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699B1 -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699B1
KR100496699B1 KR1019970023295A KR19970023295A KR100496699B1 KR 100496699 B1 KR100496699 B1 KR 100496699B1 KR 1019970023295 A KR1019970023295 A KR 1019970023295A KR 19970023295 A KR19970023295 A KR 19970023295A KR 100496699 B1 KR100496699 B1 KR 10049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actuating device
energy accumulator
output element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036A (ko
Inventor
파울 마우처
Original Assignee
루크 게트리에베시스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게트리에베시스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루크 게트리에베시스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8000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9/00Clutches and systems of clutches involving both fluid and magnetic actuation
    • F16D29/005Clutches and systems of clutches involving both fluid and magnetic actuation with a fluid pressure piston driven by an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4Control of electr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성 요소, 예를 들면 토크 전달 시스템 및 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장치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작동장치
발명은 차량에서 변속기나 토크 전달 시스템 같은 작동가능한 제어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장치에 관련하고 차량은 구동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구동장치와 출력요소를 포함하고 출력요소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인 힘 작용이 일어남으로써 작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한다.
이런 종류의 작동장치는 DE OS 195 04 847 에서 공지된다. 토크전달 시스템을 위한 작동장치에서 작동장치는 힘 지지를 위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어큐뮬레이터는 선형으로 배열되어 선형 작동경로 및 힘 관계가 제공된다.
상기 발명의 목적은 조절된 힘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언급한 것 같은 작동장치를 제공하고 경로가 조절된 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방향에서 구동모터의 힘 지지를 발생하는 출력 요소에 작동하는 힘 지지를 포함한다. 발명의 목적은 구조의 공간 비용과 재료 비용에 대해 유리하게 구성된 상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곡선형태 또는 캠 디스크 또는 캠 같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인 힘 작용 요소는 구동연결부를 포함하는 작동연결상태로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 작용은 요소의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출력요소에 작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가능한 제어요소를 제어하고 기어를 전이하거나 선택하고 토크전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작동장치를 포함하고 작동장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구동장치는 출력요소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구동연결부를 통한 실제 연결에서 출력요소 뿐만 아니라 변속기에 적용된다. 캠 디스크, 곡선형태 또는 캠 같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힘 작용요소가 구동장치와 출력 요소사이에서 구동연결부에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 작용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출력요소에 작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캠 디스크, 곡선형태 또는 캠 같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힘 작용요소는 3차원 기하학적 형태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작용되어 출력요소로 힘전달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서 개시되어 일어난다면 이롭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캠 디스크, 곡선형태 캠 경로 또는 캠 같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힘 작용 요소는 작동가능한 제어요소와 작용될 때 운동하도록 설정된 요소이다.
작동장치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서 출력요소까지 힘 작용의 힘 조절은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의 운동과 힘 작용 형태의 힘 작용의 경우에 발생한다.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제어요소가 작동될 때 적어도 한 방향으로 운동을 수행한다.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직선과/또는 원운동과/또는 축과/또는 반경방향과/또는 원주방향으로 움직인다.
발명에 의하면, 요소의 3차원적 기하학적 힘작용 형태는 직선 방향과/또는 축과/또는 반경방향과/또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요소의 3차원 기하학적 힘작용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작용이 실제 직선과/또는 축과/또는 반경과/또는 원주방향인 것이 유리하다.
또 요소의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가 실제로 직선과/또는 축과/또는 반경과/또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면 이롭다.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통해 형태의 힘 작용은 출력요소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면 이롭다.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통해 형태의 힘 작용은 출력요소의 작동운동 방향과/또는 작동운동에 직각으로 나누어지면 이롭다.
기어장치가 구동장치와 출력요소 사이에서 구동연결부에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힘 작용 형태인 3차원 기하학적 요소가 구동장치, 구동연결부에서 요소 또는 출력요소와 작동 연결상태가 이롭다.
또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일차원 또는 2차원 회전 캠 디스크 캠 경로 또는 캠을 포함한다. 또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일차원 또는 2차원 선형 또는 축방향 변위 캠디스크, 캠 경로 또는 캠을 포함한다.
발명에 따라서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가 3차원 캠 디스크, 캠경로 또는 캠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3차원 기하학적 형태에 힘이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슬라이드 슈(slide shoe), 롤러(Roller)와/또는 롤링 베어링(rolling bearing)을 포함하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형태에서 지지되면 이롭다.
또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레버(lever)같은 요소에 작용하고 레버는 3차원 기하학적 요소의 형태에 작용하는 슬라이드 슈, 롤러 또는 롤링 베어링을 포함하는 제 2 영역과 제 1 영역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면 이롭다.
적어도 하나의 어큐뮬레이터가 선형안내에 의해 설치되는 요소에 작용하고 3차원 기하학적 요소의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에 작용하면 이롭다.
적어도 하나의 어큐뮬레이터가 영역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그리퍼(gripper)같은 요소에 작용하고 3차원 기하학적 요소의 형태에 작용하면 이롭다.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스터드 같은 베어링 영역에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에 작용하고 출력요소에 작용하는 요소는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영역에서 지지되면 이롭다.
또, 3차원 기하학적 형태에서 지지와/또는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작용은 슬라이딩(sliding) 롤링(rolling)작용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발명에 따라서 구동장치가 전기모터, 전자석 또는 전기기계인 것이 유리하다.
구동장치가 유압, 유공압 또는 공압구동장치와 같은 가압매체작동식 구동장치인 것이 유리하다.
또, 출력요소의 작동경로를 통해 조절된 출력 요소의 힘 작용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운동과 이 형태의 힘 작용의 결과로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에 발생하면 이롭다.
힘 지지는 출력요소에서 작동경로의 일부영역에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힘지지가 작동 경로의 과정시 표시의 변화에 적용되는 곳에 영향을 미치면 이롭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가능한 제어요소를 제어하고 변속기의 변속비를 선택하거나 전이하며 차량내에서 토크전달시스템을 작동시키며, 구동장치 및 변속기를 가지고, 작동을 위해 구동연결부를 통해 변속기와 연결되는 출력요소를 가지며, 출력요소를 작동시키는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가진 작동장치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 작용은 출력요소에 작용하고,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사점 스프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반대편에 배열되고 각자는 사점 스프링 같은 출력요소에 작용하면 이롭다.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사점 스프링 처럼 배열되어 제 1 끝지역은 출력요소에 배열된 스위벨(swivel)이고 제 2 끝지역은 용기에 배열된 스위벨(swivel)이면 이롭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가능한 제어요소를 제어하고 변속기의 변속비를 선택하거나 전이하며 차량내에서 토크전달 시스템을 작동시키며, 구동자치 및 변속기를 가지고, 작동을 위해 구동연결부를 통해 변속기와 연결되는 출력요소를 가지며, 출력요소를 작동시키는 두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작동장치에 있어서, 두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 작용이 출력요소에 작용하고, 두 개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들이 직렬로 배열된다.
또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예비인장상태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이인 것이 유리하다.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압축 스프링, 판 스프링, 루프(loop)스프링 또는 금속, 고무 또는 플라스틱재질의 탄성요소와 같은 스프링인 것이 유리하다.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면 이롭다.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기어요소와 함께 통합되어 형성되면 이롭다.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출력요소와 함께 통합되어 형성되면 이롭다.
