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162B1 -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162B1
KR0144162B1 KR1019960009276A KR19960009276A KR0144162B1 KR 0144162 B1 KR0144162 B1 KR 0144162B1 KR 1019960009276 A KR1019960009276 A KR 1019960009276A KR 19960009276 A KR19960009276 A KR 19960009276A KR 0144162 B1 KR0144162 B1 KR 0144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ipe
discharge pipe
moving memb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555A (ko
Inventor
구본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162B1/ko
Publication of KR97006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application of a pressure effect produced by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시에는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개방시켜 주고 세척시에는 상기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폐쇄시켜 주는 구조를 추가하여 급수시 세척펌프를 빠져나갔던 공기가 세척시에 다시 세척펌프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함에 따라 캐비테이션형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수집실과 세척펌프를 연통시키는 공기토출관에 관로개폐수단을 설치하여 급수시에는 상기 관로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개방하여 주고 세척시에는 상기 관로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폐쇄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제1도는 종래 세척수 펌핑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요부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세척수 펌핑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에 따른 진동 진폭 스팩트럼도.
제3도는 본 발명 세척수 펌핑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관로개폐수단을 일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는 공기토출관이 개방된 상태도.
(b)는 공기토출관이 폐쇄된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관로개폐수단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는 공기토출관이 개방된 상태도.
(b)는 공기토출관이 폐쇄된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관로개폐수단을 또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는 공기토출관이 개방된 상태도.
(b)는 공기토출관이 폐쇄된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관로개폐수단이 일실시예로 된 상태에서의 식기세척기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수집실 5:세척펌프
10:공기토출관 11,21,31:케이싱
12,22,32:이동부재 13,23,33:유로
14:솔레노이드 15:축
16:돌출편 17:스프링
24,34:체크밸브 25,35:유동관
26,36:와이어 37:힌지롤러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세척수 펌핑시 공기가 세척펌프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각종 그릇을 자동으로 닦아주는 기기로서, 본체(1)내의 터브(2)에 설치되어 있는 선반(도시는 생략함) 위로 세척하고자 하는 그릇을 올려놓고 세척시작버튼을 선택하면 도시하지 않은 급수장치가 마이콤(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므로 상기 터브(2)내로 세척에 사용될 물이 급수되고 이 급수된 물은 자중에 의해 필터(3)를 통과하면서 찌꺼기나 오물이 걸러진 다음 상기 터브(2)의 하부에 일체 형성된 수집실(4)에 채워진다.
이와같이 하여 수집실(4)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상기 수집실의 일측에 구비된 세척수 펌핑장치가 작동하여 수집실(4)에 채워져 있는 물을 펌핑하고 이 펌핑된 물은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수단을 통해 터브(2)내로 안내되어 분사되므로 선반에 올려져 있는 그릇이 깨끗하게 세척되고, 세척이 완료되면 계속해서 헹굼과 건조과정을 거쳐 모든 동작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식기세척기의 종래 세척수 펌핑장치는 터브(2)의 수집실(4) 일측에 펌핑력을 발생시키도록 세척펌프(5)가 연결튜브(6)로서 연결되고, 상기 세척펌프(5)에는 세척펌프에 작동력을 부여하도록 세척모터(7)가 모터브라켓(8)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세척모터(7)는 고무재로된 쿠숀부재(9)로서 본체(1)에 수행되게 지지되고, 상기 수집실(4)와 세척펌프(5)가 연통되도록 공기토출관(10)의 일단이 수집실(4)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이 세척펌프(5)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 설명된 바와같이 급수가 행하여져 터브(2)에 형성된 수집실(4)에 물이 채워질때 이 채워지는 물이 상기 수집실과 연결된 세척펌프(5)내로도 채워지는데, 이때 상기 세척펌프내에 공기가 들어가 있다면 