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343B1 - 유량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343B1
KR100495343B1 KR10-2002-0080297A KR20020080297A KR100495343B1 KR 100495343 B1 KR100495343 B1 KR 100495343B1 KR 20020080297 A KR20020080297 A KR 20020080297A KR 100495343 B1 KR100495343 B1 KR 10049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pring
housing
spring hol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991A (ko
Inventor
가와사키신이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7Pintles; Spindles; Springs; Bearings; Sealings; Connections to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416With heating or cooling of the system
    • Y10T137/6525Air heated or cooled [fan, fin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Lift Valv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유량제어밸브는 하우징(1)내에 고정되고, 또 밸브스프링(12)의 밸브체(9)측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 홀더(20)를 구비하고 있다.
제2스프링 홀더(20)는 주철등으로 구성된 하우징(1)보다도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형성된 대략 원통상의 부재이고, 대략 원형상의 내저부(20a)와, 이 내저부 (20a)의 외주에서 연재해서 밸브스프링(12)의 주위를 둘러싸는 동체부인 스테이부(20b)와, 내저부(20a)의 중앙에 형성되고 하우징(1)의 관통구멍(6)을 구성하는 주벽(6a)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20c)과, 스테이부(20b)의 상부에서 반경방향 외방으로 연재하고, 또 대략 구형상태의 외주부를 갖는 손잡이부(20d)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량제어밸브{FLOW QUANTITY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내연기관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장치에 사용되는 유량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장치(이하 EGR이라 함)로는 여러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도 6은 종래의 EGR에서의 유량제어밸브 근방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부호(1)은 주철로 구성된 하우징이다.
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제1의 유체통로(2) 및 제2의 유체통로(3)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 사이에는 밸브좌(4)가 부착되어 있다.
또, 하우징(1)에는 제2의 유체통로(3)에 인접해서 대략 원통상의 스테이부 (5)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부(5)의 중앙 저부에는 스테이부(5)의 내부와 제2의 유체통로(3)의 내부를 연락하는 관통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6) 내에는 베어링(7)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밸브축(8)이 화살표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밸브축(8)의 일단에는 밸브좌(4)에 대해 접촉 및 분리가능한 밸브체(9)가 고정되어 있고, 타단의 근방의 凹부(8a)에는 부쉬(10)를 통해서 스프링 홀더(11)가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홀더(11)와 하우징(1)의 스테이부(5)의 내저부 사이에는 밸브축(8)을 화살표 B방향으로 작동해서 밸브체(9)를 밸브좌(4)에 접촉시키는 밸브스프링(12)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의 스테이부(5)의 상연부에는 밸브스프링(12)의 작동력에 반해서 밸브축(8)을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시켜 밸브체(9)를 밸브좌(4)로부터 이간시키는 구동축(13a)을 갖는 구동수단(13)이 나사(1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구동수단 (13)으로는 예를 들면 DC모터 스태핑모터 또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등이 보통 사용된다.
이와 같은 EGR에서는 구동축(13a)이 화살표 B방향으로 가장 많이 후퇴되고, 또 밸브축(8)에 고정된 밸브체(9)가 밸브좌(4)에 접촉한 상태에서 구동수단(13)의 구동축(13a)의 하단부와 밸브축(8)의 상단부가 과부족 없이 접촉해 있어야 한다.
실제로는 각 부품의 치수의 오차에 의해 하우징(1)에 대해 구동수단(13)을 조립할 때에 구동축(13a)을 가장 멀리 후퇴시켜도 밸브체(9)가 밸브좌(4)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이 때문에 하우징(1)의 스테이부(5)의 상연부와 구동수단(13)의 하단부 사이에 여러 종류의 두께의 스페이서(15)를 끼우고 접촉면간의 조정을 행하고 있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 폐쇄상태에서는 구동수단(13)의 구동축(13a)이 화살표 B방향으로 후퇴해서 밸브축(8)을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지 않으므로 밸브체(9)는 밸브스프링(12)의 작동력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작동되어 밸브좌(4)에 접촉되어 있다(밸브폐쇄).
이 때문에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가 차단되어 있다.
다음에 밸브를 개방할 때는 구동수단(13)을 동작시켜서 구동축(13a)을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밸브축(8)을 전진시켜 밸브체(9)를 밸브좌(4)에서 이간 시킨다(밸브개방).