발명의 변형으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구동장치와 출력요소 사이 작동연결에서 요소와 통합되어 형성되면 이롭다.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구동장치와 출력요소 사이 작동연결에서 요소에 연결되면 이롭다.
도 1 은, 구동 모터, 토크전달 시스템 및 변속기를 포함한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에서 변속기의 기어를 작동 변속하고 토크전달 시스템(2)을 자동 작동시키는 작동장치를 나타낸다. 토크전달 시스템은 제어 유닛을 통하여 이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고 토크전달 시스템에 의해 전달된 토크는 계획대로 제어될 수 있다. 변속기는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인데 자동 변속기를 사용하면 기어 단은 장치에 의해 계획적으로 연결, 변경 및 분리된다. 이 기어 단은 작동장치의 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토크전달 시스템 및 변속기의 자동작동을 위한 작동장치(1)는 전기 모터로 형성될 수 있는 구동유닛(3)을 가진다. 작동장치의 구동유닛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유닛과 같은 가압-매체-작동 유닛이나 전자기식 유닛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 에 나타낸 실시예는, 전기 모터(3)가 포함된 작동장치(1)의 하우징(4)을 보여주는데, 여기에서 모터 출력 샤프트(5)는 6, 6a 와 7 에서 장착된다. 전기 모터(3)는 하우징(4)의 바깥쪽에서 조립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모터 출력 샤프트(5)는 하우징(4)에서 오우프닝을 통하여 전기 모터와 맞물린다. 전기 모터(3)의 극 하우징(3a)은 나사, 리벳 또는 푸시-인 접속부에 의해 장치의 하우징(4)에 연결된다.
변속기는 모터 출력 샤프트 뒤에 장착될 수 있어서 전기모터 출력 샤프트의 회전 운동 같은 구동 운동은 다른 형태의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낸 실시예는 출력부에서 크랭크 기어장치와 출력부에서 워엄 기어장치를 가진다.
두 베어링(6,7) 사이의 영역에서 워엄장치는 모터 출력 샤프트(5)와 연결되는 것이 선호되고 모터 출력 샤프트(5)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이 워엄은 도 1 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워엄기어 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워엄은 워엄 기어휠(8)과 맞물린다.
워엄 기어 장치 대신에, 유성기어 장치, 스퍼어 기어장치, 원뿔 풀리 기어장치, 스핀들 기어장치 등의 다른 기어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워엄 장치는 축(9)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워엄 기어휠(8)을 구동시킨다. 또 크랭크 로드(11)는, 작동장치의 가압 매체 작동 주 실린더(12)를 작동시키는 워엄 기어 휠과 스터드(10)를 통하여 연결된다.
크랭크 로드(11)와 같은 요소는 유압식 주 실린더(13)와 같은 가압 매체 주 실린더의 피스톤(12)과 구동연결되고 유압식 중동실린더(15)와 같은 가압 매체 중동실린더, 종동실린더 피스톤(14)의 축방향 위치를 주 실린더 피스톤(12)의 축 방향 변위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가압된 매체 통로(12,13,14)는 유압통로 또는 공압식 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크랭크 로드(11)와 주 실린더 피스톤(12) 사이의 연결은 연결부(16)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연결부는 보올 조인트 또는 다른 일반적인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고 조립하는 동안 스냅 연결부를 통하여 좀더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유압식 종동실린더의 출력부(17)는 작동장치의 출력부로서 역할을 하는데 이것은, 계획대로 전달토크를 설정하고 클러치를 분리 및 연결하기 위해서 분리 베어링(19)의 축 방향 위치가 조절되도록 분리된 포크(18)에 작용한다.
토크전달 시스템(2)은, 플라이휠(23)에 장착된 판 스프링(22), 클러치 디스크(21), 압력판(20)을 가지는 마찰 클러치로 나타내었는데 여기에서 클러치 커버는 24로 표시되었다. 축 방향 운동을 하는 동안 분리 베어링(19)은 판 스프링(22)을 작동시키고 클러치는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마찰 클러치는 마모를 보상하는 자기조절 클러치이다. 토크전달 시스템은 다판 클러치, 토크 컨버터의 클러치와 연결된 컨버터 또는 다른 형태의 클러치이다. 마찰 클러치는 건식 마찰 클러치 또는 유체속에서 젖은 상태로 있는 습식 마찰 클러치이다.
자동차의 변속기는 수동 변속기 또는 자동 변속기로 형성된다. 또 변속기는, 스텝 자동 변속기 또는 무단조절이 가능한 벨트-접촉 원뿔 풀리 변속기와 같은 무단변속기로 형성된다.
작동장치는, 토크전달 시스템을 연결하고 분리하고 전술한 형태의 변속기를 변속하는데 사용된다.
분리 포크(18)에 의한 클러치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로서 판 스프링(22)의 힘에 맞서 작동된다. 이 분리장치는 중심 분리 부재일 수도 있다.
작동장치(1) 내부에 하우징 부분(27)에서 유지되는 부분품(26)에서 25의 한쪽 단부에 의해 지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5)가 배열되는데 여기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다른쪽 단부는, 고정 링(29)을 통하여 크랭크 로드(11)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부분품(28)에서 유지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5)는 크랭크 로드(11)의 축과 동축으로 배열되고 토크전달 시스템의 분리방향 또는 연결방향으로 크랭크 로드(11)의 운동을 유지한다. 코일 압축 스프링과 같은 적절하게 선택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5)의 요구에 따라 에너지 저장장치는 부분품(11)의 작동 통로의 일부분을 통하여 분리 과정을 수행하는 힘을 가하고 분리 과정에 반작용하는 힘을 축방향 통로의 다른 성분에 가한다. 따라서 크랭크에서 힘의 작용변화를 나타내는 표시가 나타날 수 있다.
작동장치(1)는, 곡선형태를 취하고 워엄 기어휠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연결된 3차원 요소(30)를 가진다. 워엄 기어휠(8)을 가지는 요소(30)는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연결부를 만드는 푸시-인 연결부, 또는 나사 및 리벳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 워엄기어 휠(8)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한데 요소(30)는 사출성형 공정시 곡선형태를 취하고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워엄 기어휠로 끼워넣어진다. 그러나 이 부분품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형태를 가지는 요소(30)는, 곡선 형태를 통하여 힘을 가하기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에 힘이 작용된다. 곡선 형태의 변화는, 작동 경로 또는 작동운동에 따라 힘의 작용을 변화시킨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50)는 롤러를 가진 레버 등에 의해 직간접으로 곡선형태에 힘을 가한다.
곡선 형태는, 곡선형태에 작용하는 힘을 운동방향의 부분과 운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으로 나눈다. 여기에서 운동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힘을 유지하거나 보상한다.
도 2 는, 워엄 기어장치와 같은, 출력부에서 변속기와 모터 출력 샤프트(102)를 가지는 전기 모터같은 구동유닛(101)을 포함한 작동장치(100)를 나타내는데 워엄장치는 도 2 에 나타나 있지 않다. 워엄 장치는, 크랭크(104)를 통하여 출력요소(105)를 구동하는 워엄 기어휠(103)과 맞물린다. 크랭크(104)는 면적(106)에 장착되고 워엄 기어휠은 영역(107)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모터 샤프트(102)는 베어링(110,111)에 의해 장착된다.
