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493B1 -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493B1
KR100494493B1 KR10-2003-0088133A KR20030088133A KR100494493B1 KR 100494493 B1 KR100494493 B1 KR 100494493B1 KR 20030088133 A KR20030088133 A KR 20030088133A KR 100494493 B1 KR100494493 B1 KR 10049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railway vehicle
safety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061A (ko
Inventor
문형석
최성규
유원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03/0027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5037622A1/en
Priority to JP2005509627A priority patent/JP4283808B2/ja
Publication of KR2005003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출입문의 수평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경시켜 주는 도어연동부와; 이 도어연동부에 연결되어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로 승강 및 하강하는 제1가이드부와; 이 제1가이드부 상에 설치되어 도어연동부에 일정 텐션력을 부여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출입문 양측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부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따라 탄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에 절첩가능하게 조립되어 제1가이드부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의해 수직으로 접히거나 수평으로 펼쳐져서 철도차량과 역사의 플랫홈을 연결시켜 주는 발판부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이동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이 닫힐 때 상승하는 발판부를 간섭하여 수직으로 접혀지도록 유도하는 접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플랫홈과 철도차량간의 간격에 안전발판을 형성하여 승객의 승하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발판이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하여 작동되므로 별도의 동력과 제어장치가 필요없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SAFETY STEPPING BOARD DEVICE FOR TRAI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문과 역사의 플랫홈 사이에서 승객의 승하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입문의 개폐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되는 안전발판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동력과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오작동 없이 정확하게 동작되도록 한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의 플랫홈과 철도차량 간에는 열차의 원활한 안전주행을 위해 일정한 간격(이하 "연단간격"이라 함)이 유지된다. 이러한 연단간격은 가능한 한 좁게 형성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그러기 위해서는 역사를 직선으로 건설해야 하지만, 통상 지하철은 도심의 인구집중지역의 기존 대로를 따라 노선이 결정되어 공사가 이루어지므로 도시가스배관, 도로주변의 고층대형건물, 기존도로의 형상 및 지하수와 같은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많은 역사들이 곡선부분을 포함하여 건설될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철도차량과 플랫홈 간의 연단간격이 크게 벌어지는 구간이 형성되어 짧은 정차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승하차하면서 연단간격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연단간격이 커짐에 따른 사고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연단간격이 큰 부분에 경고등을 설치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보장치는 차량이 지정된 궤도로 진입하면, 경고등에서 빛을 발산하여 차량과 플랫홈 사이의 공간에 대한 위험성을 승객에게 주의시키면서 경보나 안내방송이 나오게 하고, 차량이 역사를 출발하여 궤도를 지나면 그 작동이 멈추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보장치는 위험성을 승객에게 알려 승객 스스로가 위험에 대처하도록 하는 주의정보제공의 기능만을 가지는 장치로서, 바쁜 출퇴근 시간이나 혼잡한 상황에서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고, 특히 위험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나 노약자에게는 위험성이 그대로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경전철이 있는 나라에서는 경전철용 차량에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계단식 발판을 설치하는 차량용 발판이 제공되어 있으나, 국내 지하철에 적용하기에는 차체 및 역사의 구조상 불가능하였다.
즉, 차량의 바닥이 플랫홈과 거의 동일 레벨상에 위치하므로 안전발판이 차량의 바닥과 수평이 되도록 작동되어야 하고, 차량에 있어서도 스테인레스 차량인 경우 사이드 빔(Side beam), 알루미늄 차량인 경우 솔바(Sole bar)에 구멍을 뚫으면 전체적인 차체의 강도 및 구조상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하철에 적용하기 편리한 안전발판이 제공된 바 있는데, 그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호 1은 출입문, 2는 S자석, 3은 가이드박스, 4는 발판, 5는 N자석, 6은 차량몸체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발판은 차량의 출입문(1) 하측에 S극성을 띤 S자석(2)을 설치하고 플랫홈(P) 단부에 가이드박스(3)를 설치한 후, 상기 가이드박스(3) 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발판(4)을 인출 가능하게 수용하되, 발판(4)의 측면에는 N극성을 띤 N자석(5)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발판(4)은 차량이 정차한 후, 차량에 설치된 S자석(2)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발판(4)을 가이드박스(3)로부터 인출시키고, 차량이 출발하면 차량 몸체(6)에 형성된 N극성을 띤 자석(미도시됨)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가이드박스(3)의 내측으로 발판(4)을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발판은 자력을 띤 자성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에 장착된 자석의 자성이 바뀌면서 안전발판의 삽입 및 인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열차가 빠른 속도로 진입할 경우 발판이 돌출한 상태에서 차량과의 충돌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역사내의 모든 기기를 통제하는 중앙사령실에서 발판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발판의 삽입 및 인출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역사내의 모든 기기는 승객의 고의적인 파괴행위에 대비해야 하나 상기 안전발판은 제어가 불가능하여 발판을 고의로 인출하였을 경우 발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안전발판 설치시에도 플랫홈의 단부에 가이드박스 설치를 위한 토목공사가 요구되어 많은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시철도차량은 차량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각 차량에 설치된 컴퓨터로부터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여 전달 또는 인수하게 되는데, 이러한 프로토콜은 전자파, 고주파 및 자력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자력을 발생하는 자성체를 차량에 장착하게 되면 차량의 통신 시스템을 교란하여 통신시스템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영향을 끼쳐 차량의 운행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성체를 사용하지 않고 안전발판을 작동시키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18211호 "플랫홈 장착용 승하차 안전발판"과, 특허등록 제0318212호 "차량장착용 승하차 안전발판"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들은 안전발판을 작동시킴에 있어 출입문의 개폐상태와 관계없이 지상신호장치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아 작동하거나 철도차량 운전자의 별도의 신호조작에 의해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신호처리조작에 따른 오작동이 빈번히 발생하여, 오히려 더 큰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21760호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에 대하여 제안한 바 있다. 