이 공기는 수위의 상승에 따른 압력을 받아 점점 위로 올라가면서 일단이 수집실(4)에 연결되고 타단이 세척펌프(5)에 연결된 공기토출관(10)을 통해 상기 수집실(4)로 빠져나가므로 결과적으로 세척펌프(5)내에는 사용될 물만이 완전히 채워지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세척에 사용된 물이 일정수위 이상 채워지면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모터(7)가 곧바로 구동하므로 터브(2)의 수집시(4) 일측에 고정된 세척펌프(5)의 임펠러(5a)가 상기 세척모터(7)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펌핑력을 발생시키고 이에따라 수집실(4)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가 펌핑되어 기 설명된 바와같이 선반에 올려져 있는 그릇을 세척하게 되는데, 이때 세척모터(7)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진동은 상기 세척모터를 수평상태로 지지하고 있는 고무로된 쿠숀부재(9)가 대부분 흡수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세척수 펌핑장치는 세척수 펌핑을 위해 터브(2)의 수집실(4)로 물이 채워짐에 따라 세척펌프(5)내에도 물이 채워질때 상기 세척펌프에 들어가 있는 공기는 일단 수집실(4)로 완전히 빠져나가지만 세척시 세척모터(7)의 구동에 따라 임펠러(5a)가 회전하면 흡입력이 발생되므로 공기가 공기토출관(10)을 통해 다시 세척펌프(5)내로 들어가고 이 들어간 공기는 상기 임펠러(5a)의 계속되는 회전에 따라 방울이 터지면서 캐비테이션현상(동공현상)을 일으키므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척펌프의 진동 진폭이 0.2k에서 2k까지 넓은 주파수에서 생기게 되어 상기 세척펌프의 높은 진동에 의해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급수시에는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개방시켜 주고 세척시에는 상기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폐쇄시켜 주는 구조를 추가하여 급수시 세척펌프를 빠져나갔던 공기가 세척시에 다시 세척펌프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함에 따라 캐비테이션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수집실과 세척펌프를 연통시키는 공기토출관에 관로개폐수단을 설치하여 급수시에는 상기 관로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개방하여 주고 세척시에는 상기 관로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폐쇄하여 주도록 한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발명 세척수 펌핑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터브(2)의 수집실(4) 일측에 펌핑력을 발생시키도록 세척펌프(5)가 연결튜브(6)로서 연결되고, 상기 세척펌프(5)에는 세척펌프에 작동력을 부여하도록 세척모터(7)가 모터브라켓(8)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세척모터(7)는 고무재로된 쿠숀부재(9)로서 본체(1)에 수평되게 지지되고, 상기 수집실(4)과 세척펌프(5)가 연통되도록 공기토출관(10)의 일단이 수집실(4)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이 세척펌프(5)에 연결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관(10)에 관로개폐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관료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10)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도록 한다.
상기에서 관로개폐수단으로 제4도의 일실시예와 같이 공기토출관(10)상에 케이싱(11)을 부착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수평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재(12)를 설치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일단이 일측면으로 타단이 상면으로 각각 뚫어지게 유로(13)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12)는 솔레노이드(14)의 온,오프에 따라 수평이동 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와 축(15)으로 연결하며, 상기 솔레노이드(14)의 온,오프에 따라 이동된 이동부재(12)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축(15)에는 돌출편(16)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돌출편과 솔레노이드(14)사이에는 스프링(17)을 설치한다.
또한 관로개폐수단으로 제5도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공기토출관(10)상에 케이싱(21)을 부착하고, 상기 케이싱내에는 수직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재(22)를 설치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일단이 상면으로 타단이 하면으로 각각 뚫어지게 유로(23)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22)의 상면에는 유로(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체크밸브(24)를 설치하며, 상기 케이싱(21)의 상면에는 공기공급 유,무에 따라 상,하높이가 가변되도록 나선형의 유동관(25)을 부착하고, 상기 유동관의 상,하높이 가변에 따라 이동부재(22)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유동관(25)과 이동부재(22)를 와이어(26)로 연결한다.
