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285B1 -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285B1
KR102234285B1 KR1020200113334A KR20200113334A KR102234285B1 KR 102234285 B1 KR102234285 B1 KR 102234285B1 KR 1020200113334 A KR1020200113334 A KR 1020200113334A KR 20200113334 A KR20200113334 A KR 20200113334A KR 102234285 B1 KR102234285 B1 KR 10223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fighting
main power
receiver
io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민
유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밍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밍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밍코어
Priority to KR102020011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3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resources, e.g. consumed pow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40Maintenance of thing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화재 수신기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화재 관련 정보와 화재 수신기의 주전원의 전류 상태를 함께 모니터링하여 실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경보의 정확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소방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은 건물에 하나 이상 설치된 화재 수신기; 건물의 구획마다 설치된 열 감지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 건물의 적소에 설치되고 화재 수신기의 제어에 따라 화재의 발생 사실을 시청각적으로 경보하는 주경종 및 지구 경종을 구동하는 경종 구동부; 화재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전원의 전압/전류 변화를 감지하여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전압/전류 감지 센서; 화재 수신기의 센서 감지 신호 및 구동 여부를 포함하는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발생 시에 비주기적으로 소방시설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소방 IoT 단말기 및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에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전달하는 상기 소방시설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system for real-time administrating fire fight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에 설치된화재 수신기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화재 관련 정보와 화재 수신기의 주전원의 전류 상태를 함께 모니터링하여 실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경보의 정확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을 안겨주며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복구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복구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화재 방지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라 할지라도 조금만 방심하면 순간적으로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 피해가 상당한 실정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최단 시간 내에 화재 발생을 파악하여 신속한 대피와 화재 진압으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기 선행기술 1에는 건물에 다수 설치된 종래의 화재 감지기 간에 상호 통신이 불가능하여 건물 이용자에게 신속한 화재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 및 각 지역의 소방 관서에서 당해 건물의 현재 화재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화재 취약 구역이나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 감지용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감지 분석부를 통해 화재 감지 및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 1은 건물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나 화재 수신기와는 별개의 화재 감지용 단말기와 감지 분석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점에서 사실상 구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기 선행기술2에는 건물에 설치된 종래 소방 시설이 센서를 이용한 화재 검출 및 자동 경보 기능 등의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할 뿐 건물 설계도 등과 같은 건물의 종합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함으로 인한 화재 진압이나 인명 구조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화재 발생시 건물 설계도 등을 소방 관제 센터를 통해 소방관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선행기술 3에는 건물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소방 감지기를 활용하여 소방 알림 시 등록 연락처로 해당 소방 감지기에 등록된 해당 위치, 비상구 위치, 진입 위치(대피 방향) 등이 포함된 도면이나 웹이미지를 SMS 문자 또는 어플 푸쉬 기능으로 전송하여 빠른 시간에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서버로 연결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센서, 소방센서, 소방안내 지도를 등록 및 관리하고 관제할 수 있는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건물, 특히 화기를 많이 사용하는 시장이나 식당 등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 화재 감지기가 오동작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화재 감지기의 오동작 여부, 즉 실재 화재 발생 여부와는 관계 없이 화재 감지기가 동작할 때마다 그 사실을 IoT 단말기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에서는 다시 이를 소방 관제 센터에 전송함으로써 소방 인력이 출동하게 하는 등 관리 측면에서 많은 인력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10-1728521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선행기술 2: 10-0637708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선행기술 3: 10-2019-0040887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에 설치된화재 수신기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화재 관련 정보와 화재 수신기의 주전원의 전류 상태를 함께 모니터링하여 실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경보의 정확성을 제고시킴으로써 저 비용으로 소방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은 건물에 하나 이상 설치된 화재 수신기; 건물의 구획마다 설치된 열 