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989B1 -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989B1
KR100489989B1 KR10-2002-0047040A KR20020047040A KR100489989B1 KR 100489989 B1 KR100489989 B1 KR 100489989B1 KR 20020047040 A KR20020047040 A KR 20020047040A KR 100489989 B1 KR100489989 B1 KR 10048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od
control
unit
coi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912A (ko
Inventor
안종보
권순만
김국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4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9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은, 원자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원자로의 제어봉의 삽입 혹은 인출 동작을 위해 제어봉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내리는 한편 기타 제어봉의 동작과 관련한 일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봉 제어부; 및 상기 제어봉 제어부의 하위 계층에 마련되며, 제어봉 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봉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어봉 제어부와 전력변환부는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의 2개의 계층으로 구성되고, 전력변환부 내의 각 전력변환기는 제어봉 1개에 각각 1:1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상위 계층의 상기 제어봉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제어봉은 개별 운전 혹은 그룹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봉 구동시스템은 2개의 계층구조로 하고 하위의 전력변환기에 의해 개별 제어봉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신호의 발생 및 전류 및 전압제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전력변환기 자체의 로직에 의해 별도의 유지전원 없이도 이중유지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며, 부분적으로 제어기가 고장이 날 경우 건전한 상대방으로부터 점호신호를 받아 병렬 운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제어시스템의 신뢰도를 한층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System for driving control rod of nuclear reactor}
본 발명은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어봉 구동장치의 제어부 혹은 상위로부터의 신호수신 등 일부 부품에 고장이 발생시에 제어의 중단 시간을 최소로 하면서도 별도의 복잡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의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장치 자체에 고장 발생시는 수동으로도 절체가 가능한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의 제어봉은 상위 제어기에서 삽입 혹은 인출의 명령을 받아 구동장치가 제어봉의 코일에 전류를 흘리는 일련의 순차에 의해 제어봉이 삽입 혹은 인출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제어봉은 운전 조건에 따라 개별적으로 혹은 그룹 단위로 움직이게 되며, 따라서 제어봉이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와 그룹 단위로 움직이는 경우의 제어봉과 구동장치의 배치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제어봉 구동장치의 고장은 해당 제어봉의 제어불능 상태를 초래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정지에 이르는 사고를 발생시킨다.
도 1 및 도 2는 이상과 같은 제어봉의 구동과 관련된 종래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의 전력변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은 논리제어부 (20), 전력변환부(30), 제어봉 조립체(47,48,4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논리제어부(20)는 출력제어장치(10) 등의 상위제어기에서 명령을 받아 제어명령을 각 제어봉 구동장치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전력변환부(30)는 논리제어부(20)에서의 출력신호를 받아 전력증폭기를 이용하여 실제 코일에 전류를 흘리는 역할을 한다. 3개 혹은 4개의 코일로 구성된 제어봉 조립체는 해당 코일에 각각 일련의 전류를 흘려서 한 스텝 이동하게 된다. 제어봉 조립체의 수는 원자로 출력과 관련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1개의 단위가 아니라 다수 개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여 그룹별로 삽입 혹은 인출하는 그룹 운전을 하게 된다.