이 밸브 개방상태에서는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가 연통하므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제1의 유체통로(2)에서 제2의 유체통로(3)로 흐르고 제2의 유체통로(3)을 구성하는 하우징(1)이 약 350℃정도까지 가열된다.
그러나, 종래의 EGR에서의 유량제어밸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가스로 가열되는 하우징(1)에 직접 접촉해 있는 밸브스프링(12)도 고온에 노출되므로 밸브스프링(12)이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나 작동력의 저하를 초래해 이 작동력의 저하 등에 기인해서 밸브체(9)와 밸브좌(4)가 뜻하지 않게 접촉과 이간을 반복함으로 이상한 소리가 나 밸브 폐쇄상태를 지지하지 못함으로 정확한 유량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EGR에서의 유량제어밸브에서는 밸브스프링(12)의 권선간 내에 이 물질이 들어가면 이 물질에 의해 밸브스프링(12)의 신축 스트로크가 변하고, 역시 밸브 폐쇄상태를 지지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1-270417호 공보는 도 6에 표시한 종래의 EGR에서의 유량제어밸브의 구성과 같은 구성의 유량제어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밸브스프링을 열로 인한 손상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유량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유량제어밸브는 유제통로를 내부에 소유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설치된 밸브좌와, 이 밸브좌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지지하는 밸브축과, 이 밸브축을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좌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밸브스프링과, 이 밸브스프링의 작동력에 반해서 상기 밸브체가 밸브좌로 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축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밸브축에 고정되고, 또 상기 밸브스프링에 일단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 홀더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또 상기 밸브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 홀더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유량제어밸브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한 유량제어밸브를 분해해서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유량제어밸브에서의 제2스프링 홀더의 구성을 표시한 저면도이다. 또, 이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EGR에서의 유량제어밸브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유량제어밸브에서의 제2스프링 홀더는 도 3의 C-C선 단면이 표시되고 있다.
이 실시의 형태 1의 특성은, 밸브축(8)에 고정되고 밸브스프링(12)의 구동수단(13)측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홀더(이하 제1스프링 홀더라 함)(11)의 외에, 하우징(1) 내에 고정되고 밸브스프링(12)의 밸브체(9)측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 홀더(20)를 구비한 점에 있다.
제2스프링 홀더(20)는 주철로 구성된 하우징(1)보다도 열전도율이 낮은, 예를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원반을 디프 드로윙(Deep drawing)가공 등에 의해 가공해서 형성한 대략 원통상의 부재이고, 대략 원형상의 내저부(20a)와, 상기 내저부(20a)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밸브스프링(12)의 주위를 둘러싸는 동체부인 스테이부(20b)와, 내저부(20a)의 중앙에 형성되어 하우징(1)의 관통구멍(6)을 구성하는 원환상의 주벽(6a)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20c)과 스테이부(20b)의 상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재하고, 또 대략 구형상의 외주부를 갖는 손잡이부(20d)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0d)의 소정의 위치에는 하우징(1)과 구동수단(13)과의 고정에 제공되는 나사(14)의 삽입을 허가하는 다수의 나사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2스프링 홀더(20)를 그 관통구멍(20c)내에 하우징(1)내의 주벽(6a)을 비접촉 상태에서 삽통하도록 해서 하우징(1)내에 장착한다.
다음에 밸브스프링(12)을 제2스프링 홀더(20)의 내저부(20a)상에 배치한 후에 베어링(7)이 장착된 하우징(1)의 관통구멍(6)내에 밸브축(8)을 삽입한다.
다음에 제1스프링 홀더(11)를 밸브축(8)의 凹부(8a)에 부쉬(10)을 통해서 고정한다. 다음 제1스프링 홀더(11)에서 밸브스프링(12)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밸브축 (8)의 일단에 밸브체(9)를 고정한 후 그 수축상태를 해제하면 밸브체(9)가 밸브좌 (4)에 접촉한다(밸브 폐쇄상태).
다음에 제2스프링 홀더(20)의 손잡이부(20d)를 끼고 하우징(1)의 상부에 구동수단(13)을 겹쳐 제2스프링 홀더(20)의 손잡이부(20d)에 형성된 나사구멍(21)을 하우징(1)측의 나사구멍(1a) 및 구동수단(13)측의 나사구멍(도시않음)에 위치맞춤을 한 후 나사(14)에서 3자를 고정해서 부착을 종료한다.