감지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 건물의 적소에 설치되고 화재 수신기의 제어에 따라 화재의 발생 사실을 시청각적으로 경보하는 주경종 및 지구 경종을 구동하는 경종 구동부; 화재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전원의 전압/전류 변화를 감지하여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전압/전류 감지 센서; 화재 수신기의 센서 감지 신호 및 구동 여부를 포함하는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발생 시에 비주기적으로 소방시설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소방 IoT 단말기 및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에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전달하는 상기 소방시설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은 소방 IoT 단말기와 무선 연결된 소방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화재 수신기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통보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그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하이거나 그 이상이라 하더라도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가 오동작했다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다.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정전 표시등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에 의한 정전이 아니라 일시적 또는 사람에 의한 수동 전원 오프라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다.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의 구동이 수신된 경우에 그 구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T1) 이하이고, 주 전원에 흐르는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상인 시간이 기준 시간(T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가 오동작했다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다.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P형 수신기(100)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경우에 그 구동 시간이 기준 시간(T1) 이상이고 주 전원에 흐르는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상인 시간이 기준 시간(T1) 이상인 시간이 기준 시간(T1) 이상인 경우에는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그 즉시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한다.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스프링쿨러가 구비된 P형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경우에 동작 상태 정보로 수위 감지 센서 및 스프링쿨러 펌프가 모두 동작하지 않고 또한 주 전원에 흐르는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상이지만 저수조 밸브나 스프링쿨러 펌프가 동작했을 때 주 전원에 흐르는 최소 전류인 제2 최소 전류치(H2; 단 H2 > 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가 오동작했다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다.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스프링쿨러가 구비된 P형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상태에서 수위 감지 센서가 동작하고 스프링쿨러 펌프가 구동된 경우에는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그 즉시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건물에 설치된화재 수신기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화재 관련 정보와 화재 수신기의 주전원의 전류 상태를 함께 모니터링하여 실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경보의 정확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소방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각종 화재 감지기의 고장이나 오작동, 정전 또는 강제 전원 오프 등의 상황 발생시 이를 관계자 단말에 전송하여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시 소방시설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화재 발생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화재 관련 신호의 타이밍 차트.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은 크게, 건물에 하나 이상 설치된 화재 수신기(100), 건물의 구획마다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예를 들어 열 감지 센서(110) 및 연기 감지 센서(120),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130), 건물의 적소에 설치되고 화재 수신기(100)의 제어에 따라 화재의 발생 사실을 시청각적으로 경보하는 주경종 및 지구 경종(145)을 구동하는 경종 구동부(140), 스프링쿨러가 구비된 건물에서 스프링쿨러에 공급되는 소방수를 저수조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저수조 밸브(155) 및 화재 수신기(100)의 제어에 따라 저수조 밸브(155)를 구동하는 밸브 구동부(150), 스프링쿨러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펌프(165) 및 화재 수신기(100)의 제어에 따라 펌프(155)를 구동하는 스프링쿨러 구동부(150), 화재 수신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전원(AC 전원)(170)의 전압/전류 변화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 센서(180), 전술한 화재 수신기(100)의 센서 입력단, 즉 열 감지 센서(110), 연기 감지 센서(120)와 수위 감지 센서(130)의 입력단 및 구동부 출력단, 즉 경종 구동부(145), 밸브 구동부(150) 및 펌프 구동부(160)의 출력단과 화재 수신기(100)의 주 전원(170)의 전압/전류 감지 센서(180) 등을 모니터링하여 화재 수신기(100)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한 후 후술하는 소방시설 관리서버(이하 간단히 '관리 서버'라 한다)(300)에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발생 시에 비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소방 IoT 단말기(200), 소방 IoT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 및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에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400), 예를 들어 관할 소방서 서버나 단말 및 관리자 또는 관계자 단말기(500)에 전달하는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화재 수신기(100)는 건물의 규모에 따라 P형 및 R형의 두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P형 화재 수신기(100)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신기로서 접점 방식으로 동작하며, 화재 감지 센서, 즉 열 감지 센서(110)와 연기 감지 센서(120), 스프링쿨러가 설치된 건물의 경우에 저수조의 수위 감지 센서(130)가 그 입력단에 연결되고, 펌프 구동부(160)가 출력단에 연결된다. 이외에도 정전 시에 구동되는 정전 표시등의 구동부(미도시) 그 출력단에 연결된다.
