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804B1 - 닦아내기시트 - Google Patents

닦아내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804B1
KR100491804B1 KR1019970030746A KR19970030746A KR100491804B1 KR 100491804 B1 KR100491804 B1 KR 100491804B1 KR 1019970030746 A KR1019970030746 A KR 1019970030746A KR 19970030746 A KR19970030746 A KR 19970030746A KR 100491804 B1 KR100491804 B1 KR 10049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iping
water
sheets
decom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560A (ko
Inventor
나오토 다케우치
다카요시 고니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372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47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703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4551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0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7Cloths; Pads; Sponges containing clean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8Corrugated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6All layers being made of paper or paper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2/00Cleaning articles, e.g. mops, w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46Wrinkled, creased, crinkled or cre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46Wrinkled, creased, crinkled or creped
    • Y10T428/24455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46Wrinkled, creased, crinkled or creped
    • Y10T428/24455Paper
    • Y10T428/24463Plural paper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가공되어 있고, 액을 함침시켰을 때의 주름 펴짐에 의한 시이트의 신장율이 낮은 크레이프지 또는 주름 가공되어 있지 않고 신장되지 않는 시이트(Sl)의 양측에 주름 가공되어 있고, 액을 함침시켰을 때 주름의 펴짐에 의한 시이트의 신장율이 상기 시이트(Sl)보다 높은 시이트(S2)가 접착되어 있는 시이트용 청소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이트(Sl) 및 시이트(S2)와의 접착부는 시이트(S2)에 형성된 주름이 연장된 방향에 대해 각도를 갖는 접착부(a)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접착부(a)가 나열된 열(A)이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 시이트(Sl,S2)에 청정약제를 함침시키면 시이트(Sl)와 시이트(S2)와의 신장율 차에 의해 접착부(a)의 열(A)사이에서 시이트(S2)가 부풀림(B)이 형성된다. 그 결과, 표면이 상기 부풀림(B)에 의해 요철이 형성된 부피가 큰 시이트용 청소재가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닦아내기 시트
본 발명은 수세 변기 등의 청소 또는 살균, 또는 인체의 뒷처리 등으로서 사용되고, 또는 실내 청소용이나 물수건 등으로서 사용되는 습식 또는 건식 닦아내기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것보다도 부피를 크게 하여 취급하기 쉽도록 하며, 또한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를 개선시킨 닦아내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변기이나 실내 청소, 또는 물수건 등으로서, 습식 시트(wet wiper)가 사용된다. 이 습식 시트는 목재 펄프 섬유 등으로 형성된 시트에 청정약액이 함침된 것이다. 상기 청정약액에는 물과 알콜에 계면활성제, 살균제 또는 탈취제, 방부제, 향료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종래의 습식 시트는 평탄한 시트가 1장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3장이 겹쳐진 것이기 때문에 시트 그 자체의 부피가 작으며, 매우 얇은 것이었다. 따라서, 손으로 시트를 누르고 청소 장소를 닦을 때 시트를 손으로 쥐기가 어려웠다. 이 때문에 예컨대 손과 시트가 미끄러지기 쉬워서 사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평탄한 습식 시트로서는 청소 장소로부터 더러움을 충분히 닦아낼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요철이 있는 마루 등을 닦을 경우, 움푹 패어 있는 부분의 더러움을 닦아내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2,3장의 평탄한 시트를 겹친 후, 겹쳐진 시트에 엠보스 가공하여 수해성 시트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시킨 습식 시트도 있다. 이 미세한 요철에 의해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가 약간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 미세한 요철을 갖는 것은 시트 전체의 부피가 낮기 때문에 손으로 눌러서 닦는 작업을 행할 때 취급이 불편하다는 점의 충분한 개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미세한 요철로서는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습식 또는 건식 상태에서 사용되는 닦아내기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닦아내기 시트를 부피가 크게 하여 청소 작업시에 손으로 시트를 유지하기 쉽게 하고, 또한 걸레에 가까운 감촉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닦아내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피가 큰 시트의 표면에 미세한 부풀림을 형성하여 이 부풀림에 의해 시트 표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고, 손이 시트에서 미끄러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청소 장소의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를 향상시킨 닦아내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습식 상태 또는 건식 상태로 사용되는 청소용, 뒷처리용 이외의 용도에 사용되는 닦아내기 시트를 여러개의 종이 또는 부직포를 겹쳐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닦아내기 시트 전체를 부피가 크게 하기 위해서, 예컨대 표면의 시트에 같은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나열된 부풀림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규칙적인 부풀림을 형성함으로써 시트 전체에 요철이 형성되어 닦아내기 효과가 높아진다.
상기 시트의 1장 이상의 시트는 습식초지법 등에 의해 형성된 시트에 주름 가공이 실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름 가공이란 시트에 미세한 주름을 다수 형성하여 크레이프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주름을 갖는 시트(크레이프지)는 액이 함침되면 주름이 복원되어 주름 가공되기 전과 거의 같은 치수까지 신장된다.
또한, 다른 시트는 주름 가공이 되어 있지만, 형성되어 있는 주름의 갯수가 적기 때문에 수용액이 함침되었을 때 주름의 회복에 의한 시트의 신장율이 상기 시트보다 낮거나 또는 주름 가공되어 있지 않아 수용액이 함침되더라도 신장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닦아내기 시트에 있어서, 이들 시트끼리를 접착시키는 상기 접착부는 간격을 두고 열을 이루도록 나열되어 있고, 그 접착부의 나열된 열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열 배치된다. 그리고, 양 시트의 주름의 복원에 의한 신장율차이에 의해 적어도 상기 신장율이 높은 시트에는 상기 접착부의 나열된 열과 열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접착부의 피치와 거의 동일한 피치로 부풀림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부풀림에 의해 닦아내기 시트 전체의 부피가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닦아내기 시트에서는 각 시트를 접착시킨 후, 각 시트에 수분을 부여하면, 주름 가공에 의해 형성된 주름이 복원되어 시트가 신장되지만, 이 때 신장율이 높은 시트의 신장이 신장율이 낮거나 신장되지 않는 시트에 의해 구속된다. 그 결과, 신장율이 높은 시트에 부풀림이 생기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에서는 시트의 신장이 억제되고, 접착부와 접착부의 사이에서는 상기 신장율이 높은 시트가 신장된다. 그 결과, 접착부의 나열된 열과 열 사이의 영역에서 접착부와 접착부 사이의 부분(ii)와 (ii) 사이에 끼워져 있는 영역에 부풀림이 형성되며, 이 부풀림에 의해 접착부(i)와 (i)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서는 골짜기부(iii)가, 골짜기부와 골짜기부의 사이에는 부풀림에 의한 산부(iv)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산부와 골짜기부는 접착부의 배열 피치와 거의 동일한 피치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산부와 골짜기부에 의해 닦아내기 시트에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닦아내기 시트는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되지 않는 시트의 표리 양면에 신장율이 높은 시트가 접착된 3층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되지 않는 시트와 신장율이 높은 시트의 2층 구조만으로도 좋다. 또한, 신장율이 높은 시트의 표리 양면에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되지 않는 시트를 접착시킨 3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각 시트를 접착시키는 개개의 접착부는 짧은 선형으로 형성되고, 이 접착부는 신장율이 높은 시트 및 신장율이 낮은 시트에 형성된 주름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의 열과 열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에서 상기 신장율이 높은 시트에 형성된 주름은 상기 접착부와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접착부를 짧은 선형으로 하여 이 접착부를 그 배열 피치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하고, 상기 주름과 평행한 방향에서 인접한 접착부의 일부와 접착부의 일부가 겹치는 상태로 하면, 접착부에서 주름 가공에 의해 형성된 주름이 차단되어 접착부 양측의 영역에서 상기 주름끼리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착부의 배열 피치에 따른 부풀림이 접착부의 나란한 열 사이의 영역에서 접착부의 열을 사이에 끼워 인접한 영역과의 사이에서 독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는 열을 이루도록 하여 일정한 피치로 나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피치(p)가 개개의 접착부 사이에서 상이하고, 또는 피치가 열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것이어도 좋다. 부가로, 접착부의 나열된 열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지만, 접착부가 나열된 열은 반드시 직선형일 필요는 없고 상기 열이 만곡 선형이나 절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닦아내기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열을 이루어 나열된 접착부의 간격(α)이 0.5 ㎜~3.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부의 나열된 열의 열간의 간격(β)이 지나치게 넓으면, 접착부의 열 사이에 형성되는 부풀림 부분의 탄력이 약해져서 부풀림에 의해 형성된 시트의 요철에 의한 닦아내기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열 사이의 간격(β)이 지나치게 좁으면, 열 사이에 생기는 부풀림의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접착부의 나열된 열 사이의 간격(β)은 7.5 ㎜~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 사이의 간격(α)(및 피치(p)), 부가로 접착부의 나열된 열 사이의 간격(β)은 닦아내기 시트의 높은 부피감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겹쳐진 시트의 주름의 복원에 의한 신장율차도 닦아내기 시트의 높은 부피감에 영향을 준다. 닦아내기 시트에 있어서 적당히 부풀림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양 시트의 신장율 차를 20%~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이다. 여기서 말하는 신장율이란 시트의 본래의 길이를 X, 액에 시트를 띄워 주름이 복원되어 신장된 후의 시트의 길이를 △X로 했을 때 {(△X-X)/X}×100(%)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시트의 유연성이나 강도는 각 시트의 기본 중량에 의해 변화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 시트의 각각의 기본 중량은 15 g/㎡~75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트를 사용했을 때,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되지 않는 시트와, 신장율이 높은 시트의 2층 구조인 것에서는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은 30g/㎡~150g/㎡ 이며,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되지 않는 시트의 표리 양면에 신장율이 높은 시트가 접합된 3층 구조의 닦아내기 시트에서는 총 기본 중량이 45g/㎡ ~225g/㎡ 가 된다.
