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621B1 -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621B1
KR100485621B1 KR10-2002-7009490A KR20027009490A KR100485621B1 KR 100485621 B1 KR100485621 B1 KR 100485621B1 KR 20027009490 A KR20027009490 A KR 20027009490A KR 100485621 B1 KR100485621 B1 KR 100485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address
network
server
host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802A (ko
Inventor
야베도시야스
무로즈미아츠코
이케다노부유키
고가네마루다카시
Original Assignee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7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9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using proxies for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휴대전화기(MS)에서 IP 서버로의 액세스 요구를 이동 패킷 통신망(MPN) 경유로 수신하면,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해당 액세스 요구에 포함된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정보를 일차변환 테이블(T1)로부터 취득하여, 취득한 정보가 광역 IP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해당 광역 IP 어드레스에 따른 인터넷(INET)상의 IP 서버에 액세스 요구를 중계하고, 취득한 정보가 폐역망 식별정보인 경우에는 액세스 요구에 포함되는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폐역 IP 어드레스를 더 취득하여, 폐역망 식별정보에 따른 LAN 상의 해당 폐역 IP 어드레스에 따른 IP 서버에 액세스 요구를 중계한다.

Description

중계장치{RELAY DEVICE}
본 발명은 망에 접속되는 단말이 그 망과 그 망에 접속된 중계장치를 통해 광역망 상의 호스트 또는 폐역망 상의 호스트와 통신 가능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게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11)은 공중망(12)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13)에 다이얼 호출 접속하여, 게이트웨이 서버(13)와의 PPP(Point to Point Protocol)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이 접속링크에서 단말은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해 인터넷(14)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인터넷(14)에 접속된 호스트에 액세스하는 경우, 단말(11)은 전 세계에서 고유한 IP 어드레스(이하, 광역 IP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목적지 호스트를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말은 정해진 체계의 호스트명을 지정하여 목적지 호스트를 특정하게 된다. 단말(11)에 의해 목적지의 호스트명이 지정되면, 게이트웨이 서버(13)는 그 호스트명의 IP 어드레스에 관한 문의를 인터넷(14)에 송출하여,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광역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그 어드레스를 단말(11)에 통지한다. 또, 대응하는 광역 IP 어드레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사실을 단말(11)에 알린다. 여기서는, 도메인명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호스트를 특정하는 정보를 "호스트명"이라 칭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13)는 호스트명을 포함하는 문의에 의해 광역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면, 호스트명과 취득한 광역 IP 어드레스를 대응시켜 일정 기간 캐시에 저장하여, 동일한 호스트명을 지정한 다음의 문의에 대비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명의 문의를 받으면, 게이트웨이 서버(13)는 인터넷(14)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그것의 광역 IP 어드레스와 그 만료시간을 대응시킨 광역 변환 테이블(도 2 참조)을 검색하여, 이 테이블 안에 존재하는 호스트명과 그 호스트명이 지정하는 호스트의 광역 IP 어드레스에 관해서는, 게이트웨이 서버가 그 광역 IP 어드레스를 해당 테이블로부터 취득하는 한편, 이 테이블 안에 존재하지 않는 광역 IP 어드레스에 관해서는, 게이트웨이 서버가 인터넷(14)에 문의하여 해당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13)는 문의를 송신하여 그 응답으로 새로운 레코드를 취득하는 경우, 그 새로운 레코드를 광역 변환 테이블에 추가한다. 게이트웨이 서버상의 레코드에 대해 미리 설정된 보유기간이 만료하면, 그 레코드를 삭제한다. 또, 보유기간을 설정하는 것은 기간 내에 호스트명과 IP 어드레스와의 관계가 변경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통신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21)이 공중망(12)을 통해 LAN(Local Area Network)(23)내의 원격 접속 서버(24)에 다이얼 호출 접속하여, 원격 접속 서버(24)와의 PPP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단말(21)은 이와 같이 확립된 접속을 통해 LAN(23)상의 각 호스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 LAN(23)이 통신 프로토콜로서 TCP/IP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 LAN에 접속된 단말(21)을 포함하는 LAN(23)내의 각 호스트에는 LAN(23)내에서 일의적으로 식별되는 IP 어드레스(이하, 폐역 I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또한, 어느 정도 이상의 규모의 LAN에서는, 각 호스트에 호스트명이 부여되어, 호스트명으로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호스트명은 인터넷(14)에서의 호스트명과 달라야 하고, LAN(23)내에서 고유한 것이라야 한다. 또, 호스트명에 의해 목적지를 지정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원격 접속 서버(24)에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그 호스트에 할당되는 폐역 IP 어드레스를 대응시킬 수 있는 폐역 변환 테이블(도 4 참조)을 마련하여, 원격 접속 서버(24)가 호스트명의 지정에 의해 폐역 IP 어드레스의 문의를 처리하게 된다.
