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954B1 -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954B1
KR100491954B1 KR10-2001-0066465A KR20010066465A KR100491954B1 KR 100491954 B1 KR100491954 B1 KR 100491954B1 KR 20010066465 A KR20010066465 A KR 20010066465A KR 100491954 B1 KR100491954 B1 KR 100491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broadcasting
broadcast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744A (ko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견승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견승의 filed Critical 견승의
Priority to KR10-2001-006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954B1/ko
Priority to US10/278,881 priority patent/US20030101462A1/en
Priority to JP2002310382A priority patent/JP2003234839A/ja
Priority to CN02147090A priority patent/CN1414712A/zh
Publication of KR2003003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4Telephone line monitoring circuits therefor, e.g. ring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동방법은 설정된 횟수만큼 벨신호를 검출후 훅크스위치를 전환시켜 톤 검출부와 연결되는 전화기 연결 과정과, 상기 전화기 연결과정후 안내방송을 출력하고, 보턴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톤 주파수의 값으로 감지하는 톤주파수 감지과정과, 상기 톤주파수 감지과정에는 보턴의 숫자를 감지하는 숫자감지과정이 포함되고, 상기 숫자감지과정에 의하여 인식한 유저가 원하는 방송구역을 2진 신호로서 감지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방송구역 선택과정과, 상기 방송구역 선택과정에 선택된 2진신호의 값을 판단하여 방송시스템과 원하는 방송개소를 연결시키는 방송연결과정이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장치는, 전화회선에 연결되어 설정된 횟수의 벨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에 인가시키는 벨신호 검출부와, 상기 벨신호 검출부의 신호인가시 훅크스위치을 전환시켜 톤 주파수의 값이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전화기 보턴의 톤 주파수의 값을 감지하여 2진 신호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인가시키는 톤 검출부와, 상기 톤 검출부의 2진수 값을 받아 방송장비에 전원을 공급하여 방송 구동상태를 유지하는 방송설비 제어부와, 상기 톤 검출부의 2진수 값을 받아 방송개소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출력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화기를 사용하여 방송장비를 제어하여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 보다 쉽게 원하는 방송 수행을 할 수 있어 소규모 방송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Control method of broadcasting system using a telephone and control devise thereof}
본 발명은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기를 사용하여 방송장비를 제어하도록 하여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 보다 쉽게 원하는 방송 수행을 할 수 있게 하여 소규모 방송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소규모의 방송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면 주차장, 백화점과 같은 대규모의 방송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방송 전문가를 두어 시스템을 운영할 수가 있으나, 소규모 직장의 방송 또는 학교방송의 경우에는 별도의 운영자를 둘 수 없는 형편이므로 이 경우 자기의 고유업무와 별도로 방송장비를 다루는 겸직을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이 자기의 고유업무와 별도로 겸직을 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고유의 업무를 처리시 방송을 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학교 시스템의 경우에 방송운영을 겸직하고 있는 선생이 수업에 들어간 경우 다른 사람이 방송장비를 다루지 못하기 때문에 방송을 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방송시스템의 경우에는 앰프 및 마이크의 운영기기와, 원하는 방송개소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가 다수이기 때문에 각 장비의 특성과 방송개소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여야 되기 때문에 대개 전문 운영자를 두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시스템과 전화회선 사이에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간단히 원하는 방송 및 방송개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소규모 방송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한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전화회선으로 안내방송을 받으면서 방송기기를 제어 할 수 있게 하여 누구나 원하는 방송을 원하는 개소에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구동이 간단하고, 방송개소를 복수선택이 용이하게 하여 소규모 방송시스템이 적합한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설정된 횟수만큼 벨신호를 검출후 훅크스위치를 전환시켜 톤 검출부와 연결되는 전화기 연결 과정과, 상기 전화기 연결과정 후 안내방송을 출력하고, 보턴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톤 주파수의 값으로 감지하는 톤주파수 감지과정과, 상기 톤주파수 감지과정에는 보턴의 숫자를 감지하는 숫자감지과정이 포함되고, 상기 숫자감지과정에 의하여 인식한 유저가 원하는 방송구역을 2진 신호로서 감지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방송구역 선택과정과,
상기 방송구역 선택과정에 선택된 2진신호의 값을 판단하여 방송시스템과 원하는 방송개소를 연결시키는 방송연결과정이 포함하며,
또한 유저가 원하는 방송구역을 2진 신호로서 감지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방송구역 선택과정에서 방송개소를 선택시 구동하는 각각의 방송출력부의 루틴에 방송시작시 구동되는 시작보턴 (*)과 방송종료시 구동되는 종료보턴 (#)을 별도로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방송구역 선택후 방송종료시 구동시키는 각각의 종료보턴 (#)은 프로그램 전체를 동시에 종료시키도록 하여 복수개의 방송개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장치는, 전화회선에 연결되어 설정된 횟수의 벨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에 인가시키는 벨신호 검출부와, 상기 벨신호 검출부의 신호인가시 훅크스위치를 전환시켜 톤 주파수의 값이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전화기 보턴의 톤 주파수의 값을 감지하여 2진 신호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인가시키는 톤 검출부와, 상기 톤 검출부의 2진수 값을 받아 방송장비에 전원을 공급하여 방송 구동상태를 유지하는 방송설비 제어부 와, 상기 톤 검출부의 2진수 값을 받아 방송개소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출력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그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리셋트스위치, 리플제거용 다이오드, 콘덴서로 구성된 리셋트부와, 수정발진자 , 콘덴서, 저항으로 구성된 발진부와, 훅크스위치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한다.