3차원 기하학적 요소(120)는 워엄 기어휠(103)과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연결되어서 요소(120)는 곡선형태 또는 캠 디스크와 같은, 형태를 취한다. 레버요소(123)는 영역(122)에 회전하게 장착되고 롤러(125)는 요소(130)의 영역(124)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26)는 레버(123)에 작용하여서 롤러(125)는 요소(120)의 형태(121)에 대해 작용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돌출한 요소(130,131)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서 그것은 미끄러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요소(130,131)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중심 축 방향 오우프닝에 맞물리게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을 통하여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변위에 대해 안전하게, 손실에 대해 안전하게 장착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26)에서 출발하고 곡선형태(121)로 레버(123)와 롤러(125)를 통하여 전달되는 힘은 힘의 평행 사변형에 따라 결합점에서 나누어지는데 이 힘은 방사상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분과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방사상 방향에서 힘의 성분은 축(107)에서 중심으로 작용한다.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크랭크(104)와 출력요소(105)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달성된 유지력 또는 출력요소(105)에 작용하는 작동력의 보상력은, 운동에 따라, 캠 디스크 또는 캠과 같은 3차원 기하학적 요소(120)의 곡선 형태(121)를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방사상 및 원주상으로 작용하는 힘의 성분은 회전 캠 디스크를 작동시킨다. 일반적으로 곡선 형태에 작용하는 힘은, 운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 뿐만 아니라 운동 방향과 평행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보상 스프링의 곡선형태로 제어된 작동력을 통하여 사용용도에 따르는 보상운동 또는 보상력 분배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 의 실시예에서 스프링(126)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레버(123)를 통하여 워엄 휠(103)에서 곡선 형태(121)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준다. 워엄 휠의 회전축(107)에서 스프링/곡선 형태 접촉점의 거리가 변하면 원주방향으로 모멘트가 생긴다. 이 작동 모멘트가 출력요소(105)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발생한 모멘트를 유지하거나 제거하도록 곡선형태는 형성된다. 곡선형으로 제어된 보상 스프링으로 곡선 형태의 변화를 통하여 조절통로의 개개의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보상 작용을 제한할 수 있는데, 이것은 곡선 형태(121)의 회전각 전체에 걸쳐 곡선 형태의 반경변화가 각도의 일부 영역에서만 나타나서 달성될 수 있다. 회전각의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바뀌지 않은 반경이 제공될 수 있다.
곡선 형태는 작동 모멘트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바꿀 수 있다.
이 힘은, 그것이 한 방향으로 전체 작동 경로에 걸쳐 작용하거나 작동 경로에서 방향 등을 바꾸도록 작용한다. 이와 비슷하게 작동력의 크기는 전체 작동 경로에 걸쳐 바뀌어질 수 있다.
캠 디스크와 연결된 조절된 표면 또는 곡선 형태 또는 캠 디스크와 같은, 3차원의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도 2 에 따른 표면(121)을 이해할 수 있다. 이 표면은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에서 부분품을 가지는데 여기에서 곡선 형태 또는 표면의 변화는 회전각에 따라 반경의 변화를 통하여 나타난다. 힘은 방사상으로 작용해서 원주방향의 부분품 및 방사상 방향의 부분품에 가해지는 힘의 분할이 발생한다. 표면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의 원주방향 성분은 구동 유지력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힘의 원주방향 성분이 구동을 유지하도록 축 방향 및 원주방향의 힘 성분으로 힘의 분할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회전각에 따라 축방향으로 표면을 조절하고 방사상 방향과 원주방향으로 도 6a 와 6b 에 나타낸 것처럼 표면이 하나의 성분을 가진다면 유리하다. 유리하게도 전술한 것은 원운동에 배열된 요소와 구동하는데 관련된다.
도 4 에서 5b 의 장치와 같은, 요소들이 직선 운동을 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캠으로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표면이 방사상 방향 및 축방향으로 한 성분을 가진다면 유리하고 여기에서 운동축으로 부터 반경 거리가 축방향에 따라 바뀌도록 표면이 바뀌어진다. 힘은 운동방향으로 로드 링키지에 가해지고 곡선 형태의 표면을 통하여 힘은 분할된다.
도 3 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00)가 하우징(202)에서 고정장치(201)에 의해 고정된 요소와 같은 판 스프링으로 제공된 도 2에 따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롤러(205)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00)의 아암(203)에서 베어링(204)의 영역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이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3차원 기하학적 요소(207)의 곡선 형태(206)에 대해 로울러(205)에 작용한다. 요소(207)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때 요소(207)의 곡선형태(206)는 방사상 방향으로 바뀌어진다. 이것에 의해 출력요소(210)와 같은 요소에서 힘을 유지하거나 보상하도록 힘의 변화가 나타난다.
도 4 는 작동장치의 힘 보상 장치의 절단된 단면도인데 여기에서 힘은 곡선형태를 통하여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서 출력요소로 전달되어 작용한다. 이 힘 보상 장치는,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출력요소에 대하여 힘을 보상하거나 힘을 유지할 수 있다.
이 힘 보상 장치는 전기모터와 변속기를 가지는 구동 유닛(301)에 의해 구동되는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요소(300)를 가진다.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요소(300)는, 조절된 원주, 반경 또는 거리를 가지는 곡선 형태(303)를 영역(302)에 가진다. 요소(304)는 작동요소에 연결되고 요소(302)의 유지력은 작동요소를 유지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달. 조절된 영역(303)의 힘은, 제 1 레버(305)가 영역(311)에서 회전 장착되고 제 2 레버(306)는 영역(311)에 이와 비슷하게 장착되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207)는 압력이 동일하게 작용하는 리시빙 영역(305a, 306a)사이에 장착되도록 가해진다.
롤러(308)는 영역(305)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레버(305)의 단부에서 로울러(309)는 회전축(310)의 영역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영역(305a, 306a)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307)의 힘의 작용을 통하여 롤러(308,309)는 요소(302)의 조절된 통로(303)에 작용하여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작용 유지 작동은 요소(302)와 요소(304)에서 이루어진다. 작동에 필요한 힘의 유지 및 보상은 영역(302,303)의 조절 또는 곡선 통로에 걸쳐 이루어진다.
도 4a 는 변속기를 통하여 요소(30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301)를 나타내었다. 요소(300)는 곡선 형태(303)의 영역(302)을 가진다. 곡선형태는 롤러(308,309)에 의해 영향을 받고 이 롤러는 슬라이드 슈(320,321)의 앞쪽 영역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322,323)는 슬라이드 슈에 의해 한쪽 단부에 둘러싸여있고 이 슬라이드 슈는 제 2 단부에서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유지된다. 슬라이드는 슈(320,321)는 슬라이드 가이드(324,325)를 통하여 미끄러짐 운동을 하도록 장착된다. 곡선형태(303)의 힘의 작용은 롤러(308,309)를 통하여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제공되어서 요소(302)와 요소(300)의 출력부(330)에 힘이 가해진다. 요소(303)의 통로에 대한 힘의 작용은, 요소(300)의 축방향 신장에 따라 곡선 형태(303)의 조절을 통하여 미치게 된다.