또, 단말(11)의 기능과 단말(21)의 기능을 동일한 단말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네트웍에 액세스하는 경우, 사용자는 목적지를 선택한다. 그러나, 원하는 네트웍에 액세스하기 위해, 단말의 사용자가 목적지 전화번호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LAN(23)내에 광역 IP 어드레스가 할당된 라우터(25)를 마련하여, 이 라우터(25)와 게이트웨이 서버(13)를 전용선(26)으로 접속한다. 단말(51)은 게이트웨이 서버(13)를 경유하여 LAN(23)이나 인터넷(14)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51)이 LAN(23)내의 호스트의 호스트명의 지정을 포함하는 문의를 하면, 게이트웨이 서버(13)는 라우터(25)의 광역 IP 어드레스를 반송하는 것으로 이 문의를 해결한다. 또, 이후의 액세스에 있어서 단말(51)에서 게이트웨이 서버(61)로 송신된 패킷은 해당 패킷내의 목적지 호스트명에 따라 LAN(23)내에서 라우팅 된다.
그러나, LAN(23)이 단말(51)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라우터(25)에서 단말(51)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하고, 또한 인터넷(14)측에서의 액세스를 배제해야 한다. 라우터(25)는 액세스 기점이 단말(51)인지 인터넷(14)상의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다. 왜냐하면, 게이트웨이 서버(13)로부터 라우터(25)로 들어오는 패킷은 TCP/IP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단말(51)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하는 동시에, 인터넷(14)측에서의 액세스를 배제하는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라우터(25)에 고도의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기능의 실행에 의해 LAN(23) 관리자의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된다. 더욱이, 인터넷(14)에서 LAN(23)으로 송신되는 패킷이 전용선(26)상에서 흘러가기 때문에, 단말(51)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LAN(23)이 사용하는 전용선(26)의 트래픽이 증대하게 되는 결점도 있다.
그래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게이트웨이 서버(13)의 기능 외에도 LAN(23)내의 호스트의 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 서버(61)와 LAN(23)을 전용선(26)으로 접속하여, 단말(51)로부터 LAN(23)으로의 액세스를 폐역 내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말(51)이 LAN(23)내의 호스트의 호스트명을 문의하면, 게이트웨이 서버(61)는 이 문의에 응하여 자신의 광역 IP 어드레스를 반송한다. 이후의 액세스에 있어서 단말(51)로부터 게이트웨이 서버(61)로 송신된 패킷은 해당 패킷내의 목적지 호스트명에 따라, 게이트웨이 서버(61)를 포함하는 LAN(23)내에서 라우팅 된다. 이 시스템에서, 인터넷(14)으로부터 LAN(23)으로의 액세스는 게이트웨이 서버(61)에 의해 거절되기 때문에, 인터넷(14)으로부터의 액세스에 의해 전용선(26)의 이용 가능한 대역이 좁아지지는 않는다.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61)는 단말(51)로부터의 액세스인지 인터넷(14)상의 단말로부터의 액세스인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액세스 제어도 필요 없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단말(51)이 LAN(23) 또는 인터넷(14)으로 액세스할 때 호스트명의 문의를 해결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문의의 해결 시에는, 광역 변환 테이블의 검색은 물론, 폐역 변환 테이블의 검색도 필요하여, 게이트웨이 서버(61)상의 처리 요구가 증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의한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인터넷 접속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역 변환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 방식에 의한 원격 액세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원격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폐역 변환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종래 방식에 의한 다른 시스템에 따라 얻어지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종래 방식에 의한 시스템에 따라 얻어지는 다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게이트웨이 서버(중계장치)(GWS)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의한 일부 프로토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LAN(C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LAN(C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이트웨이 서버(GWS)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의한 액세스 제어처리(휴대전화기(MS)에서의 액세스의 제어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저장된 일차변환 테이블(T1)의 데이터 구성예를 게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저장된 이차변환 테이블(T21)의 데이터 구성예를 게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저장된 이차변환 테이블(T22)의 데이터 구성예를 