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992B1 -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992B1
KR100491992B1 KR10-2002-0037122A KR20020037122A KR100491992B1 KR 100491992 B1 KR100491992 B1 KR 100491992B1 KR 20020037122 A KR20020037122 A KR 20020037122A KR 100491992 B1 KR100491992 B1 KR 10049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low rate
pump
bidet
ra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800A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9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6Sacks for corpses; Corpse wrapp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She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or with stretc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이 신장된 후에 펌프의 모터수를 조정하여 고수압/고속에 의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통증을 느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터 회전수를 필요한 만큼 조절하여 펌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비데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노즐부와 펌프사이에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되고 마이콤에 펌프와 유량감지센서가 전선연결된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nozzle extension sensing device for bidet}
본 발명은 유량감지센서를 장착한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량감지센서를 노즐부와 펌프사이에 설치하고 유량감지센서와 펌프를 마이콤으로 전선연결하여 유량감지센서의 펄스에 따라 노즐의 신장을 감지하여 펌프의 모터수를 조절할 수 있는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비데 사용자가 용변 후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위를 세척하는 위생세척장치 중 하나로, 비데의 노즐 신장 방법에는 모터와 기어를 이용한 방법과 펌프 수압에 의한 방법이 있다. 노즐 신장을 위해 펌프 수압을 이용할 경우 종래에는 노즐이 모두 신장한 후에도 펌프의 모터수가 노즐의 완전신장 전과 동일하여 세척수의 고수압/고속으로 인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통증을 느낄 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실험예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해 진다.
하기 실험은 세정 및 비데노즐에 유량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각각의 노즐상태에 대해서 유량감지센서가 감지되는 펄스를 측정하여 초기노즐상태, 완전노즐신장상태의 펄스에 상호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 한 것이다.
구 분 초 기 완 전
세 정 Ⅹ1 15Hz 10Hz
Ⅹ2 16Hz 10Hz
비 데 Ⅹ1 16Hz 10Hz
Ⅹ2 16Hz 11Hz
상기의 표를 살펴보면 노즐의 초기신장상태와 완전신장상태에서 공급을 요하는 유량의 차이 즉 초기 노즐상태에서는 노즐세척구에 세척수가 공급되고 노즐신장을 위한 유압이 필요하나 완전노즐신장상태에서는 분사구로만 세척수가 공급되면 되므로 그 차이가 존재하며 이로 인해 유량감지센서에서 발생되는 펄스의 차이가 분명히 나타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노즐이 완전신장된 후에도 즉각적으로 모터의 회전수가 감소되지 않는다면 세척수의 고수압/고속으로 인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통증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이 신장된 상태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펌프의 모터수를 조정하여 고수압/고속에 의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통증을 느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비데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노즐부와 펌프사이에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되고 마이콤에 펌프와 유량감지센서가 전선연결된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투시평면도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데몸체(100)에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세척장치(30) 및 탈취/건조장치(40), 그리고 케이스(10)에 설치된 제어부(20)로 구성되고, 변기(미도시)에 안착되는 시트(80)에는 내부에 무게 감지센서(미도시)가 포함되며, 상기 세척장치(30)는 다시 물공급배관(32), 물탱크(31), 펌프(33), 그리고 노즐부(50)를 포함하는 비데에 있어서, 상기 펌프(33)와 상기 노즐부(50)사이에 유량감지센서(34)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감지센서(34)와 펌프(33)는 마이콤에 전선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50)의 초기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50)가 완전 신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노즐부(50)는 고정관체(51)와, 이 고정관체 내부에 끼워지는 가동관체(53)와, 상기 고정관체(51)와 가동관체(53)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가동관체(53)가 고정관체(51)의 내부로 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코일스프링(52)과, 상기 고정관체(51) 선단에서 그 외측에 압축코일스프링(52)이 끼워지고 그 내측에 가동관체(53)가 접촉되는 끼움부(55)와, 상기 고정관체(51)내 하부 전방에 형성된 소정길이의 통수홈(60)과, 상기 가동관체(53)에서 상기 통수홈(6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홈(58)과, 상기 유입홈(58)과 연통되며 상기 가동관체(53) 내부에 형성된 챔버(59)와, 분사구(57)와, 노즐세척구(56)와, 플랜지부(54)를 포함하고 있으며, 노즐부 후단에는 유량감지센서(34)가 연결되고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최대유량/유압만을 감지하도록 세팅되어 있으며 펌프(33)와 노즐부(50)의 기능상태에 따라 세팅값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비데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비데의 시트(80)에 앉으면, 시트(80)내 설치되어 있는 무게감지센서(미도시)는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유닛(22)에 소정 신호값을 보내고 이에 제어유닛(22)의 작동에 의해 탈취장치(40)가 작동한다. 또한, 비데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나면, 비데사용자는 세정스위치(21)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물탱크(31)에 저장된 물이 펌프(33)에 의해 소정압력으로 펌핑되어 물공급배관(32)을 통해 노즐부(50)로 공급된다.