그리고 훅크스위치가 오프 모우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톤 검출부는 훅크스위치의 접접을 통하여 포토 트랜지스터가 연결되게 한 후 그 포토 트랜지스터의 출력이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가되게 구성하며, 상기 안내방송부는 전화회선을 통하여 트랜스와 연결된 후 제너다이오드, 콘덴서, 저항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안내방송을 함과 동시에 방송개시시 방송설비 제어부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주차장, 백화점, 소규모 직장의 방송 또는 학교방송의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학교 방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송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주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인 전화기회로 및 방송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일반적인 전화기 회로와 방송시스템을 사이에 본 발명의 제어장치가 구성되어 상기 전화기 회로에 의하여 방송시스템이 제어되게 한 것이다.
즉, 전화회선 (10)에는 일반적인 전화기와 연결된다.
이 전화회선 (10)을 통하여 인가되는 벨신호는 벨신호 검출부 (20)를 통하여 중앙처리방치 (50)에 인가되고, 전화회선 (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주파수 신호(전화기의 번호를 누를 때 발생하는 주파수 신호)는 톤 검출부 (30)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 (50)에 인가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 (50)는 안내방송부 (40)를 통하여 전화회선 (10)과 연결되어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 (50)는 안내방송 후 방송설비 제어부 (60)와 출력제어부 (70)를 제어하여 각각의 학년별 방송 출력부(81),(82),(83) 내지 운동장 방송 방송출력부(90)를 통하여 전화선을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도 1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회선 (10)을 통하여 전화가 걸려 오면 벨신호 검출부 (20)에서 이 벨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설정된 횟수만큼 벨신호가 인가시 중앙처리장치 (50)에서 이를 감지하면, 오프훅크 (off hook)를 유지하게 하면서 톤검출부 (30)와 전화회선 (10)이 연결된 후 중앙처리장치 (50)에서 안내방송을 보내어 유저가 원하는 방송을 전화기 보턴으로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유저가 원하는 방송을 보턴으로 선택하면, 톤검출부 (30)에서 이 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 (50)에 알려주면 중앙처리장치 (50)에서 방송설비 제어부(60) 및 출력제어부 (70)를 제어하여 각각의 방송출력부 (81-83)로 유저의 전화선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신호로서 원하는 장소에 출력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도 2의 회로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본 발명의 실시회로도이다.
여기서 중앙처리장치 (50)는 그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와, 리셋트부 (51)와,발진부 (52)와, 전화기의 오프훅크 스위치 (K6)를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 (Q6)로 구성된다.
