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004B1 -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004B1
KR100489004B1 KR10-2002-0052420A KR20020052420A KR100489004B1 KR 100489004 B1 KR100489004 B1 KR 100489004B1 KR 20020052420 A KR20020052420 A KR 20020052420A KR 100489004 B1 KR100489004 B1 KR 10048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ssword
vehicle
signal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853A (ko
Inventor
김남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Priority to KR10-2002-005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0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853A/ko
Priority to AU2003261620A priority patent/AU2003261620A1/en
Priority to PCT/KR2003/001789 priority patent/WO2004021734A1/en
Priority to CN03820798.2A priority patent/CN1706214B/zh
Priority to RU2005105944/09A priority patent/RU2299139C2/ru
Priority to JP2004532447A priority patent/JP2005537174A/ja
Priority to US11/070,046 priority patent/US2005017958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arm or disarm fea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60Security, fault tolerance
    • G08C2201/61Password, biome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콜(Car-Call)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암호 장치는 일정 형식으로 차량에 가해지는 암호 표현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카콜(Car-Call)부, 카콜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암호를 인증하여 차량의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차량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사용자의 원격 조정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송신부 및 사용자의 원격 조정 장치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USER PASSWORD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R-CALL}
본 발명은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실질적 운영 권리를 행사하는 점유자-가 차량의 표면에 일정 형식의 신호를 부과함으로써 차량의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하여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에 경보장치 및 차량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조정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안전 상태확인 및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 내부 제어 장치 및 송수신 하는 원격 조정장치는 차량의 간단한 시동 조작 및 카콜 기능을 하였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콜 시스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카콜 시스템 장치는 차량 경보 장치(100) 및 원격 조정 장치(110)를 포함한다.
차량 경보 장치(100)는 차량에 구성되는 장치로서, 충격 감지부(101), 제1 제어부(102), 경보음 발생부(103), 무선 신호 송신부(104) 및 제1 안테나(105)를 포함한다.
원격 조정 장치(110)는 제2 안테나(111), 무선 신호 수신부(112), 제2 제어부(113) 및 표시부(114)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카콜 시스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 경보 장치(100)의 충격 감지부(101)는 도난 또는 사용자 호출 등에 따른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인 충격 신호를 제1 제어부(102)로 출력한다. 제1 제어부(102)는 충격 신호에 따라 사용자 호출 또는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사용자 호출 신호를 무선 신호 송신부(104)로 출력하고,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경보음 발생부(103)로 출력한다. 무선 신호 송신부(104)는 제1 제어부(10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호출 신호를 제1 안테나(105)를 통해 원격 조정 장치(110)의 제2 안테나(111)로 전송한다.
경보음 발생부(103)는 제1 제어부(10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경보음을 발생한다.
원격 조정 장치(110)의 무선 신호 수신부(112)는 제2 안테나(111)를 통해 차량 경보 장치(100)로부터의 사용자 호출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사용자 호출 신호를 제2 제어부(113)로 출력한다. 제2 제어부(113)는 무선 신호 수신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호출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표시부(114)로 출력하고, 표시부(114)는 제2 제어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호출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램프를 발광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구성 장치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기술은 일부 한정된 상황에서만 차량 제어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격 조정 장치를 차량의 내부에 두고 차량의 문이 잠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 종래 기술은 원격 조정 장치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차량의 파손 없이는 차량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콜 시스템에 암호를 설정 및 확인하는 기능을 포함시켜, 차량의 사용자가 차량의 키나 원격 조정 장치를 차량 내부에 놓고 문이 잠겼을 경우에 차량의 키나 원격 조정 장치 없이 차량의 문 및/또는 차량의 구성 장치를 제어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사용자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차량을 통해서 직접 차량의 사용자와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키나 원격 조정 장치 없이도 차량의 주요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형식으로 차량에 가해지는 암호 표현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카콜(Car-Call)부, 카콜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암호를 인증하여 차량의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차량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사용자의 원격 조정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송신부 및 사용자의 원격 조정 장치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암호 설정을 하기 위한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암호 설정 시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한 상기 암호 설정 시작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차량의 사용자가 정한 일정 자리수의 암호에 알맞은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암호가 정상적으로 입력 완료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암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암호 확인 시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한 상기 암호 확인 시작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미리 설정된 일정 자리수의 암호에 알맞은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암호가 정상적으로 입력 완료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확인용 경보음이 발생한 후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나면 차량의 구성 장치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부저를 이용한 카콜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카콜 시스템의 내부 구조는 카콜부(Car-Call : 200), 제어부(220), 무선 신호 송신부(250), 무선 신호 수신부(260) 및 안테나(270)를 포함한다.
상기 카콜부(200)는 피에조 부저(Piezzo Buzzer : 202) 및 신호 증폭기(204)를 포함한다. 상기 피에조 부조(202)의 작동 원리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펄스형의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피에조 부조(202)의 떨림판이 상하로 움직여서 1000 ~ 2500 KHz 사이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피에조 부조(202)는 상기 작동 원리를 역으로 이용하면 압전 소자로써 본 발명의 핵심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피에조 부조(202)는 소리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소리에 의한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어서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는 신호 증폭기(204)에 의해서 증폭된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제어부(220)에서 차량의 구성 장치를 제어하는 근거로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220)에서 수행되는 여러 제어 기능 중 원격 조정 장치와 통신이 필요할 기능의 경우, 상기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는 무선 신호 송신부(250)에서 무선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무선 신호 송신부(250)에서 변환된 무선 신호는 안테나(270)를 통해 원격 조정 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안테나(270)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 제어 장치의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 수신부(260)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차량의 구성 장치의 제어를 위하여 제어부(220)로 인가된다.