게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3)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4)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5)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1)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2)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저장된 일차변환 테이블(T1)의 내용을 게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측의 통신망에 폐역망과 광역망 모두 포함되는 경우에도, 폐역망의 정보 서비스 제공 측에 부담을 주지 않고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계장치는 망에 접속되는 단말이 그 망과 그 망에 접속된 중계장치를 통해 해당 중계장치에 접속된 광역망 상의 호스트 또는 해당 중계장치에 접속되는 폐역망 상의 호스트와 통신 가능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중계장치는, (a) 상기 광역망 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광역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레코드와, 상기 폐역망 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해당 폐역망의 식별정보를 대응시킨 레코드를 가진 제1 변환 테이블과, 상기 폐역망 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해당 폐역망 상의 호스트의 폐역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레코드를 가진 제2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기억부, (b) 상기 단말에서 호스트로의 액세스 요구를 상기 망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c) 수신한 상기 액세스 요구에 포함되는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제1 변환 테이블로부터 취득하는 제1 취득부, (d)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가 광역 어드레스인 경우에, 해당 광역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호스트에 상기 액세스 요구를 중계하는 광역 중계부, (e)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가 폐역망 식별정보인 경우에, 상기 액세스 요구에 포함되는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상기 폐역망 상의 폐역 어드레스를 상기 제2 변환 테이블로부터 취득하는 제2 취득부, (f)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폐역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호스트에 상기 액세스 요구를 중계하는 폐역 중계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최초로 검색되는 위치에 상기 폐역망 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상기 폐역망의 식별정보를 대응시킨 레코드를 저장하고, 다음에 검색되는 위치에 상기 광역망 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상기 광역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레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단말은 예컨대 휴대전화기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1) 전체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게이트웨이 서버(중계장치)(GWS)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휴대전화기(MS)는 이동 패킷 통신망(접속망)(MPN)의 패킷 통신 서비스를 받는 휴대전화기이고, 이동 패킷 통신망(MPN) 및 이동전화망(도시 생략)에 무선 접속될 수 있다. 휴대전화기(MS)는 이동 패킷 통신망(MPN)을 통해 웹 서버에 액세스하여, 웹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이동전화망은 일반적인 이동전화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이고, 휴대전화기(MS)는 해당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동 패킷 통신망(MPN)은 복수의 기지국(BS), 복수의 패킷 가입자 처리장치(PS),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이들을 접속하는 통신회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BS)은 지상을 예컨대 반경 500m 등의 범위로 분할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형성하는 무선 존 내에 존재하는 휴대전화기(MS)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다. 패킷 가입자 처리장치(PS)는 복수의 기지국(BS)을 수용하는 패킷 가입자 교환국에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이다. 패킷 가입자 처리장치(PS)는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패킷교환요구를 접수하는 동시에, 접수한 패킷을 다른 패킷 가입자 처리장치(PS) 및 패킷 가입자 처리장치에 수용되는 기지국(BS) 중 적어도 한쪽을 통해 목적지 휴대전화기(MS)에 중계한다. 또한, 패킷 가입자 처리장치(PS)는 휴대전화기(MS)와 게이트웨이 서버(GWS) 사이에서 패킷을 중계한다.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이동 패킷 통신망(MPN)과 인터넷(광역망)(INET), LAN(폐역망)(C1, C2) 등의 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이동 패킷게이트웨이 중계/교환국에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이고, 프로토콜 변환 등의 통신의 중계처리 등을 한다. 여기서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은 구체적으로 이동 패킷 통신망용의 통신 프로토콜과 인터넷(INET) 또는 LAN(C1, C2) 등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의 상호 변환을 말한다.