리셋트부 (51)는 리셋트 스위치 (SW1)와, 리플제거용 다이오드 (D1) 및 콘덴서 (C1)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진부 (52)는 수정발진자 (XL), 콘덴서 (C1),(C2), 저항 (R1)로 구성되고, 그 콘덴서와 저항은 시정수 설정용이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앙처리부 (5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는 AT89C52 집적소자로서 다음과 같은 주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8K 바이트(Byte)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내장
- 256 바이트의 내부 RAM(Random Access Memory) 내장
- 4개 모드(Mode)로 사용 가능한 2개의 16비트(Bit) 타이머(Timer) 및 카운터(Counter)내장
- I/O(Input/Output) 확장 모드와 UART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시리얼포트(Serial Port)내장
- 우선 순위 설정이 가능한 4개의 인터럽트(Interrupt)기능
- 클록(Clock) 발진기 내장
- 8K 바이트의 내부 프로그램 메모리(Program Memory)내장
- 64K 바이트의 외부 프로그램 메모리 어드레스(Address) 영역포함
- 64K 바이트의 외부 데이터(Data) 메모리 어드레스 영역포함
- 광범위한 불(Boolean) 명령포함
또한 벨신호 검출부 (20)는 훅크스위치 (K6)를 통하여 연결되고, 바이패스 콘덴서 (C4)와, 포토 트랜지스터 (PT)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 (PT)의 출력을 받아 구동하는 트랜지스터 (Q7)로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에 벨신호 검출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벨신호는 전화 벨소리가 3회이상 울린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가 오프 훅크 모우드로 전환되게 된다.
안내방송부 (4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로서 전화회선 (10)과 중앙처리장치 (5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의 출력단자와 연결되고, 트랜스 (T1)을 통하여 제너다이오드 (ZD1),(ZD2)가 연결된 교류통과용 콘덴서 (C5),(C6)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화기의 보턴을 누르면 그 누른 번호를 감지하는 톤검출부 (30)는 훅크 스위치 (K6)이 오프시 훅크스위치 (K6)의 접점을 통하여 신호가 인가되게 구성되고, 톤 집적소자 (IC1)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에 입력되게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저항 (R6) 및 콘덴서 (C7)는 집적소자 보호용이고, XL2는 수정발진자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방송설비 제어부 (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의 출력이 트랜지스터 (Q5) 및 릴레이 (K5)를 통하여 마이크 단자 (J5)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의 출력을 받아 구동하는 동작하는 출력제어부 (70)는 각각 트랜지스터 (Q1-Q4)와, 릴레이 (K1-K4)로 구성되고, 후단에 연결되는 방송출력부 (81-83) 및 운동장 방송 출력부 (90)와 연결되어 있다.
즉 방송출력부는 각학년에 따라 1학년 방송출력부 (81), 2학년 방송출력부 (82), 3학년 방송출력부 (83)으로 구별되고, 각각의 방송 출력부는 스피커가 포함되어 방송실과 연결된 폐회로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방송 설비시스템은 별도로 갖추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으로 학교의 경우에 방송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각 학년 방송 출력부 (81-83) 및 운동장 방송출력부 (90)는 각학년 별 교실이나 운동장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고, 방송부의 마이크의 출력은 잭이나 릴레이를 구동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자동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 릴레이를 사용하여 원하는 학년의 교실이나 운동장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에서는 중앙처리장치 (50)가 외부의 전화와 상기 방송시스템을 연결시키고 있는 것으로 먼저 일반적인 전화기의 특성, 벨신호 검출부 (20) 및 톤검출부 (30)의 특성을 먼저 살펴본다.
1. 우리 나라 전화 회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전화기 대기상태(On Hook) : DC 48V 정도(극성은 선로 연결에
따라 다르다)
나) 벨 신호 시(Ringing) : AC 90V 정도(16∼20Hz)
다) 통화 시(Off Hook) : DC 18V 정도(전화기 대기상태 DC 48V 때 의 극성이 반전된다)
라) 통화 종료 시(On Hook) : DC 48V 정도(통화 시 전원 극성의 반전)
마) 신호음 분석
구분 신호음 ITU-T 권고값 국내기준
발신음 주파수(Hz) 단일 400∼450 ·
복합 340∼425 + 400∼425 350 + 400
단속주기(초) 연 속 연 속
호출음 주파수(Hz) 400∼450 400∼480
단속주기(초) 속 : 0.67∼1.5 단 : 3∼5 속 : 1단 : 2
화중음 주파수(Hz) 400∼450 480∼620
단속주기(초) 속+단=1.1 속/단 : 0.67∼1.5 속 : 0.5단 : 0.5
폭주음 주파수(Hz) 400∼450 480∼620
단속주기(초) 속+단=1.1 속/단 : 0.67∼1.5 속 : 0.3단 : 0.2
호출신호 주파수(Hz) 각국의 필요에 따라 결정 20
단속주기(초) 호출음과 같아야 함 속 : 1단 : 2
2. 벨 신호 검출부 (20)의 특성
전화벨이 1초에 20회 정도 울리는 신호를 3회(20회×3번=60회)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에 전달한다.
