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669B1 - 카드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669B1
KR100485669B1 KR10-2001-0019498A KR20010019498A KR100485669B1 KR 100485669 B1 KR100485669 B1 KR 100485669B1 KR 20010019498 A KR20010019498 A KR 20010019498A KR 100485669 B1 KR100485669 B1 KR 10048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nector body
connector
cas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541A (ko
Inventor
이께모또신이찌
모가미도모유끼
Original Assignee
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9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53Electrical connectors with latch rod to be retainingly received by opening of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정보가 기록된 카드(2)를 삽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커넥터본체(5)를 카드(2)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에 부착하고, 용수철 SP1, SP2에 의해 커넥터본체(5)를 상시 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付勢)한다. 커넥터 본체 부착부(120)에는 커넥터본체(5)가 카드(2)의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에 용수철(142)에 의해 우측에 부세된 잠금부재(143)에 의해 걸리는 피잠금부(125)를 형성하여, 잠금부재(143)는 스위치(147)가 조작되었을 때에 솔레노이드(140)에 의해 흡인되어 왼쪽으로 움직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카드커넥터{CARD CONNECTOR}
본 발명은 정보가 기록된 카드를 수용 유지하고, 이 카드와 정보전달을 하기 위한 카드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카드로서, 그 표면에 평면형상 콘택트가 형성되고, 카드를 커넥터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의 단자와 카드의 평면형상 콘택트를 당접 접촉시켜, 카드커넥터를 통하여 카드와의 정보전달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카드의 접속에 이용되는 종래의 카드커넥터는 우선 삽입 부착한 카드가 정보의 전달중에 커넥터로부터 탈락하거나, 잘못하여 손으로 뽑아 내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커넥터의 속까지 카드를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이대로는 정보전달이 종료한 카드의 취출이 어렵기 때문에, 이 취출을 쉽게 하기 위해서, 카드를 커넥터로부터 취출 방향으로 배출 이동시키는 배출기구가 커넥터에 부속되어 마련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카드커넥터는 통상,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커넥터측의 콘택트와 카드의 평면형상 콘택트가 당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때, 커넥터측의 콘택트에 의해 카드가 압압 유지 된다. 이 때문에, 배출기구는 이러한 커넥터측의 콘택트에 의한 압압 유지력에 대항하여 카드를 밀어내기에 충분한 힘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고, 배출기구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배출기구로서는 용수철력을 이용하여 카드를 밀어내는(또는 끌어내는)타입의 것,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카드를 반송시키는 타입의 것 등이 있지만, 큰 용수철력을 필요로 하거나, 큰 회전구동력을 갖는 대형의 모터를 필요로 하거나 하기 때문에, 어느 경우라도 장치가 대형화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삽입된 카드의 탈락을 방지하여 확실한 정보전달성을 확보하면서, 장치를 경량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카드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터는 정보가 기록된 카드를 삽탈 가능하게 유지하여 이 카드와 정보전달을 행하는 커넥터본체와, 커넥터본체를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를 가지고 구성되고, 케이스에 대하여 커넥터본체를 제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카드 삽탈 위치에 커넥터본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커넥터본체에 대한 카드의 삽입 및 제거를 행하여, 케이스에 대하여 커넥터본체를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카드 사용위치에 있어서 커넥터본체에 카드를 수용 유지하여 정보전달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본체는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의 삽입시에는 카드 삽탈 위치에 위치한 커넥터본체가 카드의 삽입력에 눌려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카드 사용위치까지 이동된다. 그리고, 이 카드 사용위치에 있어서 커넥터본체에 수용 유지된 카드에 대한 정보전달이 카드커넥터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카드에 대한 정보전달이 행하여질 때에, 카드는 카드 사용위치까지 삽입되어 케이스의 안쪽에 수납되게 되고, 정보 전달 중에 카드가 잘못하여 삽탈되거나, 탈락하거나 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한, 카드를 제거할 때에는, 우선 커넥터본체가 카드 삽탈 위치까지 이동되어 카드가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한 카드를 손으로 집어 인출하면 카드를 간단히 집어낼 수 있다.
더욱이, 부세부재(여기서, "부세"는 "付勢"로 표기되며 "힘을 가하다"라는 뜻의 한자어로서, 이하에서는 "부세부재"는 "힘을 가하는 부재"로, "부세되다"는 "한 쪽으로 밀리도록 힘이 가해지다"는 뜻으로 쓰임)에 의해 카드를 압출하여(또는 인출하여) 이것을 배출시키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그 부세부재는 콘택트에 의한 카드의 협지력에 대항하여 카드를 압출하는(또는 인출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부세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되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넥터본체에 의해 카드를 협지한 상태대로 커넥터본체를 카드 삽탈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켜 카드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카드를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힘은 작은 힘으로도 되고, 카드배출기구를 소형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카드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본체를 상시 카드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수철 SP1, SP2)와, 커넥터본체를 카드 사용위치에 있어서 유지하는 잠금 수단(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잠금부재(143) 및 커넥터 본체 설치부재(120)에 형성된 피 잠금부(125))와, 잠금 수단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140))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본체는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부세부재에 의해 상시 카드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의 삽입시에는 그 카드의 삽입력에 눌려 커넥터 본체자체가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고, 카드 사용위치에 있어서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카드는 케이스의 안쪽에 수납되게 되어, 정보전달 중에 카드가 탈락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확실한 정보전달성이 확보된다. 또한, 카드의 제거시에는 잠금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잠금은 해제되고, 커넥터본체자체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서 카드의 제거 방향에 카드 삽탈 위치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카드의 취출에 곤란은 없고, 카드의 취출 조작성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더욱이, 부세부재에 의해 카드를 압출하여(또는 인출하여) 이것을 배출시키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그 부세부재는 콘택트에 의한 카드의 협지력에 대항하여 카드를 압출하는(또는 인출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부세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되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부세부재는 커넥터본체를 카드의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만 가지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장치전체를 경량 또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구에 의한 카드의 배출은 잠금해제후의 부세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드를 강제적으로 배출방향에 압출하는 기구와 달리, 카드의 배출조작시에 잘못하여 카드를 삽입 방향으로 압착하여 버린 경우라도 배출기구를 파손시킬 염려가 없고, 안전성이 높다.
여기서, 부세부재가 압축 또는 인장 코일 용수철로 구성되어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케이스의 측부와 커넥터본체의 측부를 연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부세부재를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세부재가 비틀림 코일 용수철로 구성되고, 카드의 삽입 방향 이동시에 케이스의 벽면과 근접하는 커넥터본체의 단부와 케이스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개장(介裝)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하면, 부세부재를 케이스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세부재를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시킬 수 없고, 케이스 내에 마련하여야 할 때에는 특히 유효하다.
