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318B1 - Tire-Deliver System - Google Patents

Tire-Deliv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318B1
KR100494318B1 KR10-2003-0032923A KR20030032923A KR100494318B1 KR 100494318 B1 KR100494318 B1 KR 100494318B1 KR 20030032923 A KR20030032923 A KR 20030032923A KR 100494318 B1 KR100494318 B1 KR 100494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hain
pedestal
vehic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0529A (en
Inventor
신종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318B1/en
Publication of KR2004010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5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31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는 타이어가 컨베이어에서 조립대상 차량의 좌/우로 분배된 후 하나씩 리프트를 타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래로 이송되어 적치함에 적재되기 때문에 이송도중 타이어가 서로 엉켜 이송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타이어가 충격을 받지 않으므로 타이어의 파손으로 인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충격소음 및 진동 등이 발생되지 않아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In the vehicle tir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res are distributed from the conveyor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the tires are tangled and transported while being transported downward while being horizontally transported while being horizontally loaded on the lift. The oper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errupted, and since the tire is not impacted, the failure rate due to the breakage of the tire can be reduced, and impact noise and vibration are not generated,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Description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Tire-Deliver System } Transport device for vehicle tires {Tire-Deliver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를 작업장의 상측에 설치된 컨베이어로부터 조립대상 차량이 있는 아래로 이송할 때, 리프트를 이용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ire transpor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tire transport apparatus that uses a lift when transporting a tire from a conveyo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 workplace to a vehicle under assembly.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는 천장에 설치되어 타이어를 타이어 서브장으로부터 차량을 조립하는 작업장으로 이송하는 이송행거(2)와,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행거(2)에 의해 이송된 타이어(1)를 전달받아 조립대상 차량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4)와, 상기 컨베이어(4)의 안내를 받는 타이어(1)를 조립대상 차량의 좌/우로 나뉘어 운반될 수 있도록 분배하는 타이어 분배기(6)와, 상기 타이어 분배기(6)로부터 타이어(1)를 전달받아 타이어 자체 중력에 의해 조립대상 차량의 좌/우로 각각 미끄러지도록 안내하는 좌/우 슈터(8)와, 상기 좌/우 슈터(8)로부터 각각 타이어(1)가 자유 낙하하여 적치되는 좌/우 적치함(10)으로 구성된다.The transport device for a ti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transport hanger (2)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ransports the tire from the tire subfield to the workshop for assembling the vehicle, and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workplace and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hanger (2). Conveyor (4) for receiving the received tire (1) and transported to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and the tire (1) guided by the conveyor (4) to be divided so as to be transported divided into left / right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A tire distributor 6 and a left / right shooter 8 for receiving the tire 1 from the tire distributor 6 and sli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by gravity by the tire itself, and the left / right shooter 8. Each of the tires 1 freely falls from the right shooter 8 and is configured as a left and right stacker 10.

상기에서, 타이어(1)는 차종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른 바, 차종에 상관없이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슈터(8)는 그 폭(L)이 가장 큰 타이어(1)를 기준으로 설정된다.In the above, the tire 1 is different in size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so that the left / right shooter 8 is the tire with the largest width (L) so that it can be used to share the conveying device of the vehicle tire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It is set based on (1).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4)의 중간에는 차량의 뒤쪽으로 스페어용 타이어를 분배하는 스페어 타이어 분배기(3)가 설치된다.In the middle of the conveyor 4, a spare tire distributor 3 for distributing spare tires to the rear of the vehicle is insta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i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타이어(1)가 타이어 서브장에서 이송행거(2)에 적재되어 작업장으로 운반되고, 상기 이송행거(2)가 작업장에 도착하면 이송행거(2)로부터 컨베이어(4) 위로 올려진 후, 컨베이어(4)에 의해 조립 대상 차량의 상측으로 운반된다.First, the tire 1 is loaded on the transport hanger 2 from the tire subfield and transported to the work place, and when the transport hanger 2 arrives at the work place, it is lifted from the transport hanger 2 onto the conveyor 4, It is conveyed to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vehicle by the conveyor 4.