본 발명에서의 시트는 예컨대 상기와 같이 주름 가공이 실시된 천연 펄프(목재 펄프) 섬유의 종이, 또는 레이온 등의 화학 섬유를 포함하는 종이이다. 또한 부직포이어도 좋다.
시트끼리는 에틸렌 비닐 알콜계(EVA계)등의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도 좋다. 또한, 시트가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섬유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복합 섬유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섬유끼리를 열용착시킴으로써 시트끼리를 접착시켜도 좋다.
상기 닦아내기 시트가 습식 시트인 경우, 청정약액이 함침되어 있다. 청정약액으로서는 물과 알콜에 계면활성제, 살균제 또는 탈취제, 방부제, 향료 등이 혼합된 것이다. 전술과 같이 시트끼리가 핫멜트 접착제나 열용착 등과 같이 불수용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되어 있을 때는 닦아내기 시트에 포함되는 청정약액에 의해서 시트끼리의 접착이 해리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닦아내기 시트는 건식 상태로 판매되고, 사용시에 사용자가 물 또는 상기 청정약액을 함침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건식 시트로서 판매될 경우는, 물 등을 함침시켜 신장율이 높은 시트에 부풀림을 형성시킨 후, 열풍 등에 의하여 시트를 건조시킨다. 건조시킨 건식 상태에서도 주름은 유지되기 때문에 시트의 높은 부피감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닦아내기 시트의 다른 예로서는 수해성 습식 시트를 들 수 있다. 이 수해성 습식 시트는 변기 등의 청소 또는 뒷처리에 사용되는 것이고, 사용 후 변기의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어 변기의 배수관으로 흐를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겹쳐지는 각 시트는 수해성 시트이다.
상기 수해성 시트(수해지)는 예컨대 천연 펄프(목재 펄프) 섬유, 레이온 등의 화학 섬유, 바인더로 구성되어 있다. 바인더는 수용성 또는 물로 팽윤되거나 또는 서서히 수해하는 것이고, 다량의 물로 섬유간의 결합을 끊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바인더로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등이 사용된다. 상기 바인더가 수용성이 되는지 수팽윤성이 되는지는 바인더의 에테르화도나 에스테르 결합의 수, 분자량, 수해성 시트에 함침되는 청정약액 및 청정약액 중에 함유되는 이온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기타의 바인더로서는 폴리비닐알콜, 전분, 카라기넌, 갈락토 만난, 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수해성 습식 시트에 있어서도,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되지 않는 수해성 시트와 신장율이 높은 수해성 시트가 부분적으로 접착된다. 이 접착에는 수해성 시트에 포함되는 수용성 바인더 또는 물에 의해 팽윤되는 바인더와 동종의 것이 접착제로서 이용된다. 또는 수해성 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바인더를 이용하여 수해성 시트끼리를 부분적으로 접합시켜도 좋다. 즉, 바인더를 함유한 수해성 시트끼리를 겹쳐서 이 수해성 시트에 부분적으로 수분 또는 용매를 함유하여 이 부분을 가압하고 또한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해성 시트끼리를 접착시켜도 좋다.
상기 청정약액은 수해성 시트의 상기 바인더 및 수해성 시트끼리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를 불용화시키고, 수해성 시트의 수중에서의 분해를 억제하여 수해성 습식 시트의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수해성 습식 시트가 수세 변기에 흐르게 되었을 때에 다량의 물에 의해 희석되어 바인더 및 접합부를 용해하고 또는 팽윤시켜서 수해성 시트의 변기에 괸물 속에서의 분해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이 청정약액은 수성이며, 물과 유기 용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 용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제에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아연 등의 금속 이온이 함유된다. 이 청정약액으로서는 유기 용제 중의 금속 이온이 상기 바인더 또는 접착제 중의 카르복실기와 가교되어 가교 착물이 형성되어 복잡한 그물코 구조가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바인더 또는 접착제가 불용화된다. 이 수해성 습식 시트가 수세 변기에 흐르면, 상기 가교 착물이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어 바인더 및 접착제가 수용가능 또는 물에 의해 팽윤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각 수해성 시트간의 접착이 분해 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수해성 시트가 물에 의해 분해 가능해진다.
청정약액은 유기 용제(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것을 포함함)를 5 중량%~95 중량% 함유하고, 물을 95 중량%~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기 등에 존재하는 수용성 더러움을 닦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물이 30 중량%~95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중량%~95 중량%, 유기 용제를 70 중량%~5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중량%~5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용제와 물로 이루어진 청정약액은 적층된 수해성 시트의 총 기본 중량에 대해 0.5 배~5 배 중량으로 함침된다. 또한, 이 청정약액에는 이전에 진술한 청정약액과 동일하고,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살균제, 탈취제 등이 함유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피가 높고, 적당히 부풀림이 형성되어 이 부풀림에 의해 적당한 요철이 형성된 닦아내기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이 형성된 닦아내기 시트는 손으로 붙잡기 쉬우며 또한 닦아내기 효과가 높은 것으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닦아내기 시트(1)는 변기이나 부엌등의 실내 청소에 또는 뒷처리에 또는 물수건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닦아내기 시트(1)는 청정약액이 함침된 습식 시트 또는 마른 상태로 사용되는 건식 시트이다. 또한 상기 습식 시트로서는 사용한 후에 수세 변기 등에서 흐르지 않는 비수해성 습식 시트 또는 더러움을 닦아낸 후에 수세 변기에 흐르게 할 수 있는 수해성 습식 시트로서 사용된다.
상기 닦아내기 시트(1)는 시트(Sl), 이 시트(Sl)의 표리 양측에서 접착부(a)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된 시트(S2)와의 3층 적층체이다. 시트(Sl)는 펄프 섬유 등을 재료로 하여 습식초지법으로 형성된 시트에 주름 가공이 행해져서 미세한 주름이 다수 형성된 크레이프지이거나, 또는 주름 가공이 수행되지 않은 비-크레이프지이다. 또한, 시트(S2)는 펄프 섬유 등을 재료로 하여 습식초지법으로 형성된 시트에 주름 가공이 행해진 크레이프지이다. 상기 주름 가공이 행해진 시트(S1) 및 시트(S2)는 약액 등을 함침시켰을 때에 주름이 신장되어 시트 전체가 신장하는 것이다. 상기 시트(S2)의 신장율은 상기 시트(S1)의 신장율보다도 크다.
