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095B1 -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 Google Patents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095B1
KR100490095B1 KR10-2002-0086810A KR20020086810A KR100490095B1 KR 100490095 B1 KR100490095 B1 KR 100490095B1 KR 20020086810 A KR20020086810 A KR 20020086810A KR 100490095 B1 KR100490095 B1 KR 10049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bnormality
central control
control center
do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264A (ko
Inventor
박창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2-008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0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경비시스템에 있어서 단순 오보로 인한 운영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상상태 통보방법은 센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센서의 이상이 복구되면 이상으로 간주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이상상태 및 복구상태를 모두 중앙관제센터로 통보한다. 이에 따라 경비 서비스 회사 직원이 현장에 직접가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현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영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이상상태 통보방법{METHOD FOR NOTIFYING ABNORMAL STATUS IN UNMANNED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무인경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인경비장치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중앙관제센터로 통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인경비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출입문 센서(102), 감시 센서(104)와 연결되는 경비장치(100)가 중앙관제센터(106)와 통신 선로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경비장치(100)는 주택, 상가, 관공서, 은행, 빌딩 등의 현장에 설치되고, 출입문 센서(102)는 출입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감시 센서(104)는 화재, 가스 누출, 침입자 등 출입문 이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 중 하나이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출입문 센서(102)와 감시 센서(104)를 하나씩만 보였으나, 실제로는 각종 센서들이 다수 설치되어 운용된다. 또한 출입문 센서(102)와 감시 센서(104)를 모두 사용하여 무인경비를 하는 경우의 예를 보인 것으로, 현장 상황에 따라 출입문 센서(102)만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감시 센서(104)만 설치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무인경비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외출하기 전에 경비장치(100)에 구비된 입력장치(도시하지 않았음)를 조작하여 경비를 개시시키면, 경비장치(100)는 경비 모드가 개시되어 출입문 센서(102), 감시 센서(104)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경비장치(100)는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을 하여 이상상태를 통보한다. 그러면 경비 서비스 회사 직원이 현장에 출동하여 이상신호를 확인하고 조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상상태 감시 및 통보에 대하여 경비장치(100)의 처리 흐름을 (200)∼(224)단계로 보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비장치(100)는 (200)단계에서 경비를 개시하게 되면, (202)단계에서 출입문 센서(102), 감시 센서(104)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이상 유무를 감시하기 시작한다. 이때 출입문 센서(102)나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면, (204)단계에서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인 경우에는 (206)단계를 수행하고, 출입문 센서(102)이외의 감시 센서(104)의 이상인 경우에는 (220)단계를 수행한다. 만일 출입문 센서(102)이외의 감시 센서(104)의 이상인 경우에는 출입을 위한 조작이 아니므로 (220)단계에서 바로 이상으로 간주하여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경비해제 대기시간동안 카드 등을 사용한 사용자에 의한 경비해제 조작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면서 이상 판단을 보류한다. 이를 위해 (206)단계에서 경비해제 대기를 시작하고, (208)∼(212)단계에서 경비해제 조작 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감시 센서(104)의 이상 유무와 경비해제 대기시간의 경과를 검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발생하면, (214)단계에서 경비해제 대기를 종료하고 (216)단계에서 감시 센서(104)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또한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종료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한 경비해제 조작이 없으면 이상으로 간주하여 (218)단계에서 출입문 센서(102)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한 경비해제 조작이 있게 되면, (222)단계에서 정상으로 간주하여 경비해제 대기를 종료하고 (224)단계에서 경비해제를 한다. 이때는 사용자가 입실을 함에 따라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감지된 경우에 해당하므로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경비장치에서는 단 한번의 센서에 의한 이상 감지도 이상상태로 간주하여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한다. 하지만 센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있어서 실제 이상상태가 아니고 여러 가지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해 센서가 일시적으로 오동작하여 이상이 일정시간 내에 곧 복구되는 단순 이상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센서의 단순 이상으로 인한 오보인 경우에도 경비장치에서는 이상신호만을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경비 서비스 회사 직원이 현장에 출동하여 확인해야 함에 따라 운영 효율이 저하되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경비시스템에 있어서 단순 오보로 인한 운영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인경비시스템에 있어서 센서 이상 감지시에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센서의 단순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센서의 이상이 복구되면 이상으로 간주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이상상태 및 복구상태를 모두 중앙관제센터로 통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전술한 도 1의 경비장치(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상태 통보 처리 흐름도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도 1의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의 처리 흐름을 (300)∼(322)단계로 보인 것이고, 도 4는 도 1의 무인경비시스템에서 감시 센서(104)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의 처리 흐름을 (400)∼(410)단계로 보인 것이며, 도 5는 도 1의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감지된 상태에서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의 처리 흐름을 (500)∼(524)단계로 보인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경비장치(100)의 이상상태 통보 처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경비장치(100)는 (300)단계에서 경비를 개시하게 되면, (302)단계에서 출입문 센서(102)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이상 유무를 감시하기 시작한다. 