더욱이, 잠금 수단은 케이스측의 걸림부재(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잠금부재(143))에 커넥터본체 측의 피 걸림부재(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 특히 이 부재(120)에 형성되는 피 잠금부(125)를 걸리게 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게 되어 있고, 잠금해제 수단은 전기력을 이용하여 걸림부재를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을 해제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잠금 수단은 케이스측의 걸림부재에 커넥터본체 측의 피 걸림부재를 걸리게 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게 되어 있고, 잠금해제수단은 걸림부재를 수동조작에 의해 이동시켜 상기 걸림을 해제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면 간단한 기구로 커넥터본체의 소정위치에의 유지 및 그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동에 의해 잠금을 해제하는 기구로서는 잠금해제의 조작부가 카드삽입구의 측방에 마련됨과 동시에, 배출조작시에는 이 조작부를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압압하게 되어 있고, 카드의 배출조작시, 카드를 삽입 방향으로 압입해 버린 염려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의 배출은 부세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수동조작에 의해 카드를 배출하는 기구를 채용하여도 파손의 염려가 없고, 안심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터를 정보가 기록된 카드를 삽탈 가능하게 유지하여 이 카드와 정보전달을 행하는 커넥터본체와, 커넥터본체를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와,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로 구동되어 커넥터본체를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커넥터본체이동기구(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랙(328) 및 피니언(342)를 가지고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본체는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커넥터본체를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의 삽입에 따라서 커넥터본체자체를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드 사용위치에 있어서 이것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드는 케이스의 안쪽에 수납되게 되고, 정보전달 중에 카드가 탈락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확실한 정보전달성이 확보된다. 또한, 카드의 제거시에 있어서도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커넥터본체를 카드의 제거 방향으로 카드 삽탈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드의 취출에 곤란은 없고, 카드의 취출 조작성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더욱이, 전동 모터에 의해 롤러부재 등을 구동하여 카드를 삽탈시키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그 전동 모터는 콘택트에 의한 카드의 협지력에 대항하여 카드를 반송할 수 있는 정도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되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전동 모터는 커넥터본체를 카드의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되고, 그 사이즈를 작게 하여 장치전체를 경량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의 사이즈가 작게 되기 때문에 소비전력도 작게 되어, 사용코스트의 삭감도 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의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제1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은 이 카드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동 카드커넥터를 도 1의 화살표 II-II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동 카드커넥터를 도 1의 화살표 III-III에서 본 측면도(단, 화살표 III-III에서 본 것을 90도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시한다)이다. 이 카드커넥터는 정보가 기록된 카드(2)를 삽탈 가능하게 유지하여 이 카드(2)와 정보전달을 하는 커넥터본체(5)가 케이스(100)에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 4는 이 카드커넥터로부터 커넥터본체(5)만을 집어내어 카드(2)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카드(2)는 정보가 기록되는 IC 칩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카드(2)의 이면에는 이 IC 칩과 연결되는 평면형상 콘택트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카드(2)의 삽탈 방향(도 1 및 도 4에 있어서의 화살표A의 방향)을 카드커넥터의 전후방향, 카드(2)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정의한다. 더욱이, 카드(2)의 삽입 방향(화살표A가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5)의 하우징(10)은 본체 부재(11)과 그 위 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지는 커버부재(12)와로 이루어져 있고, 본체부재(11)에는 제1 및 제2 콘택트(40, 50)(모두 복수)와 제1 및 제2 스위치부재(60, 70)가 배치 설계되어 있다(도 1 및 도 5참조). 하우징(10)의 본체부재(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底壁)(21)과, 이 저벽(21)의 후단에 있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후벽(後壁)(22)과, 저벽(21)의 좌우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좌우 측벽(23, 24)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저벽(21), 후벽(22), 좌우 측벽(23, 24) 및 커버부재(12)는 카드(2)의 수용공간(13)을 형성하고 있고(단, 후벽(22)의 중앙은 개구하고 있다), 이 수용공간(13)의 전방의 개방부분으로부터 카드(2)가 삽입된다.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21)의 거의 중앙부 및 좌우측방부(측벽(23, 24)의 안쪽)에는 상방으로 돌출하여 커버부재(12)의 하면(12a)과 소정 간격 떨어진 표면을 갖는 중앙대 형상부(25) 및 좌우의 측방대 형상부(26, 27)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2)는 수용공간(13)내의 중앙대 형상부(25), 측방대 형상부(26, 27)와 커버부재(12)의 하면(12a) 사이에 삽입되지만, 측방대 형상부(26, 27)의 각 표면과 커버부재(12)의 하면(12a)은 카드(2)를 원활하게 삽입시키기 위한 가이드홈(28, 29)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본체부재(11)에 있어서의 좌우 측벽(23, 24)에는 커버부재(12)를 부착시키기 위한 절결(30, 31)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중앙대 형상부(25)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제1 콘택트(40)를 부착시키기 위한 제1홈(32)(4개소)와, 4개의 제2 콘택트(50)를 부착시키기 위한 제2홈(33)(4개소) 및 제3홈(34)(4개소)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제1홈(32)은 중앙대 형상부(25)의 후반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2홈(33)은 중앙대 형상부(25)의 전반에 위치하고 있고, 양 홈(32, 33)은 서로 중심축을 일치시켜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3홈(34)은 전후에 나란한 양 홈(32, 33)의 우측(도 5으로서는 지면의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더욱이 중앙대 형상부(25)의 후 좌측에는 제1 스위치부재(60) 및 제2 스위치부재(70)를 중앙대 형상부(25)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공간(35) 및 제2 공간(36)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1홈(32)은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홈(32a)과, 이 상단홈(32a)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단홈(32a)보다·도 폭이 좁은 하단홈(32b)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고, 하단홈(32b)의 하부(단, 후단측의 일부만)에는 이 하단홈(32b)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된 제1 콘택트 부착홈(32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홈(3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홈(32)의 하단홈(32b)과 같은 깊이를 가지고 있고, 그 하부(단, 전단측의 일부만)에는 제2홈(33)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된 제2 콘택트 부착홈(33a)이 마련되어 있다(도 2참조). 또한, 제3홈(34)은 제1홈(32)의 상단홈(32a)과 같은 깊이를 가지고 있다.
제1 콘택트(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콘택트 부착홈(32c)에 압입 고정된 고정부(41)와, 고정부(41)로부터 후하방으로 굴곡하여 저벽(21)의 후방으로 연장된 리드부(42)와, 고정부(41)로부터 전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43)와, 이 연결부(43)와 접속하는 V 자 아암부(4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V 자 아암부(44)는 기부(45)로부터 전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제1 아암부(46)와 상기 기부(45)로부터 후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제2 아암부(47)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아암부(46)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48)가 상기 연결부(43)와 접속하고 있다(제2 아암부(47)는 고정부(41)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 콘택트(40)의 고정부(41) 및 연결부(43)의 하부는 하단홈(32b)에, 또한 연결부(43)의 상부 및 V 자 아암부(44)는 상단홈(32a)에 각각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콘택트(40)는 고정부(41)보다 상방의 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하지만, 기부(45)의 폭은 상단홈(32a)의 폭보다 좁고, 또한, 하단홈(32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단홈(32a)의 저면(32d)에 당접하고 하방으로의 변위가 구속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48)는 수용공간(13)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제2 아암부(47)의 선단부가 거의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압압부 (47a)는 수용공간(13)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콘택트(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콘택트 부착홈(33a)에 압입 고정된 고정부(51)와, 고정부(51)로부터 전하방으로 굴곡하여 저벽(21)의 전방으로 연장된 리드부(52)와, 고정부(5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반환하고, 더욱이 전상방에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53)와, 이 연결부(53)와 접속하는 V 자 아암부(5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V 자 아암부(54)는 기부(55)로부터 전상방로 비스듬히 연장된 제1 아암부(56)와 상기 기부(55)로부터 후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제2 아암부(57)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아암부(56)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58)가 상기 연결부(53)와 접속하고 있다(제1 아암부(56)는 고정부(51)의 후상방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콘택트(50)의 V 자 아암부(54)의 제1 아암부(56)는 접촉부(58)로부터 기부(55)를 향해서 우측에 굴곡하여(도 5에서는 지면의 상방측에 굴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콘택트(50)의 고정부(51) 및 연결부(53)는 제2홈(33)에 제1 아암부(56)는 제2홈(33)과 제3홈(34)에 걸쳐지고, 또한 기부(55) 및 제2 아암부(57)는 제3홈(34)에 각각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콘택트(50)는 고정부(51)보다 상방의 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하지만, 기부(55)는 제3홈(34)의 저면(34a)에 당접하여 하방에의 변위가 구속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58)는 수용공간(13)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제2 아암부(57)의 선단부가 거의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압압부(57a)는 수용공간(13)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콘택트(50)의 접촉부(58) 및 고정부(51)가 제1 콘택트(40)의 접촉부(48) 및 고정부(4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 설계됨과 동시에, 제2 콘택트(50)의 제1 아암부(56)가 우측으로 굴곡하여 제1 콘택트(40)의 제2 아암부(47) 및 제2 콘택트(50)의 제2 아암부(57)가 서로 평행하게, 또한,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나란하게 배치 설계되기 때문에, 제1 콘택트(40)의 접촉부(48)와 제2 콘택트(50)의 접촉부(58)를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 설계하는 한편으로, 양 콘택트(40, 50)의 압압부(47a, 57a)를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도 5참조).