상기 접착부(a)는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Y 방향(열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 닦아내기 시트(1)에 청정약액 등이 함침되어 시트(1)가 누설되면, 주름 가공에 의한 미세한 주름이 복원되어 시트가 신장되지만, 시트(S2, S2)는 시트(S1)보다도 높은 신장율을 가지며, 또한 시트(Sl)와 시트(S2)는 접착부(a)에 의해 서로 부분적으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S2, S2)는 접착부(a)와 접착부(a)와의 사이 영역에서 부풀림을 변형시킨다. 또한 시트(S2)에는 접착부(a)의 Y 방향으로의 배열 피치에 따른 미세한 부풀림(B)이 생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접착부(a)의 형상과 이 접착부(a)가 나열된 열의 형상 및 시트(S2)에 나타나는 주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2에서의 X-Y 좌표는 도 1에 나타내는 X-Y 좌표에 대응한다.
Y 방향이 초지 공정에서의 두루마리 방향, X 방향이 시트의 폭방향이고, 이 X 방향은 주름 가공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주름(b)가 연장된 방향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a)는 짧은 직선형이다. 그리고, 이 여러개의 접착부(a)가 Y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로 열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 이 접착부(a)의 나열된 열을 (A)로 나타낸다. 개개의 각 접착부(a)에 의해 시트(Sl)와 시트(S2)가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열을 이루어 나열된 인접하는 접착부(a)간의 간격을 α로 나타내고 있다. 개개의 접착부(a)는 상기 접착부(a)의 피치(p)의 방향(Y 방향) 및 주름(b)의 형성 방향(X 방향)의 양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며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부(a)의 나열된 열(A)와 열(A) 사이의 간격을 β로 나타내고 있다.
각 시트(Sl,S2,S2)에 청정약액이 함침되면, 시트(S2,S2)에 형성된 미세한 주름(b)이 Y 방향으로 신장하려 한다. 이 때 시트(Sl)와 시트(S2)는 접착부(a)의 부분(i)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의 (i) 부분에서는 시트(S2)에 Y 방향으로의 신장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접착부(a)와 접착부(a)에서 사이에 끼워진 부분(ii)(간격(α)의 영역)에서는 시트(S2)가 Y 방향으로 신장하기 쉽고, 이 Y 방향으로의 신장(v)에 의해 (ii)의 부분에서는 느슨해짐이 발생하기 쉽다. 그 결과, X 방향에서 접착부(a)와 접착부(a)로 끼워진 영역, 즉 접착부(a)가 이루는 열(A)와 열(A) 사이의 영역(L)에서는 양측의 접착부(a)의 접착 부분(i)을 연결하는 부분에 골짜기부(iii)가 띠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양측 부분(ii)을 연결하는 띠형의 산부(iv)가 나타난다.
따라서, 접착부(a)가 형성한 열(A)의 사이에 끼워진 L의 영역에서는 접착부(a)의 배열 피치(p)와 거의 일치한 피치로 요철이 반복 형성되고, 미세한 부풀림(B)이 출현한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라서 골짜기부(iii)와 산부(iv)가 교대로 형성된다. 산부(iv), 즉, 부풀림(B)은 접착부(a)의 배열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형성된다. 부풀림(B), 즉, 산부(iv)의 Y 방향의 폭치수는 접착부(a)의 상기 간격(α)에 의해 결정되며, 골짜기부(iii)의 Y 방향의 폭치수는 접착부(a)의 Y 방향의 폭치수(γ)로 결정된다.
또한, 개개의 접착부(a)는 일정한 피치(p)로 접착부(a)가 배열된 방향(Y 방향), 및 시트(S2)에 형성된 주름(b)의 신장하는 방향(X 방향)에 대해 각도를 갖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부가로, Y 방향으로 나열된 개개의 접착부(a)를 봤을 때 접착부(a)와 접착부(a)는 폭(δ)만큼만 겹쳐 있다. 그 때문에, 열(A) 사이의 영역(L)의 주름(b), 인접한 열(A) 사이의 영역(Ll)의 주름(b)이 경계가 되는 경사진 접착부(a)에 의해 반드시 차단된다. 따라서, 영역(L)과 인접 영역(Ll)과의 사이에 걸쳐서 어느 쪽의 주름(b)도 연속된 일이 없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2에서는 1개의 주름(b)를 대표하여 점선(b)로 나타내고 있다. 이 점선(b)을 어느 부분에 그려도, 영역(L)과 영역(Ll)에 걸쳐서 연장된 점선(b)은 반드시 어느 하나의 접착부(a)에서 차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트(S2)의 부풀림(B)은 영역(L)과 영역(Ll)에서 서로 독립 형성된다. 영역(L)과 영역(L1)에서 부풀림(B)이 독립 형성되어 부풀림(B)의 힘을 강하게 할 수 있으며, 변형되기 어려운 강도가 된다. 이 부풀림(B)이 확실히 나타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닦아내기 시트(1)의 전체에 볼륨이 생긴다. 또한 이 부풀림(B)에 의해 닦아내기 시트가 손으로 잡기 쉬워지고, 또한 이 부풀림(B)에 의해 시트(1)에 요철이 생기기 때문에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신장율이 높은 시트(S2)에 일정한 요철의 부풀림(B)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 Y 방향에 나열된 개개의 접착부(a)의 피치(p)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피치(p)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접착부(a)의 (ii) 부분의 간격(α)에 의해 산부(iv)의 Y 방향의 폭치수가 결정되지만, 간격(α)이 지나치게 크면, 산부(iv)의 폭이 커지고, 산부(iv)에 의해 구성된 부풀림(B)이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연속하여 닦아내기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 부풀림(B), 즉, 산부(iv)가 변형되어 평탄해지고,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가 저하된다. 반대로, 상기 간격(α)가 지나치게 짧으면, 산부(iv)의 폭이 너무 작아져서 부풀림(B)이 작아지고, 닦아내기 효과가 감소하며, 또한 시트에 높은 부피감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산부(iv)를 적당히 부풀려서 시트를 부피가 크게 하여 닦아내기 효과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Y 방향에 나열된 접착부(a)간의 간격(α)을 0.5㎜~3.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간격(α)이 0.5㎜~5.0㎜ 에서도 종래의 시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닦아내기 효과는 충분히 기대할 수 있고, 또한 l0.0㎜ 이하라도 주름이 변형되기 쉽다는 점 이외에는 그다지 문제는 없다. 따라서 간격(α)이 0.5㎜~5.0㎜, 또는 0.5㎜~10.0㎜ 라도 좋다.
한편, 접착부(a)의 폭치수(γ)는 골짜기부(iii)의 Y 방향의 폭치수에 영향을 준다. 상기 폭치수(γ)가 지나치게 크면, 시트 전체로서 골짜기부(iii)가 차지하는 면적이 너무 넓어지고, 시트의 높은 부피감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산부(iv)의 수가 감소하여 닦아내기 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골짜기부(iii)의 폭치수를 산부(iv)의 폭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때문에 접착부(a)의 폭치수(γ)를 간격(α)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닦아내기 시트(1)의 부풀림(B)의 형성 상태 및 부풀림 상태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부(a)의 나열된 열(A)와 (A) 사이의 간격, 즉 접착부(a)가 형성된 열(A)의 열간 간격(β)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상기 열(A) 사이의 간격(β)가 지나치게 크면, 열(A) 사이의 영역(L)의 폭치수가 길어지고, 영역(L)의 부풀림(B)이 길게 연장된다. 이 때문에, 부풀림(B)의 힘이 약해지고, 더러움을 닦아낼 때에 부풀림(B)이 변형되기 쉬워진다. 반대로 열간의 간격(β)이 지나치게 좁으면, 닦아내기 시트(1)의 부풀림(B)이 생기는 면적에 대한 접착부(a)의 면적 비율이 너무 커져 닦아내기 시트(1)의 높은 부피감이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부(a)의 나열된 열의 열간 간격(β)은 7.5㎜~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간격(β)이 20.0㎜ 이하에서도 주름이 변형되기 쉬운 점을 제외하면, 닦아내기 시트로서 종래의 것보다도 우수한 닦아내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3c 는 닦아내기 시트(1)의 제조 방법의 일예를 공정순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하지 않는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접착제(2)가 도포되고, 시트(S2,S2)가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겹쳐진다. 시트(Sl) 및 시트(S2)는 목재 펄프 섬유나 비목재 펄프 섬유, 또는 레이온 섬유등을 원료로 하여 양키 초지기 또는 초지기를 이용한 습식 초지법 등으로 제조되며, 그 후에 주름 가공이 행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트(S2)에 약액을 함침시켰을 때의 신장율을 시트(Sl)의 신장율보다도 높게 한다.