또, 인터넷(INET)이 따르는 통신 프로토콜에는 네트웍 층 및 전송 층의 TCP/IP 등의 통신 프로토콜과 이 TCP/IP 상에서 실현되는 HTTP 등의 통신 프로토콜이 포함된다. 이동 패킷 통신망(MPN)이 따르는 통신 프로토콜에는 TCP/IP를 간소화한 통신 프로토콜(TL)과 HTTP의 서브셋인 통신 프로토콜(AL)이 포함된다. 여기서, 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주요부에 구현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IP 서버(호스트)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IP 서버(W)로 표기한다. IP 서버(W)는 네트웍 층 및 전송 층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TCP/IP를 구현하고, 그 상위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HTTP를 구현하고 있다. 한편, 휴대전화기(MS)는 네트웍 층 및 전송 층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전술한 TL을 구현하고, 그 상위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AL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네트웍 층 및 전송 층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TCP/IP 및 TL을 구현하고, 또한 TCP/IP의 상위 프로토콜로는 HTTP, TL의 상위 프로토콜로는 AL을 구현하고 있다. 휴대전화기(MS)는 AL을 이용하여 인터넷(INET) 및 LAN(C1, C2)에 액세스한다.
또, 휴대전화기(MS)가 TL 및 AL을 실행하는 것은 이 통신 프로토콜들이 휴대전화기(MS)의 정보처리능력과 이동 패킷 통신망(MPN)이 제공하는 대역폭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기 때문이다. 높은 정보처리능력을 갖는 컴퓨터를 단말로 하여, 이 단말을 광대역 통신망 경유로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접속하는 시스템에서는 HTTP 및 TCP/IP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수단말(MT)은 게이트웨이 서버(GWS)를 보수/관리하기 위한 단말이고,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다. 보수단말(MT)은 게이트웨이 서버(GWS)의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고, 이 조작에 따라 게이트웨이 서버(GWS)로 지시나 데이터 등을 송신한다. 또, 보수단말(MT)이 구비하고 있는 기능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기능으로는 후술하는 일차변환 테이블(변환 테이블)(T1) 또는 이차변환 테이블(T21, T22)을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갱신하는 기능이 있다.
IP 서버(W)는 HTTP의 GET 요구를 받으면, 해당 GET 요구에 포함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의해 특정되는 컨텐츠를 반송한다. 도 7에 나타낸 IP 서버(W1, W2)는 각각 인터넷(INET)에 접속된 서버이고, WWW를 이용하는 단말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 IP 서버(W2)는 일반적인 WWW 서버이고, IP 서버(W2)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PC에 의해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반하여 IP 서버(W1)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PC뿐만 아니라 휴대전화기(MS)에 의해서도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IP 서버(W1)의 호스트명 및 IP 어드레스(광역 IP 어드레스)는 게이트웨이 서버(GWS)내의 일차변환 테이블(T1)에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패킷 통신망(MPN)의 사업자와 IP 서버(W1)를 이용한 정보 제공 사업자간의 계약에 따라 게이트웨이 서버(GWS)의 관리자가 보수단말(MT)을 조작하면 이 호스트명 및 IP 어드레스의 저장이 행해진다. 혹은, 온라인상의 계약에 따라 자동적으로 저장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IP 서버(W)로는 상기 IP 서버(W1, W2)와 같이 인터넷(INET)에 접속되는 것도 있고, LAN(C1, C2)내에 마련된 것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LAN(C1, C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LAN(C1)내에는 IP 서버(W3), LAN(C2)내에는 IP 서버(W4, W5)가 마련되어 있다. LAN(C1, C2)은 모두 이동 패킷 통신망(MPN)을 경유한 액세스만을 허용하는 폐역망이다. IP 서버(W3∼W5)는 휴대전화기(MS)에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 컨텐츠만을 제공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라우터(RT1, RT2)는 각각 전용선(L1, L2)으로부터 도래한 패킷을 LAN(C1, C2)내의 목적지 호스트로 송출하는 동시에, LAN(C1, C2)내의 호스트로부터 외부로의 패킷을 전용선(L1)에 송출한다.