그리고 관로개폐수단으로 제6도의 또다른 실시예와 같이 공기토출관(10)상에 케이싱(31)을 부착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수직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재(32)를 설치하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일단이 상면으로 타단이 하면으로 각각 뚫어지게 유로(33)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32)의 상면에는 유로(3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체크밸브(34)를 설치하며, 상기 케이싱(31)의 상면에는 공기공급 유,무에 따라 좌,우폭이 가변되도록 유동관(35)을 부착하고, 상기 유동관의 좌,우폭 가변에 따라 이동부재(32)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유동관(35)과 이동부재(32)를 와이어(36)로 연결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를 힌지롤러(37)에 의해 ㄱ자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에 사용될 물이 급수되어 터브(2)에 형성된 수집실(4)과 세척펌프(5)에 채워질때 세척펌프(5)에도 채워지는데, 이때 도시하지 않은 수위감지수단이 수위를 감지하여 이 감지값을 마이콤으로 보내주면 상기 마이콤은 이 감지된 수위가 정상수위인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마이콤에 의해 판단된 수위가 정상수위가 아니면 급수수단에 의해 계속적으로 급수가 행하여지도록 함과 함께 공기토출관(10)에 부착된 관로개폐수단을 온(ON)시켜 상기 관로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개방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급수가 행하여 질때의 세척펌프(5) 내부 공기가 수집실(4)로 배출되게 하여 주다가 마이콤에 의해 판단된 수위가 정상수위이면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가 중단되도록 함과 함께 공기토출관(10)에 부착된 관로개폐수단을 오프(OFF)시켜 상기 관로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폐쇄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계속해서 펌핑이 행하여지면서 세척이 될때 공기가 공기토출관(10)을 통해 다시 세척펌프(5)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그럼 여기서 관로개폐수단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에 의해 일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수위가 정상수위가 아닌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14)가 온되므로 상기 솔레노이드와 공기토출관(10)에 부착된 케이싱`(11)내의 이동부재(12)가 축(15)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때 상기 이동부재(12)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따라 제4도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부재에 형성된 유로(13)에 의해 공기토출관(10)의 관로가 개방되므로 급수시 세척펌프(5)내의 공기가 상기 공기토출관(10)을 통해 수집실(4)로 빠져나가는데, 상기 솔레노이드(14)가 온된 상태에서는 축(15)에 형성된 돌출편(16)과 솔레노이드(14)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7)이 압축되어 있으므로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이동부재(12)는 상기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 갈려는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수위가 정상수위가 되면 솔레노이드(14)가 오프되므로 우측으로 수평이동되어 있던 이동부재(12)는 스프링(17)의 복원력을 받아 다시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에따라 제4도 (b)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토출관(10)의 관로가 폐쇄되므로 세척시 수집실(4)과 세척펌프(5)에 채워진 물이 펌핑될때 상기 공기토출관(10)을 통해 공기가 다시 세척펌프(5)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다음은 제5도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급수가 행하여질때 세척펌프(5)내에 공기가 들어가 있다면 이 공기는 케이싱(21)내의 이동부재(22)에 형성된 유로(23)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22)의 상면에 설치된 체크밸브(24)를 열면서 케이싱(21)내로 일차 들어간 다음 일부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부착된 나선형의 유동관(25)으로 들어가므로 상기 유동관이 유동되면서 높이가 상승되는데, 이때 유동관과 이동부재(22)가 와이어(26)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때 상기 이동부재(22)는 제5도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로 수직이동하고 이에따라 공기토출관(10)의 관로가 개방되므로 급수시 세척펌프(5)내의 공기가 상기 공기토출관(10)을 통해 모두 수집실(4)로 빠져나간다.
