, 상기 제 1,2하부롤(10)(20)사이에 위치하고, 하강작동시 상기 박판의 상부면과 외주면이 접하여 아이들구동되는 상부롤(30)을 갖추며, 상기 상부롤(30)의 좌우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블록(31)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40a)(40b)를 상부프레임(17)에 갖추는 한편, 상기 제 1,2하부롤(10)(20)상을 통과하는 박판의 좌우에지부를 감지하여 사행발생시 상기 실린더부재(40a)(40b)를 하강작동시키는 광센서(50a)(50b)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롤(10)(20)(30)은 일방향 진행하는 박판과 접촉시 접촉면적의 차이에 의해서 접촉이 많은 쪽으로 이동하려는 속도벡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좌우양단에 1:12 또는 1:15의 경사구배를 갖는 경사부(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경사부(2)는 상기 박판의 1.5 내지 1.8배의 길이를 갖는 롤전체길이의 1/4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2. 삭제
KR10-2000-0079218A 2000-12-20 2000-12-20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KR10049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218A KR100498066B1 (ko) 2000-12-20 2000-12-20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218A KR100498066B1 (ko) 2000-12-20 2000-12-20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894A KR20020049894A (ko) 2002-06-26
KR100498066B1 true KR100498066B1 (ko) 2005-07-01

Family

ID=2768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218A KR100498066B1 (ko) 2000-12-20 2000-12-20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111B1 (ko) * 2016-04-21 2018-01-08 윤상도 이송물의 이송 상태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29Y1 (ko) * 2008-07-11 2011-01-07 오창준 육묘용 파종기
KR101243249B1 (ko) * 2010-08-16 2013-03-13 주식회사 포스코 박판 사행 방지용 로울러 테이블 및 사행방지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912B2 (ko) * 1972-06-26 1976-05-20
JPH05138249A (ja) * 1991-11-25 1993-06-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の蛇行修正装置
JPH05213502A (ja) * 1992-02-05 1993-08-24 Sumitomo Metal Ind Ltd 薄ウエブの蛇行修正方法および装置
JPH0796317A (ja) * 1993-09-29 1995-04-11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の蛇行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KR19990023051U (ko) * 1997-12-02 1999-07-05 이구택 강판사행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912B2 (ko) * 1972-06-26 1976-05-20
JPH05138249A (ja) * 1991-11-25 1993-06-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の蛇行修正装置
JPH05213502A (ja) * 1992-02-05 1993-08-24 Sumitomo Metal Ind Ltd 薄ウエブの蛇行修正方法および装置
JPH0796317A (ja) * 1993-09-29 1995-04-11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の蛇行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KR19990023051U (ko) * 1997-12-02 1999-07-05 이구택 강판사행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111B1 (ko) * 2016-04-21 2018-01-08 윤상도 이송물의 이송 상태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894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066B1 (ko)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US5778717A (en) Process and device for rolling bands with uneven thickness and/or length distribution over their width
KR970061736A (ko) 벨트공급장치의 센터링방법 및 장치
KR200186051Y1 (ko) 스트립 판쏠림 교정장치
JP2001105025A (ja) 帯状体の圧延又は巻上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200121877A (ko) 압연기 및 압연기의 제어 방법
KR20150073760A (ko) 표면 결함방지 및 롤 갭 조절 기능을 갖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JP2698048B2 (ja) 金属板または金属条の巻き取り装置
JP4288888B2 (ja) タンデム圧延機におけるストリップの蛇行制御装置及び蛇行制御方法
EP2714562A1 (en) Unrolling device, particularly for materials in rolls, with material alignment control
JP4160943B2 (ja) 鋼板の幅方向伸び率分布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019465A (ko) 냉연 루퍼의 스트립 사행 감지/교정장치
JP4741117B2 (ja) 条材滞留装置
JP3421718B2 (ja) スキンパスミルにおける蛇行防止方法
JPH0532135B2 (ko)
KR100775230B1 (ko)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KR100909687B1 (ko)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KR100406382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용 박판위치 제어장치
KR20000014375U (ko) 스트립의 사행방지장치
JP2993376B2 (ja) 蛇行防止機能を有する熱間連続仕上圧延機
JP2001179323A (ja) 上反り防止装置及び上反り防止方法
KR0123901Y1 (ko) 루우핑 타워의 뱅크 레벨 조정 장치
KR0158581B1 (ko) 열연강판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가열식 열간압연방법
JPH03189011A (ja) 仕上圧延機入側の蛇行制御装置
JP2001025809A (ja) 連続圧延機における蛇行制御方法および蛇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