도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카콜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피에조 부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대체하여 적외선 센서(280)를 이용한 카콜부(285)는 카콜 시스템의 제어부(290)와 연결된다. 상기 적외선 센서(280)를 이용한 카콜부(285)는 센서의 배열 집합 장치인 감지기(275)와 상기 감지기(275)에서 인가된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기(287)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기(275)는 차량의 외부 유리면을 향하여 일정하게 배열된 적외선 센서(280)를 구비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280)는 피에조 부저의 기능을 대체하여 사용자가 미리 정한 일정한 자리수의 암호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면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 유리면 쪽에서 차량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적외선 센서(280)를 일정한 크기로 터치(277)하면 상기 적외선 센서(280)는 각각의 센서에 상응하여 미리 정한 값으로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센서(280)는 발광 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도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콜 시스템의 제어기능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카콜 시스템의 내부 구조 중 제어부(300)는 차량의 문 개폐 제어(310), 시동 제어(320), 사이렌 제어(330), 충격 제어(340) 및 카콜 감지 제어(350)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카콜 감지 제어(350)는 카콜부로부터 사용자 암호 설정 및 확인 방법에 따라 감지된 노크에 상응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차량의 문 개폐 제어(31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시동 제어(320)는 원격 조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시동 제어(32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충격 제어(340)는 차량에 충격을 감지하여 사이렌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이렌 제어(330)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의 각각의 기능들은 서로 연계되어 차량의 구성 장치들을 제어한다.
도5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콜 시스템의 원격 조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원격 조정 장치는 원격 조정 장치는 안테나(400), 무선 신호 수신부(410), 무선 신호 송신부(420), 제어부(430), 경보음 발생부(440), LCD 디스플레이부(450) 및 키 입력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410)는 상기 안테나(40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구성 장치 상태 신호를 상기 제어부(43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 송신부(420)는 상기 제어부(43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구성 장치 제어 신호를 안테나(400)를 통해 차량 경보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LCD 디스플레이부(450)는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구성 장치 상태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부(430)의 제어 명령으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경보음 발생부(440)는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구성 장치 상태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부(430)의 제어 명령으로 경보음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46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구성 장치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430)로 보낸다.
도6은 차량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콜(Car-Call)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차량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콜(Car-Call)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은 하기의 순서에 따른다.
상기 카콜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암호 설정을 하기 위한 준비를 확인한다(S500). 예를 들면, 상기 카콜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 열쇠가 턴온(Turn-On) 상태임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카콜 시스템은 카콜부로부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암호 설정 시작 신호를 감지한다(S510). 예를 들면, 입력되는 상기 암호 설정 시작 신호는 미리 정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한 일정 회수의 노크를 입력받는다. 이후 상기 카콜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암호 설정 시작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킨다(S520).
또한 상기 카콜 시스템은 카콜부로부터 사용자가 정한 일정 자리수의 암호에 알맞은 신호를 감지한다(S530). 예를 들면, 피에조 부저를 이용한 암호에 알맞은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은 첫 번째 자리의 수만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노크를 감지한 후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노크의 회수를 값으로 인식하고, 그 다음 자리의 수만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노크를 감지하는 것을 사용자가 정한 일정 자리수 만큼 반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광센서를 이용한 암호에 알맞은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은 암호 설정 시작에 해당하는 신호를 감지한 후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정한 일정 자리수의 알맞은 신호를 감지하고 암호 설정 종료에 해당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콜 시스템은 상기 암호가 정상적으로 입력 완료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암호를 저장한다(S540). 여기서 암호를 저장하는 수단은 시스템의 내부 메모리 등 어떤 저장 매체나 장치라도 관계없다. 상기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은 최초의 암호 설정 이후 암호의 변경 및 재설정 시에도 적용된다.
도7은 차량의 구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카콜(Car-Call)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차량의 구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카콜(Car-Call)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은 하기의 순서에 따른다.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암호 확인 시작 신호를 감지한다(S600). 예를 들면, 상기 카콜 시스템은 카콜(Car-Call)부로부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암호 확인 시작 노크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카콜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암호 확인 시작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킨다(S610).
상기 카콜 시스템은 카콜(Car-Call)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자리수의 암호에 알맞은 신호를 감지한다(S620). 또한 상기 카콜 시스템은 상기 암호가 정상적으로 입력 완료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킨다(S630).
마지막으로, 상기 확인용 경보음이 발생한 후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나면 차량의 구성 장치를 작동한다(S640). 예를 들면, 상기 카콜 시스템은 상기 확인용 경보음이 발생한 후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나면 차량의 문을 개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카콜 시스템에 암호를 설정 및 확인하는 기능을 포함시켜, 차량의 사용자가 차량의 키나 원격 조정 장치를 차량 내부에 놓고 문이 잠겼을 경우에 차량의 키나 원격 조정 장치 없이 차량의 문 및/또는 차량의 구성 장치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용자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차량을 통해서 직접 차량의 사용자와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키나 원격 조정 장치 없이도 차량의 주요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효과도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콜 시스템 장치의 구성도
도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부저를 이용한 카콜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
도3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카콜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
도4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콜 시스템의 제어 기능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5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콜 시스템의 원격 조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6은 차량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7은 차량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카콜부 202… 피에조 부저
220… 제어부 250… 무선 신호 송신부
260… 무선 신호 수신부 270… 안테나