또한, 유지전원부(41)는 해당 그룹의 전원장치 등이 고장이 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제어봉 조립체(47,48,49)에 있어서의 정지권선에 전류를 흘려서 제어봉이 더 이상 삽입 혹은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력변환부(전력제어반)(30)는 교류전원(40)으로부터 3상 전원을 공급받는 3개 혹은 4개의 정지코일, 이동코일, 올림코일용 전력변환장치(42,43,44)와 1개의 유지전원부(41)를 가지고 직류 전압을 발생하게 되며, 그룹선택용 스위치(45, 46)를 이용하여 뱅크 X, Y, Z를 선택적으로 운전하게 된다. 각 뱅크는 하나의 그룹으로서 2∼4개의 제어봉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동일하게 운전되는 그룹이다. 각 뱅크는 독립적으로 운전되지만 뱅크 중첩운전 기능에 의해 동시에 운전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뱅크 X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정지코일용 전력변환장치(42)의 좌측 한 개의 정류기 및 다른 전력변환장치(43,44)의 정류기가 운전되고, 그룹선택용 스위치 (45,46) 중에서 뱅크 X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턴온하는 것에 의해 운전된다. 전력변환장치(42,43,44)나 그룹선택용 스위치(45,46)의 고장시에는 유지전원 선택스위치 (13)를 고정의 위치에 둠으로써 유지전원부(41)의 직류전원이 정지코일에 인가되어 제어봉이 유지되게 된다. 각 병렬운전되는 코일에는 직렬로 블로킹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전력변환기에 의해 병렬운전됨으로써 각 코일의 임피던스 차이에 의한 전류 편차가 존재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 전력변환장치(42,43, 44) 중에서 1개만 고장이 나도 해당되는 그룹 X, Y, Z 전체가 운전 불능 상태가 되고 유지상태로 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 번호 11은 뱅크 선택 스위치, 12는 제어봉 정지 계전기, 14는 뱅크 중첩 장치, 15는 펄스 발생기, 16은 주순서 지시기, 17은 부순서 지시기, 18은 단위 전력변환부를 각각 나타낸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원자로 제어봉 구동 시스템은 논리제어부(20)와 전력변환부(30)를 별도로 설계하여 제어봉의 코일에 전류를 흘리는 방법이다. 즉, 논리제어부(20)는 필요한 전류 기준신호를 발생하고, 전력변환부(30)는 그룹 단위로 운전되는 코일을 전력변환부(30)에 병렬 연결하는 방법으로 해서 운전하게 된다. 또한, 전력변환부(30)는 여러 그룹의 코일들을 구동하기 위하여 주 전력변환장치(42,43,44)를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그룹의 코일들을 구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그룹선택용 스위치(45,46)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논리제어부(20)나 전력변환장치(42,43,44) 혹은 그룹선택용 스위치(45,46)의 고장에 의해 이 전력변환장치에 연결된 전체 그룹의 제어봉(이 경우는 그룹 당 4개씩, 전체 3그룹 즉, 12개의 제어봉)이 운전 불능 상태가 된다. 그룹은 동일하게 운전되는 단위이고 또 3개의 그룹을 묶어서 1개의 전력변환장치를 구성하므로, 전체적인 전력변환장치의 수는 줄일 수 있어도 단일 부품의 고장에 의해 관련된 3개 그룹 전체가 운전 불능의 상태에 빠지게 되고,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교류전원(40)을 통하여 제어봉을 현재의 위치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종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서는 병렬운전되는 각 코일의 전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검출된 각각의 전류 중에서 최대 혹은 최소치를 선택하여 제어하게 되며, 따라서 각 개별 코일의 임피던스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일방적인 제어가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어봉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일부 부품의 고장에 의해 제어봉의 코일에 전류를 흘릴 수 없는 고장에 대해서 자동적 혹은 수동적 절체에 의해 운전을 계속하여 가동률을 높이고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은, 원자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원자로의 제어봉의 삽입 혹은 인출 동작을 위해 제어봉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내리는 한편 기타 제어봉의 동작과 관련한 일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봉 제어부; 및 상기 제어봉 제어부의 하위 계층에 마련되며, 제어봉 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봉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어봉 제어부와 전력변환부는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의 2개의 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력변환부는 논리제어부와 전력변환기로 구성되는 바, 논리제어부는 상기 제어봉 제어부로부터 운전명령을 수신하는 디지털 입력부,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디지털 출력부, 연산 및 전력변환부측에 어떤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 코일의 전류와 전압신호를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부 및 전원의 영점검출 입력과 게이트 펄스를 출력하는 타이머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력변환기는 상기 논리제어부로부터의 점호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점호하는 싸이리스터 변환기, 제어봉 구동장치의 코일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 및 코일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력변환부 내의 각 전력변환기는 제어봉 1개에 각각 1:1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위 계층의 상기 제어봉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제어봉은 개별 운전 혹은 그룹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은 원자로의 제어봉의 삽입 혹은 인출 동작을 위해 제어봉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내리는 한편 기타 제어봉의 동작과 관련한 일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봉 제어부(140) 및 그 제어봉 제어부(140)의 하위 계층에 마련되며, 제어봉 제어부(14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봉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변환부(90∼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여기서 특히 상기 제어봉 제어부 (140)와 전력변환부(90∼93)는 제어봉 제어부(140)를 상위 계층으로 하고, 전력변환부(90∼93)를 하위 계층으로 하는 2개의 계층으로 구성되고, 전력변환부(90∼93) 내의 각 전력변환기는 제어봉 1개에 각각 1:1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상위 계층인 상기 제어봉 제어부(140)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제어봉은 개별 운전 혹은 그룹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변환부(90)(90∼93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90을 대표로 설명함)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제어부(60)와 전력변환기(80)로 크게 구성된다. 논리제어부(60)는 상기 제어봉 제어부(140)로부터 운전명령을 수신하는 디지털 입력부(63),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디지털 출력부(65), 연산 및 전력변환부측에 어떤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CPU)(64), 코일의 전류와 전압신호를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부(67) 및 전원의 영점검출 입력과 게이트 펄스를 출력하는 타이머 보드(66)로 구성된다. 여기서, 영점의 검출과 관련하여, 전원의 위상과 동기시켜 게이트 펄스를 발생하기 위하여 강압용 변압기(68)를 이용한다.