시트(S2)의 접착부(a)의 열(A) 사이에 있어서 적당히 부풀림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시트(S1)과 시트(S2)의 크레이프 주름(b)의 복원에 의한 신장율차가 20%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30%~60% 이다. 신장율차가 상기 범위보다도 작으면 닦아내기 시트(1) 전체를 고 부피화시킬 수 없으며, 또한 상기 범위보다도 크면 시트(S2)의 부풀림(B)이 지나치게 고 부피화되어 부풀림(B)의 산부(iv)가 높아지고, 산부(iv)의 힘이 약해져서 변형되기 쉬워진다. 또한 닦아내기 시트(1)의 두께가 너무 커지고 이것을 겁쳐서 용기에 넣었을 때 용기내에서 부피가 커지게 된다.
또한, 시트(Sl) 및 시트(S2)의 기본 중량이 지나치게 크면 닦아내기 시트(1)의 유연성이 낮아지고, 뻣뻣하여 더러움을 닦아내기 어려워진다. 또한 시트(Sl) 및 시트(S2)의 기본 중량이 너무 작아도 시트의 강도가 작아져서 닦아내기 동작 도중에 시트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시트(Sl) 및 시트(S2)의 기본 중량은 15 g/㎡~75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본 중량을 갖는 시트(Sl,S2)를 사용했을 때, 시트(S1)와 시트(S2)가 한장씩 겹쳐져서 접착된 2층 구조의 닦아내기 시트(1)로서는, 닦아내기 시트(1)의 총 기본 중량이 30g/㎡~150g/㎡ 이 되어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시트(S2)가 접합된 3층 구조의 닦아내기 시트(1)로서 총 기본 중량이 45 g/㎡~225 g/㎡ 가 된다.
시트(Sl)에는 도 2에 나타낸 접합 패턴이 되도록 접착제(2)가 도포되지만, 이 접착제로서 예컨대 수불용성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나, 에틸렌 비닐 알콜계(EVA계)의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된다. 그리고, 접착제가 도포된 후 시트(S1)의 표리 양면에 시트(S2,S2)가 겹쳐지고, 가습되면서 가열판(4,5)에 협압된다. 가열판(5)에는 접착부(a)의 패턴에 맞춘 엠보스(5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엠보스(5a)에 의해 시트가 가압·가열되며, 시트(Sl)와 시트(S2)가 접착부(a)에서 서로 접착된다. 이렇게 하여 시트(S1,S2)가 접착된 상태를 도 3b 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접착된 닦아내기 시트(1)에 청정약액이 함침된다. 이 청정약액은 물과 알콜에 계면활성제, 살균제 또는 탈취제, 방부제, 향료 등이 혼합된 것이다. 청정약액이 함침되면, 시트(S2)에 형성된 미세한 주름(b)이 Y 방향으로 부푼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a)와 접착부(a)에서 사이에 끼워진 부분(ii)으로 시트(S2)가 Y 방향으로 신장되고, Y 방향에 배열된 접착부(a)의 열(A)와 (A)에서 사이에 끼워진 L의 영역에서 접착부(a)의 부분(i)을 연결하는 골짜기부(iii) 및 (ii)를 연결하는 산부(iv)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접착부(a)의 열(A)와 (A)에서 사이에 끼워진 L 영역에서는 접착부(a)의 배열 피치(p)와 거의 일치한 요철의 부풀림(B)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닦아내기 시트(1)는 청정약액이 함침된 습식 상태로 플라스틱 용기 등에 넣어진다.
또한, 상기 닦아내기 시트 중 습식 시트의 일예로서, 수해성 습식 시트를 들 수 있다. 수해성 습식 시트는 변기이나 그 외의 장소 등의 청소에 사용되거나, 또는 뒷처리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 후에 변기의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어 변기 배수관으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 시트(Sl) 및 시트(S2)는 수해성 시트이고, 변기의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다. 이 시트(Sl,S2)는 목재 펄프 섬유, 비목재 펄프 섬유, 또는 레이온 섬유등을 원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섬유 사이를 결합시키는 바인더로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등이 사용된다. 상기 바인더가 수용성이 되는지 물에 대하여 팽윤하는 성질이 되는지는 바인더의 에테르화도이나 에스테르 결합의 수, 분자량, 수해성 시트에 함침된 약액 및 이 약액에 포함된 이온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바인더로서 폴리비닐알콜, 전분, 카라기넌, 갈락토 만난, 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 가능하다.
다음에, 접착부(a)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물에 의한 용해가 가능한 것, 또는 물에 의해 팽윤되어 다량의 물로 해리 가능한 물에 팽윤하는 성질을 갖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들 접착제로서는 상기 수해성 시트(Sl,S2,S2)의 바인더와 동일하고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해성 시트(Sl과 S2,S2)를 접착부(a)에서 접착시킬 때는, 수해성 시트(Sl,S2,S2)의 표면에 상기 접착제를 패턴 도포하여도 좋지만, 수해성 시트(Sl,S2,S2)에 포함되어 있는 바인더를 시트(Sl,S2) 상호 접착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바인더를 함유한 수해성 시트(Sl,S2,S2)를 겹치고, 이 수해성 시트(Sl,S2,S2)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수분 또는 용매를 함유하고, 이 부분에 있어서 수해성 시트(Sl,S2,S2)를 가압 또한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수해성 시트 사이를 접착시켜도 좋다.
각 수해성 시트(Sl,S2,S2)에 함침되는 약액, 즉, 수용성 청정약액은 물과 유기 용제로 이루어진다. 유기 용제는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등이고, 또 이 유기 용제에는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아연 등의 금속 이온이 함유된다. 각 수해성 시트에 포함되는 바인더 및 접착부(a)의 접착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중의 카르복실기, 상기 청정약액 중의 금속 이온과의 사이가 가교되어 가교 착물이 형성된다. 이 가교 착물에 의해 복잡한 그물코 구조가 형성되어 접착제가 물에 불용성이 된다. 이 때문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등의 용해 또는 팽윤이 억제되며, 청소시 시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세 변기의 다량의 물이 흐를 때, 상기 가교 착물이 희석되고, 시트가 수해 또는 팽윤되며, 또한 접착제가 수해 또는 팽윤되어 수해성 시트가 분해된다.
상기 수해성 습식 시트로서는 적층된 수해성 시트의 총 기본 중량에 대해 0.5 배~5 배 기본 중량의 청정약액을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정약액 중에는 상기 유기 용제는 5중량%~95중량%로 함유되고, 물은 95중량% 이하 5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해성 습식 시트(1)가 변기에 부착되어 있는 친수성 더러움을 닦아내기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청정약액 중에는 물이 30중량%~95중량%, 유기 용제는 70중량% 이하 5중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이 40중량%~95중량%, 유기 용제가 60중량% 이하 5중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청정약액에는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살균제, 탈취제 등이 함유된다.
이와 같이 청정약액이 함침되면, 시트(S2) 및/또는 시트(S2)에 형성된 주름이 신장되어 시트(S2)에 부풀림이 생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시트(S1)는 액을 함침시켰을 때 신장율이 낮은 크레이프지이거나 또는 비-크레이프지이다. 또한 외측 시트(S2, S2)는 주름 가공된 크레이프지이고, 액을 함침시켰을 때 상기 시트(Sl)보다도 길게 신장하는 것이다. 이 시트(Sl)와 시트(S2)의 시트 신장율차는 전술한 바와 같이 20%~8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 이다.