Claims (16)

  1. 차량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콜(Car-Call)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및 확인 장치에 있어서,
    일정 형식으로 차량에 가해지는 암호 표현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카콜(car-call)부;
    상기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암호 설정 시작 신호이면 입력된 암호 표현에 상응하는 암호를 저장하고, 암호 확인 시작 신호이면 입력된 암호 표현이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차량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분석 결과 차주 호출이 필요하면 사용자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사용자 호출 신호를 무선으로 사용자의 원격 조정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원격 조정 장치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차량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및 확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콜(Car-Call)부는 노크 소리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및 확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피에조 부저(Piezzo Buzzer), 충격센서 및 콘덴서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및 확인 장치.
  4. 삭제
  5. 삭제
  6. 차량 구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콜(car-call)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암호 설정을 하기 위한 준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암호 설정 시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암호 설정 시작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정한 일정 자리수의 암호에 상응하는 노크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가 정상적으로 입력 완료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암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은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암호 설정 시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암호 설정 시작 신호는 미리 정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한 일정 회수의 노크를 입력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정한 일정 자리수의 암호에 알맞은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첫 번째 자리의 수만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노크를 감지한 후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노크의 회수를 값으로 인식하고, 그 다음 자리의 수만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노크를 감지하는 것을 사용자가 정한 일정 자리수 만큼 반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은 초기 암호 설정 시 및 암호 설정 이후 암호 변경 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설정 방법.
  12. 차량 구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콜(car-call)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암호 확인 시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한 상기 암호 확인 시작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미리 설정된 일정 자리수의 암호에 상응하는 노크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암호가 정상적으로 입력 완료되면 확인용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확인용 경보음이 발생한 후 차량의 구성 장치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은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암호 확인 시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암호는 미리 정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한 일정 회수의 노크를 입력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 자리수의 암호에 알맞은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첫 번째 자리의 수만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노크를 감지한 후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노크의 회수를 값으로 인식하고, 그 다음 자리의 수만큼 일정 간격으로 노크를 감지하는 것을 미리 설정된 일정 자리수 만큼 반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암호 확인 방법.
  16. 삭제
KR10-2002-0052420A 2002-09-02 2002-09-02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 KR10048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420A KR100489004B1 (ko) 2002-09-02 2002-09-02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
AU2003261620A AU2003261620A1 (en) 2002-09-02 2003-09-02 User password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r-call
PCT/KR2003/001789 WO2004021734A1 (en) 2002-09-02 2003-09-02 User password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r-call
CN03820798.2A CN1706214B (zh) 2002-09-02 2003-09-02 使用汽车呼叫的用户口令装置及方法
RU2005105944/09A RU2299139C2 (ru) 2002-09-02 2003-09-02 Устройство пароля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пособ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ы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JP2004532447A JP2005537174A (ja) 2002-09-02 2003-09-02 カーコールを利用した使用者暗号装置及び方法
US11/070,046 US20050179588A1 (en) 2002-09-02 2005-03-01 User password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r-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420A KR100489004B1 (ko) 2002-09-02 2002-09-02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853A KR20020077853A (ko) 2002-10-14
KR100489004B1 true KR100489004B1 (ko) 2005-05-11

