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138B1 -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138B1
KR100491138B1 KR10-2002-7002994A KR20027002994A KR100491138B1 KR 100491138 B1 KR100491138 B1 KR 100491138B1 KR 20027002994 A KR20027002994 A KR 20027002994A KR 100491138 B1 KR100491138 B1 KR 10049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ignal
inflator
decelera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756A (ko
Inventor
안드린마가레트엠
바르네스윌리엄제이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3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8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monitoring crash strength
    • B60R21/015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monitoring crash strength by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위치에 근거한 2단계 에어백 제어시스템(1)을 제공한다. 감속 센서(11)는 추돌/충돌 도중에 차량의 감속을 검출한다. 만일 감속이 제 1임계값을 초과한다면, 그리고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값의 후방측에 위치된다면, 상기 SIR콘트롤러(7)는 제 1/저단계 팽창을 개시한다. 만일 상기 감속이 제 2 고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그리고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값의 후방측에 위치된다면, 상기 SIR콘트롤러(7)는 제 1/저단계 팽창과 제 2/고단 팽창을 개시한다. 만일 좌석(2)이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전방측 지점에 위치된다면, 상기 SIR콘트롤러(7)는 상기 감속이 제 1/저 임계값 또는 제 2/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때에만 제 1/ 저단계 팽창을 개시하고, 제 2단계의 전개를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SIR콘트롤러(7)는 충돌의 격렬함 또는 감속에 근거할 뿐만 아니라, 차량 좌석(2)의 위치에도 근거하여 팽창 단들을 동작개시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제어 시스템및 그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Bag}
본 발명은 에어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좌석위치에 따른 2단계 에어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 업계에서 차량 탑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보조 팽창 구속시스템(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System)(SIR)이 제공된다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인 SIR 시스템은 하우징, 통상적으로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에어 백, 및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시 위한 가스를 배출시키는 팽창기를 포함한다. 종래의 시스템들은 사전에 정해진 감속량에 반응하여 상기 팽창기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몇몇의 시스템들은 2단계 팽창 시스템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충돌의 격렬함에 따라서 에어백의 팽창을 제어한다. 적은 체적을 갖는 제 1 또는 저단계의 팽창은 낮은 감속상태의 충돌시에 동작된다. 큰 체적을 갖는 제 2 또는 고 단계의 팽창은 보다 높은 감속상태의 충돌에서 부가적으로 동작된다. 전형적으로 감속 센서가 충돌도중에 차량의 감속상태를 검출한다. 제 1 팽창 단계는 검출된 감속이 제 1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감속 센서의 출력에 반응하여 동작개시된다. 제 2 팽창단계는 검출된 감속이 상기 제 1임계값보다 높은 제 2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감속 센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동작된다.
미국 특허 5,803,491호는 좌석이 임의의 전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에어백의 전개를 완전하게 불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백 작동 불능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이 완전하게 작동불능되면, 상기 에어백은 동작 정지되어 전개하지 않는다.
2단계 에어백은 이러한 1단계 에어백 전개 시스템에 비하여 임의의 전개 옵션(options)을 제공한다. 이는 제 1단및 제 2단계의 전개를 제어하는 데에, 단지 차량 감속에 의존하는 것만이 아니라, 좌석위치에도 근거한다는 점에서 유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팽창을 제어하기 위한 논리 시켄스를 도시한 논리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 따라 팽창을 제어하기 위한 논리 시켄스를 도시한 논리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은 2단계 에어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좌석위치에도 근거한다. 감속 센서는 충돌 도중에 차량의 감속을 검출한다. 만일 감속이 제 1임계값을 초과한다면, 그리고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값의 후방측에 위치된다면, 상기 SIR 콘트롤러는 제 1/ 저단계의 팽창을 개시한다. 만일 상기 감속이 제 2의 고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그리고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값보다 후방측에 위치한다면, 상기 SIR 콘트롤러는 제 1/저 단계및 제 2/고 단계의 팽창을 개시한다. 만일 좌석이 사전에 정해진 위치 전방측의 일정 지점에 위치된다면, 상기 SIR은 단지 제 1/저 단계의 팽창만을 개시하며 그리고 제 2/고 단계의 팽창 개시를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SIR 콘트롤러는 충돌 또는 감속의 격렬함에 의할 뿐만이 아니라, 차량 좌석의 위치에도 근거하여 팽창 단계들을 개시하는 것이다.