제1 스위치부재(60)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간(35) 및 제2 공간(36)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있고, 도 10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도 10에서는 하우징(10)의 본체부재(11)는 생략하고 있다), 제1 공간(35)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스위치부재 부착홈(35a)에 압입 고정된 고정부(61)와, 고정부(61)로부터 후하방으로 굴곡하여 저벽(21)의 후방으로 연장된 리드부(62)와, 고정부(61)로부터 수평전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방측으로 반환되어 수평후방으로 연장된 제1 아암부(63)와, 제1 아암부(63)의 후단으로부터 후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아암부(64)와, 제2 아암부(64)의 상단에서 하방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좌측(제2 스위치부재(70)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 아암부(65)와, 제3 아암부(65)의 좌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하단에서 수평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접촉부(6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공간(35) 및 제2 공간(36)의 후부에는 상방으로 개구한 절결(37)이 마련되어 있고, 제2 아암부(64)는 이 절결(37)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수용공간(13) 내에 위치하고, 접촉부(66)는 제2 공간(36)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스위치부재(70)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공간(36)내에 마련되어 있고, 제2 공간(36)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스위치부재 부착홈(36a)에 압입 고정된 고정부(71)와, 고정부(71)로부터 후하방으로 굴곡하여 저벽(21)의 후방으로 연장된 리드부(72)와, 고정부(71)로부터 수평전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방측으로 반환되어 수평후방으로 연장된 아암부(73)와, 이 아암부(73)의 상면에 볼록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부(7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스위치부재(70)의 접촉부(74)는 제1 스위치부재(60)의 접촉부(66)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부재(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상에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측방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훅(미도시)을 갖는 복수의 아암부(12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부재(12)를 본체부재(11)의 상방으로부터 씌우면 상기 아암부(12b)의 훅이 본체부재(11)의 좌우 측벽(23, 24)에 형성된 절결(30, 31)에 걸리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커버부재(12)를 본체부재(1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커넥터는 양 콘택트(40, 50)의 리드부(42, 52) 및 양 스위치부재(60, 70)의 리드부(62, 72)가 도 1에 도시한 기판(6)의 단자패턴에 표면 실장되고, 그 기판(6)의 후부로부터는 배선(7)(FPC 또는 FFC 인 것이 바람직하다)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형상의 기대(110)의 상방으로, 역 L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의 측방지지부재(111, 112)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전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한 돌기부(113a, 114a)가 형성된 좌우의 하면지지부재(113, 114)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것들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커넥터본체(5)가 전후방향(즉 카드(2)의 삽탈 방향)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커넥터본체(5)는 그 하면부가 좌우의 하면지지부재(113, 114)의 상면에 재치됨과 동시에 그 측면부가 좌우의 측방지지부재(111, 112)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측방지지부재(111, 112)에 형성된 돌기부(113a, 114a)는 커넥터본체(5)가 케이스(100)의 전방에서 탈락하지 않기 때문에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측방지지부재(111, 112)의 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홈(115, 116)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 홈(115, 116)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커넥터본체 부착부재(120)의 양측에 마련된 용수철 부착부(121, 122)가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좌우의 결합 볼록부(123, 124)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결합 볼록부(123, 124)가 도 4에 도시한 커넥터본체(5)의 하우징(10)에 형성된 좌우의 결합 오목부(15, 16)에 감합하여 양 부재(5, 120)가 결합된다.
이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는 그 양단의 용수철 부착부(121, 122)가 좌우의 측방지지부재(111, 112)의 측면에 마련된 용수철 부착부(117, 118)와 각각 카드(2)의 삽탈 방향(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용수철(압축 코일 용수철) SP1, SP2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이 때문에 커넥터본체(5)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시 전방(즉 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된 상태로 되어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평판형상의 피 잠금부(125)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피 잠금부(125)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좌측 모서리(126)의 앞부분에는 좌측으로 돌출한 돌기(127)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의 후방에는 구획판(130) 및 후벽(170)이 함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고, 이들 구획판(130)과 후벽(170) 사이에는 기대(110)의 상방으로 기대(110)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마루부재(180)가 마련되어 있다(따라서 기대(110)의 표면과 마루부재(180)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빈틈이 존재하고, 배선(7)은 이 틈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한다). 이들 구획판(130), 후벽(170) 및 마루부재(18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내에는 솔레노이드(140)와, 이 솔레노이드(140)의 통전시에 좌측으로 흡인되는 피스톤(141)과, 이 피스톤(141)의 우단부에 부착된 잠금부재(143)와, 솔레노이드(140)와 잠금부재(143) 사이에 마련되어 잠금부재(143)를 상시 우측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42)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잠금부재(143)는 그 상면과 우측면이 개방상태로 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판(144)은 구획판(130)에 대하여 평행하게 마련된다.
잠금부재(143)는 상기 용수철(142)에 의해 우측에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140)의 비통전시에는 우측의 위치에 위치하지만(잠금부재(143)의 용수철(142)에 의한 우측 움직임은 스토퍼(146)에 의해 제한된다), 솔레노이드(140)에 통전이 행하여져 피스톤(141)이 좌측으로 흡인되었을 때에는 용수철(142)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좌측의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솔레노이드(140)의 온 오프제어(솔레노이드(140)에의 통전 및 비통전제어)는 케이스(100) 외에 마련된 스위치(147)의 조작에 의해 행하여지고, 스위치(147)가 조작되지 않을 때에는 솔레노이드(140)에의 통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잠금부재(143)는 우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스위치(147)가 조작되어 있을 때에는 솔레노이드(140)에 통전이 이루어져 잠금부재(143)는 좌측의 위치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30) 및 잠금부재(143)의 전방판(144)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홈(131, 145)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양 홈(131, 145)은 모두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에 형성된 상기 피 잠금부(125)의 좌우폭보다도 큰 두께 및 좌우폭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구획판(130) 측의 홈(131)은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에 피 잠금부(125)가 접촉하는 일 없이 이것을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잠금부재(143) 측의 홈(145)은 솔레노이드(140)가 온으로 잠금부재(143)가 좌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피 잠금부(125)가 접촉하는 일없이 이것을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도 11A 참조). 또한, 솔레노이드(140)가 오프로 잠금부재(143)가 우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홈(145)은 솔레노이드(140)가 온일 때 보다도 우측으로 어긋나고, 그 좌측 모서리(145a)는 구획판(130) 측의 홈(131)의 좌측 모서리(131a)보다도 우측의 위치에 위치한다(도 11B 참조).
이와 같이 잠금부재(143) 측의 홈(145)의 좌측 모서리(145a)가 구획판(130)측의 홈(131)의 좌측 모서리(131a)보다도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솔레노이드(140)가 오프의 상태)에서는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왔을 때에는, 피 잠금부(125)의 좌측 모서리(126)는 구획판(130)측의 홈(131)을 통과한 후 잠금부재(143)측의 홈(145)의 좌측 모서리(145a)에 당접한다(도 12A 참조). 그리고 용수철(142)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잠금부재(143)를 좌측으로 밀어 젖히면서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고(도 12B 참조), 피 잠금부(125)의 돌기(127)가 홈(145)의 통과가 끝났을 때에 피 잠금부(125)의 좌측 모서리(126)(돌기(127))와 홈(145)의 좌측 모서리(145a)와의 당접상태가 해방되고, 잠금부재(143)는 용수철(142)의 부세력에 의해 초기위치, 즉 우측의 위치에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피 잠금부(125)는 잠금부재(143)에 잠금된(걸린) 상태가 된다(도 12C 참조).
또한, 도 12A에 도시한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의 후면(120a)과 돌기(127)의 전면(127a) 사이의 거리 L1는 구획판(130)의 전면(130a)과 잠금부재(143)의 전방판(144)의 후면(144a) 사이에 거리 L2보다 약간 커지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고, 피 잠금부(125)가 잠금부재(143)에 걸린 상태에서는,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의 후면(120a)이 구획판(130)의 전면(130a)에 거의 당접한 상태로 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에는 후방으로 돌출한 돌기(128)가 마련되어 있고, 구획판(130)에는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에 이 돌기(128)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멍(132)의 후방에는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구획판(130)에 당접했을 때에 상기 구멍(132)을 통과한 돌기(128)에 의하여 압압되어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 스위치(16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160)로부터의 검출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입력되게 되어 있고, 이 제어장치는 이 검출신호를 받아 도시하지 않은 표시램프를 점등시킨다. 이 때문에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가 구획판(130)에 당접한 상태, 즉 피 잠금부(125)가 잠금부재(143)에 잠금된 상태는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30)의 후방영역에는 L자형의 요동 레버(151)가 핀(152)에 추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일단측의 조작부(151a)는 우측의 측방지지부재(112)의 측면에 전후로 연장되어 마련된 홈(153)으로부터 케이스(100)의 우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도 3도 참조). 이 요동 레버(151)의 타단측에는 좌우로 연장된 로드(154)의 우단부가 부착되어 있고, 이 로드(154)의 좌단부는 잠금부재(143)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동 레버(151)의 조작부(151a)를 후방으로 조작하면 로드(154)가 좌측으로 움직이고, 잠금부재(143)는 용수철(142)에 대항하여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의 카드커넥터에 카드(2)를 부착시키는 경우, 우선 카드(2)를 케이스(100)의 전방보다 도 1에 도시한 화살표A의 방향으로 삽입한다(도 16A 참조). 이것에 의해 카드(2)는 커넥터본체(5)의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홈(28, 29)에 의해 가이드되어 원활하게 수용공간(13)내에 인도된다.
