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387B1 - 연창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연창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387B1
KR100492387B1 KR10-2002-0088193A KR20020088193A KR100492387B1 KR 100492387 B1 KR100492387 B1 KR 100492387B1 KR 20020088193 A KR20020088193 A KR 20020088193A KR 100492387 B1 KR100492387 B1 KR 10049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reinforcement
sid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891A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3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06B1/38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for shop, show, or like larg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06B1/6038Anchor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the wall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폭 이상의 대형창을 두개 이상의 창틀이 결합된 연창으로 구성하는 경우, 강한 풍압에 대한 창틀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틀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연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재가 양측 창틀에 단순히 덧대져 보강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보강재의 상단 및 하단에 용접 고정되는 연창 설치용 브라켓이 콘크리트 조적에 결합되어 보강재를 양단 지지보 형태로 견고히 지지하게 되므로, 강한 풍압에 대해서도 높은 강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창 설치구조{Connected Window Frame Setting Up Structure}
본 발명은 연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폭 이상의 대형창을 두개 이상의 창틀이 결합된 연창으로 구성하는 경우, 강한 풍압에 대한 창틀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틀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연창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폭이 일정치 이상인 대형창의 경우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 이상의 창틀(1a, 1b, 1c)을 연결하여 연창으로 구성하게 되며, 창틀의 연결부에는 보강재(2)를 설치하여 적정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2는 보강재가 함께 설치된 일반적인 창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먼저 창틀(1a)과 창틀(1b)을 비스(3c)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창틀의 결합부 외측에 사각 단면의 보강재(2)를 덧 대고, 각각의 창틀을 비스(3a, 3b)를 이용하여 보강재(2)에 결합시킴으로서 창틀(1a, 1b)를 연결시키게 된다.
도면 부호 2a는 보강심, 2b는 합성수지 커버, 4a, 4b는 결합부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재를 각각 나타내며, 좌측 창틀(1a)에는 여닫이창이, 우측 창틀(1b)에는 고정창이 각각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창 설치구조는 보강재가 결합 대상 창틀에 덧대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그 양단부가 견고히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초고층 건물과 같이 항시 강한 바람이 작용하는 창에 적용하는 경우, 강한 풍압에 대해 창틀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창틀이 보강재의 한 면에 비스로만 결합되어 있어 창틀간의 결합 강도가 약하며, 양측의 창틀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보강재의 가로폭(H)을 크게 형성해야 하는 데 대해, 굽힘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풍압 방향의 폭, 즉 세로폭(W)은 외부로 돌출되어 벽체에 지지되는 관계상 일정치 이하로 제한되므로, 보강재의 크기나 중량에 비해 강도 보강 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측의 창틀을 비스로 체결한 후, 각각의 창틀을 또 다시 보강재에 비스를 이용 체결해야 했으므로 그 조립 공정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연창 설치구조의 제반 문제점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한 풍압에 대한 창틀의 지지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킴과 동시에 창틀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연창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창 설치구조는, 두개 이상의 창틀을 연결하여 연창으로 구성하는 연창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결합대상 양측 창틀과 보강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T"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창틀 결합용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조적에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하 한 쌍의 연창 설치용 브라켓이 보강재의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설치부가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창틀 내부쪽을 향하도록 용접 결합되고, 상기 연창 설치용 브라켓이 용접되어 있는 보강재에 상기 양측 창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한쌍의 연창 설치용 브라켓의 설치부가 콘크리트 조적의 실내측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앵커 볼트로 고정되고, 양측 창틀의 상하 수평 부재가 상기 연창 설치용 브라켓의 창틀 결합용 볼트공을 통해 콘크리트 