청소 작업이 종료된 시점에서 닦아내기 시트(1)를 수세 변기에 버려 흐르게 하면, 청소약액 중의 금속 이온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로 형성된 가교 착물이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며, 각 수해성 시트(Sl,S2,S2)가 수해 또는 팽윤되어 각 수해성 시트 바인더의 접착성이 저하하고, 또한 접착부(a)가 용해된다. 이렇게 하여, 닦아내기 시트는 변기의 물에 의해 분해되어 변기의 배수관에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닦아내기 시트(1)는 습식 시트에 한하지 않으며, 건식 시트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조 공정에서 시트(Sl) 및 시트(S2)를 접착 접합시킨 후에, 상기 청정약액, 또는 제균수 또는 살균수 또한 방부제 등을 함침시켜서 시트(S2)에 부풀림(B)을 형성시킨 후에, 열풍 등에 의해 건조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닦아내기 시트(1)를 건조시킨 후에도 상기 부풀림(B)은 부풀림을 유지하고 있으며 시트를 고 부피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부(a)가 나열된 열(A)의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방향에서도 좋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부(a) 및 접착부(a)가 나열된 열(A)는 크레이프 주름이 연장되는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수해성 시트(Sl,S2,S2)는 짧은 직선형 접착부(a)에 의해 간헐적으로 접착되고, 이 접착부(a)가 일정한 피치로 나열됨으로써 열(A)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예컨대 상기 열(A)를 따라서 1개의 직선형 접착부를 형성하고, 이 접착부(a)에 의해 수해성 시트(Sl,S2,S2)가 연속된 직선으로 접착된 것이어도 좋다. 또는 도트형 접착부가 X-Y 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또는 무작위 배열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닦아내기 시트(1)는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하지 않는 시트(Sl), 신장율이 높은 시트(S2)가 각각 1장씩 겹쳐져서 2층 구조가 된 것이여도 좋다. 또한, 도 6b는 시트가 3장 겹쳐진 구조이지만, 중앙에 신장율이 높은 시트(S2)가 사이에 끼워지고, 이 시트(S2)의 표리 양측에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신장하지 않는 시트(Sl,S1)가 적층되어 접착부(al,a2)에 의해 접착된 것이다.
또한, 상기 닦아내기 시트(1)가 수해성 습식 시트인 경우, 청정약액을 함침시켰을 때에, 수해성 시트(S2)의 신장율이 수해성 시트(Sl)의 신장율보다도 높기 때문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접착부(a) 사이의 부분(i)과 (ii)에 끼워진 부분에 있어서, 수해성 시트(S2)가 부풀고, 시트(Sl)와 수해성 시트(S2)와의 사이에 공극(C)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 닦아내기 시트(1)를 수세 변기에 버렸을 때에 부력이 커져서 변기에 흐르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l,S2), 또는 적어도 외측 수해성 시트(S2)에 작은 구멍(3)을 여러개 뚫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작은 구멍(3)을 뚫어 놓으면, 수세 변기에 버렸을 때에, 수해성 시트(Sl)와 수해성 시트(S2)간의 공극(C)내의 공기가 상기 작은 구멍(3)으로부터 빠져 나와 부력이 작아지고 수세 변기의 고인 물에 잠겨서 흐르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닥아내기 시트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부풀림을 형성하여 시트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닦아내기 효과가 높은 닦아내기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 표면의 부풀림(B)을 예컨대 시트(Sl,S2)의 신장율 차에 의해 생기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풀림(B)의 Y 방향으로의 피치 및 X 방향으로의 길이를 열을 이루어 형성된 간헐적인 접착부(a)의 간격(α), 접착부(a)가 나열된 열(A)의 간격(β)에 의해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체로서 부풀림이 있으며, 또한 부풀림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고, 손으로 유지하기 쉬워지며, 또한 부풀림이 변형되기 어렵고 또한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가 뛰어난 닦아내기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닦아내기 시트에서는 인접하는 접착부(a)의 간격(α)을 0.5 ㎜~3.0 ㎜ 로 하고, 접착부(a)의 열(A) 사이의 간격(β)을 5.0㎜~15㎜로 하며, 시트(Sl,S2)의 가장 적합한 기본 중량을 15g/㎡~75g/㎡ 로 하였다. 이러한 조건으로 형성한 닦아내기 시트의 부피(두께), 유연성 및 닦아내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하기 닦아내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인접하는 접착부(a)의 간격(α)의 최적치를 구하기 위한 시험
우선, 닦아내기 시트의 높은 부피감을 유지하여 크레이프 주름의 신장에 의한 적당한 부풀림(요철)을 형성할 수 있는 접착부(a)의 간격(α)을 조사하기 위해서 하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펄프 섬유로 이루어진 기본 중량 60 g/㎡로 청정약액이 함침되었을 때의 주름의 신장에 의한 시트의 신장율이 50%인 크레이프지를 시트(Sl)로 하고, 동일하게 펄프 섬유로 이루어진 기본 중량 30 g/㎡의 비-크레이프지를 시트(Sl)로 하며,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시트(S2)를 겹쳐서 도 3a 에 나타낸 가열판에 의해 양 시트를 가압 접착시키고, 3층 구조의 닦아내기 시트를 형성하였다.
이때, 시트(Sl) 및 시트(S2)의 접착부(a)의 간격(α)이 0.6 ㎜, 1.5 ㎜, 3.0 ㎜, 5.0 ㎜, 10.0 ㎜이 되는 5종류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어느 것이나, 접착부(a)의 열의 열간 간격(β)을 7.5 ㎜로 하였다.
시트(Sl,S2)를 접착시킨 후에, 물에 알콜이 함유되어 있는 청정약액을 시트에 함침시켜서 시트(S2)에 주름의 신장에 의한 부풀림(B)을 발생시킨다.
닦아내기 시험의 피시험체(피닦아내기체)로서는 부엌용 타일을 붙인 바닥을 사용하였다. 상기 타일을 붙인 바닥의 크기는 500 ㎜×500 ㎜이고, 타일의 돌출한 부분은 28 ㎜×28 ㎜의 정방형이며, 이 둘출한 부분 주위의 홈 깊이는 0.85 ㎜이었다. 이 바닥에 더스트 및 개섬 펄프를 적당량 산포하고, 이 바닥을 각 실시예의 닦아내기 시트로 5회 닦았다. 닦은 후의 바닥의 상태를 관찰하여, 타일을 붙인 바닥의 홈부에 있어서의 더스트 더러움 및 개섬 펄프가 어느 정도 닦아졌는지를 ○, △, ×로 평가하였다. 또한, 닦아낸 후, 시트의 닦아내기에 사용된 면의 부풀림 변형 상태를 관찰하여, 변형 정도가 작으면 ○, 조금 변형되어 있는 것은 △, 꽤 변형되어 있는 것은 ×로 평가하였다. 또, 닦아내기에 사용하기 전의 닦아내기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1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a) 사이의 간격(α)이 0.6 ㎜의 닦아내기 시트에서는 겉보기의 두께가 2.43 ㎜로 비교적 크고, 전체로서 부피가 크다. 또한, 부풀림(B)의 형성 상태가 적당하고, 더스트의 닦아내기 및 개섬 펄프의 닦아내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부풀림(B)의 강도가 높고(힘이 강하고), 닦아내기 작업중에 부풀림(B)이 변형되기 어려우며 부피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닦아내기를 수행할 수 있었다.
접착부(a) 사이의 간격(α)이 1.5 ㎜인 것은 닥아내기 시트(1)의 전체의 두께가 2.14 ㎜가 되고, 상기 접착부(a) 사이의 간격(α)이 0.6 ㎜인 닦아내기 시트에 비하여 약간 부피가 낮아지지만, 더스트 및 개섬 펄프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으며, 또한 주름도 변형되기 어렵고, 취급하기 쉬운 것이 되었다.
접착부의 간격(α)이 3.0 ㎜인 것은 부풀림(B), 즉 산부(iv)의 폭이 넓어지고, 전체로서 부피가 낮아지며, 닦아내기 시트(1) 전체의 두께는 2.06 ㎜로 얇아진다. 또한 산부(iv)의 폭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산부(iv)의 힘이 약하고, 닦아낼 때에 부풀림(B)이 변형되기 쉬워졌다.
접착부의 간격(α)이 5.0 ㎜인 것은 부풀림(B)의 산부(iv)가 더욱 넓어지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지고, 두께는 2.0 ㎜로 얇아진다. 또한, 산부(iv)의 폭이 넓기 때문에, 개개의 부풀림(B)의 힘이 약해져서 변형되기 쉽다. 이 때문에, 더스트의 닦아내기 효과도 조금 떨어지게 된다.