카드(2)가 수용공간(13) 내에 삽입되면, 카드(2)의 선단부(후단부)(2a)는 제1 및 제2 콘택트(40, 50)의 압압부(47a, 57a)에 당접하고(도 13A, 도 14A 및 도 16B 참조), 이것에 의해 커넥터본체(5)는 케이스(100) 내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가 구획판(130)에 전방에서 당접한다. 이 때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에 형성된 피 잠금부(1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재(143)를 좌측으로 밀어 젖히도록 하여 구획판(130) 측의 홈(131) 및 잠금부재(143) 측의 홈(145)을 통과하고, 용수철(142)에 부세된 잠금부재(143)에 의해 잠금상태가 된다(도 16C 참조). 또한, 이것과 동시에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의 돌기(128)는 구획판(130)의 구멍(132)을 통하여 리미트 스위치(160)를 온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 전술한 표시램프가 점등한다.
또한, 이와 같이 피 잠금부(125)가 잠금부재(143)에 잠긴 상태에서는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의 후면은 구획판(130)의 전면에 당접하고 있고,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는 그 이상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카드(2)의 선단부(후단부)(2a)는 제1 및 제2 콘택트(40, 50)의 압압부(47a, 57a)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양 콘택트(40, 50)의 V 자 아암부(44, 54)는 기부(45, 55)를 지점으로서 요동되고, 접촉부(48, 58)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양 접촉부(48, 58)는 카드(2)의 평면형상 콘택트에 당접 접촉한다(도 13B, 도 14B 참조 및 도 16D 참조). 또한, 평면형상 콘택트는 접촉부(48, 58)와 당접한 후에도 카드(2)의 압입에 따라 약간 뒷쪽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양 콘택트사이에는 와이핑 효과가 작용하여, 접촉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카드(2)가 수용공간(13)내에 삽입부착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콘택트(40, 50)는 카드(2)에 의해 강제적으로 탄성 변형시켜진 상태이기 때문에, 압압부(47a, 57a)는 카드(2)의 선단부(2a)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하우징(10)의 커버부재(12)의 하면(12a)에 압착한다. 이 때문에 카드(2)의 선단부(2a)는 양 콘택트(40, 50)의 압압부(47a, 57a)와 커버부재(12)의 하면(12a)에 의하여 협지된다(도 13B, 도 14B 참조). 이것에 의해 카드(2)는 수용공간(13) 내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카드(2)가 수용공간(13) 내에 삽입 부착되면, 카드(2)의 선단부(2a)는 제1 스위치부재(60)의 제2 아암부(64)에 당접하고(도 15A 참조), 이것을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이것에 의해 제1 스위치부재(60)는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66)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2 스위치부재(70)의 접촉부(74)에 당접 접촉한다(도 15B 참조). 이와 같이 카드(2)의 삽입 부착 상태에서는 양 스위치부재(60, 7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온이 되고, 카드(2)와 카드커넥터(5)는 평면형상 콘택트와 제1 및 제2 콘택트(40, 50)과의 당접 접촉부를 통하여 정보의 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카드(2)와 카드커넥터 사이의 정보전달이 종료한 후 카드(2)를 배출시키기에는 전술한 스위치(147)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140)를 온으로 한다(순간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솔레노이드(140)는 피스톤(141)을 좌측으로 흡인하기 때문에 잠금부재(143)는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잠금부재(143) 측의 홈(145)은 도 11A와 같이 피 잠금부(125)가 접촉하는 일없이 이것을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지만,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는 용수철 SP1, SP2에 의해 상시 전방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143)와 피 잠금부(125)와의 계합은 어긋나고,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는 용수철 SP1, SP2에 의해 전방으로 압출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본체(5)는 카드(2)를 수용공간(13) 내에 유지한 채로 케이스(100) 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카드(2)는 케이스(100)의 전방으로 돌출하여 배출상태로 된다(도 16 E 참조).
카드(2)가 카드커넥터로부터 제거되면, 양 콘택트(40, 50) 및 양 스위치부재(60, 70)는 강제적인 탄성 변형상태로부터 해방되어 카드(2)의 삽입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즉 양 접촉부(48, 58)는 수용공간(13)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고, 양 압압부(47a, 57a)는 수용공간(13)내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및 제2 스위치부재(60, 70)의 양 접촉부(66, 74)는 이간하고, 전원은 오프로 된다.
또한, 카드(2)를 배출시킬 때에 솔레노이드(140)가 고장 등으로, 잠금부재(143)를 전기적으로 구동(전자구동)할 수 있을 때에는, 수동에 의하여 요동 레버(151)의 조작부(151a)를 후방으로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요동 레버(151)는 핀(152) 둘레에 요동하고, 로드(154)가 용수철(142)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잠금부재(143)를 좌측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록이 빠지고, 카드(2)를 집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의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본체(5)는 케이스(10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카드(2)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부세부재인 용수철SP1, SP2에 의해 상시 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2)의 삽입시에는 그 카드(2)의 삽입력에 눌려 커넥터본체(5) 자체가 카드(2)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잠금 수단인 잠금부재(143) 및 피 잠금부(125)에 의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카드(2)는 케이스(100)의 안쪽에 수납되게 되어, 정보전달 중에 카드(2)가 탈락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확실한 정보전달성이 확보된다. 또한, 카드(2)의 제거시에는 록해제수단인 솔레노이드(140)에 의해 상기 록은 해제되고, 커넥터본체(5) 자체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서 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카드(2)의 취출에 곤란은 없고, 카드(2)의 취출 조작성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더욱이, 부세부재에 의해 카드를 압출하여(또는 인출하여) 이것을 배출시키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그 부세부재는 콘택트에 의한 카드의 협지력에 대항하여 카드를 압출하는(또는 인출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부세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되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부세부재(용수철 SP1, SP2)는 커넥터본체(5)를 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만 가지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장치전체를 경량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구에 의한 카드(2)의 배출은 록해제 후의 부세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드(2)를 강제적으로 배출방향으로 압출하는 기구와 다르고, 카드(2)의 배출 조작시에 잘못하여 카드(2)를 삽입 방향에 압착하여 버린 경우라도 배출기구를 파손시킬 염려가 없고, 안전성이 높다.
다음에, 제1의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카드커넥터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커넥터본체(5)를 케이스(200)에 있어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있지만, 이 케이스(200)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100)와 커넥터 본체 설치부(120)를 록하는 기구가 다를 뿐이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상기 케이스(100)와 같은 구성의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케이스(200)의 후방이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획판(130)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좌우로 연장된 후벽(270)이 마련되어 있다. 이 후벽(270)의 후방에는 판형상의 잠금부재(243)가 후벽(270)을 따라 좌우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이 잠금부재(243)가 후벽(27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용수철 지지부(272)와의 사이에 마련된 용수철(242)에 의해 상시 우측에 부세되어 있다. 여기서, 후벽(270)의 하부 모서리는 기판(110)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틈을 형성하고 있고, 커넥터본체(5)의 기판(6)으로부터 연장된 배선(7)은 이 틈을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서 통하고 있다.