초기에 노즐부(50)는 가동관체(53)가 고정관체(51) 내에서 압축코일스프링(52)에 의해 삽입된 상태이나 노즐부(50)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가동관체(53)는 돌출하기 시작한다. 이때 통수홈(60)은 하부 플랜지부(54)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통수홈(60)으로 세척수는 공급되지 아니하나 가동관체(53) 상부는 개방되었으므로 세척수는 노즐세척구(56)에 공급되며 동시에 가동관체(53)의 돌출을 위한 유압으로 사용되므로 많은 유량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유량감지센서(34)는 최대 유량/유압만을 감지되도록 세팅되어 있으므로 이때는 펌프(33)에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수압/수량이 계속 증가할수록 가동관체(53)는 계속 돌출하고 가동관체(53)가 완전 돌출되면 상부 플랜지부(54)에 의해 노즐세척구(56)가 막히게 되나 통수홈(60)이 개방되어 세척수는 통수홈(60), 유입홈(58), 챔버(59)를 거쳐 가동관체(53)의 분사구(57)만을 통해 분사되며 또한 가동관체(53)가 완전 돌출되었으므로 가동관체(53)의 돌출을 위한 유압은 불필요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감지센서(34)는 최대 유량/유압만을 감지하도록 세팅되었으므로 유량/유압이 최대가 되었을 때 즉 분사구(57)를 통해 이용자에게 유출되기 직전을 유량감지센서(34)가 감지하여 마이콤에 신호를 보내고 마이콤은 다시 펌프(33)에 신호를 보내 펌프(33)의 모터수를 감소시킨다. 펌프(33) 모터의 상태, 노즐부(50)의 상태는 사용함에 따라 변화하므로 유량감지센서(34)의 세팅값은 조정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펌프(33)의 모터수가 감소됨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가 감소되어 적절한 분사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즐이 신장된 후에는 고수압에 의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통증을 느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투시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와 유량감지센서의 신장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와 유량감지센서가 완전신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노즐분사 속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3 : 펌프 34 : 유량감지센서
51 : 고정관체 52 : 압축코일스프링
53 : 가동관체 54 : 플랜지부
55 : 끼움부 56 : 노즐세척구
57 : 분사구 58 : 유입홈
59 : 챔버 60 : 통수홈

Claims (3)

  1. 비데몸체(100)에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세척장치(30) 및 탈취/건조장치(40), 그리고 케이스(10)에 설치된 제어부(20)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장치(30)는 다시 물공급배관(32), 물탱크(31), 펌프(33), 그리고 노즐부(50)를 포함하는 비데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고정관체(51)와 상기 고정관체 내부에 끼워지는 가동관체(53)와, 상기 고정관체(51)와 가동관체(53) 사이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가동관체(53)가 고정관체(51)의 내부로 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코일스프링(52)과 상기 고정관체(51) 선단에서 그 외측에 압축코일스프링(52)이 끼워지고 그 내측에 가동관체(53)가 접촉되는 끼움부(55)와, 상기 고정관체(51)내 하부 전방에 형성된 통수홈(60)과 상기 가동관체(53)에서 상기 통수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홈(60)과 상기 유입홈(58)과 연통되며 상기 가동관체(53) 내부에 형성된 챔버(59)와 분사구(57)와 노즐세척구(56) 및 플랜지부(54)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33)와 상기 노즐부(50)사이에 설치되어 노즐부(50)에 유입되는 세척수의 최대 유량/유압만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34)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감지센서(34)와 펌프(33)는 마이콤에 연결되어 펌프모터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센서(34)는 상기 노즐부(50)의 고정관체(51) 내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50)의 가동관체(53)가 초기 수압에 의해 신장 중에는 작은 유량으로 인해 유량감지센서(34)가 신호를 