도 4b 는 전기모터 및 기어장치에 의하여 구동식으로 요소(303)가 요소(300)에 작용하고 요소(300)는 영역(302)에서 곡선 형태(303)를 취하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 요소(300)는 토크전달 시스템 또는 기어장치를 제어하도록 작동요소를 작동하는 출력부에서 작용영역(330)을 가진다. 이 요소(302)의 곡선형태(303)는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레버아암(335)의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데 상기 레버 아암은 영역(336)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베어링 고정은 하우징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레버 아암(335)은 그것의 단부영역에서 레버 아암과 연결된 연결부에 있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337)에 의해 작동되고 이 단부영역은 337a 로 나타내었고 다른 단부영역(337b)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영역(340)에서 회전할 수 있개 장착된 롤러(308)에 작용하는 힘을 통하여 곡선형태(303)에 대해 영향을 받아서 이 힘은 레버 아암과 롤러를 통하여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서 곡선 형태 및 출력요소(330)로 작용한다.
도 5a는 구동 유닛에 의해 영역(351)에서 구동할 수 있는 것처럼 제어할 수 있고 축방향으로 옮길 수 있는 요소(350)를 나타내었다. 요소(352)는 요소(350)에 고정되거나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요소(352)는 조절된 지지표면(353a, 353b)을 가진다. 레버아암(355)은 영역(354), 회전축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여기에서 레버아암(355,356)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357)를 유지하는 리시빙영역(355a, 356a)을 포함하여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서로를 향하여 요소(355, 356)에 작용한다. 롤러(362, 363)는 리시빙 소켓 영역(360, 361)에 장착되고 요소(352)는 롤러 사이에 장착된다. 롤러(362, 363)는 곡선형태(353a, 353b)에서 회전하여서 레버의 리시빙 영역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가해진 힘을 통하여 롤러의 작용력을 요소(352)에 작용하는 곡선형태(353a, 353b)와 반대로 가한다. 따라서 힘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357)에서 레버아암 및 롤러를 통하여 곡선 통로 또는 곡선 통로(353a, 353b)에서 요소(352)로 또는 요소(352)에서 요소(350)로 전달되어 작용한다.
도 5b 는 도 5a 의 화살표 370 에 따른 평면도에서 도 5a 의 배열을 보여준다. 이것은 영역(351)과 영역(371)에서 맞물린 요소9350)이 작동요소를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 레버아암(355,356)과 리시빙 소켓 영역(326a, 355a)을 나타내었다. 또, 표면(353b), 요소(352)에 작용하는 로울러(360)를 나타내었다.
도 6a 는 토크전달 시스템 또는 기어장치(400)를 작동하는 장치의 단면도이고, 요소(402)는 축(401)둘레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축(401)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요소(402)는 기어휠과 같은, 도 1 에서 나타낸 워엄 휠(8) 또는 다른 구동 요소이다. 곡선 형태(404)를 유지하는 요소(403)는 구동요소(402)에 고정되어서 곡선형태는 요소(402)에 직접 연결된다. 요소(403)의 곡선 형태(402)는 축방향으로 조절되어서 축방향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조절된 표면(404)의 축거리는 바뀐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405)는 한쪽 단부(405a)에서 하우징 측부에 고정되고 스터드(405c)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중심 영역으로 튀어나와 있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위치적으로 고정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단부 영역(405b)은 레버(406)와 리시빙 영역(405d)에 의해 연결되어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405)의 힘 작용은, 레버(406)와 롤러(407)를 통하여 캠 디스크(404)로 또는 캠 디스크에서 출력요소(402)로 전달된다. 레버(406)는 영역(406a)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롤러(407)는 영역(406b)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405)에 작용한 힘은 곡선형태(404)의 축 방향으로 레버(406)와 롤러(407)를 통하여 전달되고 힘은 요소(402)에 원주 방향으로 가해진다. 도 6a 의 장치는 축(40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지력을 만든다.
도 6b 는 토크전달 시스템 또는 변속기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의 보상력 및 유지력을 위한 장치(410)를 나타내는데 요소(412)는 축(411)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요소(412)는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회전된다. 요소(412)는 예를들어 도 1 의 워엄기어 휠(8)로 형성될 수 있다. 요소(413)는 요소(4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연결되고 요소(413)는 축방향으로 조절된 가장자리와 같은 곡선형태를 외주에 가지는 실린더형 요소이다. 곡선 형태(414)는 실린더형 요소(41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416)는 하우징(419)에 고정된 지지장치(416b)에 의해 한쪽 단부(416a)에 장착되고 레버에 맞물린 지지장치(416d)에 의해 다른쪽 단부(416c)에 장착된다. 레버(417)는 영역(417a)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영역(417b)에서 곡선형태(414)의 굽은 면(415)의 영역에서 축 방향으로 유지되고 요소(412)위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롤러(418)가 장착된다. 힘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416)에서 시작해 축방향으로 작동하고 곡선 형태를 통하여 요소(412)의 원주방향으로 작동력이 전달된다.
도 6c 는 토크전달 시스템 또는 변속기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의 유지력을 상쇄하거나 감소시키는 요소를 나타내는데 요소(432)는 축(431)과 동축으로 배열되고 회전하도록 설정되고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실린더형 요소(433)는 요소(43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요소(433)는 곡선형태(434)를 유지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435)는 지지장치(439)에 의해 한쪽 측부(435a)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플런저(436)는 영역(436b)에 작용하고 가이드(438a, 438b)에 의해 직선으로 안내된다. 플런저(436)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435)에서 요소(432)로 지지력을 전달하도록 요소(433)의 캠 디스크(434)에 작용하는 미끄럼 면 또는 로울러를 플런저의 축방향 단부에서 가진다. 가이드(438a, 438b)는 롤링 베어링을 통하여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7a 는 축(501)과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구동 요소 또는 중간에 삽입된 변속기로 샤프트(502)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는 회전 요소(500)를 나타낸다. 요소(500)의 원주영역(503)은 원주방향에서 볼 때 방사상으로 확장되어서, 캠 디스크와 같은 원주 영역(503)은 조절된 제어를 보장한다. 스터드(504)는 축(505)에 대해 요소(500)에 연결되고 요소(500)가 회전하는 동안 스터드(504)는 원주상 경로(506)를 따라 움직인다.
이 에너지 어큐뮬레이터(507)는 지지장치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고 지지장치는 단부(507a)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에터의 중심 영역으로 돌출해 있어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이동을 막는다. 이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지지장치(509)에 의해 단부(507b)에 포함되는데 상기 지지장치는 스터드(504)에 의하여 소켓 영역과 같은 요소(509)의 회전 베어링으로 이끄는 아일릿(510a,510b)을 가진다. 견인력이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가해지거나 거기서 발산할 수 있도록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배열될 때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은 요소(500)에서 스터드에 의해 유지되고 요소(500)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작동력의 변화량과 변화 표시가 나타난다. 출력요소(511)는 요소(500)의 가장자리 영역(503)에서 유지되는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롤러(512)를 그것의 단부(511a)에 가지는 플런저로 만들어진다. 요소(511)에 작용하는 힘의 조절은, 요소(500)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작동력의 회전-각-의존 힘 조절 및 요소(500)의 회전-각-의존 반경조절을 통하여 달성된다.