도 1은 참조 부호 1로서 부여된 에어백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좌석(2)는 베이스(3)상에 장착되며, 이는 종래의 방식으로 차량 바닥에 차례로 고정된 좌석 트랙(4)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상기 좌석(2)은 트랙(4)을 따라서 베이스(3)를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좌석(2)은 공지된 방식과 같이 수작업으로 또는 동력식의 좌석 제어로 전방측으로 활주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트랙(4)을 따라서 좌석(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좌석(2)은 참조 부호 5로서 부여된 바와 같은 가장 전방측의 위치로 활주이동될 수 있다. 스위치(6) 형태의 좌석위치 검출기가 제공되어 트랙(4)에 대한 좌석(2)의 위치를 검출하고, 결과적으로는 차량에 대한 좌석(2)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좌석(2)이 가장 전방측의 위치(5), 또는 가장 전방 위치(5)로 부터 사전에 규정된 위치내에 놓여지게 되면, 스위치(6)는 SIR 콘트롤러(7)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좌석(2)이 전방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게 된다. 가장 전방측의 위치(5)와, 상기 위치(5)까지의 사전에 규정된 거리는 차량의 특정 규격에 따라 좌우되며, 그리고 상기 좌석(2)이 차량의 운전자측인가 또는 승객측인가의 여부에도 좌우된다. 몇몇의 차량 구조에서는, 조향 휠로 인하여, 상기 사전에 규정된 거리가 운전자측 좌석에 대하여 보다 클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운전자와 조향 휠사이의 거리가 승객과 승객측 계장판넬(8)사이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이다.
도 1은 그 내부에 장착된 SIR 시스템(9)를 갖는 승객측 계장판넬(8)을 도시한다. 상기 SIR 시스템(9)은 팽창성 에어백(미도시)을 포함하며, 이는 차량의 추돌 또는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기(10)내의 적어도 2개의 개시기 또는 기폭기(squibs)로 부터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팽창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기폭기들은 SIR 콘트롤러(7)로 부터 신호를 받음에 따라서 동작된다. 상기 기폭기들중 하나 또는 두개가 동작되어지는 지의 여부는 좌석(2)의 위치와 차량의 감속에 의존되는 것이다. 물론, 단일 팽창기내에 2개의 기폭기를 수용하는 것과는 다르게 2개의 분리형 팽창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일 팽창기내에 2개의 기폭기의 사용을 고려한다. 2단계 팽창기가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다단 팽창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무한히 가변적일 수 있는 유용한 다수의 팽창단계들을 갖는 것이다.
감속 센서 11은 종래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 추돌이나 충돌시에 차량의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SIR 콘트롤러(7)에 제공한다.
상기 감속 신호의 값에 따라서, 그리고 좌석(2)의 위치에 따라, SIR 콘트롤러(7)는 기폭기중 하나 또는 2개를 동작시킬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SIR 콘트롤러(7)는 상기 차량의 감속이 완만한 것이라면, 제 1단 전개 또는 기폭기중 1개를 동작 개시할 것이며, 만일 차량 감속이 격렬한 것이라면, 부가적인 2단계 또는 제 2기폭기를 동작시킬 것이다. 그러나, 만일 상기 좌석(2)이 전방위치에 있는 것이라면, SIR 콘트롤러(7)는 단지 제 1단계, 또는 기폭기중 하나만을 전개시키고, 상기 감속이 격렬한 것일 지라도 제 2기폭기의 동작을 억제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임의의 차량 구조에 대해서는, 완만한 추돌 또는 충돌시에, 상기 에어백의 제 1단계 전개가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석(2)이 전방 위치(5)에 있을 경우, 에어백의 제 1단계 전개는 단지 격렬한 추돌/충돌 시에만 허용된다.