이 기술은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플랫홈을 연결시켜주는 안전발판이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이나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승객의 승하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 기술에 있어서는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로 승하강하는 가이드부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설된 스프링 및 이 스프링이 연결되는 고정브래킷 등의 부재들이 차량 하부의 측방에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이 플랫홈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접촉되어 서로 충돌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및 고정브래킷 등의 부재들을 차량 측에 홈을 파서 설치해야 하므로, 외관을 손상시키게 됨은 물론 설치자체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으로부터 승객의 승하차시에 플랫홈과 철도차량간의 공간을 덮어주도록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여 승하강 작동되는 안전발판을 구비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차량의 하부와 플랫홈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는,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연동되며, 출입문의 수평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경시켜 주는 도어연동부와; 이 도어연동부에 연결되어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로 승강 및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문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와; 이 제1가이드부 상에 설치되어 도어연동부에 일정 텐션력을 부여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출입문 양측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부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따라 탄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에 절첩가능하게 조립되어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력을 받으며, 제1가이드부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의해 수직으로 접히거나 수평으로 펼쳐져서 철도차량과 역사의 플랫홈을 연결시켜 주는 발판부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이동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이 닫힐 때 상승하는 발판부를 간섭하여 수직으로 접혀지도록 유도하는 접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연동부는, 출입문에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일단이 고정되는 체인 또는 와이어와, 상기 출입문 외측의 프레임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체인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방향을 변경시키는 스프로킷휠 또는 가이드풀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철도차량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발판부가 장착되며 전면에 발판부의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런너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부의 런너블럭과 발판부의 삽입홈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홈에는 토션스프링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런너블럭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블럭과, 이 가이드블럭의 수용홈 내에 설치되어 체인에 연결되는 텐션조절용 고정블럭과, 이 고정블럭 및 런너블럭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는, 원통형 몸체 내에 내장되어 있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런너블럭의 상면에 고정되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이부는, 내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발판부를 접힌 상태로 수용하는 접이박스와, 이 접이박스의 전면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부가 상승할 때 그 상면에 구름접촉하여 발판부를 접어주는 복수의 안내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의 중앙이 철망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출입문에는 체인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체인덮개가 더 구비되어 있고, 이 체인덮개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편이 철도차량의 측벽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덮개가 자바라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장치의 도어연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장치의 도어연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장치의 도어연동부에 덮개를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철도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되어 안전발판장치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안전발판장치가 하강되어 펼쳐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안전발판장치가 승강되어 수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는 철도차량 출입문(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1)의 개폐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하는 도어연동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어연동부(10)는 출입문(1)의 단부에 고정브래킷(11)을 설치하여 체인 (12)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체인(12)이 걸려서 회전하는 스프로킷휠(13)과, 이 스프로킷휠(13)의 양측으로 체인(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16)이 철도차량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도어연동부(10)를 구성하는 체인(12)의 타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제1가이드부(20)가 설치된다. 이 제1가이드부(20)는 철도차량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레일(21)과, 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런너블럭(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런너블럭(22)은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23) 및 양 측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힌지축(2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20)를 구성하는 런너블럭(22)의 상면 일측에는 제2가이드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가이드부(25)는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블럭(26)과, 이 가이드블럭(26)의 수용홈(26a)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슬롯(26b)을 통한 체인(12)에 연결되어 있는 텐션조절용 고정블럭(27)과, 이 고정블럭(27) 및 상기 런너블럭(22)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2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런너블럭(22)에 설치된 가이드블럭(26)의 일측에는 철도차량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부(30)를 가지고 있다. 