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847B1 -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847B1
KR102567847B1 KR1020210013237A KR20210013237A KR102567847B1 KR 102567847 B1 KR102567847 B1 KR 102567847B1 KR 1020210013237 A KR1020210013237 A KR 1020210013237A KR 20210013237 A KR20210013237 A KR 20210013237A KR 102567847 B1 KR102567847 B1 KR 102567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asing
fire extinguisher
sound device
emergenc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792A (ko
Inventor
김동완
김효열
이병현
권효준
강성문
박경호
최유비
김형진
최봉영
Original Assignee
김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화기를 사용할 때 자동으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비상경보장치 없이 소화기(받침대) 자체가 경보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화제를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개방시켜 소화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레버;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제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하게 제공되는 호스; 상기 케이싱의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소정의 슬롯이 형성되어 케이싱이 지면상에 직립되도록 케이싱을 지지하며, 케이싱을 들어올릴 때 케이싱과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케이싱이 받침대에 결합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케이싱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감지센서 및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Fire prevention system equipped with emergency sound device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화기를 사용할 때 자동으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비상경보장치 없이 소화기(받침대) 자체가 경보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방화 시스템(소화기, 소화전, 경보장치, 화재감지기, 스프링클러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소방 관련 법규에 의거하여 시설물 건축 시에 건물 자체에 내장된다.
한편, 노후 건물 등에서는 방화 시스템이 미비하거나, 구비는 되어있으나 노후되어 고장/오작동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화재 경보 장치의 고장/오작동 등으로 경보장치 자체를 임의로 제거/OFF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인 경보가 불가능해지므로 화재 조기 진압 및 대피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방화 설비들의 점검/수명주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과, 방화 설비의 방치 및 강제적(임의적)인 사용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방지하는 방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화재감지기의 종류/작동방식에 따라,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화재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람에 의한 화재 판단을 경보로 전환하는 직관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기존 수동 경보장치의 경우, 화재 발생이라는 급박한 상황에서 판단력 저하로 인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83840호에는, "경보장치가 내장된 소화기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소화기의 이탈에 따라 자동으로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소화기 보관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방화 설비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화기가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자동으로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와, 방화 설비의 유지관리를 강제화할 수 있는 방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화제를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개방시켜 소화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레버;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제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하게 제공되는 호스; 상기 케이싱의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소정의 슬롯이 형성되어 케이싱이 지면상에 직립되도록 케이싱을 지지하며, 케이싱을 들어올릴 때 케이싱과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케이싱이 받침대에 결합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케이싱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감지센서 및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받침대의 내경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은 외경을 가지며, 지면에 평행하게 받침대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판에 상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리밋 스위치);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 형성되되 지지판의 밑면에 대응되는 면과, 상기 지지판의 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접촉스위치(각각 제1접촉스위치, 제2접촉스위치); 및 상기 케이싱을 받침대로부터 탈거했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접촉스위치 및 제2접촉스위치가 서로 분리됨으로써 스피커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회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싱의 탈거 시 자동으로 스피커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되, 케이싱이 받침대에 다시 결합되면 경보음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감지기 및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각각 복수개 구비하는, 방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 및 화재감지기 각각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서버는: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탈거된 경우 및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한 경우에, 해당 비상음향장치 또는 화재감지기에 대해 화재판단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화재판단카운터가 2 이상인 경우에, 소방서로 화재 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방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색상으로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상태표시등; 소화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서버에 소화기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GPS부; 소화기 제조일자 및 점검일자로부터 각각 기산되어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카운터; 및 소화기 점검 시 점검일자를 리셋하는 점검확인부;를 포함하여, 제조일자 카운터가 소화기 수명연한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상태표시등을 적색으로 표기하며 서버에 교체알림 신호를 송신하고, 점검일자 카운터가 소화기 점검주기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상태표시등을 황색으로 표기하며 서버에 점검알림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조일자 및 점검일자 정보를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소화기 점검 시마다 새로운 점검 정보(점검일자 정보를 포함)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재감지기 각각의 설치 위치 및 비상구의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비치된 실내공간의 천장에는 다수개의 색상으로 다수개의 방향을 표시 가능한 방향지시레이저;가 구비되며, 화재발생 시, 상기 방향지시레이저는: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적색으로 지시하고, 화재감지기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의 