이 부착에서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상단부와 밸브축(8)의 상단과의 거리 t1 및 구동수단(13)의 하단부와 구동축(13a)의 하단과의 거리 t2는 어느 것이나 각부품의 치수의 오차에 의해 흐트러짐이 생기는 일이 있고, 종래는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의 스페이서(15)를 하우징(1)과 구동수단(13)과의 사이에 끼워서 조정하고 있었다.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흐트러짐의 보정수단으로 제2스프링 홀더(20)의 손잡이부(20d)를 상기 스페이서(15) 대신에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리t1 및 t2를 센시티브 포텐시오미터로 측정하고 측정 및 산출된 T = t2 - t1에 상당하는 두께의 손잡이부(20d)를 구비한 제2스프링 홀더(20)를 사용함으로서 밸브축(8)의 상단과 구동수단(13)의 구동축(13a)의 하단을 당접 시킬 수가 있다.
또, 여러가지 두께를 갖는 제2스프링 홀더(20)을 사전에 준비해 둠으로서 부품관의 치수의 오차에 의한 흐트러짐을 흡수할 수 있고 스페이서(15)를 별도로 준비해둘 필요도 없다.
물론, 제2스프링 홀더(20)의 손잡이부(20d)는 상기 스페이서(15)와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밸브 폐쇄상태에서는 구동수단(13)의 구동축(13a)이 화살표 B방향으로 후퇴해서 밸브축(8)을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지 않으므로 밸브체(9)는 밸브스프링(12)의 작동력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작동되어 밸브좌(4)에 접촉하고 있다(밸브폐쇄).
이 때문에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가 차단되어 있다. 다음에 밸브 개방시에는 구동수단(13)을 동작시켜서 구동축(13a)을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 시킴으로서 밸브축(8)을 전진시켜서 밸브체(9)를 밸브좌(4)로부터 이간시킨다.(밸브개방).
이 밸브 개방상태에서는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가 연통하므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제1의 유체통로(2)로부터 제2의 유체통로(3)로 흐르고 제2의 유체통로(3)을 구성하는 하우징(1)이 약 350℃정도까지 가열된다.
그러나,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종래의 구성과 달리 밸브스프링(12)이 하우징(1)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제2스프링 홀더(20)를 통해서 밸브스프링(12)이 하우징(1)에서 이간하고 있으므로 하우징(1)측으로부터의 열이 밸브스프링(12)에 전달하기 힘들다.
즉, 하우징(1)측으로부터의 복사열에 관해서는 종래의 경우보다 거리를 벌 수가 있고, 하우징(1)측으로부터의 전도열에 관해서는 하우징(1)의 스테이부(5)에서 제2스프링 홀더(20)의 손잡이부(20d), 스테이부(20b) 및 내저부(20a)를 경유해서 밸브스프링(12)에 열을 전달하므로 열전도 거리를 길게 취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밸브스프링(12)이 종래에 비해 고온에 노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밸브스프링(12)이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나 작동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밸브체(9)와, 밸브좌(4)가 예기치 않게 접촉과 이간을 반복해서 발생하는 이상 소음의 발생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밸브스프링(12)의 스프링 특성이 저하하지 않으므로 밸브 폐쇄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확실한 개폐동작에 의해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2스프링 홀더(20)를 통해서 밸브스프링(12)을 하우징(1)에 고정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종래와 같이 밸브스프링(12)을 하우징(1)에 직접 고정한 경우와 달리 하우징(1)에서의 복사열에 대해 거리를 벌수가 있는 동시에 제2스프링 홀더(20)을 경유하는 만큼 열전도 거리를 길게 취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밸브스프링을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2스프링 홀더(20)를 하우징(1)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레스로 구성하였으므로 고온의 배기가스로 가열된 하우징(1)으로부터의 전도열을 밸브스프링(12)에 전도하기 힘들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밸브스프링(12)을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2스프링 홀더(20)에 이간거리 조정부재로서의 스페이서(15)의 기능을 갖는 손잡이부(20d)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전용의 스페이서(15)를 폐지 또는 삭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2스프링 홀더(20)의 스테이부(20b)에 의해 밸브스프링(12)의 주위를 덮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밸브스프링(12)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의 형태1에서는 밸브스프링(12)의 구동수단(13)측의 단부를 제1스프링 홀더(11)로 지지하고, 또 밸브스프링(12)의 밸브체(9)측의 단부를 제2스프링 홀더(20)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역으로 밸브스프링(12)의 구동수단(13)측의 단부를 제2스프링 홀더(20)로 지지하고, 또 밸브스프링(12)의 밸브체(9)측의 단부를 제1스프링 홀더(11)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같은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유량제어밸브의 요부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또 이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EGR에서의 유량제어밸브 및 실시의 형태 1의 각 구성요소와 공통하는 것에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 2의 특성을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대해 하우징(1)의 스테이부(5)에 관통구멍(22)를 설치한 점에 있다.