조적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재가 양측 창틀에 단순히 덧대져 보강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보강재의 상단 및 하단에 용접 고정되는 연창 설치용 브라켓이 콘크리트 조적에 결합되어 보강재를 양단 지지보 형태로 견고히 지지하게 되므로, 강한 풍압에 대해서도 높은 강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연창 설치구조는, 도 2에 예시된 창틀 연결구조 즉, 창틀의 측면에 보강재가 결합되는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보강재를 결합 대상 창틀의 세로폭보다 그 세로폭이 일정 길이만큼 긴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를 상기 결합 대상 창틀 사이에 삽입한 후, 양측의 창틀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함으로서, 상기 보강재의 일부가 상기 양측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보강재와 상기 양측의 창틀이 결합되도록 구성하면, 보강재의 가로폭을 최소화하면서, 창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한계 내에서 풍압에 의한 굽힘 응력이 작용하는 세로폭을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소형 경량의 보강재로 결합부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되고, 창틀을 보강재의 양측에 위치시킨 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양측 창틀을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보강재와 양측 창틀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창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창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창틀과 보강재의 결합 상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연창 설치용 브라켓(60)은, 결합대상 양측 창틀(30, 30')과 보강재(1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T"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창틀 결합용 볼트공(61a)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부(61)와 몸체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조적(70)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용 볼트공(62a)이 천공되어 있는 설치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하 한 쌍의 연창 설치용 브라켓(60)은 보강재(10)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부(62)가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창틀 내부쪽을 향하도록 용접 결합되며, 연창 설치용 브라켓(60)이 용접된 상태의 보강재(10)에 양측 창틀을 결합하여 콘크리트 개구부에안착시킨 후, 상하 한 쌍의 연창 설치용 브라켓(60)의 설치부(62)를 콘크리트 조적(70)의 실내측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앵커 볼트(71)로 고정시키고, 양측 창틀의 상하 수평 부재(30a)를 연창 설치용 브라켓의 창틀 결합용 볼트공(61a)을 통해 콘크리트 조적(7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앵커 볼트(72)로 고정시킨 후 마감 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보강재와 양측 창틀의 결합 구조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측면에 보강재가 결합되는 구조로 하고, 연창 설치용 브라켓(60)의 몸체부(10) 형상을 그 결합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도 3 및 도 4에는, 소형 경량의 보강재로 결합부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며, 창틀과 보강재의 결합의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보강재와 창틀의 결합구조에 대한 실시예가 적용되고 있다.
즉, 보강재(10)은 대략 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창틀(30, 3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트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단면보의 경우 굽힘 응력의 척도가 되는 관성 모멘트(I)는 굽힘 방향인 세로폭의 3제곱에 비례하고 및 가로폭에 단순 비례하는 바, 보강재(10)의 세로폭(W)은 창틀의 세로폭(w)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양측에 창틀이 결합되는 경우 창틀의 외부로 일정길이 만큼 돌출됨으로서 강도 보강 효과를 최대화하게 되며, 가로폭(H)은 풍압에 의한 굽힘 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보강재가 벽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는 정도 범위내의 적정치로 형성된다.
보강재(10)의 외주에는 합성 수지재 커버가 결합되는 바, 커버의 결합을 끼워 넣기 방식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외측 커버(21)와 내측 커버(22)가 "ㄷ"자형으로 분할 형성된다.
각 커버(21, 22)의 내주면은 보강재(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보강재의 외주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은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되, 양 창틀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은 창틀의 측벽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창틀의 측벽에는 보강재의 돌출부(11)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31)과 외측 커버(21)와 내측 커버(22)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21a, 22a)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32, 33)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41)-너트(42) 체결 이전에도 보강재와 창틀이 어느 정도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21b, 34는 볼트공, 51, 52, 53은 실링재를 각각 나타낸다.