3. 톤 검출부 (30)의 특성
가) 톤 검출부(Dual Tone Multiple Frequence) 주파수 분석
전화기의 번호를 누르면 아래 표와 같이 2종류의 복합된 주파수(DTMF)가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 교환기에서 전화를 교환하여 주는데, 이 DTMF 신호를 검출하여 2진 부호로 변환(집적소자 KT3170)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로 이용된다.
고 군 주 파 수
1209Hz 1336Hz 1477Hz 1633Hz
저군주파수 697Hz 1 2 3 A
770Hz 4 5 6 B
852Hz 7 8 9 C
941Hz * 0 # D
* A, B, C, D는 예비 신호로서,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다.
예) 전화기에서 1번을 누르면 697Hz와 1209Hz의 2주파수가 동시에 발생된다.
나) 톤 디코더(Tone Decoder)의 기능
톤 디코더 IC(KT3170)는 전화기의 번호를 누를 때 발생되는 DTMF 신호를 받아 2진 부호로 변환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비밀 번호와 제어부의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변환 방식은 다음의 표와 같다.
번호 출 력 데 이 터
Q4 Q3 Q2 Q1
1 0 0 0 1
2 0 0 1 0
3 0 0 1 1
4 0 1 0 0
5 0 1 0 1
6 0 1 1 0
7 0 1 1 1
8 1 0 0 0
9 1 0 0 1
0 1 0 1 0
* 1 0 1 1
# 1 1 0 0
A 1 1 0 1
B 1 1 1 0
C 1 1 1 1
D 0 0 0 0
주 : " 0 " : 0V(Ground)이고, " 1 " : +5V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 3의 플로우 챠트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동작들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눌수 있는 것으로, 비밀번호을 확인하는 과정과, 비밀번호 확인후 톤주파의 신호로서 방송개소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방송개소와 전화기를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스텝 (S1)에서는 초기 전원 인가와 동시에 이상여부 체크후 정상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그후 사용자가 방송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학교 방송으로 설명함), 먼저 방송실에 전화를 건다 (스텝 S2). 이때 벨소리가 3번이상 울린 경우 훅크스위치 (K6)를 오프상태로 두어 전화기와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즉, 벨소리가 울리면 도 2에서 훅크스위치 (K6)가 온 상태에서 벨신호 검출부 (20)에 인가된다. 벨신호 검출부 (20)에서는 포토 트랜지스터 (PT)을 턴온 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후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Q7)가 턴온되면서 트랜지스터 (Q7)의 콜렉터측에 저전위 상태가 되면서 이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가 감지하게 된다.
즉, 벨 신호 검출부 (20)에서 전화벨이 1초에 20회 정도 울리는 신호를 3회 검출하여 전화기를 통화 상태(Off Hook)로 유지하고 전화 회선 (10)을 톤 검출부 (30)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는 트랜지스터 (Q6)를 턴온시켜 릴레이를 여자시켜 훅크스위치 (K6)가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전화회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 (50)는 안내방송을 시작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의 출력이 안내방송부 (40)의 콘덴서 (C6)를 통하여 트랜스 (T1)를 거친 후 스텝 (S3)으로 넘어가 전화회선으로 안내방송을 출력한다.
즉, 안내 방송부는 방송실로 전화를 하면 통화 상태가 되면서 다음과 같은 안내 방송이 약 40초 동안 전화를 건 선생님에게 수화기를 통해 들리고, 안내 방송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바로 동작 번호를 누르면 안내 방송은 자동으로 종료되어 방송을 할 수 있으며, 안내 방송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안녕 하십니까? "
" 00학교의 전화 방송 시스템입니다."
" 비밀 번호 4자리를 누르시고 동작 번호 1번은 1학년, 2번은 2학년, 3번은 3학년, 4번은 운동장 방송입니다. 방송하려는 곳의 번호들을 누른 뒤 시작하시려면 별표('*')를 누르시고, 종료 시에는 우물정자('#' )를 누르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이와 같은 안내방송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는 톤 검출부 (30)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톤 검출부로 입력된 2진 부호를 판독하여 비밀 번호가 맞으면 전화 회선을 통하여 들어온 음성 신호를 방송 설비를 연결하는 스텝 (S5)을 수행한다.