이 실린더부(30)는 원통형 몸체(30a) 내에 내장되어 있는 텐션스프링(31)과, 상기 런너블럭(2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로드(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20)를 구성하는 런너블럭(22)의 힌지축(24)에는 발판부 (40)가 탄력있게 설치된다. 이 발판부(40)는 내단 양측으로 삽입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런너블럭(22)과 발판부(40)의 삽입홈(41)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홈 (44)에는 토션스프링(42)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발판부(40)가 런너블럭(22)의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한편, 상기 발판부(40)는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중앙 일부분을 철망(43)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토션스프링(42)에는 비틀림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발판부(40)가 하강하여 펼쳐지거나 또는 승강하여 수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발판부(40)가 상승하면서 접힐 수 있도록 좌우 1쌍의 런너블럭(22)의 이동경로 상에는 내측이 개방된 접이박스(61)가 각각 설치되고, 이 접이박스(61)의 전면벽 및 상측벽의 내부에 복수의 안내로울러(62)를 가지는 접이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연동부(10)는 체인(12)과 스프로킷휠(13)에 대신하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에 연결되는 와이어(14)와, 이 와이어 (14)가 감겨져서 회전하는 가이드풀리(15)를 철도차량의 프레임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출입문(1)에는 체인(12)의 상측으로 체인덮개(50)를 장착하고, 이 체인덮개(50)가 출입문(1)의 개폐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편(51a)이 철도차량의 측벽(51)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체인덮개(50)는 가이드편(51a)의 길이를 절반정도로 하여 자바라식으로 접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철도차량의 측벽(51)에는 예를 들어 스프로킷휠(13)을 감싸주는 코너덮개(52)나 혹은 제1 및 제2가이드부(20,25)를 감싸주기 위한 커버(도시생략)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및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엔진에 의하여 출입문 (1)이 개방되면, 출입문(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브래킷(11)이 출입문(1)을 따라 수평 이동됨으로써, 상기 고정브래킷(11)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체인(12)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체인(12)의 텐션은 제2가이드부(25)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럭(26)의 수용홈(26a) 내에 설치되어 있는 텐션조절용 고정블럭(27)과, 이 텐션조절용 고정블럭(27)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28)의 탄성에 의하여 유지된다.
또한, 제1가이드부(20)를 구성하는 런너블럭(2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로드(32)가 실린더부(30)의 원통형 몸체(30a) 내에 장착되어 있는 텐션스프링(31)에 의해 탄력을 가지게 되며, 이들 런너블럭(22) 및 가이드블럭(26)은 가이드레일(2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체인(12)은 스프로킷휠(13)에 의하여 주행방향을 변경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은 도 4에서와 같이 도어연동부(10)가 와이어(14) 및 가이드풀리(15)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입문(1)의 개방동작에 의해 도어연동부(10)가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20,25)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발판부(40)가 접이부(60) 내에 장착된 안내로울러(62)의 구속에서 벗어나게 되고, 런너블럭(22)의 힌지축 (24)에 장착되어 있는 토션스프링(4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발판부(40)가 외측으로 펼쳐진다.
이 때, 발판부(40)는 런너블럭(22)의 걸림턱(23)에 의해 펼침 정도가 제한되어 수평으로 유지되고, 이어서 출입문(1)이 완전히 열려 런너블럭(22)이 하사점까지 내려오면 펼쳐진 발판부(40)가 플랫홈의 상면에 맞닿아 철도차량과 플랫홈 간의 공간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발판부(40)가 펼쳐진 상태에서 승객들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며, 도 5 및 도 7b에서와 같이 출입문(1)이 닫히게 되면, 출입문(1)을 가동하는 도어엔진의 힘에 의해 체인(12)이 출입문(1)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기 런너블럭(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부(30)의 로드(32)를 밀고 올라가 텐션스프링(31)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가이드블럭(26) 내에 설치되어 있는 텐션조절용 고정블럭(27)과 스프링(28)에 의해 체인(12)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런너블럭(22)이 상승하면서 발판부(40)를 상측방향으로 끌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발판부(40)가 상승하게 되면, 펼쳐져 있던 발판부(40)의 상면이 접이부(60)의 안내로울러(62)에 구름접촉됨에 따라 런너블럭(22)의 힌지축(24)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2)의 탄성을 극복하여 차체의 측면과 나란하도록 점차적으로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출입문(1)이 완전히 닫혀서 런너블럭(22)이 상사점까지 상승하게 되면 발판부(40)는 그 양단이 접이부(60)의 접이박스(61) 내로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안내로울러(62)에 눌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차량과 플랫홈 사이의 간격에 안전발판을 형성하여 승객의 승하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철도차량의 출입문이 개폐하는 동작에 따라 안전발판이 작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과 제어장치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오작동 없이 확실하게 작동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석식 안전발판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장치의 도어연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장치의 도어연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장치의 도어연동부에 덮개를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철도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되어 안전발판장치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장치가 하강하여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장치가 승강하여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어연동부 11: 고정브래킷
12: 체인 13: 스프로킷휠
14: 와이어 15: 가이드풀리
16: 이탈방지편 20: 제1가이드부
21: 가이드레일 22: 런너블럭
23: 걸림턱 24: 힌지축
25: 제2가이드부 26: 가이드블럭
26a: 수용홈 26b: 슬롯