도(7a,7b)의 실시예는 플런저에서 곡선-제어 보상 스프링과 프럼-사점 또는 오버-사점 스프링의 변경예를 보여준다. 이런 변경예시는, 스프링이 회전 디스크에 고정되어서 디스크의 회전점에 대해 모멘트를 만들고 디스크에서 곡선 형태에 부착을 통하여 클러치를 작동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경우에 분리력의 특성선은 보상 스프링의 보상 특성선에 가능한 곡선 형태와 조화를 이룬다. 이 보상 특성선은 클러치의 분리력 특성선 가까이에 놓인 힘의 경로를 넓은 작동 영역에 걸쳐 가진다. 이 분리력은 캠 디스크에 작동하는 모멘트를 형성한다. 이 두 값 사이에 연결은 마찰 자유도를 통하여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난다;
[수학식 1]
MLast=FAusruck dr/dΨ=FAusruck dsAusruck/dΨ
MLast 는 분리력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이고 r은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해 캠디스크에서 플런저로 작동력의 접촉점에서 거리고, Ψ는 캠 디스크의 회전각이다. 작동경로 SAusruck 인 경우에 r의 변화는 변화를 이끈다.
클러치 작동으로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한다면 에너지는 회전 디스크의 보상력으로 부터 방출된다. 반작용에 의해,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플런저가 운동할 때 클러치 스프링에서 역으로 공급되는 에너지는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요소의 이완을 이끄는 스프링에 저장될 수 있다.
영역(520)에서 발생한 증가된 힘이 필요하다면 지지하기 위해 플런저(511)의 롤러는 영역(520)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영역(520)은 저지구로 이끄는 캠 디스크의 가장자리에 제공된다.
도 8a 는 토크전달 시스템/변속기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로 힘을 보상하거나 유지하는 장치를 나타내는데 원반형의 요소(600)는 축(601)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요소(600)는 구동 연결부(602)와 같은 구동 샤프트를 통하여 구동되어서 요소(600)의 회전운동은 의도대로 발생한다. 요소(600)의 원주는 반경이 조절된 캠 디스크로 만들어지는데 이 디스크는 제 1 각 영역(604) 및 제 2 각 영역(605)에서 회전각에 따라 바뀌는 반경을 가지고 여기에서 각 영역(606)은 일정한 반경을 가진다.
롤러(607)는 캠 디스크와 유사한 여백 영역(603)에서 유지되고 롤러는 베어링 점(608)에 의해 플런저(609)의 영역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서 구동 연결부는 요소(602)에서 요소(600)와 롤러(607)를 통하여 플런저(609)로 연결된다. 요소(609)는 토크전달 시스템을 작동시키도록 기어장치를 변속시키도록 반경의 조절및 요소(600)의 회전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힘을 유지하기 위해 루우프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610)가 장착되어서 루우프 스프링(610a)의 한쪽 단부는 하우징(611)의 지지영역에서 맞물려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다. 루우프 스프링(610b)의 다른 단부 영역은 요소(600)와 맞물려 연결된다. 이런 연결은, 요소(600)의 각 위치에서 일어나지만 요소(600)가 회전하는 동안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작동하지 않도록 플라이휠 각이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도 8b 에 나타난 것과 같은 영역(612)은 이런 종류의 플라이휠 영역으로 형성되고, 이것은, 자유각도를 초과한 후에만 루우프 스프링(610)의 단부(610b)가 포함된 요면(612)이 스프링의 작용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각 영역(613)은 반경 조절이 영(0)인 각 영역에 해당하고, 영역(613)에서 각은 도 8b 에서 각 영역(606)에 해당한다
도 8a 와 8b 에 따른 장치는 전기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캠 디스크로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보상 스프링에 의해 힘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두 개의 전기모터 액터로 기어장치의 작동공정과 커플링을 자동 조작하는데 유리하다. 하나의 액터는 커플링과 전이를 수행하고 제 2 액터는 선택기능을 수행한다. 또 커플링의 분할, 전이와 기어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선택공정은 변속 게이트 사이의 기어작동 공정이고 변속과정은 변속 게이트 내에 기어를 작동하는 것이다. 토크전달 시스템의 용이한 분리 및 연결을 위해 자동 클러치는 계획대로 빠르게 개폐될 수 있어야 하고 클러치를 여는 것은 작동상태에 따르 좀더 빠르거나 좀더 느리게 이루어지고 클러치를 닫는 것은 자동차의 작동상태 및 작동 매개변수에 따라 좀더 빠르거나 좀더 느리게 이루어진다.
클러치를 연결했을 때 클러치 분리 스프링에 저장된 에너지는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액터에 대한 부하는 클러치를 분리했을 때 가장 커진다. 클러치의 분리 스프링은 판 스프링 클러치인 경우에 판 스프링이다. 작동시간은 액터 부하와 함께 증가되므로 클러치를 분리할 동안 추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액터가 유지될 수 있다면 유리하다.
커플링과 전이를 위해 전기 모터 액터를 사용하여 세 영역으로 나누어진 캠 디스크를 자동잠금 변속기를 통하여 구동할 수 있다.
제 1 영역에서, 예를들어 각 영역(605)에서 클러치는 분리되고 제 2 영역에서 클러치는 각 영역(606)과 같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3 영역에서 클러치는 각 영역(604)처럼 연결된다. 직선 증감 스트로크 또는 경로 및 회전각의 선택된 함수에 따라 증감 스트로크를 가지는 캠 디스크에 대하여 구동 모멘트는 클러치 특성선에 비례하여야 한다.
직선으로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과 결합했을 때 부하 모멘트는 클러치가 분리되어 있는 동안 처음에는 음(-)의 값을 가진다; 토크전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이런 종류의 직선으로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은 도 1 에서 25로 나타나 있다. 액터의 자동-잠금 변속기 때문에 스프링은 액터를 충분히 가속시키지 못해서 이 경우에 액터는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액터가 시프트를 작동하는 캠 디스크의 제 2 영역에서 클러치는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보상 스프링은 자유 차륜영역에서 힘의 작용을 받지 않는다. 클러치가 연결된 제 3 영역에서 클러치의 분리 스프링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되어서 부하 모멘트는 음(-)의 값을 가진다. 액터 또는 액터 기어장치의 자동-잠금 성질 때문에 액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전체 분리 경로의 약2/3에 대하여 분리력은 영(0)이다. 이 영역에서 모멘트 매칭으로 제어상황에서 또는 시프트 과정 전후에 분리 및 연결과 같은, 여러 가지 작동상태에서 전달가능한 모멘트를 제어하도록 클러치는 작동된다.
모멘트 매칭은, 엔지모멘트에서 온도 조절과 같은 2차 소비자의 모멘트를 뺀 값에 따라 구동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토크를 사용하는 전달가능한 토크전달 시스템의 제어와 연결된다.