위치를 황색으로 지시하고, 비상구의 위치를 청색으로 지시하되, 화재감지기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의 감지센서로부터 케이싱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비상음향장치를 예외처리하여 차순위 인접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황색으로 지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재발생 시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소화기 사용 시 자동으로 경보를 울림으로써 화재 초기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비상음향장치 소화기 및 화재감지기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관할소방서에 자동으로 화재신고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으로 인한 신고를 방지하면서도 신속한 자동 신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발생 시 화재발생지점, 소화기의 위치 및 대피로를 각각 안내함으로써, 화재발생 시 대피할 인원과 초동조치할 인원이 각자의 목적지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소화기 자체에 구비된 LED 등을 통해 소화기 점검시기와 교체시기를 알림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소화기 관리가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거치하여 감지센서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분리하여 감지센서가 비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 (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화제를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개방시켜 소화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레버;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제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하게 제공되는 호스; 상기 케이싱의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소정의 슬롯이 형성되어 케이싱이 지면상에 직립되도록 케이싱을 지지하며, 케이싱을 들어올릴 때 케이싱과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케이싱이 받침대에 결합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케이싱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감지센서 및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받침대의 내경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은 외경을 가지며, 지면에 평행하게 받침대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판에 상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 형성되되 지지판의 밑면에 대응되는 면과, 상기 지지판의 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접촉스위치(각각 제1접촉스위치, 제2접촉스위치); 및 상기 케이싱을 받침대로부터 탈거했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접촉스위치 및 제2접촉스위치가 서로 분리됨으로써 스피커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회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싱의 탈거 시 자동으로 스피커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되, 케이싱이 받침대에 다시 결합되면 경보음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감지기 및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각각 복수개 구비하는, 방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 및 화재감지기 각각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서버는: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탈거된 경우 및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한 경우에, 해당 비상음향장치 또는 화재감지기에 대해 화재판단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화재판단카운터가 2 이상인 경우에, 소방서로 화재 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방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화재판단카운터는,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 및 케이싱이 다시 받침대에 결합되었을 때에 다시 감소할 수 있다.
자동 화재신고 기능의 경우, 단일한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에는 화재감지센서의 오인 등에 의한 오 신고 발생확률이 크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거나, 하나의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한 뒤 사람이 소화기를 사용하게 된 경우 확실한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소방서에 화재발생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오 신고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상기 '소방서로 화재 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은, 지정된 휴대폰(스마트폰)에 문자메세지, SNS 메세지, 푸시 알림 등으로 화재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화재 정보를 전송받은 휴대폰에는, 사용자가 화재 정보의 정확성을 검토하여 관할 소방서로 신고할 수 있도록 관할 소방서 신고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색상으로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상태표시등; 소화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서버에 소화기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GPS부; 소화기 제조일자 및 점검일자로부터 각각 기산되어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카운터; 및 소화기 점검 시 점검일자를 리셋하는 점검확인부;를 포함하여, 제조일자 카운터가 소화기 수명연한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상태표시등을 적색으로 표기하며 서버에 교체알림 신호를 송신하고, 점검일자 카운터가 소화기 점검주기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상태표시등을 황색으로 표기하며 서버에 점검알림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조일자 및 점검일자 정보를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소화기 점검 시마다 새로운 점검 정보(점검일자 정보를 포함)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에는, 소화기별로 부여된 ID에 대응되는 QR코드, 바코드, RFID태그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소화기 점검자는 점검 후 상기 코드/태그를 단말장치로 확인함으로써 점검 완료처리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에는 트랜잭션 시간이 함께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점검자 등이 점검시간을 임의로 수정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재감지기 각각의 설치 위치 및 비상구의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비치된 실내공간의 천장에는 다수개의 색상으로 다수개의 방향을 표시 가능한 방향지시레이저;가 구비되며, 화재발생 시, 상기 방향지시레이저는: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적색으로 지시하고, 화재감지기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의 위치를 황색으로 지시하고, 비상구의 위치를 청색으로 지시하되, 화재감지기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의 감지센서로부터 케이싱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비상음향장치를 예외처리하여 차순위 인접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황색으로 지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해 가시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는, 방화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의 도면(벽, 출입문, 계단 등의 위치가 포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도면 정보에 따라 상기 지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지시레이저로부터 소화기까지의 직선경로 상에 벽이 존재하는 경우, 벽이 아닌 소화기가 위치한 장소의 출입문을 지시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최단거리는 상기 직선거리가 아닌, 벽 및 출입문을 고려한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 및 선정될 수 있다.