접착부의 간격(α)이 10.0 ㎜가 되면, 산부(iv)가 넓어지고, 닦아내기 시트(1)의 두께는 1.9 ㎜로 작아진다. 또한 요철도 작아지고, 더스트 등의 미세한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가 약간 떨어지고, 또한 닦아내기 동작 후에 주름이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상으로부터, 닦아내기 시트(1)를 부피가 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닦아내기 동작에 의해 시트(S2)의 부풀림(B)이 변형되기 어렵고, 또한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접착부(a) 사이의 간격(α)이 0.5 ㎜~3.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간격(α)이 0.5 ㎜~5.0 ㎜에서도 종래의 시트에 비해 양호한 닦아내기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간격(α)이 10.0 ㎜ 이하에서도 부풀림(B)의 변형 이외의 점에서는 그다지 문제는 없다. 따라서 간격(α)이 0.5~5.0 ㎜, 또는 0.5 ㎜~10.0 ㎜ 이어도 좋다.
(2) 접착부의 열(A) 사이의 간격에 관한 시험
닦아내기 시트의 높은 부피감을 유지하고, 적당한 부풀림(요철)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부의 열(A) 사이의 간격(β)을 조사하기 위해서 하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펄프 섬유로 이루어진 기본 중량 60g/㎡ 약제를 함침시켰을 때의 주름(b)의 신장에 의한 시트의 신장율이 50%인 크레이프지를 시트(S2)로 하고, 동일하게 펄프 섬유로 이루어진 기본 중량 30g/㎡의 비-크레이프지를 시트(Sl)로 하며,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시트(S2)를 겹친다. 그 후, 도 3a에 나타낸 가열판에 의해 양 시트를 가압 접착시키고, 3층 구조의 닦아내기 시트(1)를 형성하였다. 이 시트(Sl) 및 시트(S2)를 접합시킨 접착부의 간격(α)은 상기 (1)의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0.6㎜로 하였다. 또한 접착부의 열(접착부)의 간격(β)은 7.5㎜, l0.0㎜, 15.0㎜, 20.9㎜의 4종류로 하여 각각을 실시예로 하였다. 시트(Sl) 및 시트(S2)를 서로 접착시킨 후, 물에 알콜이 함유되어 있는 청정약액을 시트에 함침시켜 시트(S2)에 주름의 신장에 의한 부풀림(B)을 발생시켰다.
비교예로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시트(Sl,S2)의 접착부를 도트형으로 한 닦아내기 시트를 사용하였다.
이들 접착부(a)의 열(A)의 간격(β)이 다른 닦아내기 시트를 사용하여 닦아내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시험체(피닦아내기체)로서는 상기 시험(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타일을 붙인 바닥에 더스트 및 개섬 펄프를 적당량 산포시키고, 이 바닥을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닦아내기 시트에 의해 5회 닦았다. 닦은 후의 바닥의 상태를 관찰하여, 홈부에서의 더스트 더러움 및 개섬 펄프가 어느 정도 닦아내어졌는지를 ○,△,×로 평가하였다. 또한, 닦아낸 후의 부풀림의 변형 상태를, 변형 정도가 작으면 ○, 조금 변형되어 있는 것은 △, 꽤 변형되어 있는 것은 ×로 평가하였다. 또한, 닦아내기로 사용하기 전의 각 닦아내기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2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의 열(A)사이의 간격(β)이 7.5㎜, 10.0㎜인 것은, 열(A) 사이에 발생하는 부풀림(B)의 X 방향의 길이가 적당한 길이가 된다. 또한 닦아내기 시트의 두께는 각각 2.43 ㎜, 2.44 ㎜로 두껍고, 부피가 크게 되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열간의 부풀림(B)의 X 방향 길이가 적당하기 때문에, 개개의 부풀림(B)의 힘은 강하고, 닦아내기에 사용시의 부풀림(B)의 강도가 우수하다. 따라서, 더스트 및 개섬 펄프를 깨끗히 닦아낼 수 있었다. 또한 주름의 변형 상태도 작으며, 연속하여 닦아내기를 실시한 후라도 부피가 크고 손으로 잡기 쉬운 것이었다.
또한, 접착부 열의 간격(β)이 15.0㎜인 것은 시트(S2)의 부풀림(B)이 커지고, 열(A) 사이의 간격이 7.5㎜, l0.0㎜인 것과 비교하여 닦아내기 시트를 두껍게 할 수 있으며, 두께가 2.53㎜가 되었다. 또한, 더스트 및 펄프 섬유의 닦아내기도 우수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열(A) 사이에 나타난 부풀림(B)의 X 방향의 치수가 길기 때문에, 부풀림(B)의 힘이 조금 약해져서 닦아내기 작업 후 부풀림(B)이 약간 변형되었다.
또한, 간격(β)을 20.0㎜로 크게 한 것으로서는 부풀림(B)의 형성이 접착부(a)의 열(A)에 의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닦아내기 시트의 두께를 2.53 ㎜로 두껍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부풀림(B)의 X 방향의 치수가 너무 길어지고, 힘이 약해져서 부풀림(B)이 변형되기 쉬워지고 더스트를 닦아내는 효과가 약간 저하된다.
또한, 닦아내기 시트의 전면에 도트형의 접착부를 형성한 비교예에서는 도트형의 움푹 팬인 부분보다도, 부풀어 오른 부분의 면적 쪽이 크고, 요철이 적기 때문에 더스트 및 개섬 펄프를 닦아내는 효과가 작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a)의 열(A) 사이의 영역(L)에서의 부풀림(B), 영역(L)의 인접 영역(Ll)의 부풀림(B)이 경사진 접착부(a)에 의해 분리되며, 접착부(a)의 열(A)에 사이에 끼워진 영역(L,Ll)에 있어서, 독립된 부풀림(B)이 형성된다. 따라서 열(A) 사이의 간격(β)이 개개의 부풀림(B)의 X 방향의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X 방향의 길이가 길면, 개개의 부풀림(B)의 힘이 약해진다. 또한 열(A) 사이의 간격이 짧으면, 접착부(a)가 차지하는 면적이 너무 커져서 시트(S2)에 있어서의 부풀림(B)의 면적이 적어지고 높은 부피감이 떨어진다.
따라서, 접착부(a)의 열(A) 사이의 간격(β)은 5.0 ㎜~15.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A)의 간격을 상기의 길이로 함으로써 닦아내기 시트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게 하여 닦아내기 시트의 전면을 적당히 요철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a)에 의해서 닦아내기 시트에 적당한 힘(강도)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닦아내기 효과도 우수하다. 다만, 간격(β)이 20.0 ㎜ 이하로서, 부풀림이 변형되기 쉬운 점을 제외하면 종래의 것보다도 뛰어난 닦아내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3) 닦아내기 시트의 기본 중량에 관한 시험
닦아내기 시트의 고 부피 및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시트(Sl,S2)의 기본 중량 및 이들 시트(S1,S2)에 의해 형성되는 닦아내기 시트의 기본 중량을 조사하기 위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의 닦아내기 시트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펄프 섬유로 이루어진 기본 중량 15 g/㎡로, 약제를 함침시켰을 때 주름의 신장에 의한 시트의 신장율이 50%인 크레이프지를 시트(S2)로 하고, 동일하게 펄프 섬유로 이루어진 기본 중량 15g/㎡로 주름 가공이 실시되지 않은 비-크레이프지를 시트 (Sl)로 하였다. 상기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시트(S2)를 접합시킨 3층 구조의 닦아내기 시트를 형성하고, 이 닦아내기 시트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상기 시트(Sl,S2)와의 접합은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부분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시트(S2)를 겹친 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열판의 엠보스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을 가압하여 양 시트를 접착시켰다. 이 접착은 상기 시험 (1) 및 (2)의 결과로부터, 접착부(a)의 간격(α)을 0.6 ㎜로 하고, 접착부(a)의 열(A) 사이의 간격(β)을 7.5 ㎜로 하였다.