이때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감지되면, (304)단계에서 경비해제 대기를 시작하고, (306)∼(308)단계에서 경비해제 조작 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경비해제 대기시간의 경과를 검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종료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한 경비해제 조작이 없으면 종래에는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310)단계에서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 복구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복구되었으면, 즉 경비해제 대기시간동안에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복구되었으면, (312)단계에서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복구시간은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실제 이상상태가 아니고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해 출입문 센서(102)의 일시적인 오동작으로 인한 것으로, 일정시간내에 곧 복구되는 단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다. 이는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면 단순 오보로 판단하는 반면에,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복구되지 않거나 경비해제 대기시간 내에 복구된다해도 복구시간이 경과한 후에 복구되는 경우에는 이상상태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복구시간은 출입문 센서(102)의 센서 타입(type)에 따라 단순 오보로 간주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되는데, 출입문 센서(102)의 일시적인 오동작으로 간주하게 되는 시간이므로 사용자의 입실에 따른 경비해제 조작을 대기하는 시간보다는 짧게 된다.
상기 (312)단계에서 확인 결과,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복구시간 내 복구된 것이라면 (314)단계에서 출입문 센서 이상신호와 복구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센터(106)에서는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되었지만, 복구시간 내에 복구된 단순 오보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비록 복구되었지만 복구시간 경과 후에 복구된 것이라면, (316)단계에서 출입문 센서 이상신호와 알람신호 및 복구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센터(106)에서는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된 후 다시 복구되었지만, 단순 오보가 아니라 이상상태가 발생한 것임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310)단계에서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 복구 여부를 확인 결과,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복구되지 않은 경우, 즉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318)단계에서 출입문 센서 이상신호와 알람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센터(106)에서는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되었지만 복구되지 않은 이상상태가 발생한 것임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306)∼(308)단계에서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한 경비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면, (320)단계에서 경비해제 대기를 종료한 후 (322)단계에서 경비해제를 한다. 이때는 사용자가 입실을 함에 따라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감지된 경우에 해당하므로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된 경우에, 단순히 이상신호만을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복구시간 내 또는 경비해제 대기시간 내에 복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상신호, 알람신호, 복구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함으로써 현장의 상태를 중앙관제센터(106)에서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감지 센서(104)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경비장치(100)의 이상상태 통보 처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경비장치(100)는 (400)단계에서 경비를 개시하게 되면, (402)단계에서 감시 센서(104)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이상 유무를 감시하기 시작한다. 이때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면, (404)단계에서 감시 센서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종래에는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이처럼 이상신호만을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406)단계에서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복구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복구시간은 출입문 센서(102)와 마찬가지로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실제 이상상태가 아니고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해 감시 센서(104)의 일시적인 오동작으로 인한 것으로, 일정시간 내에 곧 복구되는 단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다. 