상기 감속 센서는 차량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SIR 콘트롤러(7)에 송출한다. 만일 감속신호가 제 1임계값 이상이라면, 완만한 추돌/충돌이 검지되고, SIR 콘트롤러(7)는 그에 따라 기폭기를 동작개시한다. 만일 감속신호가 제 2의 높은 값이상이라면, 격렬한 추돌/충돌이 검지된다. 2가지 임계값들을 갖고서, 즉 제 1 저 임계값과 제 2 고 임계값들을 갖는 다는 것은 검지센서가 3가지의 추돌 조건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격렬함이 적은 또는 비 추돌시로 알려진 제 1추돌조건은 상기 감속센서가 제 1임계값보다 작은 신호를 생성하는 때에 검지된다. 완만한 격렬함의 제 2추돌 조건은 상기 검지 센서 11가 제 1및 제 2임계값사이의 신호를 생성하는 때에 존재한다. 제 3의 격렬한 추돌조건은 상기 감속 센서들 11이 제 2의 임계값이상의 신호를 생성하는 때에 존재한다. 상기 임계값들은 차량에 종속한다. 서로 다른 임계값들이 전방 휠 구동 차량, 대형 차량 및, 다른 보디 형태의 차량들에 설정된다.
도 2는 SIR 콘트롤러(7)의 알고리즘을 나타내며, 이는 제 1실시예에 따라서 기폭기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모두를 동작개시할 것인가, 또는 각각의 기폭기의 전개를 단순히 금지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SIR 콘트롤러(7)는 좌석의 위치(5)를 나타내는 신호를 스위치(6)로 부터 받는다. 만일 좌석(2)이 가장 전방 위치(5)의 사전에 규정된 거리내에 위치된다면, SIR 콘트롤러(7)는 상기 감속 신호가 제 2 고 임계값 이상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만일 감속신호가 제 2임계값보다 낮다면, SIR 콘트롤러(7)는 각각의 기폭기를 동작개시하지 않을 것이고, 에어백은 팽창하지 않을 것이다. 만일 감속신호가 제 2임계값 이상이라면, 그에 따라서 격렬한 추돌/충돌을 검출한다면, SIR 콘트롤러(7)는 제 1단계, 또는 단일 단계 팽창을 위해 기폭기중의 어느 하나를 동작개시할 것이다. SIR 콘트롤러(7)는 상기 좌석(2)이 가장 전방측 위치(5) 또는 거기에 대해 사전에 규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기폭기 2개가 모두 동작개시되는 2단계 전개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상기 좌석(2)이 후방측에 위치되면, 상기 SIR 콘트롤러(7)는 차량의 감속에 따라서 에어백의 제 1단 및 제 2단계 전개를 허용할 것이다. 만일 좌석(2)이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지 않다면, SIR 콘트롤러(7)는 감속 신호값을 결정한다. 만일 감속 신호가 제 1임계값을 초과한다면, 상기 제 1기폭기가 개시된다. 다음, 상기 SIR 콘트롤러(7)는 상기 감속 신호가 제 2임계값을 초과하는 지를 검출한다. 만일 상기 감속신호가 제 2임계값 이상이라면, SIR 콘트롤러(7)는 2단계 전개를 위해 제 2기폭기(10)를 동작개시한다. 상기 SIR 콘트롤러(7)는 2단계 전개를 위해 제 2기폭기를 개시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전에, 제 1단계 전개를 위한 제 1기폭기를 동작 개시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및 제 2기폭기의 동작 개시사이에는 지연(a delay)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감속신호가 제 2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개의 모든 기폭기들이 동시에 작동 개시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좌석(2)의 위치는 추돌의 격렬함에 의해서 상기 기폭기들을 개시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차별화 하거나 또는 변경한다. 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SIR 콘트롤러(7)는 좌석(2)위치에 따라서 2가지의 다른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상기 좌석(2)이 후방측에 위치되면, SIR 콘트롤러(7)는 단지 차량 감속에만 의존하는 제 1단계및 제 2단계 에어백 전개를 허용하는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상기 좌석(2)이 전방측에 위치되면, SIR 콘트롤러(7)는 격렬한 추돌/충돌이 검출되는 때에만, 상기 에어백의 2단계 전개를 금지하고, 단지 제 1단 전개만을 허용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6)은 상기 좌석(2)이 가장 전방위치에 있을 때, 또는 그 위치(5)에 대해 사전에 규정된 거리내에 있을 때 신호를 SIR 콘트롤러(7)로 보낸다. 상기 스위치(6)는 좌석이 전방위치에 있을 때를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6)는 좌석(2)이 전방으로 위치되어 SIR 콘트롤러(7)에 에어백의 팽창이 억제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동작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즉, 좌석(2)이 가장 전방측 위치(5) 또는 이에 대해 사전에 규정된 위치에 있는 때, 에어백의 제 2단계 전개는 억제되고, 그리고 제 1단 전개는 단지 격렬한 추돌/충돌시에만 일어나게 된다.