27: 텐션조절용 고정블럭 28: 스프링
30: 실린더부 30a: 원통형 몸체
31: 텐션스프링 32: 로드
40: 발판부 41: 삽입홈
42: 토션스프링 43: 철망
44: 스프링홈 50: 체인덮개
51: 측벽 51a: 가이드편
52: 코너덮개 60: 접이부
61:접이박스 62: 안내로울러
P: 플랫홈

Claims (11)

  1.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연동되며, 출입문의 수평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경시켜 주는 도어연동부와;
    상기 도어연동부에 연결되어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로 승강 및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문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 상에 설치되어 도어연동부에 일정 텐션력을 부여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출입문 양측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부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따라 탄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에 절첩가능하게 조립되어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력을 받으며, 제1가이드부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의해 수직으로 접히거나 수평으로 펼쳐져서 철도차량과 역사의 플랫홈을 연결시켜 주는 발판부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이동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이 닫힐 때 상승하는 발판부를 간섭하여 수직으로 접혀지도록 유도하는 접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연동부는, 출입문에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일단이 고정되는 체인과, 상기 출입문 외측의 프레임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체인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방향을 변경시키는 스프로킷휠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철도차량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발판부가 장착되며 전면에 발판부의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런너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의 런너블럭과 발판부의 삽입홈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홈에는 토션스프링이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런너블럭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블럭과, 이 가이드블럭의 수용홈 내에 설치되어 체인에 연결되는 텐션조절용 고정블럭과, 이 고정블럭 및 런너블럭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원통형 몸체 내에 내장되어 있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런너블럭의 상면에 고정되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내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발판부를 접힌 상태로 수용하는 접이박스와, 이 접이박스의 전면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부가 상승할 때 그 상면에 구름접촉하여 발판부를 접어주는 복수의 안내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중앙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에는 체인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체인덮개가 더 구비되어 있고, 이 체인덮개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편이 철도차량의 측벽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덮개가 자바라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연동부는, 상기 철도차량 출입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런너블럭을 관통하여 텐션조절용 런너블럭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출입문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철도차량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방향을 변경시키는 가이드풀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KR10-2003-0088133A 2003-10-10 2003-12-05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KR10049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3/002769 WO2005037622A1 (en) 2003-10-15 2003-12-18 Safety stepping board device for train
JP2005509627A JP4283808B2 (ja) 2003-10-15 2003-12-18 鉄道車両用の安全足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722 2003-10-10
KR20030070722 2003-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61A KR20050035061A (ko) 2005-04-15
KR100494493B1 true KR100494493B1 (ko) 2005-06-10

Family

ID=3723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133A KR100494493B1 (ko) 2003-10-10 2003-12-05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3417B (zh) * 2019-03-05 2023-08-22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列车站台伸缩踏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61A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80380B2 (en) Protective wall for protecting persons from travelling rail vehicles
JP4283808B2 (ja) 鉄道車両用の安全足場装置
KR101427712B1 (ko) 승객 안전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승강 시설물
MX2011013303A (es) Metodo para absorber un impacto de vehiculo usando fuerza de friccion cinetica y fuerza de rodamiento producidas por el arrastre de una superficie de tubo enrollado, y aparato de absorcion de impactos de vehiculos que usa el mismo.
GB2305645A (en) Overhead monorail - lowers carriage to load/unload passengers or goods
AU2003268602A1 (en) High impact gate
KR20140029127A (ko) 열차 플랫폼 스크린 안전장치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방법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JP4576283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0494493B1 (ko)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KR100515916B1 (ko) 출입문 연동형 안전발판장치
KR100512306B1 (ko) 철도차량용 출입문 일체 작동형 안전발판장치
KR100603511B1 (ko)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100647522B1 (ko) 철도건널목의 자동차 차단장치
KR100318212B1 (ko) 차량 장착용 승하차안전발판
KR102349019B1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JP4365794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0318211B1 (ko) 플랫홈 장착용 승하차안전발판
JP2006273035A (ja) 軌道車両のプラットホーム
CN210971066U (zh) 轨道交通系统
KR102255164B1 (ko)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도어 어셈블리
KR102668426B1 (ko) 초슬립 승강장 안전 발판
CN218757152U (zh) 一种行人及车辆保护道闸
JP2003170826A (ja) プラットホーム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