이는 감시 센서(104) 이상이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면 단순 오보로 판단하는 반면에, 복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상태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복구시간은 감시 센서(104)의 센서 타입에 따라 단순 오보로 간주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406)단계에서 확인 결과, 감시 센서(104) 이상이 복구시간 내 복구된 것이라면 (408)단계에서 감시 센서 복구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센터(106)에서는 감시 센서(104) 이상이 감지되었지만, 복구시간 내에 복구된 단순 오보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감시 센서(104) 이상이 복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410)단계에서 감시 센서 알람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센터(106)에서는 감시 센서(104) 이상이 감지되었지만 복구시간내에 복구되지 않은 이상상태가 발생한 것임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시 센서(104) 이상이 감지된 경우에, 단순히 이상신호만을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상신호에 이어서 알람신호, 복구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함으로써 현장의 상태를 중앙관제센터(106)에서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감지된 상태에서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경비장치(100)의 이상상태 통보 처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경비장치(100)는 (500)단계에서 경비를 개시하게 되면, (502)단계에서 출입문 센서(102)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이상 유무를 감시하기 시작한다. 이때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감지되면, (504)단계에서 경비해제 대기를 시작하고, (506)∼(508)단계에서 경비해제 조작 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경비해제 대기시간의 경과를 검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종료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한 경비해제 조작이 없으면 (510)단계에서 감시 센서(104)의 이상 감지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만일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라면 전술한 도 3과 동일한 경우이므로, 전술한 도 3의 (310)∼(316)단계와 동일한 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달리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즉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감지된 상태에서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512)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512)단계에서는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 복구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복구되었으면, 즉 경비해제 대기시간동안에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복구되었으면, (514)단계에서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514)단계에서 확인 결과,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복구시간 내 복구된 것이라면 (516)단계에서 출입문 센서 이상신호와 복구신호와 함께 감시 센서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센터(106)에서는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었지만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비록 복구되었지만 복구시간 경과 후에 복구된 것이라면, (518)단계에서 출입문 센서 이상신호와 알람신호 및 복구신호와 감시 센서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센터(106)에서는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된 후 다시 복구되었지만, 단순 오보가 아니라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으며 감시 센서(104) 이상도 감지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512)단계에서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 복구 여부를 확인 결과,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복구되지 않은 경우, 즉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출입문 센서(102)의 이상이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520)단계에서 출입문 센서 이상신호와 알람신호와 감시 센서 이상신호를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센터(106)에서는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되었지만 복구도 되지 않은 이상상태가 발생함과 아울러 감시 센서(104) 이상도 감지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506)∼(508)단계에서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한 경비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면, 전술한 (306)∼(308)단계에서 (320)∼(322)단계가 수행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522)단계에서 경비해제 대기를 종료한 후 (524)단계에서 경비해제를 한다.
따라서 출입문 센서(102) 이상이 감지된 상태에서 감시 센서(104)의 이상이 감지된 경우에, 단순히 이상신호만을 중앙관제센터(106)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복구시간 내 또는 경비해제 대기시간 내에 복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출입문 센서(102)에 대한 이상신호, 알람신호, 복구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감시 센서(104)에 대한 이상신호도 전송함으로써 현장의 상태를 중앙관제센터(106)에서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센서의 이상이 한번이라도 감지되면 이상으로 간주하여 경비 서비스 회사 직원이 출동을 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의 이상 상태와 복구 상태를 모두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경비 서비스 회사 직원이 현장에 직접가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현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이상이 감지된 경우에 일정한 복구시간 내에 센서 이상이 복구되면 이상으로 간주하지 않고 단순 오보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 출동을 하지 않고 중앙관제센터에서 원격으로 이상을 해결할 수 있는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에 센서의 이상이 한번이라도 감지되면 무조건 출동하였던 것에 비해 현장 상황을 원격지에서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출동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입문 센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와, 감시 센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와, 출입문 센서의 이상이 감지된 상태에서 감시 센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의 예를 모두 들었으나, 출입문 센서(102)나 감시 센서(104) 중 어느 한가지만을 사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인경비시스템에 있어서 센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센서의 이상이 복구되면 이상으로 간주하지 않토록 하며, 이상 상태 및 복구 상태를 모두 중앙관제센터로 통보함으로써 경비 서비스 회사 직원이 현장에 직접가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현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인경비시스템 구성도,
도 2는 통상적인 이상상태 통보 처리 흐름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상태 통보 처리 흐름도.