이 영역에서 작동은 힘이 작용하지 않아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액터는 전달가능한 클러치 모멘트를 저에너지 테이크-업으로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분리 특성선은 캠 디스크(600)의 곡선 형태(603)와 함께 생성된다. 클러치를 완전히 연결할 때 스프링이 다시 인장될때까지 액터는 보상 스프링에 대하여 작용해야 한다. 캠 디스크는 실린더의 단부나 원주에서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캠 디스크 대신에 정지 또는 운동 상태인 다른 종류의 불균일 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보상 스프링은 캠 디스크에 부착된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지만 하우징에 부착된 캠 디스크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캠 디스크에 의해 클러치를 개폐하는 동안 작동상태인 루우프 스프링과 같은 비틀림 스프링을 끼워 조립한다. 클러치를 연결하는 동안 보상 스프링에 하중이 걸리고 분리 스프링에 저장된 에너지는 보상 스프링으로 옮겨진다. 클러치를 분리하는 동안 보상 스프링은 분리 스프링을 압축한다. 액터가 변속작용을 일으키거나 선택과정을 수행하는 캠 디스크의 회전각 영역에서 클러치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보상 스프링은 이완되고 부착되거나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 9 는, 전기 모터같은 구동 유닛(702)이 외부로 부터 수용되는 하우징(701)을 가지는 액터(700)를 나타낸다. 모터 출력 샤프트(703)는 플런저나 크랭크 같은 출력요소(706)를 작동하기 위해서 워엄(704)을 통하여 워엄 휠(705)에 연결된다. 보상력을 위하여 조절된 표면(708)을 가지는 캠 디스크(707)는 워엄 휠(705)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709,710)는 캠 디스크(707)에 힘을 가한다. 출력요소(706)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가해진 힘의 조절은 캠 디스크 또는 곡선 경로(708)의 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10 은, 곡선 상태(750)가 워엄 기어 휠(705)의 외부 반지름을 나타내는 상태를 보여준다. 곡선(751)은 캠 디스크(708)의 곡선 형태를 나타낸다.
화살표(752)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서 캠 디스크(751)로 작용하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의 작용을 나타낸다. 반지름 r(753)은 워엄 휠(750)의 중심점에서 거리를 나타내고 각 Ψ(754)은 회전각에 작동력에 해당하고 반경 R(756)은 회전위치(757)에서 작동력이 가해지는 거리에 해당한다. 캠 디스크에서 화살표(752)에 따라 작용하는 보상 스프링의 보상 작용은 수학식 2에 따라 발생한다.
[수학식 2]
Mkomp=dr/dΨ * Ffeder
힘(752)을 가하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밴딩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레버를 통하여 작용하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 은 클러치와 변속기의 결합 조작을 위해 액터에서 사용되는 캠 디스크(800)의 형태를 보여준다. 360°회전했을 때, 클러치의 연결과정, 전이과정 및 분리과정이 이루어진다. 클러치가 연결된 위치(801)에서 시작해 작동경로 또는 작동각에 따라 힘을 조절하기 위해서 화살표(802) 방향으로 캠 디스크는 자동 작동된다. 연결된 클러치로 작동을 개시했을 때 에너지 어큐뮬레이터(803)는 영역(801)에서 롤러(804)에 의해 맞물리고 캠 디스크에 힘을 가한다.
각 영역(805)에서 클러치는 분리되고, 각 영역(806)에서 변이 공정이 이루어지는데 제 1 각에서 기어는 분리되고 위치(807)에서 중립상태에 이르고 각 영역(808)에서 클러치가 다시 연결되기 전에 제 2 각(806)에서 기어는 연결된다. 절단 단면(809,810)은 중립 영역 즉 닫힌 클러치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2 는 도 11 에 따른 캠 디스크의 각도에 따른 반경 변화 R을 나타낸다. 각도가 0°일 때 반경은 최대값을 가지고 곡선(900,901)을 따라 최대값을 가지고 멈추었을 때 최소값을 가진다.
0°에서 90°까지, 반경 변화는 곡선(902a, 902b, 902c)을 따라 감소하고 90°에서 최소값을 가진다. 90°에서 180°까지 반경은 다시 증가하고 270°의 영역인 최소값에 도달하기 전기 180°의 영역에서 전이는 정지 최소값(902) 또는 최대값(904)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270°에서 360°까지 반경은 다시 증가한다. 0°에서 90°의 영역에서 커플링이 이루어지는데 0°에서 클러치는 닫히고 90°에서 클러치는 열린다. 90°에서 180°의 영역에서 전이가 이루어지는데 180°에서 중립상태에 도달하고 270°에서 360°의 영역에서 클러치가 다시 닫히기 전에 180°에서 270°의 영역에서 전이가 이루어진다.
도 13 은 커플링시 보상 작용과 전이 힘 또는 모멘트를 나타낸다. 곡선(950)은, 950a에 해당하는 기어 분리를 위한 특성선의 φ1 에서 φ2 뿐만 아니라 분리력 특성선의 φ1, 커플링 과정의 950c 에 해당하는 φ3에서 φ4까지 각 영역 및 기어의 연결 과정으로 경로 950b에 해당하는 φ2에서 φ3까지 각 영역에 해당한다. 곡선(951)의 경로는 보상 모멘트 또는 힘에 해당하고 영역(951a)에서 보상은 음(-)의 값을 가지고 φ1에 해당하는 φ는 양(+)의 값으로 바뀌고 951b에 따른 φ2에서 φ3까지 각 영역에서 음(-)의 값을 가지고 다시 φ3에서 부호가 바뀌고 951c에 따르는 φ3에서 φ4의 각 영역은 양(+)의 값을 가진다. 실선(952)은 합성력, 커플링과 전이 힘(950) 및 보상력(951)의 합계로서 합성 모멘트이다. 이것은 순수한 커플링과 전이 힘(950)에 대하여 최대값의 분명한 감소를 나타낸다. 0°에서 1° 사이의 각 영역에서 감소된 커플링 힘이 나타나있고 각 영역 φ2 부터 φ3 에서 전이 힘의 감소가 나타나기 전에 φ1에서 φ2의 각 영역에서 곡선 경로(952a)까지 힘이 증가한다.
954로 나타낸 최대값은 동기 작용 및 열림 작용을 통하여 발생하고 전이하는 동안 955로 나타낸 최대값은 트래킹 과정을 통하여 발생하며 최대 힘(956)은 변속기에서 스톱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한다. 각 영역 φ3부터 φ4까지 연결력 특성곡선은 950c 부터 곡선 경로 952c 까지 상당히 감소된다. 감소 총량은 커플링과 전이 힘의 크기에 도달한다.
도 14 는 워엄 휠(1001), 크랭크(1022)와 같은 요소 및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003)를 가지는 도 1 에 따른 액터의 단면도이다. 에너지 어큐물레이터(1002)는 도 1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트(25)와 달리 두 에너지 어큐뮬레이트(1004, 1005)의 일련의 연결부를 가지고,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004)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005)보다 좀더 탄력적인 2단 특성 곡선의 스프링이다. 다른 강성도를 가지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005) 보다 좀더 탄력적인 스프링이다. 다른 강성도를 가지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배열을 통하여 보상력 작용의 다단 특성선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4a 와 도 14b 는 두 개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배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두 개의 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배열은 다단 특성선을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트(1050)는 호울더(1051)에 수용되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050)는 프리텐션 하에 놓인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초하중 에너지 어큐뮬레이트(1050)에서 요소(1053)를 통하여 작용하고 요소(1054)의 축방향 작용으로 프리텐션의 작용을 극복할 때까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052)에 힘이 가해져 변형된 후 에너지 어큐뮬레이트(1050)는 압축된다.
도 14b 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들(1050과 1052) 사이의 요소(1055)가 포트 모양으로 만들어져서 작동경로가 충분히 짧고 상기 구조형태를 허용한다면 축방향의 구조적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a 에 따른 실시예는 더 긴 축방향의 작동경로를 포함하여 유리하다.