이 관통구멍(22)은 제2스프링 홀더(20)에 대해 외부에서 통기하고 제2스프링 홀더(20) 및 밸브스프링(12)를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또, 관통구멍(22)은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유량제어밸브가 도 4의 화살표 D방향을 상,하방향으로서 내연기관 등에 탑재되었을 때에 고온의 배기가스가 제2스프링 홀더(20)의 외면 등에서 냉각되어 결로하고 구동수단(13)에 악영향을 미치는 황산수 방울 등의 액체 방울을 외부로 효율이 좋게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 관통구멍(22)은 제2스프링 홀더(20)에 대응한 개소만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스프링(12)이 관통구멍(22)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2스프링 홀더(20)에 의한 기능, 예를 들면 이물질로부터의 밸브스프링(12)의 보호기능을 손상되지 않고 지지된다.
다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 폐쇄상태에서는 구동수단(13)의 구동축(13a)이 화살표 B방향으로 후퇴해서 밸브축(8)을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지 않으므로 밸브체(9)는 밸브스프링(12)의 작동력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작동되어 밸브좌(4)에 접촉하고 있다(폐쇄밸브)
이 때문에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가 차단되어 있다. 다음에 밸브를 개방할 때는 구동수단(13)을 동작시켜서 구동축(13a)을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밸브축(8)을 전진 시켜서 밸브체(9)를 밸브좌(4)에 이간시킨다(밸브개방).
이 밸브 개방상태에서는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가 연통하므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제1의 유체통로(2)에서 제2의 유체통로(3)로 흐르고 제2의 유체통로(3)를 구성하는 하우징(1)이 약 350℃정도까지 가열된다.
하우징(1)으로부터의 복사열은 주벽(6a) 근방에서 제2스프링 홀더(20)의 내저부(20a)를 향해 전달되고, 전도열은 하우징(1)의 스테이부(5) 및 제2스프링 홀더 (20)의 손잡이부(20d)를 경유해서 전달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 비해 열전도 경로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밸브스프링 (12)의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또 밸브스프링(12)은 제2스프링 홀더(20)를 향해 개구된 관통구멍(22)를 통해서 하우징(1)의 스테이부(5)내에 유인하는 외기에 의해 제2스프링 홀더(20)를 통해서 냉각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하우징(1)의 스테이부(5)에 관통구멍 (22)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효과 외에 제2스프링 홀더(20)의 외면 등으로 결로하는 액체방울을 효율이 좋게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잇다.
따라서, 밸브스프링(12)이나 구동수단(13)을 황산수적 등의 액체방울에 의해 피해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유량제어밸브의 요부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또 이 실시의 형태 3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EGR에서의 유량제어밸브 및 실시의 형태 1등의 각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 3의 특징은 하우징(1)의 스테이부(5)의 내벽면에 주방향으로 연재하는 단차부(1b)를 설치하고, 이 단차부(1b)에 스테이부(20b)를 짧게한 소형의 제2스프링 홀더(20)의 손잡이부(20e)를 끼우고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1)의 스테이부(5)의 단차부(1b)보다 밸브좌(4)측에 가까운 위치에 관통구멍(22)을 설치하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손잡이부(20e)는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손잡이부(20d)와 같이 스테이부(20b)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재하고 있으나, 그 외주부는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손잡이부(20d)와 다르고 하우징(1)의 단차부(1b)에 대응 하도록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소형의 제2스프링 홀더(20)에 대응하기 때문에 관통구멍(22)의 개구면적을 실시의 형태 2에 비해 작게 설정하고 있다.
즉,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제2스프링 홀더(20)에 가지게 하였던 이간거리 조정기능을 가지지 않고 밸브스프링(12)을 열에 의한 손상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만을 제2스프링 홀더(20)에 가지고 있도록 한다.