(2) 게이트웨이 서버(GWS)의 구성 및 기능
도 11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이트웨이 서버(GWS)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기지국(BS) 및 패킷 가입자 처리장치(PS)를 통해 휴대전화기(MS)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시스템 통신장치(G1), 인터넷(INET)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인터페이스(G2), 전용선(L1, L2)을 접속하기 위한 전용선 접속 인터페이스(G3), 기본 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각종 테이블(T1, T21, T22) 등을 재기입 가능하게 기억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G4), 보수단말(MT)을 접속하기 위한 보수단말 접속용 인터페이스(G5), 상기 게이트웨이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G6)를 포함하고 있다. 또, 무선 시스템 통신장치(G1)는 수신부에 상당하고, 기억장치(G4)는 기억부에 상당한다.
제어부(G6)는 각종 제어처리를 하는 CPU(G61), CPU(G6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 ROM(G62), CPU(G61)의 작업영역으로 사용되는 RAM(G63)를 내장하고 있다. CPU(G61)는 ROM(G6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ROM(G62), RAM(G63) 및 각 부(G1∼G5)를 제어하고, 또한 기억장치(G4)에 기억된 기본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하기에 설명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도 12는 게이트웨이 서버(GWS)가 하는 액세스 제어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액세스에 대한 제어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액세스 요구(예컨대 HTTP의 GET 요구)를 받으면, 이 요구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호스트명을 일차변환 테이블(T1)로부터 검색한다(단계 S1: 제1 취득부).
도 13은 일차변환 테이블(T1)의 데이터 구성예를 게시하는 개념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차변환 테이블(T1)은 "호스트명", "어드레스 정보", "만료시간"을 갖는 레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각 레코드는 하나의 호스트에게 대응하고 있고, 후술의 캐시처리에 의해 자동적으로 레코드가 추가되지 않는 한, 일차변환 테이블(T1)내의 레코드는 미리 계약한 IP 서버(W)에 대응하는 레코드만이 된다. 또, "어드레스 정보"는 레코드에 대응하는 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또는 해당 호스트가 속하는 폐역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만료시간"은 해당 레코드의 보유기간이 만료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미리 계약한 IP 서버(W)에 관한 레코드는 계약 변경 시에만 삭제된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들 레코드에 관해서는 만료시간이 설정되지 않는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IP 서버(W3)에 대응하는 레코드에는 호스트명으로서 "ip1.lan1.ccccc.co.jp", 어드레스 정보로서 LAN(C1)(또는 전용선(L1))을 나타내는 폐역망 식별정보(CID1)가 저장되어 있다. IP 서버(W4, W5)에 대응하는 각 레코드에는 호스트명으로서 "ip1.lan2.ccccc.co.jp"와 "ip2.lan2.ccccc.co.jp", 어드레스 정보로서 LAN(C2)(또는 전용선(L2))을 나타내는 폐역망 식별정보(CID2)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IP 서버(W1)에 대응하는 레코드에는 호스트명으로서 "keitai.aaaaa.co.jp", 어드레스 정보로서 광역 IP 어드레스 "xxx.xxx.xxx.xxx"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CID의 데이터 형식은 임의이지만, IP 어드레스의 데이터 형식 "xxx.xxx.xxx.xxx"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CID는 10자리의 숫자열 "xxxxxxxxxx"이다.
이러한 일차변환 테이블(T1)로부터의 검색(이하, 1차 검색)에서 대상 호스트명을 갖는 레코드가 발견되어, 해당 레코드 내에 어드레스 정보로서 폐역망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해당 폐역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차변환 테이블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호스트명을 검색한다(단계 S2∼S4: 제2 취득부). 레코드 내의 어드레스가 폐역망 식별정보인지 광역 IP 어드레스인지는 예컨대 데이터 형식에 의해 판단된다. 또는, 레코드에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에 대해 패턴 매칭을 하여, 미리 등록된 패턴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는 폐역망 식별정보로 판단하고, 그 이외는 광역 IP 어드레스로 판단할 수도 있다.