이후, 타이어(1)는 조립 대상 차량의 상측에서 타이어 분배기(6)에 의해 순서대로 좌/우 슈터(8)로 분배되고, 자체 중력에 의해 좌/우 슈터(8)의 안내를 각각 받아 아래로 미끄러져서 좌/우 적치함(10)에 각각 자유 낙하하여 적치되면, 이송이 완료된다.Subsequently, the tire 1 is distributed to the left and right shooters 8 in order by the tire distributor 6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and receives the guidance of the left and right shooters 8 by its own gravity, respectively. When the rollers are sli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torage boxes 10 and freely dropped, respectively, the transport is complet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는 좌/우 슈터(8)보다 그 폭 이 좁은 타이어(A)가 이송중일 때, 타이어가 좌/우 슈터(8)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앞서 이송중인 타이어와 좌/우 슈터(8) 사이의 공간으로 끼어져 이송작업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한다.However, the vehicle tir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tire that is conveyed earlier as the tire slides along the left / right shooter 8 when the tire A narrower than the left / right shooter 8 is being transferred. There is often a problem that the feed operation is interrupted by the space between and the left / right shooter (8).

또한, 종래 기술은 타이어(1)가 좌/우 슈터(8)를 따라 자유 낙하하여 적치함(10)에 적치되기 때문에 낙하시 충격으로 인해 타이어(1)에 조립된 밸런스 웨이트 등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ince the tire 1 freely falls along the left / right shooter 8 and is loaded in the loading box 10, a balance weight or the like assembled to the tire 1 is dislodged or damaged due to an impact upon falling. There is a problem.

또한, 종래 기술은 타이어(1)가 자유 낙하할 때, 둔탁한 충격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휠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when the tire (1) free fall, dull impact noise and vibration is generated to adversely affect the working environment, wheel scratch is genera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어가 서로 엉켜 이송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타이어가 자유 낙하하여 적치함에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tire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the tires are tangled with each other to stop the transfer operation, and also prevent the tires from falling freely loaded into the stacker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는 타이어를 작업장으로 이송하는 이송행거와; 상기 이송행거의 종착지점 아래에 설치되어 타이어를 조립대상 차량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조립대상 차량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타이어를 수평한 상태로 하강시켜 하측 옆에 설치된 적치함에 적치시키는 한 쌍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상측과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타이어를 상기 한 쌍의 리프트에 교대로 적재시키는 한 쌍의 디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transport hanger for transporting the tire to the workplace; A conveyor installed below the end point of the transfer hanger and transferring the tire to an upper side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A pair of lift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to lower the tire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tires are placed in a load bin installed at a lower side; And a pair of diverter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lift and the conveyor to alternately load tires into the pair of lift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는 타이어 서브장으로부터 차량을 조립하는 작업장으로 타이어(50)를 이송하는 이송행거(52)와, 작업장의 상부에 상기 이송행거(52)의 종착지점과 조립 대상 차량(51)의 상측 사이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행거(52)로부터 타이어(50)를 전달받아 조립대상 차량(51)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54)와, 조립대상 차량(51)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타이어(50)를 수평한 상태로 하강시켜 조립대상 차량(51)과의 사이에 설치된 적치함(56)에 각각 적치시키는 한 쌍의 리프트(60)와, 상기 리프트(60)와 조립대상 차량(51) 측 컨베이어(5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54)에 의해 이송된 타이어(50)를 상기 한 쌍의 리프트(60)에 각각 분배하는 한 쌍의 디버터(58)로 구성된다.The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ort hanger 52 for transporting the tire 50 from a tire subfield to a workshop for assembling the vehicle, and an end point of the transport hanger 52 and an assembly object at the upper part of the workshop. The conveyor 54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51 and receives the tire 50 from the transfer hanger 52 and is transferred to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side, and left / right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A pair of lifts 6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right side to lower the tires 50 in a horizontal state to be placed in the stacker 56 installed between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and the lifts 60 and A pair of diverters 58 installed between the conveyors 54 on the side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and distributing the tires 50 transferred by the conveyors 54 to the pair of lifts 60, respectively. It is composed.

상기에서, 컨베이어(54)의 중간에는 조립대상 차량(51)의 뒤쪽으로 스페어용 타이어(50)를 분배하는 스페어 타이어 분배기(53)가 설치된다. 즉, 상기 스페어 타이어 분배기(53)는 조립대상 차량(51)의 뒤쪽으로 스페어용 타이어(50)를 이송하는 슈터(미도시)와의 사이에 타이어(50)가 조립대상 차량(51)의 뒤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스토퍼가 일정한 순서에 따라 해제되어 상기 컨베이어(54)에 의해 이송중인 타이어(50) 중 하나가 조립대상 차량(51)의 뒤쪽으로 이송되도록 한다.In the above, a spare tire distributor 53 for distributing the spare tire 50 to the rear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51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onveyor 54. That is, the spare tire distributor 53 has a tire 50 toward the rear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with a shooter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spare tire 50 to the rear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A stopper (not shown) is installed to prevent the transfer, and the stopper is released in a certain order so that one of the tires 50 being transferred by the conveyor 54 is transferred to the rear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Be sure to