R형 화재 수신기(100)는, 컴퓨터 통신 방식, 예를 들어 RS232 또는 RS-485 등의 직렬 포트를 통해 화재 감지 센서(110),(120)나 수위 감지 센서(130) 및 전압/전류 감지 센서(180)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경종 구동부(140), 저수조 밸브 구동부(150) 및 펌프 구동부(160)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에 따라 P형 수신기보다 많은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이러한 R형 수신기(100)는 이더넷 포트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소방 IoT 단말기(200)에 자기의 수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소방 IoT 단말기(200)는 P형 화재 수신기(100)의 각종 입력단과 출력단의 접점에 연결되어 해당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RS-232 또는 RS-485 등의 직렬 포트 등을 통해 R형 화재 수신기(100)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모니터링)한 후에 IoT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300)는 도 3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방 IoT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관할 건물의 화재 수신기(100)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에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만 방재 센터(400), 예를 들어 관할 소방서에 그 사실을 전달함으로써 화재 수신기(100)의 정상적인 민감 동작이나 오동작(이하 총칭하여 '오동작'이라 한다) 또는 고장에 의한 의미없는 출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에 따르면, 소방 IoT 단말기(200)는 화재 수신기(1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또는 화재 감지 신호의 입력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에 비주기적으로 화재 수신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를 수신(단계 S10)한 경우에 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후 관리 서버(300)는 이렇게 수신한 화재 수신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에 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단계 S40)한다.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관리 서버(300)는 그 즉시 화재 발생 사실을 방재 센터(400) 및 관계자 단말(500)에 통보하는 반면에, 실제 화재가 발생함이 없이 오동작이나 고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관계자 단말(S60)에 통보함으로써 소방시설의 점검이나 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화재 발생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화재 관련 신호의 타이밍 차트이다. 먼저 도 3의 (a)의 경우와 같이, 화재 감지 신호, 즉 열 감지 신호 또는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그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T1), 예를 들어 1분 이하이거나 그 이상이라 하더라도 주 전원(170)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예를 들어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100)의 주 전원(170)에 흐르는 최소 전류치(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110),(120)가 오동작했다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500)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400)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의 (b)의 경우와 같이, 정전 표시등 신호가 수신된 경우(예비 전원에 의해 화재 수신기는 소정 시간 동안 동작함)에 주 전원(180)의 전류가 최소 전류치(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에 의한 정전이 아니라 일시적 또는 사람에 의한 수동 전원 오프라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500)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400)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의 (c)의 경우와 같이,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경우에 그 구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T1), 예를 들어 1분 이하이고 주 전원(170)의 전류가 최소 전류치(H1) 이상인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T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110),(120)의 오동작이나 고장에 의한 경보라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500)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400)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의 (d)의 경우와 같이, P형 수신기(100)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경우에 그 구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T1), 예를 들어 1분 이상이고 주 전원(170)에 흐르는 전류가 최소 전류치(H1) 이상인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T1) 이상인 경우에는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그 즉시 방재 센터(400) 및 관계자 단말(500)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한다.
한편 도 3의 (e)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쿨러가 구비된 P형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상태에서 수위 감지 센서(130) 및 펌프(165)가 모두 동작하지 않고 또한 주 전원(170)에 흐르는 전류가 최소 전류치(H1) 이상이지만 저수조 밸브(155)나 펌프(165)가 동작했을 때 주 전원에 흐르는 최소 전류인 제2 최소 전류치(H2; 단 H2 > 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110),(120)가 오동작했다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500)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400)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도 3의 (f)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쿨러가 구비된 P형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상태에서 수위 감지 센서(130)가 동작 및 펌프(165)가 구동된 경우에는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그 즉시 방재 센터(400) 및 관계자 단말(500)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3의 각 경우의 기준치나 최소 전류치는 상황에 따라 각기 달리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예를 들어 아파트에 사는 입주민 등이 관리 사무소에 이동전화번호를 등록해 두면, 관리 서버(300)는 실제 화재 발생시 즉시 이렇게 등록된 이동전화번호에 문자 메시지나 카카오 알림톡 등을 발송하여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입주민의 연령대나 장애 유형에 따라 적합한 방식, 예를 들어 진동, 소리 또는 화면 등을 적절하게 취합하여 경보를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재 수신기, 110: 열 감지 센서,
120: 열기 감지 센서, 130: 수위 감지 센서,
140: 경종 구동부, 145: 주 경종/지구 경종,
150: 밸부 구동부, 155: 저수조 밸브,
160: 스프링쿨러 구동부, 165: 펌프,
170: 주 전원, 180: 전압/전류 감지 센서,
200: 소방 IoT 단말기, 300: 소방 시설 관리 서버,
400: 방재 센터, 500: 관계자 단말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소방 IoT 단말기와 무선 연결된 소방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화재 수신기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통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며,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그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하이거나 그 이상이라 하더라도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가 오동작했다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