즉, 전화회선 (20)으로 입력된 톤 펄스의 주파수는 상기 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도포 참조) 보턴의 주파수로서 이 신호는 트랜스 (T1)를 통하여 톤 집적소자 (IC1)에 인가되면 그에 해당하는 2진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로 출력하고 이에 의하여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비밀번호가 확인되면 스텝 (S5)으로 진행되어 방송장비를 구동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이때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가 방송설비 제어부 (60)를 구동시키게 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의 출력은 트랜지스터 (Q5)를 구동시켜 릴레이 (K5)를 접속시킴으로써 마이크 (MIC)가 연결상태가 되는 동시에 앰프도 구동상태가 된다.
그후 스텝 (S6)을 진행하여 원하는 학년이나 운동장을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안내방송의 순서에 따라 원하는 전화기 보턴을 누르면 상기와 같이 톤 검출부 (30)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에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에서 스텝 (S7-S10)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1학년 방송을 선택하면 스텝 (S7)에서 판단하여 루틴 (RT1)을 수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가 도 2의 릴레이 (K1)를 구동하여 1학년 방송출력부 (81)를 선택하여 마이크 (MIC)로 입력되는 전화기의 음성신호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후 방송 종료 신호("#")나 전화기를 끊으면 다시 초기 상태가 된다.
특히 출력제어부 (70)는 트랜지스터 (Q1-Q4)를 사용하여 릴레이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므로 릴레이 스위치와 스피커 스위치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대용량의 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릴레이는 유극 계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즉, 톤 검출부에서 다음과 같은 전화기의 보턴 신호를 인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가 이에 해당하는 릴레이들을 구동하게 된다.
* 예를들어 방송할 학년 번호 : 1 ∼ 4 (16개까지 확장 가능)
예 : 보턴1번 - 1학년 방송 선택 ; 릴레이 K1 구동
보턴2번 - 2학년 방송 선택 ; 릴레이 K2 구동
보턴3번 - 3학년 방송 선택 ; 릴레이 K3 구동
보턴4번 - 운동장 방송 선택 ; 릴레이 K4 구동
* 선택된 방송 번호를 취소할 경우에는 " 번호 0 "을 누르면 앞의 선택이 취소하고, 동작이 완료되면 " 삐 "하고 확인음을 수화기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스텝 (S7-S10)의 선택을 보턴으로 선택하여 원하는 방송개소 (방송위치)를 선택하고, 그 스텝 (S7-S10)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루틴 (RT1-RT4)을 수행하여 방송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루틴 (RT1-RT4)에는 그 스텝 단계로 방송을 보낼 때 결정하는 시작보턴 (*)과, 방송을 종료하는 종료보턴 (#)의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즉, 루틴 (RT1)이 선택된 경우를 예를 들면, 먼저 릴레이 (R1)을 구동시켜 1학년 방송출력부 (81)와 연결되는 스텝을 수행하고, 시작보턴 (*)을 누르면 방송을 개시한다. 그리고 종료시에는 종료보턴 (#)을 눌러 종료하면 " 삐-"하고 수화기로 확인음 보낸 후 방송을 종료한다.
나머지 루틴 (RT2-RT4)도 동일하게 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여자시킨 후 시작보턴 (*)과 종료보턴 (#)의 기능을 수행하여 방송을 시작하고 종료한다.
특히 도 3에서 방송장비 전원 투입 스텝 (S1)을 진행한 후 스텝 (S6)에서 방송 개소 선택을 하도록 되어 있고, 방송할 학년 번호를 눌러 구동후에도 항상 스텝 (S6)으로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감지할 수가 있는 것으로 루틴 (RT1)수행으로 1학년 방송 선택후에도 다시 보턴을 눌려 다른 학년의 방송에 대한 루틴 (RT1-RT4)을 선택하고, 시작보턴 (*)을 눌려 진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방송개소을 선택시에는 종료보턴 (#)을 모든 방송을 동시에 종료시키는 프로그램 종료보턴으로 구성하면 멀티 개소의 장소를 선택하여 방송하는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벨신호를 감지하여 톤 검출부와 연결되게 한 후 톤 검출부로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확인과, 원하는 방송개소의 선택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방송설비 제어부 및 출력제어부를 통하여 방송실의 앰프와 그 방송개소에 해당하는 스피커를 연결시켜 전화기를 통하여 원하는 방송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별도의 전문 운영자를 두지 않고도 소규모 방송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전화기를 통한 제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도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방송운영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별도로 습득할 필요가 없다.