상기 리프트(60)는 작업자의 상측에 상기 디버터(58)로부터 조립대상 차량(51)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미도시)와 회전축(61a)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스프라켓(61)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61)과 상하방향으로 인 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작업장의 하측에 설치된 종동 스프라켓(62)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62)과 구동 스프라켓(61) 사이에 감아져 상기 구동 스프라켓(61)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순환하는 체인(64)과, 상기 체인(64)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디버터(58)로부터 타이어(50)가 하나씩 적재되는 캐리어(70)로 구성된다.The lift 60 is spaced apart from the diverter 58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from the diverter 58 so as to be rotatable, and is connected to and driven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and a rotating shaft 61a. A drive sprocket 61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a motor, a driven sprocket 62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workshop so as to be located on the in-lin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the drive sprocket 61, and the driven sprocket 62 and the drive sprocket. A plurality of chains 64 are wound between 61 and circu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rotation of the drive sprocket 61, and a plurality of chains 64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hain 64 so that the tire 50 is removed from the diverter 58. ) Is composed of a carrier 70 which is stacked one by one.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체인(64)은 조립대상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한 쌍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70)를 전/후 양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캐리어(7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chain 64 is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so as to support the carrier 70 from both sides before / after the carrier 70 is not shaken.

물론, 상기 구동 스프라켓(61)와 종동 스프라켓(62)도 각각의 사이에 상기 체인(64)이 감아질 수 있도록 각각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스프라켓(61)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하나의 회전축(61a)으로 함께 연결된다.Of course, the drive sprocket 61 and the driven sprocket 62 is also composed of a pair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chain 64 is wound therebetween, and the pair of drive sprockets ( 61 is connected together with the drive motor and one rotating shaft (61a) to be integrally rotated.

그리고, 상기 체인(64)은 강판으로 만들어진 눈썹 모양의 링크(64a)가 핀(64b)으로 연속하여 연결되고 그 사이에 롤러(64c)가 끼워진 롤러 체인이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61)과 종동 스프라켓(62)에 벨트처럼 감아진 체인 가이드(66)의 안내를 받는다.The chain 64 is a roller chain in which an eyebrow-shaped link 64a made of steel sheet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pin 64b, and a roller 64c is inserted therebetween, and the drive sprocket 61 and the driven sprocket Guide 62 is guided by a chain guide 66 wound like a belt.

또한, 상기 체인(64)은 그 피치가 클수록 좋으나 너무 크면 상기 구동 스프라켓(61)과 종동 스프라켓(62) 또한 커져 시설이 방대해지므로 작업장의 여건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In addition, the larger the pitch of the chain 64 is, but if the pitch is too large, the driving sprocket 61 and the driven sprocket 62 also become larger, so that the facility becomes enormous.

상기 캐리어(70)는 사각 패널로서 상기 디버터(58)로부터 타이어(50)를 분배받아 수평하게 받치는 받침대(72)와, 상기 받침대(72)가 자체 충력에 의해 상기 체인(64) 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72)를 체인(64)에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74)와, 하강시 상기 받침대(72)가 체인(64) 측으로 접혀지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76)로 구성된다.The carrier 70 is a rectangular panel, which receives the tire 50 from the diverter 58 and horizontally supports the pedestal 72, and the pedestal 72 is folded toward the chain 64 by its own force. It consists of a hinge portion 74 to hinge the pedestal 72 to the chain 64 so that the pedestal 72, and the stopper 76 to restrain the pedestal 72 is folded to the chain 64 side when descending.

여기서, 상기 받침대(72)에는 타이어(50)가 상기 디버터(58)로부터 이송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롤러 가이드(71)가 설치된다.Here, the pedestal 7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 guides 7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re 50 is transferred from the diverter 58.

그 이유는 타이어(50)가 디버터(58)에서 상기 받침대(72)로 이송될 때, 타이어(50)가 디버터(58)를 따라 자체 중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관성을 유지하여 상기 받침대(72) 안쪽까지 적재되기 쉽도록 하는데 있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tire 50 is transferred from the diverter 58 to the pedestal 72, the tire 50 maintains the inertia of sliding by its own gravity along the diverter 58 so that the pedestal 72 ) To make it easy to load inside.