요소(1051)는 포트모양의 요소로 형성되고 요소(1055)는 포트모양의 단면을 가진다. 도 14a 와 14b 의 프리텐션 스프링은 비프리펜션 스프링보다 낮은 스프링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5 는 토크전달 시스템/변속기를 작동하기 위한 보상 스프링 조립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하우징(1100)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조립체(1101a, 1101b)가 놓이고 이 스프링은 하우징에 대해 고정 장착되지만 회전 베어링(1102, 1103)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고 연결부(1104, 1105)를 통하여 출력요소(1106)에 회전 연결된다. 요소(1106)는 영역(1106a)에서 구동부에 연결되어서 요소의 축방향 운동이 발생하고 출력부에서 부분(1106b)은 작동을 위하여 출력요소에 작용한다. 요소(1106)의 축방향 이동을 통하여 접속점(1104, 1105)은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접속점(1102,1103)은 위치상 고정되어 유지되어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트(1110, 1111)에 작용하는 요소의 상대운동이 발생하고 작동력은 요소(1106)에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110,1111)는, 그것들이 단부 위치와 같은 적어도 한 부분에 요소(1106)의 축방향 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만 힘을 가하도록 배열된다. 요소(1106)의 이동으로 스프링에서 요소(1106)로 작용력의 성분은 요소(1106)의 운동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작용력은 반대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운동 축방향으로 비례가 성립한다. 이 운동상태에 대한 도면이 도 15b에 도시되고, 요소(1120)는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고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121, 1122)는 요소(1120)와 하우징에 배열되고 스프링(1120, 1121)에 해당하는 단부 영역에서 프리텐션하에 놓인다. 축 방향으로 요소(1120)가 작동할 때 서스펜션 점(1123)은 점(1124)까지 축방향으로 움직여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121, 1122)의 힘작용은 축방향으로 가해진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배열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오버-사점 스프링으로 작용할 수 없게 단부에서 사점에 도달하도록 선택된다. 또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오버-사점 스프링으로 작용한다면 유리하다. 여기에서 축방향의 힘은 작동 단부에 위치에 사점에 놓인다면 이 축방향의 힘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6 은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닛(1201)을 가지는 작동장치(1200)를 나타낸다. 전기 모터(1201)는 요소(1204)에 의해 영역(1203)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모터 샤프트(1202)를 구동한다. 또, 샤프트(1202)는 하우징 벽(1206)에서 오우프닝 또는 가이드(1205)를 통하여 영역(1203)에 장착된다. 워엄(1207)은 축(1209)의 영역에 장착된 워엄 휠(1208)은 기어 휠(1210)과 연결되거나 이것은 워엄 휠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기어 휠(1210)의 톱니는 톱니가 있는 막대(1211)를 구동하는데 이 막대는 유압식 주 실린더와 같은 가압 매체 주 실린더(1214)의 피스톤(1213)을 제어한다. 톱니가 있는 막대(1211)는 기어 휠(1210)의 방사상 방향으로 로울러(1212) 또는 베어링에 의해 유지된다.
기어 휠(1210)등과 연결된 워엄 휠(1208) 또는 디스크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219)에 의해 직간접으로 작용받는 곡선 형태를 취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1219)는 하우징에서 리시빙 영역과 레버(1217)에서 리시빙 영역 사이에 장착되는데 레버(1217)는 베어링(1218)의 영역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또 레버는 영역(1222)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로울러(1216)를 위한 소켓을 가진다. 이 로울러는 곡선 형태(1215)에서 회전하여서 곡선 형태에 작용하고 이것과 곡선 형태를 통하여 장치의 출력요소에서 경로 의존 또는 위치 의존힘을 생성한다. 리시빙 영역(1220)은 하우징(1206)에 제공되고 리시빙 영역(1221)은 레버(1217)에 제공되는데 이 레버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그것의 위치에 고전하고 손실에 대해 안전하도록 코일 압축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단부 영역에서 맞물린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장치(1300)는 전기 모터로 형성될 수 있는 구동 유닛(1301)을 가진다. 전기 모터(1301)는 로울링 베어링에 의하여 영역(1303)에 장착된 엔진 샤프트(1302)와 같은 샤프트를 구동한다. 워엄(1304)은 샤프트(1302)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연결되고 워엄 기어 휠(1305)과 맞물린다. 워엄 휠(1305)은 곡선형태(1306)를 취하는데 이 곡선 형태에서 로울러(1307) 또는 슬라이드 슈와 같은 회전 요소가 유지된다. 이 롤러(1307)는 레버나 크랭크(1308)에 장착되고 이것은 피스톤(1309) 또는 유압식 실린더(1310)에 장착된다. 롤러(1307)는 베어링(1311)의 영역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또 레버(1312)는 베어링(1311)의 영역에서 관절 운동을 위해 부착되고 다른 면은 영역(1313)에서 비슷한 관절 운동을 위해 부착된다. 레버 아암(1313)은, 회전 부분(1306)에 작용하는 동안 기어 휠(1305)을 회전시키는 동안 푸시 로드(1308)의 운동을 안내한다. 주 실린더의 경로 조절은 작동운동에 따라 또는 워엄 휠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16 과 17 에 나타낸 실시예는, 샤프트와 같은 모터 축이 출력요소의 크랭크나 플런저의 축과 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나타낸다. 또 워엄 휠은 모터 샤프트와 평면을 형성하고 크랭크나 플런저는 이 평면 또는 이 평면의 바깥쪽에 놓인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DE 19622641 와 관련되고, DE 19622641 의 내용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속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은 좀더 넓은 특허 보호를 위해 분리하지 않은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 출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설명된 권리를 청구항에 실었다.
종속항은 각 종속항의 특징을 통하여 독립항의 특징을 나타낸다; 종속항은 종속항의 특징에 대해 독립적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종속항의 특징은,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는 독립 발명을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이 가능하고, 상세한 설명, 실시예 및 청구항의 내용과 연계해 설명되고 도면에 나타낸 개개의 특징, 요소 및 방법, 단계의 수정 및 결합을 통하여 본 발명의 요소 및 결합, 물질은 수정될 수 있고 결합된 특징을 통하여 제조, 테스트 및 작동 공정과 관련된 새로운 방법 단계 및 새로운 발명을 이끌어낸다.
도 1 은 작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작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작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내지 도8b 는 보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작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 은 캠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13은 선도.