스위치(6)는 접촉식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으며, 이는 SIR 콘트롤러(7)가 에어백의 전개를 억제하라는 신호를, 상기 스위치(6)가 닫쳐지고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에 받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스위치(6)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이는 베이스(3)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6)와 접촉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6)는 리미트/토글(toggle) 스위치일 수 있으며, 베이스(3)가 트랙(4)상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베이스(3)상에 수반되는 돌기에 의해서 제 1및 제 2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6)는 베이스(3)가 트랙(4)을 따라서 이동하는 때에 결정되는 전압 편차(voltage variation)에 의해서 작동되어지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러가지 다른 방식의 스위치장치들이 사용되어 SIR 콘트롤러(7)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기 좌석의 위치가 결정되어지는 한, 특히 가장 전방측 위치(5)에 대한 좌석(2)의 위치가 검지되고, 좌석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SIR 콘트롤러(7)에 보내지면, 상기 SIR 콘트롤러(7)는 상기 좌석이 가장 전방측 위치(5) 또는 그에 대해 사전에 규정된 위치에 있을 때 에어백의 전개를 억제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며, 참조부호 101로 부여되어 있다. 상기 좌석(102)은 좌석 트랙(104)상에서 이동가능한 베이스(103)상에 장착되며, 상기 트랙은 차량 바닥에 고정된 것이다. 상기 좌석(102)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120)에 의해서 동력 구동되거나 도움을 받아 상기 트랙(104)을 따라 베이스(103)를 이동시킴으로써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시스템(101)은 좌석 콘트롤러(122)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좌석(102)의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좌석 콘트롤러(122)는 바람직하게는 알려진 구조의 좌석 모듈일 수 있고, 이는 좌석(102)의 위치를 사전에 프로그램된 위치에 따라 기억하여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좌석 콘트롤러(122)는 다르게는 알려진 구조의 계기 통합형 모듈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좌석(102)은 사전에 규정된 전방 좌석 위치(105)를 포함하여 상기 좌석(102)이 트랙(104)상에서 사전에 규정된 량을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바람직하게는 완전 최전방 위치(105) 또는 이에 대해 사전에 규정된 거리내로 이동한다.
상기 SIR 시스템(109)는 팽창가능한 에어백(미도시)을 포함하며, 이는 차량 추돌 또는 충돌도중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기폭기들로 부터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팽창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기폭기들은 SIR 콘트롤러(107)로 부터 신호를 받으면 작동되어진다. 상기 기폭기들중의 하나 또는, 2개가 동작하던지 또는 그중 개시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지에 대한 여부는 좌석(102)의 위치와 차량의 감속에 의존한다.