1 : 케이싱(소화기)
2 : 연결관
3 : 레버
4 : 호스
5 : 받침대(거치대)
6 : 지지판
7 : 스프링
8 : 제1접촉스위치
9 : 제2접촉스위치

Claims (5)

  1. 소화제를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개방시켜 소화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레버;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제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하게 제공되는 호스;
    상기 케이싱의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소정의 슬롯이 형성되어 케이싱이 지면상에 직립되도록 케이싱을 지지하며, 케이싱을 들어올릴 때 케이싱과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케이싱이 받침대에 결합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케이싱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감지센서 및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받침대의 내경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은 외경을 가지며, 지면에 평행하게 받침대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판에 상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 형성되되 지지판의 밑면에 대응되는 면과, 상기 지지판의 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접촉스위치(각각 제1접촉스위치, 제2접촉스위치); 및
    상기 케이싱을 받침대로부터 탈거했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접촉스위치 및 제2접촉스위치가 서로 분리됨으로써 스피커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회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싱의 탈거 시 자동으로 스피커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되, 케이싱이 받침대에 다시 결합되면 경보음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되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포함하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지기 및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 각각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서버는: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탈거된 경우 및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한 경우에, 해당 비상음향장치 또는 화재감지기에 대해 화재판단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화재판단카운터가 2 이상인 경우에, 소방서로 화재 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색상으로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상태표시등;
    소화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서버에 소화기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GPS부;
    소화기 제조일자 및 점검일자로부터 각각 기산되어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카운터; 및
    소화기 점검 시 점검일자를 리셋하는 점검확인부;를 포함하여,
    제조일자 카운터가 소화기 수명연한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상태표시등을 적색으로 표기하며 서버에 교체알림 신호를 송신하고,
    점검일자 카운터가 소화기 점검주기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상태표시등을 황색으로 표기하며 서버에 점검알림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조일자 및 점검일자 정보를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소화기 점검 시마다 새로운 점검 정보(점검일자 정보를 포함)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재감지기 각각의 설치 위치 및 비상구의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비치된 실내공간의 천장에는 다수개의 색상으로 다수개의 방향을 표시 가능한 방향지시레이저;가 구비되며,
    화재발생 시, 상기 방향지시레이저는: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적색으로 지시하고,
    화재감지기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의 위치를 황색으로 지시하고,
    비상구의 위치를 청색으로 지시하되,
    화재감지기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상음향장치 소화기의 감지센서로부터 케이싱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비상음향장치를 예외처리하여 차순위 인접 비상음향장치 소화기를 황색으로 지시하도록 제어되는,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시스템
KR1020210013237A 2021-01-29 2021-01-29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KR10256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237A KR102567847B1 (ko) 2021-01-29 2021-01-29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237A KR102567847B1 (ko) 2021-01-29 2021-01-29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792A KR20220109792A (ko) 2022-08-05
KR102567847B1 true KR102567847B1 (ko) 2023-08-16

Family

ID=8282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237A KR102567847B1 (ko) 2021-01-29 2021-01-29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8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029A (ja) * 1993-12-27 1995-07-25 Aisin Seiki Co Ltd 車両消火システム
KR102175607B1 (ko) * 2018-12-19 2020-11-06 주식회사 로제타텍 Iot 소화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792A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CN101427112B (zh) 声学火灾检测系统
JP2011104032A (ja) 消火栓装置監視システム
KR20160118515A (ko) 화재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70109792A (ko) 방향지시 메시지전달 음향시스템
KR101700870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0930980B1 (ko)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2567847B1 (ko) 비상음향장치 소화기가 구비된 방화 시스템
JP5890121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発信機
KR20090080273A (ko) 소방관리용 가스 소화설비 시스템
KR20190091757A (ko)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5536512B2 (ja) 多機能操作装置及び警報器
AU2010268345B2 (en) Holder for fire extinguisher
KR102378243B1 (ko)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JP5497306B2 (ja) 火災警報システム
JP2019012343A (ja) 消火器誘導システム、火災報知器用アダプタおよび消火器用アダプタ
JP5844841B2 (ja) 警報器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US10957180B2 (en) Confined space failsafe access system
KR20090080282A (ko) 화재 단계별 통지기능을 구비한 소방관리용 가스 수신기
JP2016202773A (ja) パッケージ型自動消火設備
KR102234285B1 (ko)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JP6282910B2 (ja) 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