도 14 는 작동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도 15b는 에너지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17 은 작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 부호설명
1 ... 작동장치 2 ... 토크 전달 시스템
3 ... 구동유닛 4 ... 하우징
5 ... 모터 출력 샤프트 6, 7 ... 베어링
8 ... 워엄 기어 휠 10 ... 스터드
11 ... 크랭크 로드 12 ... 주 실린더 피스톤
18 ... 분리 포크 23 ... 플라이 휠
25,50...에너지 어큐뮬레이터 29 ... 고정 링

Claims (40)

  1. 작동가능한 제어요소를 제어하고, 변속기의 변속비를 선택하거나 전이하며, 차량내에서 토크전달시스템을 작동시키며, 구동장치 및 변속기를 가지고 구동연결부를 통해 변속기와 연결되는 출력요소를 가지며, 출력요소를 작동시키는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작동장치에 있어서, 곡선형태 또는 캠 디스크 또는 캠과 같이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힘 작용 요소가 구동연결부와 연결되어 작동되고, 한 개이상의 어큐뮬레이터의 힘작용이 요소의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출력 요소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 작동가능한 제어요소를 제어하고, 변속기의 변속비를 선택하거나 전이하며, 차량내에서 토크전달시스템을 작동시키며, 구동장치 및 변속기를 가지고, 구동연결부를 통해 변속기와 연결되는 출력요소를 가지며, 출력요소를 작동시키는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작동장치에 있어서, 캠 디스크 또는 곡선형태 또는 캠과 같이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힘 작용요소가 구동장치와 출력요소사이의 구동연결부내에 배열되고,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 작용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출력요소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캠 디스크, 곡선형태 또는 캠 같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힘작용 요소는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작용되어, 출력요소로 힘전달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서 개시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캠디스크 곡선형태 또는 캠 같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힘 작용 요소는 작동가능한 제어요소의 작동시 움직이도록 설정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서 출력요소로 힘 작용의 힘 조절은 힘 작용형태의 힘 작용과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의 운동의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힘 작용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제어요소가 작동할 때 적어도 한 방향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직선방향 또는 원형운동방향 또는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소의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는 직선방향 또는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소의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 작용은 직선방향 또는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소의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는 직선방향 또는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한 힘 작용은 출력요소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한 힘 작용은 출력요소의 작동운동 방향 또는 작동운동의 직각방향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어장치는 구동장치와 출력요소사이의 구동연결부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힘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3차원 기하학적 요소는 구동장치, 구동연결 요소 또는 출력요소와 작동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일차원 또는 2차원 회전가능한 캠 디스크, 캠 경로 또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일차원 또는 2차원 선형 또는 축방향변위를 가지는 캠 디스크, 캠 경로 또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힘 작용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는 3차원 캠 디스크, 캠 경로 또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에 작용하는 한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 슈(slide shoe), 롤러(Roller) 또는 롤링 베어링이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가 레버에 작용하고, 레버는 제 1 영영과 제 2 영역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3차원 기하학적 요소의 형태에 작용하는 슬라이드 슈(slide shoe), 롤러(Roller), 롤링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선형 안내에 의해 설치된 요소에 작용하고 3차원 기하학적 요소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영역에서 가동할 수 있도록 배열된 그리퍼(gripper) 같은 요소에 작용하고 3차원 기하학적 요소의 형태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스터드(stud) 같은 베어링 영역에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에 작용하고, 출력요소는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영역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스터드 같은 베어링 영역에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에 작용하고, 출력요소에 작용하는 요소는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영역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작용은 슬라이딩(sliding) 또는 롤링(rolling)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전기모터, 전자석 또는 전자기계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6.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유압, 유공압 또는 공압구동장치중에서 선택된 가압매체작동식 구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요소의 작동경로를 통해 조절된 출력요소의 힘 작용은 3차원 기하학적 형태의 운동과 이 형태의 힘 작용에 의해 작동장치의 출력요소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힘 지지는 출력요소의 작동경로의 일부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작동경로에서 힘지지에 관한 부호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0. 작동가능한 제어요소를 제어하고 변속기의 변속비를 선택하거나 전이하며 차량내에서 토크전달시스템을 작동시키며, 구동장치 및 변속기를 가지고, 작동을 위해 구동연결부를 통해 변속기와 연결되는 출력요소를 가지며, 출력요소를 작동시키는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가진 작동장치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 작용은 출력요소에 작용하고, 한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사점 스프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반대편에 배열되고 각자는 사점 스프링처럼 출력요소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사점 스프링으로 배열되고 제 1 끝영역은 출력요소에 배열된 스위벨이고 제 2 끝 영역은 용기에 설치된 스위벨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3. 작동가능한 제어요소를 제어하고, 변속기의 변속비를 선택하거나 전이하며, 차량내에서 토크전달 시스템을 작동시키며, 구동자치 및 변속기를 가지고, 작동을 위해 구동연결부를 통해 변속기와 연결되는 출력요소를 가지며, 출력요소를 작동시키는 두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작동장치에 있어서, 두 개이상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의 힘 작용이 출력요소에 작용하고, 두 개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들이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0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예비인장상태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0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압축 스프링, 판 스프링, 루프(loop)스프링 또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금속재질의 탄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6.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0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0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가 기어요소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0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가 출력요소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9.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0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가 구동장치와 출력요소사이에서 연결되고 작동되는 요소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40.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0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3차원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요소가 구동장치와 출력요소사이에서 연결되고 작동되는 요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KR1019970023295A 1996-06-05 1997-06-05 작동장치 KR100496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2643.0 1996-06-05
DE19622643 1996-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036A KR980003036A (ko) 1998-03-30
KR100496699B1 true KR100496699B1 (ko) 2005-11-16

Family

ID=779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295A KR100496699B1 (ko) 1996-06-05 1997-06-05 작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6699B1 (ko)
BR (1) BR9703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85A (ko) * 2018-09-21 2020-03-3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기어 액추에이터의 하중 보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8396A (en) * 1982-03-18 1989-11-07 Valeo Control mechanism for a mechanical coupling device
JPH04231727A (ja) * 1990-06-29 1992-08-20 Valeo 自動車のクラッチ作動装置
JPH1081158A (ja) * 1996-06-05 1998-03-31 Luk Getriebe Syst Gmbh 自動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8396A (en) * 1982-03-18 1989-11-07 Valeo Control mechanism for a mechanical coupling device
JPH04231727A (ja) * 1990-06-29 1992-08-20 Valeo 自動車のクラッチ作動装置
JPH1081158A (ja) * 1996-06-05 1998-03-31 Luk Getriebe Syst Gmbh 自動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85A (ko) * 2018-09-21 2020-03-3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기어 액추에이터의 하중 보상 장치
KR102106571B1 (ko) * 2018-09-21 2020-05-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기어 액추에이터의 하중 보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3468A (pt) 1998-08-11
KR980003036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30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GB2313885A (en) Powered actuator with variable spring bias
US5678671A (en) Motor vehicle clutch assembly having an actuator device, which actuator device has a clutch motion blocking system
KR100569940B1 (ko) 자동차의 클러치 및 변속기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
US6321612B1 (en) Actuating mechanism for the automatic operation of a gear-shift in a transmission
CN101517257B (zh) 双离合器变速器的双离合器
US7124871B2 (en) Disengaging systems
JP4241946B2 (ja) 自動車のパワートレーンにおけるユニットを操作する装置
EP2683960B1 (en) Self-adjusting clutch actuator for operating a vehicle clutch
ITMI970763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zionamento automatizzato di una trasmissione commutabile fra piu' marce con un sistema di trasmissione di momento torcente
JP2003504570A (ja) 駆動装置
GB2279125A (en) Actuating means for a motor vehicle friction clutch has master cylinder operated by electric motor via ball and screw
US7014019B2 (en) Brake actuator comprising an energy accumulator and an inertia weight
JP4523085B2 (ja) 円錐形プーリー巻掛け式伝動装置
CN1098433C (zh) 透平的阀所用的机电式伺服驱动装置及汽轮机
CN104246266A (zh) 运行用于离合器的操纵设备的方法
US5887691A (en) Controlled force actuator system
KR100496699B1 (ko) 작동장치
US6056090A (en) Brake actuator
GB2351130A (en) Powered actuator with springs arranged in series
US6098762A (en) Brake actuator
JP4450441B2 (ja) 伝達車加圧装置
US10473213B2 (en) Method of controlling clamping of wedge-actuated CVT and powertrain with wedge-actuated CVT
EP157912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410865B2 (ja) 伝達車加圧装置用圧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