다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 폐쇄상태에서는 구동수단(13)의 구동축(13a)이 화살표 B방향으로 후퇴해서 밸브축(8)을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지 않으므로 밸브체(9)는 밸브스프링(12)의 작동력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작동되어 밸브좌(4)에 접촉하고 있다.(밸브폐쇄).
이 때문에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가 차단되어 있다. 다음에 밸브를 개방할 때는 구동수단(13)을 동작시켜서 구동축(13a)을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밸브축(8)을 전진시켜서 밸브체(9)를 밸브좌(4)로부터 이간시킨다(밸브개방).
이 밸브 개방상태에서는 제1의 유체통로(2)와 제2의 유체통로(3)가 연통하므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제1의 유체통로(2)로부터 제2의 유체통로(3)으로 흐르고, 제2의 유체통로(3)를 구성하는 하우징(1)의 약 350℃정도까지 가열된다.
하우징(1)으로부터의 복사열은 주벽(6a) 근방에서 제2스프링 홀더(20)의 내저부(20a)를 향해 전달되고 전도열은 하우징(1)의 스테이부(5), 그 단차부(1b) 및 제2스프링 홀더(20)의 손잡이부(20e)를 경유해서 전달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 비해 열전도 경로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밸브스프링 (1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또, 밸브스프링(12)은 제2스프링 홀더(20)을 향해서 개구된 관통구멍(22)를 통해서 하우징(1)의 스테이부(5) 내로 유입하는 외기에 의해 제2스프링 홀더(20)를 통해서 냉각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스테이부(20b)를 짧게 한 소형의 제2스프링 홀더(20)의 손잡이부(20e)를 지지하는 단차부(1b)를 하우징(1)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소형의 제2스프링 홀더(20)로도 충분히 밸브스프링(12)을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가 있다.
또, 단차부(1b)로부터 밸브좌(4)측으로 가까운 위치에 관통구멍(22)을 설치 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밸브스프링(12)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제2스프링 홀더(20)을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 비해 간소한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디프 드로윙(Deep drawing)가공에 의한 코스트 상승이 없는 만큼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 비해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에 비해 열전도 경로가 짧으므로 내열온도에 여유가 있는 밸브스프링(12)에 적용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밸브스프링을 하우징에 직접 고정한 경우와 달리 하우징으로부터의 복사열에 대해 거리를 줄일 수가 있는 동시에 제2스프링 홀더를 경유하는 만큼 열전도 거리를 길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밸브스프링을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유량제어밸브의 내부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한 유량제어밸브를 분해해서 표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유량제어밸브에서의 제2스프링 홀더의 구성을 표시하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유량제어밸브의 요부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유량제어밸브의 요부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6는 종래의 EGR에서의 유량제어밸브 근방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나사공,
1b : 단차부, 2 : 제1의 유체통로,
3 : 제2의 유체통로, 4 : 밸브좌,
5 : 스테이부, 6 : 관통구멍,
6a : 주벽, 7 : 베어링,
8 : 밸브축, 8a : 凹부
9 : 밸브체, 10 : 부쉬,
11 : 스프링홀더(제1스프링 홀더), 12 : 밸브스프링,
13 : 구동수단, 20d : 손잡이부,
21 : 나사공, 22 : 관통구멍.

Claims (4)

  1. 유체통로를 내부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밸브좌와,
    상기 밸브좌에 대해 접촉 이탈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를 지지하는 밸브축과,
    상기 밸브축을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좌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밸브스프링과,
    상기 밸브스프링의 작동력에 반해서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좌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축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밸브축에 고정되고, 상기 밸브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 홀더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밸브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프링 홀더는 원형의 내저부와, 상기 내저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스테이부를 구비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스테이부는 상기 밸브스프링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 홀더는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밸브.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스프링 홀더를 외기에 연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스테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밸브.