후벽(270)의 우측에는 L자형의 요동 레버(251)가 핀(252)에 추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일단부(251a)는 우측의 측방지지부재(112)보다도 우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요동 레버(251)의 일단부(251a)에는, 우측의 측방지지부재(112)에 마련된 푸시 로드 유지부재(255, 256)에 유지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푸시 로드(257)의 후단부가 부착되어 있고, 이 푸시 로드(257)의 전단에 마련된 압압부(258)를 후방으로 압압함으로써 요동 레버(251)를 핀(252) 주위에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요동 레버(251)의 타단부(251b)에는 좌우로 연장된 로드(254)의 우단부가 부착되어 있고, 이 로드(254)의 좌단부에는 잠금부재(243)의 우단측이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푸시 로드(257)의 압압부(258)가 후방으로 압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로드(254)는 우측에 위치하고, 잠금부재(243)는 우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만(잠금부재(243)의 용수철(242)에 의한 우측 움직임은 스토퍼(246)에 의해 제한된다), 압압부(258)가 후방으로 압압되었을 때에는 로드(254)가 좌측으로 움직이고, 잠금부재(243)는 용수철(242)에 대항하여 좌측에 슬라이드 이동하고, 좌측의 위치에 위치한다.
후벽(270) 및 잠금부재(243)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홈(271, 245)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양 홈(271, 245)은 각각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홈(131, 145)과 같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양 홈(271, 245)은 모두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에 형성된 상기 피 잠금부(125)의 좌우 폭보다도 큰 두께 및 좌우 폭을 가지고, 후벽(270) 측의 홈(271)은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에 피 잠금부(125)가 접촉하는 일 없이 이것을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잠금부재(243) 측의 홈(245)은 피스톤로드(257)의 압압부(258)가 후방으로 압압 조작되어 잠금부재(243)가 좌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피 잠금부(125)가 접촉하는 일없이 이것을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있다. 또한, 압압부(258)가 후방에 압압 조작되지 않고 잠금부재(243)가 우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홈(245)은 압압부 (258)가 압압 조작 되어있을 때보다도 우측으로 어긋나, 그 좌측 모서리(245a)는 후벽(270) 측 홈(271)의 좌측 모서리(271a)보다도 우측의 위치에 위치한다(도 11에 도시한 관계와 마찬가지).
이와 같이 잠금부재(243) 측의 홈(245)의 좌측 모서리(245a)가 후벽(270) 측의 홈(271)의 좌측 모서리(271a)보다도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압압부(258)를 후방에 압압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해 온 때에는, 피 잠금부(125)의 좌측 모서리(126)는 후벽(270) 측의 홈(271)을 통과한 후 잠금부재(243) 측의 홈(245)의 좌측 모서리(245a)에 당접한다. 그리고 용수철(242)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잠금부재(243)를 좌측으로 밀어 젖히면서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고, 피 잠금부(125)의 돌기(127)가 홈(271)의 통과가 끝났을 때에 피 잠금부(125)의 좌측 모서리(126)(돌기(127))와 홈(245)의 좌측 모서리(245a)의 당접상태가 해방되고, 잠금부재(243)는 용수철(242)의 부세력에 의해 초기위치, 즉 우측의 위치에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피 잠금부(125)는 잠금부재(243)에 잠금된(걸린) 상태가 된다(도 12에 도시한 관계와 마찬가지).
이러한 구성의 카드커넥터에 카드(2)를 삽입 부착했을 때의 각 부재의 작동은 제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또한, 카드(2)를 배출할 때에는 피스톤로드(257)의 압압부(258)를 후방으로 압압 조작 하는 (일순간이라도 된다). 이것에 의해 로드(254)는 좌측으로 움직이고 잠금부재(243)는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잠금부재(243)와 피 잠금부(125)와의 계합은 빠지고,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는 용수철 SP1, SP2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본체(5)는 카드(2)를 수용공간(13) 내에 유지한 채로 케이스(200) 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카드(2)는 케이스(200)의 전방으로 돌출하여 배출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1의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이 카드커넥터의 평면도, 도 19는 동 카드커넥터의 하면도이다. 이 제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커넥터본체는 하우징의 형상이 약간 다르지만, 그 내부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와 같고, 전술한 커넥터본체(5)와 같은 부호를 부여함과 동시에,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카드커넥터는 상방으로 씌워 이용하는 커버부재를 가지고 있지만, 도시의 편의상, 여기서는 그 도면은 생략하고 있다.
이 제3의 실시형태에 도시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의 케이스(300)는 도 18,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공간의 테두리형상을 이루고 있고, 좌우 양측부에는 커넥터본체(5)를 전후방향(카드(2)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 본체 지지부(301, 301)가 형성됨 과 동시에, 이들 커넥터 본체 지지부(301, 301) 각각의 전방부분에는 커넥터본체(5)가 케이스(300) 외에 탈락하지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302, 302)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본체(5)의 하면에는 기판(6)(이 기판도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판(6)은 형상 등이 다르지만, 같은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가 마련되어 있고, 커넥터 본체(5)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판(6)의 후부에는 커넥터본체(5)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연장 설치부(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 설치부(6a)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벽부(310a)를 갖는 약 L자 형상의 앵글부재(31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앵글부재(310)에 있어서 저면 평판부(310b)의 우측단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돌기(3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311)는 후술하는 잠금부재(323)의 돌기(325)와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판(6)에서는 배선(7)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배선(7)은 케이스(300)의 후방에 마련된 배선 통과 구멍(303)보다 케이스(300)의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00)의 좌측 후방부에는 원주 형상의 용수철 부착돌기(304)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고, 이 용수철 설치돌기(304)에는 일단부(305a)가 케이스(300)의 후부 내벽에 전방에서 당접하여, 타단부(305b)가 상기 앵글부재(310)의 벽부(310a)에 후방에서 당접하도록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이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본체(5)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에 의해 상시 전방(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된 상태로 되어있다.
삭제
케이스(300)의 우측 후방부에 마련된 솔레노이드 부착부(306)에는 솔레노이드(32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320)의 전자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피스톤(321)(도 19참조)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좌단부에는 잠금부재(32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잠금부재(323)의 하면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한 돌출부(3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324)의 좌측 모서리부(도 19에서는 우측 모서리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좌측(도 19으로서는 우측)으로 돌출한 돌기(3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부재(323)의 상부에는 벽부(326)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고, 이 벽부(326)의 우측에는 용수철 부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용수철 설치 공간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용수철 부착 돌기(327)에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28)이 부착되어 있고, 그 일단부(328a)는 상기 벽부(326)에 우측으로부터 당접하고, 타단부(328b)는 솔레노이드(320)에 좌측에서 당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잠금부재(323)는 솔레노이드(320)에 대하여 상시 좌측에 부세된 상태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잠금부재(323)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28)에 의해 좌측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320)의 비통전시에는 좌측의 위치에 위치하지만(잠금부재(323)의 비틀림 코일 용수철(328)에 의한 왼쪽으로 움직임은 피스톤(321)의 좌단부에 마련된 스토퍼(322)에 의해 제한된다), 솔레노이드(320)에 통전이 행하여져 피스톤(321)이 우측으로 흡인되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2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우측의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솔레노이드(320)의 온 오프제어(솔레노이드(320)에의 통전 및 비통전제어)는 케이스(300) 외에 마련된 스위치(330)에 의해 행하여지고, 스위치(330)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솔레노이드(320)에의 통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잠금부재(323)는 좌측 위치에 위치하고, 스위치(330)가 조작되어 있을 때에는 솔레노이드(320)에 통전이 이루어져 잠금부재(323)는 우측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잠금부재(323)가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솔레노이드(320)가 오프의 상태)에서는 커넥터본체(5)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왔을 때에는 기판(6)과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는 앵글부재(310)의 돌기(311)는 잠금부재(323)의 돌기(325)에 전방에서 당접한다(도 20A 참조. 또한, 여기에 도시한 도 20은 하면도). 그리고 앵글부재(310)의 돌기(311)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2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잠금부재(323)의 돌기(325)를 우측(도 20에서는 좌측)으로 밀어 젖히면서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고(도 20B 참조), 앵글부재(310)의 돌기(311)가 잠금부재(323)의 돌기(325)의 위치의 통과가 끝났을 때에 앵글부재(310)의 돌기(311)와 잠금부재(323)의 돌기(325)와의 당접상태가 해방되어, 잠금부재(323)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28)의 부세력에 의해 초기위치, 즉 좌측(도 20으로서는 우측)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앵글부재(310)는 잠금부재(323)에 걸린 상태가 된다(도 20C 참조). 도 21에는 이와 같이 앵글부재(310)가 잠금부재(323)에 걸려 커넥터본체(5)가 후방위치에 잠금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단, 이것은 하면도).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6)의 전방부에서의 상면위치에는 스위치부(331a)를 전방으로 연장되어 위치시킨 제1의 리미트 스위치(331)가 마련되어 있고, 기판(6)의 연장 설치부(6a) 에서의 상면위치에는 스위치부(332a)를 좌측으로 연장하여 위치시킨 제2의 리미트 스위치(33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의 리미트 스위치(331)는 커넥터본체(5)가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에 의해 부세되어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스위치부(331a)가 케이스(300)의 전방부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스위치용 돌기(307)에 전방에서 당접하여, 내측(후방)으로 압입되어(도 18의 상태) 온 신호를 출력하고, 커넥터본체(5)가 이 위치에서 약간이라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는 스위치부(331a)가 스위치용 돌기(307)로부터 떠나, 중립위치에 위치하여 오프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2의 리미트 스위치(332)는 커넥터본체(5)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앵글부재(310)가 잠금부재(323)에 걸린 상태(도 21의 상태)에서는 스위치부(332a)가 케이스(300)의 좌측 후방부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스위치용 돌기(308)에 전방에서 당접하고, 안쪽(우측)으로 압입되어(도 21참조) 온신호를 출력하고, 커넥터본체(5)가 이 위치에서 약간이라도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스위치부(332a)가 스위치용 돌기(308)로부터 떠나, 중립위치에 위치하여 오프신호를 출력한다.