또한 기존의 방송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여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축할 수가 있는 것으로 별도의 운영자를 고용하기가 곤란한 소규모 방송시스템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로 학교 방송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주차장 방송설비, 소규모 직장의 방송설비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커다란 변경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회로도를 나타낸 블록다이어 그램도,
도 2는 도 1의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블록도에 대한 실시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관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화회선 20 :벨신호 검출부
30 : 톤검출부 40 : 안내방송부
50 : 중앙처리장치 60 :방송설비 제어부
70 : 출력제어부 81, 82, 83 : 방송출력부 (각학년 방송 출력부)
90 : 운동자 방송 출력부
51 : 리셋트부 52 :발진부
MIC : 마이크 K6 : 훅크스위치
C1, C2, C3,.. : 콘덴서 Q1, Q2, Q3,.. :트랜지스터
cpu : 마이크로 프로세서 R1, R2, R3,.. : 저항
IC1 : 톤 집적소자 KI, K2...K5 : 릴레이
T1 : 트랜스 ZD1, ZD2 : 제너다이오드
S1, S2,S3,.. :스텝 RT1, RT2, RT3, ... :루틴

Claims (7)

  1. 가입자 전화회선과 방송시스템 사이에 설치되는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전화로 방송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전화회선(10)으로 걸려 온 벨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검출될 경우 훅크스위치(K6)를 전환시켜 상기 제어시스템의 톤 검출부와 연결시키는 착신전화 검출(20)과정;
    상기 착신전화 검출(20)과정 후 상기 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따라 발신자가 조작하는 전화버튼 신호를 상기 톤 검출부를 통해 감지하는 톤주파수 감지(30)과정;
    상기 전화버튼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어시스템에서 발신자가 원하는 방송구역을 판단(50)하여 해당 릴레이를 구동(70)시키는 것에 의해 전화회선과 방송시스템을 연결시키는 방송망 연결과정; 및
    상기 방송망 연결과정 후 상기 방송시스템과 선택된 방송개소를 전기적으로 연결(60)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신자가 보내온 전화음성을 상기 반송개소로 송출하는 전화음성 송출과정;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망 연결과정은 방송시작버튼(*)신호에 의해 방송을 개시하고, 방송종료버튼(#)신호에 의해 방송을 종료하며, 송화기를 놓을 때 전화 종료음을 감지(30)하여 방송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방송구역 선택후 선택 취소버튼(0)을 사용하여 잘못 선택한 방송구역을 정정 및 복수개의 방송개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4. 가입자 전화기와 방송시스템 사이에 설치되어 원격지에서 전화로 방송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발신 전화기의 다이얼링에 의해 착신 전화회선의 벨 신호를 감지하여 전화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착신전화 검출부(20);
    상기 발신 전화기의 버튼신호를 감지하는 톤 검출부(30);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하에 마이크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방송 설비 제어부(60);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하에 스피커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70);
    상기 톤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그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방송설비 제어부와 전화회선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제어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신 전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 음성이 상기 방송설비 제어부를 경유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해당 방송개소로 송출되게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 (50)는 그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와, 리셋트스위치 (SW1), 리플제거용 다이오드 (D1), 콘덴서 (C1)로 구성된 리셋트부 (51)와, 수정발진자 (XL), 콘덴서 (C1),(C2), 저항 (R1)으로 구성된 발진부 (52)와, 훅크스위치 (K6)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Q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구동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훅크스위치 (K6)가 오프 모우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톤 검출부 (30)는 훅크스위치 (K6)의 접접을 통하여 포토 트랜지스터 (PT)가 연결되게 한 후 그 포토 트랜지스터 (PT)의 출력이 트랜지스터 (Q7)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에 인가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장치.