감속 센서(111) 또는 가속 센서는 종래와 같이 차량내에 장착되고, 추돌 또는 충돌도중에 차량의 감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SIR 콘트롤러(107)측으로 보낸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감속 센서(111)들이 사용되고, 하나는 차량의 프레임 전방부 내측과 같은 차량의 가장 전방측 격실내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차량의 탑승자 격실내에 위치되는 것이다. 감속 신호의 값에 따라서, 그리고 좌석(2)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SIR 콘트롤러(107) 는 기폭기중 하나 또는 2개를 동작시킬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SIR 콘트롤러(107)는 차량의 감속이 완만하다면 제 1단계 전개, 또는 기폭기의 첫번째 것을 동작개시할 것이고, 만일 차량의 감속이 격렬하다면 추가적인 2단계, 또는 제 2 기폭기를 전개시킬 것이다.
그러나, 만일 좌석(2)이 전방측에 위치된다면, 상기 SIR 콘트롤러(107) 는 상기 감속이 격렬하다 할지라도, 제 1단계 또는 상기 기폭기중의 어느 하나만을 전개시킬 것이다. 상기 좌석(102)이 가장 전방측 위치(5)에 있을 때, 상기 에어백의 단지 제 1단계 전개만이 임의의 차량 구조에 대한 격렬한 추돌/충돌시에 허용되는 것이다.
상기 변형 실시예의 모터 보조식/동력식 좌석 구조에서, 좌석(102)은 좌석 위치 센서(121) 형태의 좌석 위치 검출기를 포함하여 상기 좌석 콘트롤러(122)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검지된다. 상기 좌석 콘트롤러(122)는 좌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마다, 상기 SIR 콘트롤러(107)에 좌석위치 신호를 알려준다. 상기 SIR 콘트롤러(107)는 좌석위치 신호로 부터의 좌석(102)의 위치를 소프트 웨어 알고리즘의 사전에 규정된 임계값에 비교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그리고, 상기 좌석 콘트롤러(122)는 이러한 검사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좌석이 가장 전방측 위치(105)에 있거나 또는 그에 근접한 경우, 상기 SIR 콘트롤러(107)는 그에 따라서 신호를 받게 되고 SIR 콘트롤러(107)는 에어백의 전개를 억제할 것이다. 만일 좌석이 후방위치에 있는 경우라면, 상기 SIR 콘트롤러는 에어백의 전개를 억제하지 않을 것이며, 상기 에어백은 단순히 차량의 감속에만 반응하여 전개할 것이다. 상기 SIR 콘트롤러(107)내에 프로그램된 논리 알고리즘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것이며, 도 2및 다르게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센서(121)는 트랙(104)을 따른 좌석(10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기 센서(121)는 바람직하게는 좌석(102) 위치에 따른 전압레벨을 측정한다. 상기 좌석 콘트롤러(122)가 사전에 규정된 임계값, 즉 좌석(102)이 가장 전방측 위치(105)에 있거나 또는 이에 대해 사전에 규정된 거리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값보다 작은 전압을 판독하는 경우, 상기 좌석 콘트롤러(122)는 상기 SIR 콘트롤러(107)에 에어백의 전개를 억제하라는 신호를 준다. 상기 센서(121)가 상기 사전에 규정된 임계값보다 큰 전압레벨을 판독하여 좌석(102)의 후방위치됨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콘트롤러(122)는 상기 SIR 콘트롤러(107)에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 감속에 반응하여 2개의 전개를 허용한다.