보내지 않으나 유량/유압이 최대가 되어 가동관체(53)가 완전 신장한 경우 즉 분사구(57)를 통해 이용자에게 유출되기 직전을 유량감지센서(34)가 감지하여 마이콤에 신호를 보내고 마이콤이 펌프(33)에 신호를 보내 펌프(33)의 모터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KR10-2002-0037122A 2002-06-28 2002-06-28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KR10049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122A KR100491992B1 (ko) 2002-06-28 2002-06-28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122A KR100491992B1 (ko) 2002-06-28 2002-06-28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800A KR20040001800A (ko) 2004-01-07
KR100491992B1 true KR100491992B1 (ko) 2005-05-30

Family

ID=3731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122A KR100491992B1 (ko) 2002-06-28 2002-06-28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9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339A (ja) * 1989-07-15 1991-02-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水洗浄便座の洗浄ノズルの駆動装置
JPH06240724A (ja) * 1993-02-23 1994-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水洗浄便座の洗浄ノズルへの洗浄水の供給装置
JPH06264488A (ja) * 1993-03-15 1994-09-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局部洗浄装置の洗浄水制御装置
KR100217896B1 (ko) * 1997-04-28 1999-09-01 김기철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339A (ja) * 1989-07-15 1991-02-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水洗浄便座の洗浄ノズルの駆動装置
JPH06240724A (ja) * 1993-02-23 1994-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水洗浄便座の洗浄ノズルへの洗浄水の供給装置
JPH06264488A (ja) * 1993-03-15 1994-09-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局部洗浄装置の洗浄水制御装置
KR100217896B1 (ko) * 1997-04-28 1999-09-01 김기철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800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622A (en) Steam iron with pump and pressure reservoir
JP2007117163A (ja) 浴槽洗浄装置による浴槽洗浄方法
KR100491992B1 (ko) 비데의 노즐신장 감지장치
KR101252175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101521917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618071B2 (ja) 自家発電ビデ
JP5573064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1521918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916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85953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0366363Y1 (ko) 노즐 세척기능을 갖는 비데
JP4385180B2 (ja) 消臭装置及び消臭機能付き便器
JP3555236B2 (ja) 局部洗浄装置
KR100211260B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방법
KR0113457Y1 (ko) 식기세척기 세척조의 수위감지장치
KR20070011856A (ko) 쾌변을 위한 유도세정기능을 갖는 온수세정기와 그제어방법
KR100400445B1 (ko) 서랍형 세탁기의 닫힘 유지장치
KR200372487Y1 (ko) 비데 물탱크의 세정수 배출장치
JP3582907B2 (ja) 洗滌装置
KR970000033Y1 (ko) 액류염색기의 에어쿠숀탱크
JPH05239857A (ja) 温水洗浄装置
KR20070011857A (ko) 어린이 세정 기능을 갖는 온수세정기와 그 제어방법
JPH05239856A (ja) 温水洗浄装置
KR0144162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KR200211443Y1 (ko)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