이들 양 리미트 스위치(331, 332)로부터의 온 오프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입력되게 되어 있고, 이 제어장치는 이 검출신호를 받아 도시하지 않은 표시램프를 점등시킨다. 이 때문에 커넥터본체(5)에 카드(2)가 삽입되어 있지 않고, 커넥터본체(5)가 전방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와, 앵글부재(310)가 잠금부재(323)에 걸려서 커넥터본체(5)가 후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각각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드커넥터에 카드(2)를 부착시키는 경우, 우선 카드(2)를 케이스(300)의 전방에서 도 18에 도시한 화살표A의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커넥터본체(5)는 카드(2)의 선단부에 눌려 케이스(300) 내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도 18에 도시한 커넥터본체(5)의 후방 양 측단부(5a, 5a)가 케이스(300)에 마련된 스토퍼(309, 309)에 당접한다. 이 때 기판(6)상의 앵글부재(310)는 그 돌기(311)에서 잠금부재(323)의 돌기(325)를 우측으로 밀어 젖히도록 하여 이동하고, 그 후 비틀림 코일 용수철(328)에 부세된 잠금부재(323)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록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제2의 리미트 스위치(332)는 온이 되고, 전술한 표시램프가 점등하여 카드(2)가 삽입상태로 된 것이 보고된다.
한편, 카드(2)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스위치(330)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320)를 온으로 한다(순간이라도 된다). 이것에 의해 솔레노이드(320)는 피스톤(321)을 우측으로 흡인하기 때문에 잠금부재(323)는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만, 커넥터본체(5)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에 의해 상시 전방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323)의 돌기(325)와 앵글부재(310)의 돌기(311)와의 계합은 빠지고, 커넥터본체(5)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에 의해 전방으로 압출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본체(5)는 카드(2)를 유지한 채로 케이스(300) 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카드(2)는 케이스(300)의 전방으로 돌출하여 배출상태가 된다.
또한, 카드(2)를 배출시킬 때에 솔레노이드(320)가 고장 등으로, 잠금부재(323)를 전기적으로 구동(전자구동)할 수 없을 때에는 잠금부재(323)에 있어서의 벽부(32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강제 배출 손잡이(329)를 손으로 잡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잠금부재(323)를 우측으로 움직여 돌기(323)와 돌기(311)와의 계합을 뗄 수 있고, 솔레노이드(320)가 고장나서 피스톤(321)이 움직지 않을 때라도 카드(2)의 배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제배출손잡이(329)는 이 카드커넥터에 전술의 커버부재를 부착한 상태에서도 조작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에는 이 강제배출손잡이(329)가 관통하고, 또한 강제배출에 필요한 정도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도,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와 같이, 커넥터본체(5)는 케이스(300)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드(2)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부세부재인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에 의해 상시 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2)의 삽입시에는 그 카드(2)의 삽입력에 눌려 커넥터본체(5) 자체가 카드(2)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잠금 수단인 앵글부재(310) 및 잠금부재(323)에 의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카드(2)는 케이스(300)의 안쪽에 수납되게 되어, 정보전달 중에 카드(2)가 탈락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확실한 정보전달성이 확보된다. 또한, 카드(2)의 제거시에는 잠금해제수단인 솔레노이드(320)에 의해 상기 잠금은 해제되어, 커넥터본체(5)자체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서 카드(2)의 제거 방향에 이동하기 때문에 카드(2)의 취출에 곤란은 없고, 카드(2)의 취출 조작성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는, 케이스(100)(또는 케이스(200))의 측부와 커넥터본체(5)의 측부가 용수철 SP1, SP2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부세부재(용수철 SP1, SP2)를 케이스(300)의 외측에 위치시킬 수 있고, 케이스(100)내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었지만, 이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와 같이,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이, 카드(2)의 삽입 방향 이동시에 케이스(300)의 벽면과 근접하는 커넥터본체(5)의 단부(즉, 커넥터본체(5)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개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부세부재(비틀림 코일 용수철(305))를 케이스(300)내에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부세부재를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시킬 수 없고, 케이스 내에 마련하여야 할 때에는 특히 유효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와 같이, 커넥터본체(5)의 전방에의 부세력을, 어느 정도 길이가 있는 용수철 SP1, SP2에 의해 얻고 있는 구성에서는, 카드(2)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커넥터본체(5)가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래틀노이즈가 발생할 염려가 있지만,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와 같이, 커넥터본체(5)의 전방에의 부세력을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에 의해 얻고 있는 구성에서는 커넥터본체(5)가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래틀노이즈는 발생하기 어렵고, 진동에 의한 소음이나 성능저하 등을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양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는, 피 잠금부(125), 즉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는 수지제로 할 수 있지만, 잠금부재(143)는 그 형상에서 금속제로 하지 않을 수 없고, 양자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한 쪽이 금속이다) 것에 기초하여 내구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지만, 이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에서는 앵글부재(310)와 잠금부재(323)를 함께 수지제 또는 금속제로 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제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카드커넥터에 있어서도,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카드커넥터와 같이 카드(2)의 배출은 록해제후의 부세부재(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드(2)를 강제적으로 배출방향으로 압출하는 기구와 달리, 카드(2)의 배출 조작시에 잘못하여 카드(2)를 삽입 방향으로 압착하여 버린 경우라도 배출기구를 파손시킬 염려가 없고, 안전성이 높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제4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카드커넥터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커넥터본체(5)를 케이스(400)에 있어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있지만, 이 케이스(400)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100)와 커넥터본체(5)를 전후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이 다를 뿐이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상기 케이스(100)와 같은 구성의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커넥터본체(5)의 후부에는 제1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420)가 부착되지만, 이 카드커넥터에서는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커넥터본체(5)를 좌우의 용수철 SP1, SP2에 의해 상시 전방으로 부세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420)에는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 같은 용수철 부착부(121, 122)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좌우의 측방지지부재(111, 112)에 마련된 홈(115, 116) 및 용수철 부착부(117, 118)에 상당하는 부분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420)에는 제1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120)와 같은 피 잠금부(125)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이가 상방으로 향한 랙(428)이 기판(110)상에 마련된 가이드부(429)에 가이드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랙(428)은 커넥터 본체 부착부재(420)의 후방에 좌우로 연장되어 마련된 구획판(430)에 형성된 구멍(431) 및 구획판(430)의 후방에 좌우로 연장되어 마련된 후벽(470)에 형성된 구멍(471)을 전후로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획판(430)과 후벽(470)과의 사이에는 기대(110)의 상방에 기대(110)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마루부재(480)가 마련되어 있고 (따라서 기대(110)의 상면과 마루부재(480)의 하면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고, 배선(7)은 이 틈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시킨다). 이들 구획판(430), 후벽(470) 및 마루부재(48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내에는 전동 모터(직류 서보 모터)(4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동 모터(440)의 회전축(441)에는 랙(428)의 이와 치합하는 피니언(442)이 부착되어 있고, 이 전동 모터(440)의 작동을 제어장치(443)에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랙(428)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커넥터본체(5)를 케이스(4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카드커넥터에 카드(2)를 부착시키는 경우, 우선 카드(2)를 케이스(400)의 전방에서 도 22에 도시한 화살표A의 방향으로 삽입한다. 카드(2)가 수용공간(13) 내에 삽입되면, 카드(2)의 선단부(2a)는 제1 및 제2 콘택트(40, 50)의 압압부(47a, 57a)에 당접하여(도 13A, 도 14A 참조), 이들을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양 콘택트(40, 50)의 V 자 아암부(44, 54)는 기부(45, 55)를 지점으로서 요동되고, 접촉부(48, 58)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양 접촉부(48, 58)는 카드(2)의 평면형상 콘택트에 당접 접촉한다(도 13B, 도 14B 참조).