상기 간격(α) 및 열(A) 사이의 간격(β)은 하기 실시예 2 및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도 동일하다. 시트(Sl)와 시트(S2)를 접착시킨 후, 각 시트에 물과 알콜을 혼합한 청정약액을 함침시켜 시트(S2)의 접착부(a)의 열(A)와 (A)의 사이에서 부풀림(B)을 형성시켜 부피가 큰 닦아내기 시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고, 펄프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를 시트(Sl,S2)로서 사용하였다. 시트(Sl,S2)의 기본 중량은 각각 30g/㎡로 하여 기타의 조건, 즉 시트(Sl) 및 시트(S2)의 약액을 함침시켰을 때의 신장율 [시트(Sl)는 비-크레이프지이기 때문에 신장되지 않고, 신장율은 0임], 시트(Sl,S2)를 접착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접착제 및 접착 방법, 접착부의 간격(α), 접착부(a) 열간 간격(β), 시트에 함침시킨 청정약액 등은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닦아내기 시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는 시트(Sl,S2)의 기본 중량만을 70g/㎡로 변경시키고, 다른 조건을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닦아내기 시트를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l,2,3에 대한 비교예로서, 이하의 닦아내기 시트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상기 실시예 1, 2, 3보다도 각 시트의 기본 중량을 작게 하여 시트(S1) 및 시트(S2)의 기본 중량을 각각 10 g/㎡로 하였다. 기타의 제조 조건은 상기 실시예 1, 2, 3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상기 실시예 1,2,3보다도 각 시트의 기본 중량을 크게 한 것을 사용하여 시트(Sl) 및 시트(S2)의 기본 중량이 각각 70 g/㎡인 것을 사용하였다. 기타의 제조 조건은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과 완전히 동일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및 2의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 및 겉보기의 두께 및 l ㎏/㎠의 압력으로 가압한 후의 두께를 측정하고, 또한 닦아내기 시트의 유연도를 조사하였다.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은 단위 g/㎡로 나타내고 두께는 ㎜로 나타내었다. 닦아내기 시트의 유연도는 부드러운 것은 ◎, 비교적 부드러운 것은 ○, 유연성이 모자라는 것은 ×로 나타내었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은 45 g/㎡이고, 닦아내기 시트 전체의 두께는 2.4 ㎜이며, 가압 후의 두께도 1.5 ㎜이다. 또한, 닦아내기 시트는 매우 부드럽고, 유연도 평가는 ◎이었다.
또한, 실시예 2의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은 90g/㎡이고, 겉보기 두께는 2.4 ㎜이며, 실시예 1의 시트와 동일하지만, 가압 후의 두께는 2.0 ㎜로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두꺼워지고 있다. 또한, 시트의 유연도는 ○으로 평가되고, 기본 중량이 큰만큼 실시예 1보다도 유연도가 조금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은 210 g/㎡이고, 겉보기의 두께는 2.45 ㎜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보다도 조금 두꺼우며, 가압 후의 두께도 2.2 ㎜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보다도 조금 두껍고, 고 부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단 유연도는 실시예 1보다도 조금 낮지만, 양호하며 ○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에서는 각 시트(S1,S2)의 기본 중량이 10g/㎡로 작기 때문에, 닦아내기 시트 전체의 기본 중량도 30g/㎡로 작다. 따라서, 가공 전의 두께는 2.4 ㎜로 상기 실시예 1~3과 다르지 않지만, 가공 후의 두께는 1.0 ㎜로 작은 것이 되며, 또한 매우 부드러운 것이 된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각 시트(S1,S2)의 기본 중량이 100 g/㎡로 크기 때문에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은 300 g/㎡로 크다. 따라서, 가공 후의 두께도 2.2 ㎜로 두껍고, 닦아내기 시트의 부피를 크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만큼 유연성이 낮고, ×로 평가되었다.
상기 시험 결과로부터 시트(S1,S2)의 기본 중량이 너무 작으며, 닦아내기 시트의 유연도는 높지만, 가압 후의 두께가 얇아져서, 닦아낼 때에 고 부피를 유지할 수 없다. 또한 시트의 힘도 약해진다. 반대로 기본 중량이 크면, 가공 후의 두께가 커지고, 닦아내기 동작시에 시트의 큰 부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지만, 닦아내기 시트가 힘이 너무 강해서 뻣뻣해진다. 따라서, 손으로 잡기 어렵고, 닦아낼 개소에 맞춰서 닦아내기 시트가 변형되기 어려우며, 닦아내기 효과가 낮은 것이 된다.
따라서, 각 시트의 기본 중량은 15 g/㎡~75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험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시트(S1)의 표리 양면에 시트(S2)가 접합된 3층 구조인 것으로는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은 45 g/㎡~225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트(Sl) 및 시트(S2)의 2층 구조인 것에서는 닦아내기 시트의 총 기본 중량은 30 g/㎡~15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본 중량의 시트(Sl,S2)에 의해 형성된 닦아내기 시트(1)는 닦아내기 동작시에도 높은 부피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유연성도 있기 때문에, 손으로 잡기 쉽고,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가 높은 것이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닦아내기 시트(1)의 다른 예로서, 상기 시트(Sl,S2)로서 수해성 시트를 사용하여 이 수해성 시트를 겹쳐 수해성 닦아내기 시트(수해성 습식 시트)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수해성 습식 시트에 대하여 하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도 1~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의 닦아내기 시트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와 비교예는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해성 시트의 신장율차를 변형시킨 것이고, 그 외의 조건은 모두 동일하였다.
수해성 시이트(Sl,S2)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N-BKP) 90중량%
바인더 l0중량%
상기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는 펄프 섬유가 분산된 수용액을 CSF(카나디언· 스탠다드·프리네이스)로 측정했을 때의 여과액량이 600 ㎖가 되도록 펄프 섬유를 두드려서 분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바인더로서는 에테르화도 0.4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Na염(니티린 가가쿠)을 사용하였다. 상기 에테르화도란 침엽수 크레프트 펄프내의 셀룰로스의 수산기에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는 비율을 의미하고 있다. 예컨대 셀룰로스의 3개 수산기의 모든 기에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에테르화도는 0.3이 된다. 이 바인더는 물에 의해 팽윤되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이다. 이 바인더를 상기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가 분산된 수용액 중의 펄프 섬유의 기본 중량에 대해 1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상기 재료에서 통상의 양키 초지기 또는 초지기를 이용하여 기본 중량이 25 g/㎡인 수해성 시트를 제조하고, 이 수해성 시트에 주름 가공을 실시하였다. 이 주름 가공한 수해성 시트의 신장율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마다 다르게 하였다.
수해성 시트끼리를 접착시키는 접착제
수해성 시트끼리를 접착시키는 접착제는 에테르화도가 0.8~1.0 정도인 수용성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다이셀 가가쿠 제품의 품번「2280」)의 0.2% 용액을 사용하였다.
시트(Sl)의 표리 양면에 상기 접착제를 그라비아 인쇄하고, 접착제를 스트라이프형으로 도포하였다. 그 후, 시트(S1)의 표리 양면에 시트(S2)를 겹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a)와 동일한 패턴의 돌출부(5a)를 갖는 가열판(5) 및 가열판(4)에 시트(Sl)와 시트(S2)가 겹쳐진 것을 사이에 끼우고, 3장의 시트를 가습하면서 가압하여 3장의 시트를 접착시켰다. 이렇게 하여 3층 구조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신장율
시트(Sl)와 시트(S2)의 신장율을 표 1에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타낸 3층 구조의 시트에 청정약액을 함침시켰다. 이것에 의해, 시트(S2)를 팽윤시켰다. 이때의 닦아내기 시트(1) 전체의 두께 치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4
측정 결과
상기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율이 높은 시트(S2)와 신장율이 낮은 시트(Sl)의 신장율차가 20%~80%이면, 닦아내기 시트(1)의 두께가 0.6 ㎜ 이상이 되고, 단지 3장의 시트를 적층시켰을 뿐인 비교예 1에 비하여 두께가 50% 이상 두꺼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트(Sl)와 시트(S2)의 신장율차를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또한 닦아내기 시트(1)의 두께가 지나치게 크면, 닦아내기 시트(1)를 겹쳐서 수납했을 때에 부피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시트(Sl)와 시트(S2)의 신장율차는 8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는 액을 함침시켰을 경우 신장율차가 발생하는 수해성 시트를 부분적으로 접합시켜 액의 함침 상태에서 신장율이 높은 시트에 부풀림이 발생하고, 부피가 큰 습식 시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부피가 큰 습식 시트는 걸레에 가까운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접합부를 여러개의 짧은 접합부로 구성시켜 신장율이 높은 시트에 잔 주름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손으로 잡기에 쉬우며, 또한, 상기 주름으로 더러움을 닦아내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트의 표면에 요철 주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닦아내기 효과가 높은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닦아내기 시트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을 확대하여 접착부의 형상과 이에 의해 나타나는 부풀림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닦아내기 시트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III-III선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에서의 단면도.
도 5는 접착부의 기타의 형성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닦아내기 시트의 적층 구조의 기타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닦아내기 시트 변형예의 단면도이고, 각 시트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뚫은 것을 나타낸다.