설명을 위해 이차변환 테이블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접속된 LAN의 수만큼 준비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LAN(C1)에 대응하는 이차변환 테이블(T21)(도 14 참조)과 LAN(C2)에 대응하는 이차변환 테이블(T22)(도 15 참조)이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이차변환 테이블은 "호스트명"과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레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각 이차변환 테이블 내의 어드레스 정보는 해당 테이블에 대응하는 LAN 내에서 고유한 IP 어드레스(폐역 IP 어드레스)이다. LAN(C1)내의 이차변환 테이블에서 IP 서버(W3)에 대응하는 레코드(이차변환 테이블(T21)내의 첫 번째 레코드)에는 폐역 IP 어드레스 "ppp.ppp.ppp.ppp"가 어드레스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다. 또한, LAN(C2)내의 이차변환 테이블에서 IP 서버(W4, W5)에 대응하는 레코드(이차변환 테이블(T22)내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레코드)에는 폐역 IP 어드레스 "ppp.ppp.ppp.ppp"와 "qqq.qqq.qqq.qqq"가 어드레스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다. 또,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IP 서버(W3)의 폐역 IP 어드레스와 IP 서버(W4)의 폐역 IP 어드레스가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폐역 IP 어드레스는 LAN 내에서만 유효한 IP 어드레스이기 때문에, 동일한 폐역 IP 어드레스의 중복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차변환 테이블의 검색(이하, 2차 검색)에 의해 목적지 호스트의 호스트명을 갖는 레코드를 찾아내면,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해당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폐역망 식별정보(CID) 및 폐역 IP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목적지 호스트와 휴대전화기(MS) 사이에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전용선을 통한 TCP 접속을 설정하고, 이 접속을 통해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해당 호스트에 전송한다(도 12의 단계 S5: 폐역 중계부).
한편, 1차 검색에서 목적지 호스트의 호스트명을 갖는 레코드가 발견되어, 해당 레코드 내에 어드레스 정보로서 광역 IP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으면,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해당 광역 IP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호스트와 휴대전화기(MS) 사이에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인터넷(INET)을 통한 TCP 접속을 설정하여, 이 접속을 통해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해당 호스트에 전송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도 12의 단계 S2, S3, S6: 광역 중계부).
또한, 목적지 IP 서버(W)의 호스트명이 1차 검색에서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해당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광역 IP 어드레스의 통지를 요구하는 문의를 인터넷(INET)에 송출하여, 그 응답을 받는다(단계 S7).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해당 응답에 광역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광역 IP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호스트와 휴대전화기(MS) 사이에 게이트웨이 서버(GWS)를 통한 TCP 접속을 설정하여, 이 접속을 통해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해당 호스트에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캐시처리를 하고 모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9, S10).
캐시처리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목적지 IP 서버(W)에서 보유기간의 정보를 취득하여, 이 보유기간으로부터 만료시간을 구한다. 이 만료시간과 해당 IP 서버(W)의 호스트명 및 광역 IP 어드레스를 대응시켜 일차변환 테이블(T1)에 추가한다. 또,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레코드의 보유기간이 만료하면 해당 레코드를 삭제한다.
반대로, 인터넷(INET)에서의 응답에 광역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또는 게이트웨이 서버(GWS)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액세스 불가 처리를 한다(단계 S11). 액세스 불가 처리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는 목적지 IP 서버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을 휴대전화기(MS)에 통지하는 동시에, 해당 액세스 요구를 파기한다.
(3) 동작예
다음에, 상술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변환에 관한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3-1) IP 서버(W3)에 액세스하는 경우
도 16은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3)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휴대전화기(MS)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로 송신되는 IP 서버(W3)로의 액세스 요구에는 IP 서버(W3)의 호스트명 "ip1.lan1.ccccc.co.jp"가 포함되어 있다. 이 액세스 요구를 받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는, 일차변환 테이블(T1)을 이용한 1차 검색에 의해 해당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폐역망 식별정보(CID1)가 취득되고, 이 폐역망 식별정보(CID1)에 대응하는 이차변환 테이블(T21)을 이용한 2차 검색에 의해 해당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폐역 IP 어드레스 "ppp.ppp.ppp.ppp"가 취득된다(도 12의 단계 S1∼S4).