전력변환기(80)는 상기 논리제어부(60)로부터의 점호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81), 게이트 구동부(81)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점호하는 싸이리스터 변환기(82,85,86,87), 제어봉 구동장치의 코일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83) 및 코일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센서(84)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전력변환부(90)는 1개의 제어봉 구동을 담당하며, 코일의 전류 혹은 전압 기준신호를 발생하고, 귀환되는 전압 혹은 전류신호로부터 제어 연산을 행하여 필요한 점호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단위 전력변환부(90)를 이용하여 1개의 그룹 혹은 뱅크를 운전하기 위한 전력변환부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4개의 제어봉(94∼97)을 하나의 그룹(뱅크)으로 설정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4개의 전력변환부 (90∼93)가 각각 1개의 제어봉(94∼97)을 구동하게 되며, 이들은 동시에 삽입 혹은 인출되는 한 개의 그룹이 된다. 각 전력변환부들(90∼93)은 제어봉 제어부(140)로부터 각각 독립적인 입출력(98∼101)을 받게 되나, 이들 신호는 그룹 운전을 위하여 동일한 명령이 주어지도록 제어봉 제어부(140)에서 프로그램된다. 실제로 독립적인 입출력으로서의 운전명령신호 및 상태출력신호(98∼101)는 배선으로 되어 있으나, 제어봉 제어부(140)의 내부 로직에 의해 다른 그룹으로의 배치, 그룹 운전이 아닌 개별 운전 등 기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전력변환기(8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이중유지의 기능에 관련된 것이다. 이중유지란 제어봉이 삽입 혹은 인출 운전을 하지 않을 경우에 현재의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정지 코일에 일정 전류를 흘리게 되는데, 이때 이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이동 코일에도 동시에 전류를 가하는 것을 말한다. 종래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 기능이 통상 전력변환부의 논리제어부(60)가 정상 동작할 경우에만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어기가 고장이 나도 별도의 절체 없이 자동으로 이중 유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논리제어부(60)는 점호신호(69)와 함께 자체의 건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박동신호(11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계속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게이트 구동부 (81)는 내부의 논리소자(113)에서 박동신호(110)를 검사하여 이것이 정상이면 점호신호(69)를 신호증폭회로(114)로 그대로 전달하여 정상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신호가 비정상적이거나 혹은 고장으로 판정되면 미리 내부적으로 설정된 전압을 정지코일 및 이동코일에 각각 인가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게이트 구동부 (81)가 제어기의 도움없이 자체적으로 이와 같은 이중 유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체에 전원의 영점을 검출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전원의 영점을 검출하기 위한 변압기(68)의 출력전압을 제어기와 동시에 게이트 구동부(81)로도 보냄으로써 이것이 가능하다. 게이트 구동부(81)는 자체에 영점검출기(112)를 가지고 이 출력신호를 논리소자(113)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논리소자(113)는 제어부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면 이 영점신호와 미리 설정된 전압 기준신호로부터 점호시점을 결정하고 이 신호를 정지코일 및 이동코일에 각각 인가함으로써 이중 유지기능은 구현된다. 정상운전인 경우 제어기에 의해서도 이중 유지기능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그룹으로 운전되는 전력변환기들의 다중화 운전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단위 전력변환기(90,91) 3개 혹은 4개를 이용하여 제어봉 3개 혹은 4개로 구성된 한 개의 제어봉 그룹을 운전할 때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각 변환기의 제어기(60,130)는 자신의 점호출력 및 박동신호를 자신의 게이트 구동부(81) 뿐만 아니라 다른 제어기에도 전달하며, 또한 다른 제어기로부터 받을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봉 1의 경우 제어봉 2번 제어기로부터 받으며, 또 제어봉 4번 제어기로 자신의 출력을 전달한다. 또 각 제어기들은 자동-수동으로 점호신호를 절체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120,121)를 가지고 있다. 선택스위치(120,121)는 자동-수동 절체 선택스위치이며 자동인 경우는 자신의 논리소자(113)에서 입력을 받게 되고, 수동인 경우 자신의 출력과는 관계없이 상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증폭회로(114)로 전달하게 된다.