또한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세척을 위해 펌핑이 행하여지면 세척펌프(5)내에는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공기가 다시 공기토출관(10)을 통해 세척펌프(5)내로 들어갈려고 하는데, 이때에는 케이싱(21)의 상부에 부착된 나선형의 유동관(25)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음은 물론 열려있던 체크밸브(24)가 흡입력에 의해 다시 닫히므로 상기 유동관의 상부이동은 더이상 행하여지지않고 이에따라 상부로 수직이동되어 있던 이동부재(22)가 자중에 의해 다시 하부로 수직이동하여 제5도 (b)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토출관(10)의 관로를 폐쇄하므로 세척시 수집실(4)과 세척펌프(5)에 채워진 물이 펌핑될때 상기 공기토출관(10)을 통해 공기가 다시 세척펌프(5)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제6도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기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참고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므로 생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급수시 수집실과 세척펌프에 물이 채워질때는 공기토출관의 관로가 개방되므로 상기 세척펌프에 들어있는 공기가 빠져나가지만 세척시 물이 펌핑될때는 공기토출관이 폐쇄되므로 세척펌프로 다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됨에 따라 캐비테이션 현상(동공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저진동 저소음에 따른 쾌적한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집실과 세척펌프를 연통시키는 공기토출관에 관로개폐수단을 설치하여 급수시에는 상기 관로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개방하여 주고 세척시에는 상기 관로개폐수단이 공기토출관의 관로를 폐쇄하여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관로개폐수단은 공기토출관상에 부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되어 일단이 일측면으로 타단이 상면으로 각각 뚫어진 유로와, 상기 이동부재에 수평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이동부재와 축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로 구성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온,오프에 따라 이동부재가 수평이동하면서 공기토출관을 개폐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부재와 솔레노이드를 연결하는 축에 돌출편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편과 솔레노이드 사이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솔레노이드가 오프될때 이동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신속히 되돌아 가도록 함을 특징으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관로개폐수단은 공기토출관상에 부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되어 일단이 상면으로 타단이 하면으로 각각 뚫어진 유로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주는 체크밸브와,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부착되어 공기공급 유,무에 따라 상,하높이가 가변되는 나선형의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의 상,하 높이 가변에 따라 이동부재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유동관과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하여 상기 유동관으로의 공기공급 유,무에 따라 이동부재가 수직이동하면서 공기토출관을 개폐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관로개폐수단은 공기토출관상에 부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되어 일단이 상면으로 타단이 하면으로 각각 뚫어진 유로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체크밸브와,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부착되어 공기공급 유,무에 따라 좌,우폭이 가변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의 좌,우폭 가변에 따라 이동부재가 상,하로 수직이동하도록 유동관과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ㄱ자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힌지롤러로 구성하여 상기 유동관으로의 공기공급 유,무에 따라 이동부재가 수직이동하면서 공기토출관을 개폐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KR1019960009276A 1996-03-29 1996-03-29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KR0144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276A KR0144162B1 (ko) 1996-03-29 1996-03-29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276A KR0144162B1 (ko) 1996-03-29 1996-03-29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555A KR970064555A (ko) 1997-10-13
KR0144162B1 true KR0144162B1 (ko) 1998-07-15

Family

ID=1945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276A KR0144162B1 (ko) 1996-03-29 1996-03-29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1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555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148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1156904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소음 감소방법
EP1908874A2 (en) Deodorization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80006407A (ko) 식기세척기
CA2365962C (en) Dishwasher spray arm hub and conduit assembly
US6832617B2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KR20070088212A (ko) 세탁기 및 세제공급기구의 세척방법
BRPI0905459A2 (pt) método e máquina de lavar roupa provida de recirculação com vazão controlada
KR0144162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KR10105297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20040046945A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KR10105415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US20050115592A1 (en) Water guide of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0717474B1 (ko) 식기 세척기
KR0121235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EP35787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JP4661521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3568789A (en) Noise baff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washing appliance
KR20060085782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20010088212A (ko) 드럼세탁기
WO2000050684A1 (en) Siphon effect prevented washing machine
KR0183340B1 (ko) 세탁기의 섬유 유연제 자동 투입장치
KR19980010170U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