또한, 상기 체인(64)은 구동 스프라켓(61)과 종동 스프라켓(62) 사이를 회전할 때에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지만, 작업장의 하측에서 상기 종동 스프라켓(62)과 접하면서 감아질 때에는 상기 종동 스프라켓(62)의 곡선부위를 따라 상하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다.Further, the chain 64 is perpendicular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n rotating between the drive sprocket 61 and the driven sprocket 62, but when wound while contacting the driven sprocket 62 at the lower side of the workshop, the driven sprocket 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along the curved part of (62).

따라서, 상기 받침대(72)도 상기 종동 스프라켓(62) 측에서 상기 체인(64)과 함께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이 때 타이어(50)가 자체 중력과 상기 롤러 가이드(71)에 의해 상기 받침대(72)로부터 적치함(56)으로 쉽게 미끄러져 적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edestal 72 is also inclined in a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together with the chain 64 at the driven sprocket 62 side, wherein the tire 50 is driven by its own gravity and the roller guide 71. It can be easily slipped and loaded from the pedestal 72 into the stacker 56.

물론, 상기 적치함(56)은 상기 받침대(72)가 종동 스프라켓(62) 측에서 적당하게 기울어져 타이어(50)가 상기 받침대(72)로부터 적치함(56)으로 미끄러질 때 바로 타이어(50)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60)로부터 적당한 거리에 설치되고, 타이어(50)가 짧지만 상기 받침대(72)로부터 자유 낙하하여 적치되므로 그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바닥과의 사이에 쇽 업소버(56a)가 설치된다.Of course, the gearbox 56 is a tire 50 immediately when the pedestal 72 is properly inclined at the driven sprocket 62 side and the tire 50 slides from the pedestal 72 to the gearbox 56. It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lift 60 so that the tire 50 is short, but is freely dropped by the free fall from the pedestal 72, so that the shock absorber between the floor and the bottom can be alleviated at that time. 56a) is installed.

상기 힌지부(74)는 상기 받침대(72)의 체인(64) 측 끝단에 전후방향으로 제1힌지홀(74a)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체인(64)에서 그 사이에 상기 받침대(72)가 끼워지도록 한 쌍의 힌지보스(74b)가 각각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힌지보스(74b)에 각각 상기 제1힌지홀(74a)과 전후방향으로 합치될 수 있는 제2힌지홀(74c)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72)가 상기 한 쌍의 힌지보스(74b)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제2힌지홀(74a,74b)을 힌지핀(74d)이 동시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받침대(7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지지한다. The hinge portion 74 is formed with a first hinge hole 74a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end of the chain 64 side of the pedestal 72, and the pedestal 72 between the pair of chains 64. A pair of hinge bosses (74b) are projected vertically so that each of the hinge bosses (74b) is fitted, and the second hinge hole which can coincide with the first hinge hole (74a)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A 74c is formed, and the hinge pins 74d are simultaneously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holes 74a and 74b while the pedestal 72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hinge bosses 74b. 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edestal 72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받침대(72)는 자체 중력에 의해 상기 힌지핀(74d)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이어(50)를 적치함(56)에 적치한 후 다시 승강할 때, 상기 힌지핀(74d)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여 체인(64) 측으로 접혀짐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상기 리프트(60)의 작업공간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pedestal 72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hinge pin 74d by its own gravity, when the tire 50 is placed on the loading box 56 and then lifted and lifted again, the hinge By rotating downward about the pin 74d and being folded toward the chain 64 side, the working space of the lift 6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reduced.

상기 스토퍼(76)는 상기 받침대(72)의 체인(64) 측 끝단에 하강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강시 자체 중력에 의해 상기 받침대(72)에 회전력이 작용할 때, 상기 체인(64)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받침대(72)의 회전을 구속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72)는 타이어(50)를 적재한 후 아래로 하강할 때,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타이어(50)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The stopper 76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vertically bent down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the end of the chain 64 side of the pedestal 72 when a rotational force acts on the pedestal 72 by its own gravity when the pedestal descends, By being locked by the chain 64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pedestal (72). Therefore, the pedestal 72 can safely transport the tire 50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when the tire 72 is lowered after loading the tire 50.