도 8은 논리소자(113) 내부에 들어 있는 점호펄스 선택 알고리즘으로서, 먼저 자신의 제어기가 건전한지를 검사하고(단계 840), 건전할 경우는 자신의 제어기에서 온 입력을 출력으로 전달한다(단계 842). 또 자신의 제어기가 건전하지 않을 경우는 상대방의 박동신호를 검사하여(단계 844), 정상인 경우는 상대의 신호를 자신의 출력으로 하고(단계 846), 상대도 고장일 경우는 이중유지모드 운전(단계 848)을 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물론, 운전자에 의해 상기 선택스위치(120,121)가 수동으로 절체된 경우 무조건적으로 상대의 출력이 자신의 출력이 되고, 상대와 자신은 동일 시점에서 점호가 이루어지며, 코일의 임피던스 차이만큼 전류의 편차가 존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은 전력변환부 내의 각 전력변환기가 제어봉 1개에 각각 1:1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위 계층의 제어봉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제어봉이 개별 운전 혹은 그룹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갖는다.
첫째, 제어봉 구동시스템을 이중화된 계층구조로 하고 하위의 전력변환기에 의해 개별 제어봉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신호의 발생 및 전류 및 전압제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하위의 전력변환기는 제어봉 메커니즘이나 운전방식 등과 무관하게 표준화된 시스템 설계가 가능하다.
둘째, 전력변환기 자체의 로직에 의해 별도의 유지전원 없이도 이중유지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며, 이 기능으로 인해 불시에 제어불능 상태가 되어도 제어봉이 낙하하지 않고 현재의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어 원자로의 운전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원자로의 형식에 따른 제어봉 메커니즘의 상이함이나 이에 따른 제어방식의 차이 등이 하부 전력변환기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변경과 전력소자의 단순한 증감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넷째, 그룹으로 운전되는 각 제어봉들은 각각의 제어기들이 모두 건전하면 각각의 특성을 희생하지 않고 개별적, 독립적으로 운전될 수 있어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만일 부분적으로 제어기가 고장이 나면 종래의 제어기처럼 그 그룹 전체가 운전불능 상태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건전한 상대방으로부터 점호신호를 받아 자동 혹은 수동으로 병렬운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어시스템의 신뢰도를 한층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서의 전력변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의 전력변환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운전을 위한 전력변환기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이중유지기능을 위한 게이트 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다중화 운전을 위한 전력변환기의 연계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점호펄스 선택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논리제어부 63...디지털 입력부
64...중앙처리장치(CPU) 65...디지털 출력부
66...타이머 보드 67...아날로그 입력부
68...강압용 변압기 80...전력변환기
81...게이트 구동부 82,85,86,87...싸이리스터 변환기
83...전류센서 84...전압센서
90∼93...전력변환부 94∼97...제어봉
98∼101...독립적인 입출력 112...영점검출기
113...논리소자 114...신호증폭회로
120,121...선택스위치 140...제어봉 제어부

Claims (4)

  1. 원자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봉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의 제어봉의 삽입 혹은 인출 동작을 위해 제어봉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내리는 한편 기타 제어봉의 동작과 관련한 일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봉 제어부; 및 상기 제어봉 제어부의 하위 계층에 마련되며, 제어봉 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봉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어봉 제어부와 전력변환부는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의 2개의 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력변환부는 논리제어부와 전력변환기로 구성되는 바, 논리제어부는 상기 제어봉 제어부로부터 운전명령을 수신하는 디지털 입력부,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디지털 출력부, 연산 및 전력변환부측에 어떤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 코일의 전류와 전압신호를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부 및 전원의 영점검출 입력과 게이트 펄스를 출력하는 타이머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력변환기는 상기 논리제어부로부터의 점호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점호하는 싸이리스터 변환기, 제어봉 구동장치의 코일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 및 코일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력변환부 내의 각 전력변환기는 제어봉 1개에 각각 1:1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위 계층의 상기 제어봉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제어봉은 개별 운전 혹은 그룹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전원의 