도면 1 & 3는 차량의 승객측의 좌석(2,102)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에어백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자측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백 제어시스템(1)을 차량의 운전자측에 적용하는 경우, 좌석(2)위치의 검출은 조향 휠과 조향 컬럼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억제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는 가장 전방측 위치(5)로 부터의 사전에 규정된 거리는 임의의 차량 구조에 대해 증대되어야만 한다. 운전자는 에어백이 전개되어지는 조향 휠측에 대해, 탑승자가 동일한 좌석위치에서 계장 판넬(8)까지의 거리보다 본질적으로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스위치(6), 또는 좌석 콘트롤러(122)는 운전자측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차량 구조들에서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 따른 팽창을 제어하기 위한 논리 시켄스를 도시한 논리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다. 좌석(2)이 후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논리 알고리즘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좌석(2)이 가장 전방측에 위치된 때에는, 감속 신호가 제 1/ 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개시된다. 만일 감속신호가 제 2/ 고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재차 단지 제 1단계만 개시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좌석(2)이 가장 전방측 위치에 있는 경우, 제 2단계 전개를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어백의 제 2단계 전개는 좌석(2)이 가장 전방위치에 있는 경우, 억제된다. 그러므로, 도면 2 & 4의 실시예에서의 차이는 완만한 추돌/충돌시에 제 1단계가 전개되어지는 가에 있는 것이다.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단계가 완만한 추돌시에 개시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 1단계가 단지 격렬한 추돌시에만 개시된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대부분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에게는 이로부터 다양한 변경및 개조가 명백한 것임을 알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경사항및 개조부분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본 발명은 하나의 감속 센서, 또는 다수개의 감속 센서들을 활용하여 충돌시의 격렬함을 검지하고 측정할 수 있지만, 에어백의 2단계들을 선택적으로 전개시키기 위하여 충돌의 격렬함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 진보들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석위치에 따른 2단계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23)

  1. 좌석(2)과 보조 팽창 구속시스템(9)을 갖추고,
    상기 좌석(2)은 차량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사전에 규정된 좌석위치를 갖추며, 상기 보조 팽창 구속시스템(9)은 적어도 제 1 저 팽창단계와 제 2 고 팽창단계로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기(10)를 갖추는 차량용 에어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좌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좌석 위치 검출기(6,121);
    상기 차량의 충돌시에 격렬함을 나타내는 충돌 신호를 생성하는 충돌센서(11);
    상기 충돌 센서와 좌석위치 검출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충돌신호와 위치신호를 받으며, 상기 보조 팽창 구속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팽창기(10)에 상기 제 1 저 팽창단계를 개시하라는 제 1신호를 보내고, 상기 팽창기에 상기 제 2 고 팽창단계를 개시하라는 제 1신호및 제 2신호를 보내는 콘트롤러(7);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7)는 상기 좌석위치 신호가 좌석이 상기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때에, 상기 충돌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 1및 제 2 팽창단계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시하고, 그리고 상기 좌석위치 신호가 좌석이 상기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전방측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때에는,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고 팽창단계의 개시를 금지하고, 그리고 상기 충돌 신호에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저 팽창단계를 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센서는 차량의 감속을 나타내는 감속 신호를 생성하는 감속 센서(1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위치 검출기는 좌석(2)이 상기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경우 동작개시위치로 이동가능한 스위치(6)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2)이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전방측에 위치됨을 나타내는 신호를 콘트롤러(7)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위치 검출기는 상기 사전에 규정된 위치에 대한 좌석(102)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21)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21)는 상기 좌석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콘트롤러(107)에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시스템.