  7. 삭제
KR10-2001-0066465A 2001-10-26 2001-10-26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49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465A KR100491954B1 (ko) 2001-10-26 2001-10-26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US10/278,881 US20030101462A1 (en) 2001-10-26 2002-10-24 Control method of broadcasting system using a telephone and control device thereof
JP2002310382A JP2003234839A (ja) 2001-10-26 2002-10-25 電話を用いた放送システムの駆動方法及びその装置
CN02147090A CN1414712A (zh) 2001-10-26 2002-10-28 利用电话控制广播系统的方法及其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465A KR100491954B1 (ko) 2001-10-26 2001-10-26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834U Division KR200262812Y1 (ko) 2001-10-26 2001-10-26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744A KR20030034744A (ko) 2003-05-09
KR100491954B1 true KR100491954B1 (ko) 2005-05-31

Family

ID=1971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465A KR100491954B1 (ko) 2001-10-26 2001-10-26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101462A1 (ko)
JP (1) JP2003234839A (ko)
KR (1) KR100491954B1 (ko)
CN (1) CN14147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46A (ko) * 2001-11-07 2003-05-16 견승의 키폰시스템을 사용하는 방송시스템 장치
US8014468B2 (en) * 2004-12-15 2011-09-06 Microsoft Corporation Energy detection receiver for UWB
US8107600B1 (en) 2005-02-07 2012-01-31 O'keeffe Sean P High volume call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JP2007097105A (ja) * 2005-09-27 2007-04-12 Nakayo Telecommun Inc 音声呼出機能を有する電話システム
CN103347231B (zh) * 2013-07-15 2016-03-16 河南恒安通信设备有限责任公司 智能控制检测电路
CN109194428A (zh) * 2018-11-06 2019-01-11 福建师范大学福清分校 多路广播自动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679A (ko) * 1996-12-27 1998-09-25 유기범 교환기를 이용한 구내방송장치
KR19980059653U (ko) * 1998-07-29 1998-10-26 이구연 전화회선에 의한 방송장비원격기동회로장치
KR19980082990A (ko) * 1997-05-10 1998-12-05 김영환 키폰 시스템의 외부방송 그룹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79006A (ko) * 1999-08-31 1999-11-05 박수남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
KR20000032595A (ko) * 1998-11-16 2000-06-15 김원규 자동수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67817A (ko) * 2001-03-31 2001-07-13 배기환 전화망을 이용한 안내방송의 동보 전송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1981A (en) * 1993-12-21 1996-07-30 Microlog Corporation Automated announcement system
US6738456B2 (en) * 2001-09-07 2004-05-18 Ronco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Inc. School observation and supervisory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679A (ko) * 1996-12-27 1998-09-25 유기범 교환기를 이용한 구내방송장치
KR19980082990A (ko) * 1997-05-10 1998-12-05 김영환 키폰 시스템의 외부방송 그룹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59653U (ko) * 1998-07-29 1998-10-26 이구연 전화회선에 의한 방송장비원격기동회로장치
KR20000032595A (ko) * 1998-11-16 2000-06-15 김원규 자동수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79006A (ko) * 1999-08-31 1999-11-05 박수남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
KR20010067817A (ko) * 2001-03-31 2001-07-13 배기환 전화망을 이용한 안내방송의 동보 전송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01462A1 (en) 2003-05-29
CN1414712A (zh) 2003-04-30
JP2003234839A (ja) 2003-08-22
KR20030034744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3825A (en) Telephone adaptor for telephone sets
KR100491954B1 (ko)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JP3300513B2 (ja) ボタン電話装置
US5594788A (en) Telephone system and interface device
US4408102A (en) Two-wire exchange telephone system
WO1996016501A9 (en) An improved telephone system and interface device
KR200262812Y1 (ko)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장치
KR100205604B1 (ko) 스위칭시스템
JPS6277742A (ja) 電話機用制御装置
JP2637087B2 (ja) 電話システム
JPH0828902B2 (ja) 電話システム
US20020090977A1 (en) Automatic signal transfer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731174B2 (ja) 電話装置
KR930006415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가전기기 원격 제어방법
JP2918382B2 (ja) 端末側網制御装置
JPH02266742A (ja) 集合住宅用2線式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S6051297B2 (ja) ブランチ接続電話機の呼出方式
JPS61108251A (ja) 自動着信装置
JPS60107965A (ja) インタ−ホン機能付電話装置
JPH03158057A (ja) 電話装置
JPH0230635B2 (ko)
JPS6057279B2 (ja) ボタン電話装置における個別呼出方式
EP0659319A4 (en) TELEPHONE ADAPTER FOR TELEPHONE SETS.
JPS63276348A (ja) 電話機装置
JPH0296453A (ja) 住宅内機器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