한편, 상기 캐리어(70)는 체인(64)이 다시 아래로 회전하는 상사점(T)과 다시 위로 회전하는 하사점(B)이 있는데, 상기 캐리어(70)가 상사점(T)을 지나 아래로 회전할 때 상기 받침대(72)가 체인(64)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다시 자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다시 유지하고, 이와 아울러 상기 스토퍼(76)가 상기 체인(64)을 향해 회전하여 상기 체인(64)에 걸림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rrier 70 has a top dead center (T) that the chain 64 rotates down again and a bottom dead center (B) that rotates up again, the carrier 70 passes through the top dead center (T) When the pedestal 72 is folded to the chain 64 side when i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to rotate again down by its own gravity to maintain the horizontal again, and the stopper 76 also rotates toward the chain 64 It is caught by the chain (64).

이 때, 상기 스토퍼(76)가 회전력에 의해 상기 체인(64)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 충돌이 완화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76)는 하강시 상기 체인(64)과 접촉되는 일면에 소형의 쇽 업소버(76a)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topper 76 collides with the chain 64 by the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stopper 76 is in contact with the chain 64 when descending so that the collision can be alleviated. An absorber 76a is provided.

다음, 상기 디버터(58)는 상기 컨베이어(54)의 끝단에서 조립대상 차량(51)의 우측 리프트(6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우측 디버터(58a)와, 상기 컨베이어(54)와 조립대상 차량(51)의 좌측 리프트(60)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좌측 디버터(58b)와, 상기 좌측 디버터(58b)와 컨베이어(54) 사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54)에 이송중인 타이어(50)를 상기 우측 디버터(58a) 또는 좌측 디버터(58b)로 교대로 안내하는 스토퍼 가이드(미도시)로 구성되어, 타이어(50)를 교대로 좌/우 리프트(60)에 분배한다.Next, the diverter 58 includes a right diverter 58a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conveyor 54 toward the right lift 60 of the assembly vehicle 51, and the conveyor 54 and the assembly target. The tire 50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left diverter 58b inclined downward between the left lift 60 of the vehicle 51 and the left diverter 58b and the conveyor 54 and is being transferred to the conveyor 54. It consists of a stopper guide (not shown) which alternately guides to the said right diverter 58a or the left diverter 58b, and distributes the tire 50 to the left / right lift 60 alternat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타이어(50)가 이송행거(52)에 의해 타이어 서브장으로부터 작업장으로 이송되고, 작업장에서 이송행거(52)로부터 컨베이어(54)로 옮겨진 후 컨베이어(54)에 의해 조립대상 차량(51)의 상측으로 이송되며, 조립대상 차량(51)의 상측에서 디버터(58)에 의해 좌/우 리프트(60)로 각각 나뉘어져 작업장 아래로 하강한 다음, 적치함(56)에 적치된다.The tire 50 is transported from the tire subfield to the workplace by the transport hanger 52, moved from the transport hanger 52 to the conveyor 54 in the workshop, and then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51 by the conveyor 54. It is transferred to, and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lift 60 by the diverter 58 o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51, and lowered down the workplace, and then placed in the storage box 56.

이 때, 상기 타이어(50)는 복수개가 컨베이어(54)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이송되기 때문에 리프트(60)의 받침대(72)에 하나씩만 적재된다.At this time, only one tire 50 is loaded on the pedestal 72 of the lift 60 because a plurality of the tires 50 are transported at a constant interval from the conveyor 54.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는 타이어가 컨베이어에서 조립대상 차량의 좌/우로 분배된 후 하나씩 리프트를 타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래로 이송되어 적치함에 적재되기 때문에 이송도중 타이어가 서로 엉켜 이송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타이어가 충격을 받지 않으므로 타이어의 파손으로 인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충격소음 및 진동 등이 발생되지 않아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ported because the tire is distributed to the left / right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on the conveyor and then transported downward while being horizontally loaded on the lift one by one while being loaded into the stow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res from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to stop the transfer operation.Because the tires are not impacted, the tires are not damaged and the defect rate caused by the tires can be reduced.The impact noise and vibration are not generat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hav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i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도 4는 도 2의 'B'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direction 'B' of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타이어 52 : 이송행거50: tire 52: feed hanger

54 : 컨베이어 56 : 적치함54: conveyor 56: loading

58 : 디버터 60 : 리프트58: diverter 60: lift

64 : 체인 70 : 캐리어64: chain 70: carrier

72 : 받침대 74 : 힌지부72: pedestal 74: hinge portion

76 : 스토퍼76: stopper

Claims (9)