  4. 소방 IoT 단말기와 무선 연결된 소방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화재 수신기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통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며,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정전 표시등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에 의한 정전이 아니라 일시적 또는 사람에 의한 수동 전원 오프라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
  5. 소방 IoT 단말기와 무선 연결된 소방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화재 수신기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통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며,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의 구동이 수신된 경우에 그 구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T1) 이하이고, 주 전원에 흐르는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상인 시간이 기준 시간(T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가 오동작했다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
  6. 소방 IoT 단말기와 무선 연결된 소방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화재 수신기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통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며,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P형 수신기(100)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경우에 그 구동 시간이 기준 시간(T1) 이상이고 주 전원에 흐르는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상인 시간이 기준 시간(T1) 이상인 경우에는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그 즉시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
  7. 소방 IoT 단말기와 무선 연결된 소방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화재 수신기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통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며,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스프링쿨러가 구비된 P형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경우에 동작 상태 정보로 수위 감지 센서 및 스프링쿨러 펌프가 모두 동작하지 않고 또한 주 전원에 흐르는 흐르는 전류가 주경종이나 지구 경종을 구동했을 때의 화재 수신기의 최소 전류치(H1) 이상이지만 저수조 밸브나 스프링쿨러 펌프가 동작했을 때 주 전원에 흐르는 최소 전류인 제2 최소 전류치(H2; 단 H2 > H1)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감지 센서가 오동작했다고 판단하여 관계자 단말에만 그 사실을 통보하고 방재 센터에는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
  8. 소방 IoT 단말기와 무선 연결된 소방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화재 수신기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화재 수신기의 동작 상태 정보와 주 전원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사실을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통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며,
    소방 IoT 단말기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로 스프링쿨러가 구비된 P형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의 주 경종 또는 지구 경종이 구동된 상태에서 수위 감지 센서가 동작하고 스프링쿨러 펌프가 구동된 경우에는 실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그 즉시 방재 센터 및 관계자 단말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방법.
KR1020200113334A 2020-09-04 2020-09-04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KR10223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34A KR102234285B1 (ko) 2020-09-04 2020-09-04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34A KR102234285B1 (ko) 2020-09-04 2020-09-04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285B1 true KR102234285B1 (ko) 2021-03-31

Family

ID=7523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334A KR102234285B1 (ko) 2020-09-04 2020-09-04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2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708B1 (ko) 2005-07-15 2006-10-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090644B1 (ko) * 2011-06-21 2011-12-07 강기준 개선된 p형 수신기 기반의 화재 자동탐지 시스템
KR101728521B1 (ko) 2016-10-31 2017-04-19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18124637A (ja) * 2017-01-30 2018-08-09 ホーチキ株式会社 送信システム
KR101941136B1 (ko) * 2017-08-24 2019-01-22 이기배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건물의 화재신호 조기 알람 서비스 시스템
KR20190040887A (ko) 2017-10-11 2019-04-19 박영진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708B1 (ko) 2005-07-15 2006-10-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090644B1 (ko) * 2011-06-21 2011-12-07 강기준 개선된 p형 수신기 기반의 화재 자동탐지 시스템
KR101728521B1 (ko) 2016-10-31 2017-04-19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18124637A (ja) * 2017-01-30 2018-08-09 ホーチキ株式会社 送信システム
KR101941136B1 (ko) * 2017-08-24 2019-01-22 이기배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건물의 화재신호 조기 알람 서비스 시스템
KR20190040887A (ko) 2017-10-11 2019-04-19 박영진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8304A1 (en) User interface with installment mode
KR101090644B1 (ko) 개선된 p형 수신기 기반의 화재 자동탐지 시스템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180055468A (ko) P형 수신기의 화재감지 오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2542717A (zh) 一种防火安全警示自救系统与方法
KR101391302B1 (ko) 주소형 자동화재 탐지설비
KR102181819B1 (ko) Iot 화재수신기 정보변환장치
CN11221605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消防信息管理平台设备
JP3005931B2 (ja) 緊急通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315704B1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JP7213314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及び火災報知方法
KR101673768B1 (ko)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KR20090080273A (ko) 소방관리용 가스 소화설비 시스템
KR102234285B1 (ko)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KR20040087995A (ko) 네트워크 fire 방재감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N202306754U (zh) 智能无线消防报警系统
KR20100053128A (ko)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JP2015135539A (ja) 自動火災報知設備
KR100515056B1 (ko)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상황제어관리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비상상황제어관리사업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해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2427445B1 (ko) 비상방송 축적기
JP2889063B2 (ja) 環境監視装置
JP2020052910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102476657B1 (ko) 중계기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화재감시 시스템
CN111127850A (zh) 救援辅助装置、方法、系统和机器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