KR10-2002-0080297A 2001-12-21 2002-12-16 유량제어밸브 KR100495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90177A JP3857128B2 (ja) 2001-12-21 2001-12-21 流量制御弁
JPJP-P-2001-00390177 2001-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991A KR20030052991A (ko) 2003-06-27
KR100495343B1 true KR100495343B1 (ko) 2005-06-14

Family

ID=1918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297A KR100495343B1 (ko) 2001-12-21 2002-12-16 유량제어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37485B2 (ko)
JP (1) JP3857128B2 (ko)
KR (1) KR100495343B1 (ko)
CN (1) CN1223777C (ko)
DE (1) DE1025873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6757B2 (ja) * 2004-03-15 2011-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Egrバルブ装置
KR100739826B1 (ko) * 2005-12-20 2007-07-18 장분선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DE102006002638A1 (de) * 2006-01-19 2007-07-26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US20070246677A1 (en) * 2006-04-21 2007-10-25 Bircann Raul A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having self-centering bushing
JP4857994B2 (ja) * 2006-07-31 2012-01-1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液圧発生装置
CN101960133B (zh) * 2008-04-08 2013-04-17 三菱电机株式会社 排气气体再循环气门和排气气体再循环气门的制造方法
US8944983B2 (en) 2010-06-17 2015-02-03 Terumo Bct, Inc. Multi-unit blood processor with isolated valves for radio frequency sealing
WO2012091194A1 (ko) * 2010-12-28 2012-07-05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홀딩밸브
JP5717556B2 (ja) * 2011-06-22 2015-05-13 愛三工業株式会社 Egrバルブ
JP5549696B2 (ja) * 2012-03-02 2014-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Egr装置
DE102012102646A1 (de) * 2012-03-27 2013-10-02 Ebm-Papst Landshut Gmbh Gasregelventil
JPWO2018216070A1 (ja) * 2017-05-22 2019-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Egrバルブ装置
WO2020100185A1 (ja) * 2018-11-12 2020-05-22 日鍛バルブ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ポペットバルブの製造方法
JP7150624B2 (ja) * 2019-01-17 2022-10-11 愛三工業株式会社 Egrバルブ
CN110131427B (zh) * 2019-04-28 2024-03-19 贵州航天林泉电机有限公司 一种可靠电动开关阀
US11486313B2 (en) * 2019-06-14 2022-11-01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Linear electric air valve
WO2023112296A1 (ja) * 2021-12-17 2023-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ル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556Y2 (ko) * 1985-06-06 1991-06-24
US5494255A (en) 1994-01-12 1996-02-27 Robertshaw Controls Company Solenoid activated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JP3068746B2 (ja) 1994-06-17 2000-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式流量制御弁
US5632258A (en) 1995-02-28 1997-05-27 Nippondenso Co., Ltd. Exhaust gas re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270417A (ja) 1998-03-25 1999-10-05 Unisia Jecs Corp Egrバルブ
US6247461B1 (en) 1999-04-23 2001-06-19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flow gas force balanced EGR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58735A1 (de) 2003-08-28
US20030116743A1 (en) 2003-06-26
US6837485B2 (en) 2005-01-04
CN1223777C (zh) 2005-10-19
JP2003185049A (ja) 2003-07-03
CN1428529A (zh) 2003-07-09
KR20030052991A (ko) 2003-06-27
JP3857128B2 (ja) 2006-12-13
DE10258735B4 (de)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5343B1 (ko) 유량제어밸브
KR101657390B1 (ko) 모터차량의 플랩축용 플랩힌지 장치
US20140252259A1 (en) Butterfly valve
US4456167A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valve in the circulation of liquid 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1254926B1 (ko) Egr 밸브 장치
US20140374495A1 (en) Valve with integrated wax motor bypass fail safe
US10161527B2 (en) Exhaust gas valv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10033214A1 (en) Particle-impeding and ventilated solenoid actuator
KR101226322B1 (ko) 드롭-인형의 배기 가스 순환 밸브의 부착 장치
US9915208B2 (en) Flap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650947B1 (en) Air bypass valve
US20170211722A1 (en) Fluid control valve
US10760699B2 (en) Valve actuating thermal disk assembly
US6789532B2 (en) Mounting device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US20170370330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actuator device (egr)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related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assembly
US6446586B2 (en) Engine cooling system
US6913129B2 (en) Sensor mounting mechanism for a clutch case
KR101820044B1 (ko) 에어 바이패스 밸브
CA2041587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assembly
JP4021405B2 (ja) 燃料噴射弁
EP3096055B1 (en) Air bypass valve
EP1293662B1 (en) Bearing module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US5515815A (en) Self-flushing thermostat
JPH09203481A (ja) 内燃機関の排ガス還流弁装置
KR20180037469A (ko) Egr 밸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