Claims (8)

  1. 출입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출입문 센서를 구비하는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상기 출입문 센서에 의해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중앙관제센터로 통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경비 개시 후, 상기 출입문 센서로부터 이상이 감지되면 정해진 경비해제 대기시간 내의 경비해제 조작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경비해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출입문 센서 이상의 복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센서 이상이 복구되지 않았으면 상기 출입문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센서 이상이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었으면 상기 출입문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복구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센서 이상이 상기 복구시간 경과 후에 복구되었으면 상기 출입문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알람신호 및 복구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해제 대기시간 내에 상기 경비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면 경비해제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시간이, 상기 센서의 타입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4.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상기 감시 센서에 의해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중앙관제센터로 통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경비 개시 후, 상기 감시 센서로부터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감시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 센서 이상의 복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 센서 이상이 복구되지 않았으면 상기 감시 센서에 관한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 센서 이상이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었으면 상기 감시 센서에 관한 복구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시간이, 상기 센서의 타입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6. 출입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출입문 센서와,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상기 출입문 센서와 상기 감시 센서에 의해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중앙관제센터로 통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경비 개시 후, 상기 출입문 센서로부터 이상이 감지되면 정해진 경비해제 대기시간 내의 경비해제 조작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경비해제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경비해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감시 센서의 이상 여부와 상기 출입문 센서 이상의 복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 센서의 이상이 감지됨과 아울러 상기 출입문 센서 이상이 복구되지 않았으면 상기 출입문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알람신호를 상기 감시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함께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 센서의 이상이 감지됨과 아울러 상기 출입문 센서 이상이 정해진 복구시간 내에 복구되었으면 상기 출입문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복구신호를 상기 감시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함께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 센서의 이상이 감지됨과 아울러 상기 출입문 센서 이상이 상기 복구시간 경과 후에 복구되었으면 상기 출입문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알람신호 및 복구신호를 상기 감시 센서에 관한 이상신호와 함께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해제 대기시간 내에 상기 경비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면 경비해제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시간이, 상기 센서의 타입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KR10-2002-0086810A 2002-12-30 2002-12-30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KR10049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810A KR100490095B1 (ko) 2002-12-30 2002-12-30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810A KR100490095B1 (ko) 2002-12-30 2002-12-30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264A KR20040060264A (ko) 2004-07-06
KR100490095B1 true KR100490095B1 (ko) 2005-05-16

Family

ID=3735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810A KR100490095B1 (ko) 2002-12-30 2002-12-30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131A1 (ko) 2019-12-27 2021-07-01 (주)코리아테크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
KR20210084318A (ko) 2019-12-27 2021-07-07 (주)코리아테크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131A1 (ko) 2019-12-27 2021-07-01 (주)코리아테크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
KR20210084318A (ko) 2019-12-27 2021-07-07 (주)코리아테크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
KR20210084209A (ko) 2019-12-27 2021-07-07 (주)코리아테크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264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1319B1 (en) Wireless fire alarm door unlocking interface
CN103425542B (zh) 具有集成诊断功能的安全检测系统
KR100490095B1 (ko)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이상상태 통보방법
JP5411772B2 (ja) 警備装置
JP2002218083A (ja) 自動ドアの遠隔監視装置
JP5030497B2 (ja) 警備システム
JP4708211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1013824A (ja) 警備装置
JP3368994B2 (ja) 警報装置
KR101861167B1 (ko) 승강기 고장 검출 및 복구 장치
JP4994781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連携システム
KR100969206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p형 수신기
JP2012070335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10232990A (ja)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通報装置の監視装置
KR102234285B1 (ko)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KR20040096180A (ko)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상황제어관리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비상상황제어관리사업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해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JPH10222788A (ja) 検知センサの動作診断装置
JP3770510B2 (ja) 警報装置
KR102567847B1 (ko)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KR100969207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p형 수신기
KR100986304B1 (ko) 점검 및 보수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 방재 시스템
JP2002074557A (ja) 警備システムにおけるセンサー回路点検方法
JP3074198B2 (ja) 設備機器のデータ管理装置
KR0151164B1 (ko)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의 단말장치
JPH0830883A (ja) 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