  7. 좌석(2)을 갖추고, 상기 좌석(2)은 차량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사전에 규정된 좌석위치를 갖추며, 내부에 갖춰진 보조 팽창 구속시스템(9)은 적어도 제 1 저 팽창단계와 제 2 고 팽창단계로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기(10)를 갖는 차량내의 상기 제어시스템에 구비된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의 좌석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돌시를 나타내는 충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좌석의 위치와 충돌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충돌 신호와 위치 신호를 받고, 상기 보조 팽창 구속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콘트롤러(7)에 의해, 상기 제 1 저 팽창단계 또는 제 2 고 팽창단계의 신호를 개시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팽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팽창기에 상기 제 1 저 팽창단계를 개시하라는 제 1신호를 보내고, 상기 팽창기에 상기 제 2 고 팽창단계를 개시하라는 제 1신호및 제 2신호를 보내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위치 신호가 좌석이 상기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때에, 상기 충돌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 1및 제 2 팽창단계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시하고, 그리고 상기 좌석위치 신호가 좌석이 상기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전방측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때에는,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2 고 팽창단계의 개시를 금지하고, 그리고 상기 충돌 신호에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저 팽창단계를 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제 1팽창기와 제 2팽창기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좌석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충돌 신호가 제 1충돌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팽창기에 제 1신호를 송신하여 제 1 저 팽창 단계를 유도하고,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좌석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충돌 신호가 제 2충돌 임계값 이상인 경우, 여기에서 상기 제 2 충돌 임계값이 제 1충돌 임계값보다 큰 것일 때, 상기 제 2팽창기에 제 2신호를 송신하여 제 2 고 팽창 단계를 유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좌석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감속 신호가 제 1감속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팽창기의 제 1팽창기에 제 1신호를 송신하여 제 1 저 팽창 단계를 유도하고,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좌석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감속 신호가 제 2감속 임계값 이상인 경우, 여기에서 상기 제 2 감속 임계값이 제 1 감속 임계값보다 큰 것일 때, 상기 팽창기의 제 2팽창기에 제 2신호를 송신하여 제 2 고 팽창 단계를 유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시스템.
  15. 제1항,제2항,제5항,제6항,제13항및 제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2 단계 팽창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와 제 2신호의 생성 사이에는 시간 지연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시스템.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제 1팽창기와 제 2팽창기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좌석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충돌 신호가 제 1충돌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팽창기에 제 1신호를 송신하여 제 1 저 팽창 단계를 유도하고,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좌석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충돌 신호가 제 2충돌 임계값 이상인 경우, 여기에서 상기 제 2 충돌 임계값이 제 1충돌 임계값보다 큰 것일 때, 상기 제 2팽창기에 제 2신호를 송신하여 제 2 고 팽창 단계를 유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센서는 차량의 감속을 나타내는 감속 신호를 생성하는 감속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좌석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감속 신호가 제 1감속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팽창기의 제 1팽창기에 제 1신호를 송신하여 제 1 저 팽창 단계를 유도하고,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좌석 위치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감속 신호가 제 2감속 임계값 이상인 경우, 여기에서 상기 제 2 감속 임계값이 제 1 감속 임계값보다 큰 것일 때, 상기 팽창기의 제 2팽창기에 제 2신호를 송신하여 제 2 고 팽창 단계를 유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위치 검출기는 좌석이 상기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경우, 동작개시위치로 이동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이 사전에 규정된 위치의 전방측에 위치됨을 나타내는 신호를 콘트롤러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위치 검출기는 상기 사전에 규정된 위치에 대한 좌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21)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21)는 상기 좌석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콘트롤러(107)에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
  22. 제7항,제17항 내지 제21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2 단계 팽창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와 제 2신호의 생성 사이에는 시간 지연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팽창레벨 제어 방법.