보강재(10)의 단부에 연창 설치용 브라켓이 용접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강재에 창틀을 결합하는 경우, 보강재(10)에 내외측 커버(21, 22)를 각각 삽입한 후, 양측 창틀(30, 30')의 외측 결합홈(31)에 실링재를 도포한 상태에서, 창틀을 보강재(10)의 양측에 삽입하고, 창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트(41)-너트(42)를 체결한 후, 마무리 작업으로 외측 커버(21)와 창틀 사이의 틈새와 볼트와 너트 체결부에 실링재(51, 53)를 도포함으로서 보강재와 창틀의 결합이 완료된다. 결합된 창틀을 콘크리트 개구부에 안착시킨 후 콘크리트 조적에 대해 설치하는 과정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창 설치구조에 의하면, 보강재가 양측 창틀에 단순히 덧대져 보강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보강재의 상단 및 하단에 용접 고정되는 연창 설치용 브라켓이 콘크리트 조적에 대해 결합되어 보강재를 양단 지지보 형태로 견고히 지지하게 되므로, 강한 풍압에 대해서도 높은 강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재의 가로폭을 최소화하면서, 창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한계 내에서 풍압에 의한 굽힘 응력이 작용하는 세로폭을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소형 경량의 보강재로 창틀 결합부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되고, 창틀을 보강재의 양측에 위치시킨 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양측 창틀을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보강재와 양측 창틀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연창의 설치에 따른 전체적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연창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보강재가 함께 설치된 일반적인 창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창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창틀과 보강재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강재 21 : 외측 커버
22 : 내측 커버 30 : 창틀
41 : 볼트 42 : 너트
60 : 연창 설치용 브라켓 71, 72 : 앵커 볼트

Claims (4)

  1. 두개 이상의 창틀을 연결하여 연창으로 구성하는 연창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결합대상 양측 창틀과 보강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T"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창틀 결합용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조적에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하 한 쌍의 연창 설치용 브라켓이 보강재의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설치부가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창틀 내부쪽을 향하도록 용접 결합되고,
    상기 연창 설치용 브라켓이 용접되어 있는 보강재에 상기 양측 창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한쌍의 연창 설치용 브라켓의 설치부가 콘크리트 조적의 실내측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앵커 볼트로 고정되고,
    양측 창틀의 상하 수평 부재가 상기 연창 설치용 브라켓의 창틀 결합용 볼트공을 통해 콘크리트 조적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창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결합 대상 창틀의 세로폭보다 그 세로폭이 일정 길이만큼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재를 상기 결합 대상 창틀 사이에 삽입한 후, 양측의 창틀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함으로서, 상기 보강재의 일부가 상기 양측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보강재와 상기 양측의 창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창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외주에 합성수지 커버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 대상 창틀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연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커버는 외측 커버와 내측 커버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연결구조.
KR10-2002-0088193A 2002-12-31 2002-12-31 연창 설치구조 KR10049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193A KR100492387B1 (ko) 2002-12-31 2002-12-31 연창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193A KR100492387B1 (ko) 2002-12-31 2002-12-31 연창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891A KR20040061891A (ko) 2004-07-07
KR100492387B1 true KR100492387B1 (ko) 2005-05-31

Family

ID=3735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193A KR100492387B1 (ko) 2002-12-31 2002-12-31 연창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3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19B1 (ko) * 2009-01-29 2009-09-03 주식회사 대륙기업 브라켓이 설치된 체인 내장형 배연창 자동 개폐장치용 하우징
KR101003363B1 (ko) 2008-11-19 2010-12-24 최윤실 창틀 받침용 고정장치
KR200451615Y1 (ko) 2008-04-16 2010-12-29 윤병재 창호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15Y1 (ko) 2008-04-16 2010-12-29 윤병재 창호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003363B1 (ko) 2008-11-19 2010-12-24 최윤실 창틀 받침용 고정장치
KR100915319B1 (ko) * 2009-01-29 2009-09-03 주식회사 대륙기업 브라켓이 설치된 체인 내장형 배연창 자동 개폐장치용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891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883B1 (ko) 창호의 보강구조
KR100492387B1 (ko) 연창 설치구조
KR200423362Y1 (ko)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1942855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에 건식으로 접합되는 유공 강판전단벽 시스템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JP4454443B2 (ja) サッシの取付構造
KR102270802B1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JP3314055B2 (ja) 建築物の補強金物
KR102096099B1 (ko) 커튼 월 프레임 조립구조
JP4203491B2 (ja)
JP468132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構築方法とその鉄筋コンクリート梁
JPH09291607A (ja) 建築用構造材継手
JP4974179B2 (ja) 建物用建具
JP2004218236A (ja) 既存の木造建築物の耐震改修工法
KR960009404Y1 (ko)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고정용 쐐기
JPH0412918Y2 (ko)
KR200323668Y1 (ko) 철조 및 콘크리트 합성에 의한 조립구조
JP4756927B2 (ja) 屋根パネル連結金物および屋根パネルの連結方法
JPH0433316Y2 (ko)
JPS6329824Y2 (ko)
JPH09217445A (ja) 壁の開口部補強構造
JPS6317821Y2 (ko)
JPH044084Y2 (ko)
JPH11166276A (ja) 耐力壁構造
JP2001220955A (ja) 改装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