카드(2)가 수용공간(13)내에 삽입부착되면, 카드(2)의 선단부(2a)는 제1 스위치부재(60)의 제2 아암부(64)에 당접하고(도 15A 참조), 이것을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이것에 의해 제1 스위치부재(60)는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66)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2 스위치부재(70)의 접촉부(74)에 당접 접촉한다(도 15B 참조). 이와 같이 카드(2)의 수용공간(13)에서의 삽입 부착 상태에서는 양 스위치부재(60, 7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온 되고, 카드(2)와 카드커넥터(5)는 평면형상 콘택트와 제1 및 제2 콘택트(40, 50)의 당접 접촉부를 통하여 정보 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양 스위치부재(60, 70)가 접속되어 전원이 온이 된 신호는 상기 제어장치(443)에 입력된다. 제어장치(443)는 이 신호의 입력을 받아 전동 모터(440)를 작동시켜, 랙(428)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커넥터본체(5)는 카드(2)를 유지한 채로 케이스(400) 내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카드(2)는 케이스(400)의 안쪽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제어장치(443)는 전원이 온이 되었을 때에는, 커넥터본체(5)가 소정의 후방위치에 이동할 정도의 회전량으로 피니언(442)이 회전하도록 전동모터(440)의 동작제어를 행한다.
카드(2)와 카드커넥트(5) 간의 정보전달이 종료한 후 카드(2)를 배출할 때에는 케이스(400) 외에 마련된 스위치(447)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신호가 제어장치(443)에 출력되고, 제어장치(443)는 전동모터(440)를 작동시켜 랙(428)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커넥터본체(5)는 카드(2)를 유지한 채로 케이스(400) 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카드(2)는 케이스(400)의 전방으로 돌출하여 배출상태로 된다. 또한, 제어장치(443)는 스위치(447)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커넥트본체(5)가 소정의 전방위치로 이동할 만큼의 회전량으로 피니언(442)이 회전하도록 전동모터(440)의 동작제어를 행한다.
카드(2)가 카드커넥트에서 제거되면, 양 콘택트(40, 50) 및 양 스위치부재(60, 70)는 강제적인 탄성변형 상태에서 해방되어 카드(2)의 삽입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즉, 양 접촉부(48, 58)는 수용공간(13)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양 압압부(47a, 57a)는 수용공간(13) 내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및 제2 스위치부재(60, 70)의 양 접촉부(66, 74)는 이간하고, 전원은 오프로 된다.
이와 같이 제4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트에 있어서는, 커넥트본체(5)는 케이스(40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카드(2)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동모터(44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커넥트본체(5)를 카드(2)의 삽탈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2)의 삽입에 따라서 커넥트본체(5) 자체를 카드(2)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이것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카드(2)는 케이스(400)의 안쪽으로 수납되게 되고, 정보전달 중에 카드(2)가 탈락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확실한 정보전달성이 확보된다. 또한, 카드(2)의 제거시에 있어서도 전동모터(44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커넥트본체(5)를 카드(2)의 제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카드(2)의 취출에 곤란은 없고, 카드(2)의 취출 조작성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더욱이, 전동모터에 의하여 롤러부재 등을 구동하여 카드를 삽탈시키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그 전동모터는 콘택트에 의한 카드의 협지력에 대항하여 카드를 반송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전동모터(440)는 커넥트본체(5)를 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되고, 그 사이즈를 작게하여 장치 전체를 경량이며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동모터의 사이즈가 작아지므로 소비전력도 작아지고, 사용코스트의 삭감도 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의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트본체(5)를 상시 카드(2)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하는 수단으로서 압축 코일 용수철SP1, SP2 또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305)이 이용되었지만, 이것에는 다른 부세부재, 예를 들면 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제1의 본 발명에 관한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용수철SP1, SP2는 압축 코일 용수철로 변환하여 인장코일 용수철로 하여도 된다.
또한, 커넥트본체(5)를 후방위치로 록하는 수단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잠금부재(143) 및 피 잠금부(125), 또는 앵글부재(310)의 돌기(311) 및 잠금부재(323)의 돌기(325)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하지 않고, 카드(2)의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커넥트본체(5)를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록을 해제하는 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기력이나 수동에 의한 힘을 이용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전기력을 이용한 것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에 한하지 않고 전동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카드커넥트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커넥트본체를 후방 위치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전방 위치에 위치시키는 커넥트본체 이동기구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랙과 피니언에 의한 것에 한하지 않고, 전동모터로 구동되어 커넥트본체를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에 의한 것이라도 무관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드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본체는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부세부재인 용수철SP1, SP2에 의해 상시 카드의 제거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의 삽입시에는 그 카드의 삽입력에 눌려 커넥터본체 자체가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잠금 수단인 잠금부재 및 피 잠금부에 의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카드는 케이스의 안쪽에 수납되게 되어, 정보전달 중에 카드가 탈락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확실한 정보전달성이 확보된다. 또한, 카드의 제거시에는 잠금해제수단인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잠금은 해제되고, 커넥터본체 자체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서 카드의 제거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카드의 취출에 곤란은 없고, 카드의 취출 조작성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낸 II-II에서 본 상기 카드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낸 III-III에서 본 상기 카드커넥터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 4는 커넥터본체를 카드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커버부재를 제거한 커넥터본체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낸 VI-VI에서 본 카드커넥터의 단면도(단, 커버부재 있음).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낸 VII-VII에서 본 카드커넥터의 단면도(단, 커버부재 있음).
도 8은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낸 VIII-VIII에서 본 카드커넥터의 단면도(단, 커버부재 있음).
도 9는 도 6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나타낸 IX-IX에서 본 카드커넥터의 단면도.
도 10은 제1 및 제2 스위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구획판측의 홈과 잠금부재측의 홈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며, 양 홈의 축선을 지나 수평면으로 절단한 구획판 및 전방판의 단면도와, 양 홈을 전방에서 본 도면을 상하로 대응시켜 도시하고 있다. 도 11A는 솔레노이드가 온으로 잠금부재가 좌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11B는 솔레노이드가 오프로 잠금부재가 우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피잠금부가 잠금부재에 걸리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A는 피 잠금부의 왼쪽 모서리가 잠금부재측의 홈의 왼쪽 모서리와 당접한 상태, 도 12B는 피 잠금부가 잠금부재측의 홈을 후방으로 통과하고 있는 상태, 도 12C는 피 잠금부가 잠금부에 걸린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카드의 삽입에 따른 제1 콘택트의 탄성 변형의 모양을 도시한 약측면도이며, 도 13A는 카드의 선단이 제1 콘택트의 압압부에 당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B는 제1 콘택트가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가 카드의 평면형상 콘택트에 당접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카드의 삽입에 따른 제2 콘택트의 탄성 변형의 모양을 도시한 약측면도 이며, 도 14A는 카드의 선단이 제2 콘택트의 압압부에 당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B는 제2 콘택트가 탄성 변형하여 접촉부가 카드의 평면형상 콘택트에 당접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카드의 삽입에 따른 제1 및 제2 스위치부재의 탄성 변형의 모양을 도시한 약측면도이며, 도 15A는 카드의 선단이 제1 스위치부재에 당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B는 제1 스위치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제1 스위치부재의 접촉부가 제2 스위치부재의 접촉부에 당접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A 내지 도 16E는 이 카드커넥터에 카드가 부착되어 배출되기까지의 모양을 순차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A는 카드가 케이스의 전방에서 삽입된 직후의 상태, 도 16B는 카드가 제1 및 제2 콘택트의 압압부에 당접한 상태, 도 16C는 피 잠금부가 잠금부재에 걸린 직후의 상태, 도 16 D는 양 콘택트의 접촉부가 카드의 평면형상 콘택트에 당접 접촉한 상태, 도 16E는 커넥터본체가 카드를 수용공간 내에 유지한 채로 케이스내를 전방에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평면도.