영점을 검출하기 위한 영점검출기와, 제어부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면 영점검출기로부터의 영점신호와 미리 설정된 전압 기준신호로부터 점호시점을 결정하는 논리소자와, 논리소자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증폭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소자와 신호증폭회로 사이에는 싸이리스터 변환기에 전달되는 점호펄스를 선택하여 절체하기 위한 선택스위치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KR10-2002-0047040A 2002-08-09 2002-08-09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KR10048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040A KR100489989B1 (ko) 2002-08-09 2002-08-09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040A KR100489989B1 (ko) 2002-08-09 2002-08-09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912A KR20040013912A (ko) 2004-02-14
KR100489989B1 true KR100489989B1 (ko) 2005-05-17

Family

ID=3732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040A KR100489989B1 (ko) 2002-08-09 2002-08-09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447B1 (ko) * 2002-10-28 2005-12-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휴대용 제어봉 유지전원공급장치
KR100529520B1 (ko) * 2002-11-21 2005-11-21 한국전기연구원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장치의 시험장치
KR100928185B1 (ko) * 2007-11-14 2009-11-25 한국전기연구원 4 코일형 제어봉 구동장치에서의 이중 유지 및 자동 복귀방법
KR101376915B1 (ko) 2012-07-10 2014-03-21 한국원자력연구원 발전용 원자로의 제어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21101B1 (ko) 2015-03-18 2017-03-29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의 정지봉 및 제어봉 구동 명령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659532B1 (ko) 2015-08-04 2016-09-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제어봉 구동시스템
KR102416540B1 (ko) * 2020-07-20 2022-07-01 이광민 원자로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계통을 위한 전력변환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0973A (ja) * 1991-12-27 1993-07-23 Hitachi Ltd 制御棒駆動装置
JPH08122475A (ja) * 1994-10-19 1996-05-17 Toshiba Corp 制御棒駆動機構の駆動装置
JPH08166483A (ja) * 1994-12-15 1996-06-25 Toshiba Corp 制御棒駆動制御装置
JPH10177084A (ja) * 1996-12-18 1998-06-30 Hitachi Ltd 制御棒駆動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0973A (ja) * 1991-12-27 1993-07-23 Hitachi Ltd 制御棒駆動装置
JPH08122475A (ja) * 1994-10-19 1996-05-17 Toshiba Corp 制御棒駆動機構の駆動装置
JPH08166483A (ja) * 1994-12-15 1996-06-25 Toshiba Corp 制御棒駆動制御装置
JPH10177084A (ja) * 1996-12-18 1998-06-30 Hitachi Ltd 制御棒駆動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912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073A (en) AC power module for automation system
US20150083260A1 (en) Solenoid valve system
KR100489989B1 (ko)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 시스템
EP2721736B1 (en) Gate control circuit, power module and associated method
JP2002073184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EP20965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digital output circuits
KR101125685B1 (ko) 신뢰성 dc 전원 장치
CN112838590A (zh) 使用阵列中未使用期间注入单元降低阻抗注入期间的振荡以校正问题
JP2008306285A (ja) 半導体スイッチの制御装置
EP0480746A2 (en) Bypass-pair control apparatus for thyristor bridge
KR20100005197U (ko)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의 이중화 제어장치
JP3017765B2 (ja) 同期機の励磁制御装置
KR100738572B1 (ko) 이중화 제어부를 갖는 에이치-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JP2001090902A (ja) 台数制御と個別運転制御を行う多缶設置ボイラ
JP2018195128A (ja) 診断装置
KR100928185B1 (ko) 4 코일형 제어봉 구동장치에서의 이중 유지 및 자동 복귀방법
JP3865797B2 (ja) 制御棒駆動制御装置
JP4635192B2 (ja) 給水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構成方法
JPS61260303A (ja) 多重化制御装置
JPH03244001A (ja) 3重化制御装置
JPS61170802A (ja) 自律分散型制御装置
JP3099600B2 (ja) 選択制御棒制御装置
KR200267251Y1 (ko) 다중 모터 급수 제어 시스템
JPH0293701A (ja) 多重化制御装置
JPH0641857B2 (ja) センサ回路のスライスレベル自動設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