Claims (8)

  1. 여러장의 시트가 겹쳐져서 여러개의 접착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된 것으로 구성된 닦아내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중의 1 장 이상의 시트는 주름 가공되어, 액을 함침시켰을 때 주름이 회복하여 신장되는 것이며,
    다른 시트는 주름 가공이 되어 함침시켰을 때 주름이 회복되어 상기 시트보다도 낮은 신장율로 신장되는 것이거나 또는 주름 가공되어 있지 않은 것이며,
    상기 신장율이 높은 시트 및,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주름 가공되어 있지 않은 시트를 부분적으로 접착시킨 접착부가 간격을 두고 열을 이루며, 또한 이 열이 여러개의 열로 설치되고,
    열을 이루어 나열된 상기 접착부의 간격이 0.5 mm~3.0 mm이고
    상기 열과 열 사이의 간격이 7.5 mm∼15.0 mm이며
    액을 함침시켰을 때의 상기 양 시트의 주름 복원에 의한 신장율 차이에 의해 적어도 상기 신장율이 높은 시트에 상기 열과 열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접착부의 배열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부풀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닦아내기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열과 열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닦아내기 시트를 상기 접착부가 나열된 열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부풀림 및 이 부풀림의 사이에 형성된 움푹 패인 곳이 상기 접착부의 배열 피치와 거의 동일한 피치로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인 닦아내기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주름 가공되어 있지 않은 시트의 표리 양면에 상기 신장율이 높은 시트가 접착되어 있는 것인 닦아내기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개개의 접착부는 짧은 선형으로 형성되고, 이 접착부는 신장율이 높은 시트에 형성된 주름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열의 양측 영역의 주름이 상기 접착부에서 차단되어 있는 것인 닦아내기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이 함침되었을 때 신장율이 높은 시트 및, 신장율이 낮거나 또는 주름 가공되어 있지 않은 시트의 신장율차가 20%∼80%인 것인 닦아내기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시트의 기본 중량은 15 g/m2∼75 g/m2인 것인 닦아내기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겹쳐진 각 시트는 물에 의해 분해되는 수해성 시트이고, 수해성 시트끼리가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인 닦아내기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해성 시트에는 수해성 시트에 포함된 바인더 및 수해성 시트끼리의 접착부가 물에 의해 용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수용성 청정약액이 함침되어 있는 것인 닦아내기 시트.
KR1019970030746A 1996-07-03 1997-07-03 닦아내기시트 KR100491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372596A JP3594738B2 (ja) 1996-07-03 1996-07-03 水解性ウエットシート
JP96-173725 1996-07-03
JP25703296A JP3664551B2 (ja) 1996-09-27 1996-09-27 拭き取りシート
JP96-257032 199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560A KR980008560A (ko) 1998-04-30
KR100491804B1 true KR100491804B1 (ko) 2005-11-14

Family

ID=2649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746A KR100491804B1 (ko) 1996-07-03 1997-07-03 닦아내기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58555A (ko)
KR (1) KR100491804B1 (ko)
CN (1) CN1071628C (ko)
ID (1) ID17570A (ko)
MY (1) MY121260A (ko)
SG (1) SG72745A1 (ko)
TW (1) TW3639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21729A (en) * 1997-03-10 2006-02-28 Uni Charm Corp Wip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716514B2 (en) * 1998-01-26 2004-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with enhanced texture
US6423804B1 (en) 1998-12-31 2002-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hard water dispersible polymers and applications therefor
US6713414B1 (en) 2000-05-04 2004-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579570B1 (en) 2000-05-04 2003-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EP1048963A1 (en) * 1999-04-30 2000-11-02 Ntt Advanced Technology Corporation Cleaning tool for optical fiber connectors
JP2001098489A (ja) * 1999-09-30 2001-04-10 Uni Charm Corp 水不溶性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水解性の繊維シート
CN100392166C (zh) * 2000-03-24 2008-06-04 花王株式会社 膨松片材及其制造方法
US6444214B1 (en) 2000-05-04 2002-09-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537663B1 (en) 2000-05-04 2003-03-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hard water dispersible polymers and applications therefor
US6683143B1 (en) 2000-05-04 2004-01-27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815502B1 (en) 2000-05-04 2004-1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a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653406B1 (en) 2000-05-04 2003-11-25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429261B1 (en) 2000-05-04 2002-08-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599848B1 (en) 2000-05-04 2003-07-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835678B2 (en) 2000-05-04 2004-1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 sensitive, water-dispersible fabric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548592B1 (en) 2000-05-04 2003-04-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623837B2 (en) 2000-12-27 2003-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axially extendible material
US6586529B2 (en) 2001-02-01 2003-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828014B2 (en) 2001-03-22 2004-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dispersi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20030171051A1 (en) * 2002-03-08 2003-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ipe
US20060003654A1 (en) * 2004-06-30 2006-01-05 Lostocco Michael R Dispersible alcohol/cleaning wipes via topical or wet-end application of acrylamide or vinylamide/amine polymers
US7891898B2 (en)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US20060169301A1 (en) * 2005-01-28 2006-08-03 Haskett Thomas E Cleaning wipe with variable loft working surface
US7976235B2 (en) 2005-01-28 2011-07-1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kit including duster and spray
US7740412B2 (en) 2005-01-28 2010-06-22 S.C. Johnson & Son,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a device with a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US7879191B2 (en) * 2005-12-15 2011-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ing products having enhanced cleaning abilities
US7700178B2 (en) * 2006-02-24 2010-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ing wipe with variable loft working surface
US8893347B2 (en) 2007-02-06 2014-11-25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with attachment member holder
JP5048375B2 (ja) * 2007-03-30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048376B2 (ja) * 2007-03-30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CA2725378C (en) * 2008-05-27 2016-11-22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Ultra premium bath tissue
GB2604624B (en) * 2021-03-10 2023-05-24 Kristina Magnhild Nameth Mira Plant-based flexible material, process fo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2144A (ko) * 1973-11-26 1975-09-03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0882A (en) * 1967-03-17 1969-06-17 Teledyne Inc Light sensitive center line tracking system
US3650882A (en) * 1969-07-11 1972-03-21 Kimberly Clark Co Multi-ply paper towel
US3687797A (en) * 1970-09-28 1972-08-29 Kimberly Clark Co Resilient cellulosic wadding product
US4309469A (en) * 1977-08-22 1982-01-05 Scott Paper Company Flushable binder system for pre-moistened wipers wherein an adhesive for the fibers of the wipers interacts with ions contained in the lotion with which the wipers are impregnated
US4469735A (en) * 1982-03-15 1984-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ensible multi-ply tissue paper product
US5722966A (en) * 1995-11-22 1998-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 dispersible and flushable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2144A (ko) * 1973-11-26 1975-09-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7570A (id) 1998-01-08
CN1071628C (zh) 2001-09-26
KR980008560A (ko) 1998-04-30
CN1178161A (zh) 1998-04-08
MY121260A (en) 2006-01-28
SG72745A1 (en) 2000-05-23
TW363920B (en) 1999-07-11
US5958555A (en)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804B1 (ko) 닦아내기시트
KR100524501B1 (ko) 와이프시이트및그제조방법
AU743266B2 (en) Cloth-like base she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3881210A (en) Flushable, pre-moistened, sanitary wi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270875B1 (en) Multiple layer wipe
US4614679A (en) Disposable absorbent mat structure for removal and retention of wet and dry soil
EA017969B1 (ru) Тисненый лист, содержащий слой водорастворим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листа
EP1011965A1 (en) Multiple layer wiping article
US6180214B1 (en) Wiping article which exhibits differential wet extensibility characteristics
WO2016035767A1 (ja) 吸水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吸収性物品
JP3594738B2 (ja) 水解性ウエットシート
EP1045662B1 (en) Disposable wiping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e
JP3419644B2 (ja) 拭き取り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64551B2 (ja) 拭き取りシート
JP3664552B2 (ja) 拭き取りシート
JP3729966B2 (ja) 接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64553B2 (ja) 拭き取りシート
KR100559111B1 (ko) 와이퍼시이트및이의제조방법
JP3962044B2 (ja) 拭き取りシート
ES2366616T3 (es) Pañuelo de papel absorbente para limpieza.
MXPA00007325A (en) Multiple layer w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