Family

ID=2772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420A KR100489004B1 (ko) 2002-09-02 2002-09-02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5537174A (ko)
KR (1) KR100489004B1 (ko)
CN (1) CN1706214B (ko)
AU (1) AU2003261620A1 (ko)
RU (1) RU2299139C2 (ko)
WO (1) WO200402173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695A (ja) * 1995-02-20 1996-08-27 Fujitsu General Ltd ドア錠システム
JPH11336393A (ja) * 1998-05-26 1999-12-07 Omron Corp 自動車のドアの解錠制御システム
KR20010083558A (ko) * 2000-02-16 2001-09-01 정명식 이동 전화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8511A (ko) * 2001-12-12 2003-06-25 김진락 광전소자를 이용한 도어로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7453A (ja) * 1988-08-22 1990-02-27 Nec Corp 自動車用施錠システム
KR940002908B1 (ko) * 1991-09-27 1994-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원격도난경보시스템을 갖춘 카스테레오장치 및 도난경보방법
US5557254A (en) * 1993-11-16 1996-09-17 Mobile Security Communications, Inc. Programmable vehicl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having multiple access verification devices
US6191682B1 (en) * 1996-06-19 2001-02-20 Carl L. Wolfgang Keyless entry system and sensor therefor
JPH11212923A (ja) * 1998-01-22 1999-08-06 Hitachi Ltd 金融取引における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CN2326486Y (zh) * 1998-03-16 1999-06-30 祝永林 汽车防盗无线遥控密码电磁锁
CA2300021C (en) * 1999-03-05 2005-12-27 9068-7005 Quebec Inc. Knocking activated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mechanical device responsive to a control sig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695A (ja) * 1995-02-20 1996-08-27 Fujitsu General Ltd ドア錠システム
JPH11336393A (ja) * 1998-05-26 1999-12-07 Omron Corp 自動車のドアの解錠制御システム
KR20010083558A (ko) * 2000-02-16 2001-09-01 정명식 이동 전화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8511A (ko) * 2001-12-12 2003-06-25 김진락 광전소자를 이용한 도어로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37174A (ja) 2005-12-08
CN1706214A (zh) 2005-12-07
WO2004021734A1 (en) 2004-03-11
RU2005105944A (ru) 2005-08-27
AU2003261620A1 (en) 2004-03-19
CN1706214B (zh) 2010-04-28
RU2299139C2 (ru) 2007-05-20
KR20020077853A (ko) 200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3000B1 (en) Wireless rolling code security system
US10235820B2 (en) Method for safely unlocking and/or locking a vehicle
US6441719B1 (en) Remote signaling device for a rolling code security system
US10115296B2 (en) In-field sensor programming
WO2001052561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US72811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security device
KR10194523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154997B (zh) 车载控制设备、终端设备、车辆控制程序更新方法及系统
CN206841377U (zh) 一种汽车远程控制车门锁和启动的装置
KR100711214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US20050179588A1 (en) User password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r-call
KR100489004B1 (ko) 카콜을 이용한 사용자 암호 장치 및 방법
JP2004502061A (ja) 車両用の駐車スペースの遮断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2256809C (en) Biometric input device for security system
JP2007334586A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60035951A (ko) 디지털 도어락에서의 무선 송수신기 등록 및 삭제 방법
KR100632303B1 (ko) 차량 도난 자동호출시스템
KR20100073586A (ko) 건설기계의 도난 방지장치
KR940002908B1 (ko) 원격도난경보시스템을 갖춘 카스테레오장치 및 도난경보방법
US20230195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hardware token reader
KR0171831B1 (ko) 버스방식을 이용한 집합주택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및 방법
TWI420422B (zh) Control method of somatosensory access control system
KR20110000997A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
KR200347820Y1 (ko) 지문인식을 통한 차량도난방지시스템
KR100360070B1 (ko)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의 모니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915

Effective date: 200707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915

Effective date: 2007073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221

Effective date: 200806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730

Effective date: 200906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