KR10-2002-7002994A 1999-09-23 2000-09-22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491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04,482 US6270115B1 (en) 1999-09-23 1999-09-23 Air bag suppression system
US09/404,482 1999-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756A KR20020037756A (ko) 2002-05-22
KR100491138B1 true KR100491138B1 (ko) 2005-05-24

Family

ID=2359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994A KR100491138B1 (ko) 1999-09-23 2000-09-22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70115B1 (ko)
EP (1) EP1218226B1 (ko)
JP (1) JP2003509284A (ko)
KR (1) KR100491138B1 (ko)
AU (1) AU7711600A (ko)
DE (1) DE60028987T2 (ko)
WO (1) WO2001021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2094B1 (en) * 2000-08-25 2004-0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traint system
US6918611B1 (en) 2000-09-28 2005-07-19 Delph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561542B2 (en) * 2001-06-22 2003-05-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 bag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DE60209238T2 (de) * 2001-07-18 2006-11-16 Intier Automotive Inc., Aurora Sitzschiene mit eingebautem positionssensor für ein kraftfahrzeug
DE60207674T2 (de) * 2001-12-27 2006-07-27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sblasbaren Gassacks
DE10246800A1 (de) * 2002-10-08 2004-04-2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Ansteuerung eines Rückhaltesystems
KR100513879B1 (ko) * 2003-08-08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용 에어백의 전개압력 조절방법
US7322605B2 (en) * 2004-07-09 2008-01-29 Intier Automotive Inc. Seat track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 sensor
US20080136227A1 (en) * 2006-12-11 2008-06-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hicle seat sensor assembly
DE102007032714A1 (de) * 2007-07-13 2009-0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icherheitsanordnung mit einer Airbag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Sicherheitsanordnung
US8020890B2 (en) * 2008-10-10 2011-09-20 Autoliv Development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8831839B2 (en) * 2012-01-17 2014-09-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of motor vehicle seat
JP6025208B2 (ja) * 2013-05-29 2016-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乗員保護システム
DE102013221986B4 (de) * 2013-10-29 2018-10-31 Hartmann-exact KG Fahrzeugsitz mit Positionssensor
JP6098541B2 (ja) * 2014-02-12 2017-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101655569B1 (ko) 2014-11-12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DE102017103826A1 (de) 2017-02-24 2018-08-30 Trw Automotive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ahrzeug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4583A (en) * 1988-07-29 1991-12-24 Mazda Motor Corporation Air bag system for automobile
US5413378A (en) * 1993-12-02 1995-05-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ing device in response to discrete control zones
US5626359A (en) 1993-12-02 1997-05-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ing device in response to discrete control zones
US5613702A (en) * 1996-02-23 1997-03-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EP0829398A1 (en) 1996-08-22 1998-03-18 Takata Corporatio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US5821633A (en) 1997-01-08 1998-10-13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Center of weight sensor
US5967549A (en) * 1997-02-21 1999-10-19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Control system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s
US5803491A (en) 1997-02-28 1998-09-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disab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8226B1 (en) 2006-06-21
DE60028987D1 (de) 2006-08-03
US6270115B1 (en) 2001-08-07
AU7711600A (en) 2001-04-24
WO2001021448A1 (en) 2001-03-29
KR20020037756A (ko) 2002-05-22
EP1218226A1 (en) 2002-07-03
DE60028987T2 (de) 2006-12-21
JP2003509284A (ja)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138B1 (ko)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5709405A (en) Variable mass flow airbag module
US6536799B2 (en) Safety device with an airbag configuration including multiple airbags for a motor vehicle
EP0548849B1 (en) Collision sensing system for side air bag system
JP4022050B2 (ja) 不感ボックスを有する速度/変位に基づいた安全機能を用いて、作動可能な拘束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254124B1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3098973B2 (ja) 自動車搭乗者拘束装置の多段階活性化制御方法と制御システム
JPH0867227A (ja) 乗物搭乗者用拘束装置を展開させる展開信号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52673A (ko) 탑승자 감지 및 충돌 거동 시스템
JP2879613B2 (ja) 乗員保護装置
JP2002234414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H10287203A (ja) 乗員保護装置の制御装置
JP3617184B2 (ja) エアバッグ式乗員保護装置
JP2544276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ク装置
JP3466563B2 (ja) 多段階制御を有する輸送手段乗客保護装置
JP3584773B2 (ja) エアバッグ展開制御装置
JPH11208413A (ja) 衝突規模検知方法、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H07132793A (ja) 車両衝突検知装置
KR100471479B1 (ko) 에어백 쿠션의 볼륨 조절장치
US7393007B2 (en) Airbag device
KR100568144B1 (ko) 차량의 지연폭발형 에어백 제어방법
JPH07257315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19980038807A (ko) 보조 ecu를 구비한 에어 백 시스템
JP2006027289A (ja) 乗員保護装置
JPH0632201A (ja) 車両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