타이어를 작업장으로 이송하는 이송행거와; 상기 이송행거의 종착지점 아래에 설치되어 타이어를 조립대상 차량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조립대상 차량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타이어를 수평한 상태로 하강시켜 하측 옆에 설치된 적치함에 적치시키는 한 쌍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상측과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타이어를 상기 한 쌍의 리프트에 교대로 적재시키는 한 쌍의 디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A transport hanger for transporting the tire to the workplace; A conveyor installed below the end point of the transfer hanger and transferring the tire to an upper side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A pair of lift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to lower the tire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tires are placed in a load bin installed at a lower side; And a pair of diverter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lift and the conveyor to alternately load tires into the pair of lif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프트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구동/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종동 스프라켓에 감아져 상하방향으로 순환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디버터로부터 타이어가 적재되는 캐리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The lift is driven and driven sprocket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hain wound around the drive / driven sprocket and circulated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transport apparatus for a vehicle tir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carrier on which the tire is loaded from the diverter is installed in the chai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체인은 상기 캐리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The chain is a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i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air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rier to prevent shaking of the carri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종동 스프라켓에는 상기 체인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테이크 업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The driven sprocket transfer device for a vehicle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ke-up is install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hai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체인은 롤러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The chain is a transport device for a vehicle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chai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체인은 구동/종동 스프라켓 사이에 벨트처럼 감아진 체인 가이드의 안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And said chain is guided by a chain guide wound like a belt between the drive / driven sprocke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캐리어는 타이어를 수평하게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가 중력에 의해 상기 체인 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를 체인에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하강시 상기 받침대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체인에 걸림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체인 측 끝단에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강시 상기 받침대를 수평하게 유지시키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The carrier includes a support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tire; A hinge portion for hinge-engaging the pedestal to the chain such that the pedestal can be folded to the chain side by gravity; And a stopper which is formed in a shape bent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the chain side of the pedestal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hai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when descending.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받침대에는 외측 끝단에 타이어가 리프트를 타고 하강중일 때, 타이어가 받침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And the stopper is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stopper to restrain the t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and when the tire is being lowered by the lif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타이어의 이송방향으로 복수개의 롤러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이송장치.And a plurality of roller guides are installed in the pedestal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ire.
KR10-2003-0032923A 2003-05-23 2003-05-23 Tire-Deliver System KR100494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923A KR100494318B1 (en) 2003-05-23 2003-05-23 Tire-Deliv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923A KR100494318B1 (en) 2003-05-23 2003-05-23 Tire-Deliv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529A KR20040100529A (en) 2004-12-02
KR100494318B1 true KR100494318B1 (en) 2005-06-10

Family

ID=3737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923A KR100494318B1 (en) 2003-05-23 2003-05-23 Tire-Deliv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3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943B1 (en) * 2006-07-18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uppling system of wheel and tire in automotive assembly process
KR100986843B1 (en) * 2007-09-19 2010-10-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Wheel and tire feeder
KR100969122B1 (en) * 2007-12-14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tire
US20210221457A1 (en) * 2020-01-19 2021-07-22 Hongcai Wen Vehicle servic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529A (en)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245B2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US5141095A (en) Package transport device
KR101956713B1 (en) Tower type arranging article storage device
JP5643804B2 (en) Board storage shelf
KR20160026240A (en) Vertical conveyor
KR100494318B1 (en) Tire-Deliver System
KR100856874B1 (en) Tire deliver system
CN111891681B (en) Commodity circulation sorting device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JP4857990B2 (en) Sorting equipment
CN215046915U (en) Semi-automatic feeding mechanism for heavy pipes
JP2001199514A (en) Tray type article conveyer
JP3265909B2 (en) Loading device
KR100887059B1 (en) An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load partiality in belt conveyer
JPH0531799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panel
JP3298447B2 (en) Article transfer equipment
CN212557968U (en) Conveyer and soldering tin machine
JPH08231035A (en) Conveying unit in classfication conveyor
JP5034811B2 (en) Sorting equipment
KR101281256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transport material
JPH0318510A (en) Set hanging device for raw tire
JP2022179291A (en) Fruit/vegetable placing body, fruit/vegetable placing body lifting mechanism and automated fruit/vegetable sorting apparatus
JP5041226B2 (en) Stacker crane and article handling equipment
JP3691232B2 (en) Agricultural product transport and supply equipment
JP2022063972A (en) Article conveyanc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