도 18은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평면도.
도 19는 이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하면도.
도 20A 내지 도 20C는 제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 잠금부가 잠금부재에 걸리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A는 피 잠금부의 돌기가 잠금부재의 돌기에 전방에서 당접한 상태, 도 20B는 피 잠금부의 돌기가 잠금부재의 돌기를 측방으로 밀어 젖히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 도 20C은 피 잠금부가 잠금부에 걸린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앵글부재가 잠금부재에 걸리고 커넥터본체가 잠금된 상태를 도시한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하면도.
도 22는 제4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커넥터의 평면도.

Claims (7)

  1. 정보가 기록된 카드를 삽탈 가능하게 유지하여 이 카드와 정보전달을 행하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커넥터본체를 상기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본체를 상기 제거 방향으로 상시 부세하는 부세부재와,
    상기 카드 사용위치까지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기 커넥터본체를 상기 카드 사용위치에 있어서 잠금유지하는 잠금 수단과,
    상기 잠금 수단에 의한 상기 잠금유지를 해제하는 잠금해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본체를 제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카드 삽탈 위치에 상기 커넥터본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본체에 대한 상기 카드의 삽입 및 제거를 행하여,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본체를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카드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에 상기 카드를 수용 유지하여 정보전달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커넥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재가 압축 또는 인장 코일 용수철로 구성되어 상기 카드의 삽탈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부와 상기 커넥터본체의 측부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재가 비틀림 코일 용수철로 구성되어, 상기 카드의 삽입 방향 이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벽면과 근접하는 상기 커넥터본체의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 사이에 개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커넥터.
  5. 제 1, 3,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케이스측의 걸림부재에 상기 커넥터본체 측의 피 걸림부재를 걸리게 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게 되어 있고, 상기 잠금해제 수단은 전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을 해제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커넥터.
  6. 제 1, 3,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케이스측의 걸림부재에 상기 커넥터본체 측의 피 걸림부재를 걸리게 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게 되어 있고,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걸림부재를 수동조작에 의해 이동시켜 상기 걸림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구동되어 상기 커넥터본체를 상기 카드 삽탈 위치와 상기 카드 사용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커넥터본체이동기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커넥터.
KR10-2001-0019498A 2000-04-20 2001-04-12 카드커넥터 KR100485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8977 2000-04-20
JP2000-118977 2000-04-20
JP2000213699A JP2002008778A (ja) 2000-04-20 2000-07-14 カードコネクタ
JP2000-213699 2000-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541A KR20010098541A (ko) 2001-11-08
KR100485669B1 true KR100485669B1 (ko) 2005-04-27

Family

ID=2659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498A KR100485669B1 (ko) 2000-04-20 2001-04-12 카드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15587B1 (ko)
EP (1) EP1148586B1 (ko)
JP (1) JP2002008778A (ko)
KR (1) KR100485669B1 (ko)
DE (1) DE60140710D1 (ko)
TW (1) TW50935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972B1 (en) * 2002-08-23 2013-07-23 Shfl Entertainment, Inc. Automatic card shuffler
US7461843B1 (en) * 2002-08-23 2008-12-09 Elixir Gaming Technologies, Inc. Automatic card shuffler
US7644923B1 (en) * 2002-08-23 2010-01-12 Shuffle Master, Inc. Automatic card shuffler with dynamic de-doubler
US7014483B2 (en) * 2004-07-02 2006-03-21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host device and a printer
JP4324566B2 (ja) * 2005-01-21 2009-09-02 ホシデ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
JP3774895B1 (ja) * 2005-02-17 2006-05-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TWM289541U (en) * 2005-11-07 2006-04-11 Tai Sol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ejection device assembly
TWM303516U (en) * 2006-06-23 2006-12-21 Advanced Connectek Inc Card connector
CN101458544B (zh) * 2007-12-10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存储设备锁固及推出装置
US8628004B2 (en) 2010-08-20 2014-01-1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Automation control system components with electronic keying features
JP5730673B2 (ja) * 2011-05-31 2015-06-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TWI568100B (zh) * 2014-10-20 2017-01-2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卡連接器
EP3364332B1 (en) * 2015-11-23 2020-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TWM546032U (zh) * 2016-12-02 2017-07-21 Elitegroup Computer Systems Co Ltd 插槽總成及工作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603A (ja) * 1995-03-22 1996-10-11 Tamura Electric Works Ltd Icカードリーダにおける接点接触構造
JPH09147058A (ja) * 1992-11-20 1997-06-06 Tatsuno Co Ltd Icカード読取り・書込み装置
JPH09167033A (ja) * 1995-12-18 1997-06-24 Hitachi Ltd Pcカードスロット装置
JPH09223543A (ja) * 1996-02-14 1997-08-26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H09326020A (ja) * 1996-06-06 1997-12-16 Nippon Conlux Co Ltd カード処理装置
US5892213A (en) * 1995-09-21 1999-04-0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JPH11259604A (ja) * 1998-03-11 1999-09-24 Sankyo Seiki Mfg Co Ltd カードリー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2914A (en) * 1984-01-17 1992-06-16 Norand Corporation Disk drive system with transportable carrier and mounting assembly
US4749164A (en) * 1987-03-23 1988-06-07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hock and vibration isolation locking system
DE9321330U1 (de) * 1993-03-31 1997-05-07 Neifer Wolfgang Vorrichtung zum Lesen von Chipkarten
JP3004150B2 (ja) * 1993-08-16 2000-01-31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記憶装置の保護ケース及び外付け用ディスク記憶ユニット
FR2710996B1 (fr) 1993-10-06 1995-12-01 Gemplus Card Int Carte portable multi-applications pour ordinateur personnel.
US5495391A (en) * 1994-06-23 1996-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having an ejector mechanism operable from a side opposite a memory card slot
JPH1011551A (ja) * 1996-06-26 1998-01-16 Alps Electric Co Ltd Pcカードスロット
US6137684A (en) * 1998-04-21 2000-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mming mechanism for joining modular electronic enclosures
JP3403098B2 (ja) 1998-11-27 2003-05-06 ケル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058A (ja) * 1992-11-20 1997-06-06 Tatsuno Co Ltd Icカード読取り・書込み装置
JPH08263603A (ja) * 1995-03-22 1996-10-11 Tamura Electric Works Ltd Icカードリーダにおける接点接触構造
US5892213A (en) * 1995-09-21 1999-04-0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JPH09167033A (ja) * 1995-12-18 1997-06-24 Hitachi Ltd Pcカードスロット装置
JPH09223543A (ja) * 1996-02-14 1997-08-26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H09326020A (ja) * 1996-06-06 1997-12-16 Nippon Conlux Co Ltd カード処理装置
JPH11259604A (ja) * 1998-03-11 1999-09-24 Sankyo Seiki Mfg Co Ltd カードリ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36759A1 (en) 2001-11-01
EP1148586A2 (en) 2001-10-24
JP2002008778A (ja) 2002-01-11
DE60140710D1 (de) 2010-01-21
EP1148586A3 (en) 2003-11-12
KR20010098541A (ko) 2001-11-08
US6315587B1 (en) 2001-11-13
TW509355U (en) 2002-11-01
EP1148586B1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669B1 (ko) 카드커넥터
EP1796227B1 (en) Card connector with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means
US7416438B2 (en) Connector
KR100347041B1 (ko) 정보기기용 메모리카드 커넥터
US7118395B2 (en) Card connector locking member arrangement
EP1324260A2 (en) Ejector mechanism for card connector
US20020132527A1 (en) Card connector
US20060166533A1 (en) Card connector
JPH1154207A (ja) カードコネクタ
EP0903690B1 (en) IC card connector device
US20030151901A1 (en) Card connector
US7708575B2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switching a card holding state with a simple structure
JP422686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50282440A1 (en) Card connector
EP0933722A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EP0923042B1 (en) Contacting apparatus for a smart card
EP1548897B1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US7658638B2 (en) Connector
EP0963144B1 (en) Card ejecting device
EP1489548B1 (en) Card connector
JP200508568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738835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3720138B2 (ja) Pcカード用コネクタ
EP1035497A1 (en) Card ejector mechanism
JP4347843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