또한, 상기 폐역망 식별정보(CID1) 및 폐역 IP 어드레스 "ppp.ppp.ppp.ppp"에 의해 특정되는 IP 서버(W3)와 휴대전화기(MS) 사이에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전용선(L1)을 통한 TCP 접속이 설정되어, 이 접속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 IP 서버(W3)로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액세스 요구가 전송된다(단계 S5). 이후, 휴대전화기(MS)와 IP 서버(W3) 사이에서 HTTP(AL)에 따른 통신이 행해진다.
(3-2) IP 서버(W4)에 액세스하는 경우
도 17은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4)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휴대전화기(MS)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로 송신되는 IP 서버(W4)로의 액세스 요구에는 IP 서버(W4)의 호스트명 "ip1.lan2.ccccc.co.jp"가 포함되어 있다. 이 액세스 요구를 받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는, 1차 검색 및 2차 검색을 하여, 해당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폐역망 식별정보(CID2)와 폐역 IP 어드레스 "ppp.ppp.ppp.ppp"를 취득한다(단계 S1∼S4).
또한, 상기 폐역망 식별정보(CID2) 및 폐역 IP 어드레스 "ppp.ppp.ppp.ppp"에 의해 특정되는 IP 서버(W4)와 휴대전화기(MS) 사이에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전용선(L2)을 통한 TCP 접속이 설정된다(도 12의 단계 S5). 이후의 동작은 IP 서버(W3)에 액세스하는 경우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 동작과 이전에 설명한 동작으로부터 분명하듯이, 다른 LAN 상의 노드가 동일한 폐역 IP 어드레스를 갖더라도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3-3) IP 서버(W5)에 액세스하는 경우
도 18은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5)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휴대전화기(MS)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로 송신되는 IP 서버(W5)로의 액세스 요구에는 IP 서버(W5)의 호스트명 "ip2.lan2.ccccc.co.jp"가 포함되어 있다. 이 액세스 요구를 받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는, 1차 검색 및 2차 검색을 하여, 해당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폐역망 식별정보(CID2)와 폐역 IP 어드레스 "qqq.qqq.qqq.qqq"를 취득한다(단계 S1∼S4).
또한, 상기 폐역망 식별정보(CID2) 및 폐역 IP 어드레스 "qqq.qqq.qqq.qqq"에 의해 특정되는 IP 서버(W5)와 휴대전화기(MS) 사이에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전용선(L2)을 통한 TCP 접속이 설정된다(도 12의 단계 S5). 또, 이 동작과 이전에 설명한 동작으로부터 분명하듯이, 동일 LAN 내에 복수의 IP 서버(W)가 존재하더라도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3-4) IP 서버(W1)에 액세스하는 경우
도 19는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1)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휴대전화기(MS)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로 송신되는 IP 서버(W1)로의 액세스 요구에는 IP 서버(W1)의 호스트명 "keitai.aaaaa.co.jp"가 포함되어 있다. 이 액세스 요구를 받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는, 1차 검색이 행해지고, 이 검색에 의해 해당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광역 IP 어드레스 "xxx.xxx.xxx.xxx"가 취득된다(도 12의 단계 S1).
더욱이, 상기 광역 IP 어드레스 "xxx.xxx.xxx.xxx"에 의해 특정되는 IP 서버(W1)와 휴대전화기(MS) 사이에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인터넷(INET)을 통한 TCP 접속이 설정되어, 이 접속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 IP 서버(W1)로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액세스 요구가 전송된다(단계 S2, S3, S6). 이후, 휴대전화기(MS)와 IP 서버(W1) 사이에서 HTTP(AL)에 따른 통신이 행해진다.
(3-5) IP 서버(W2)에 액세스하는 경우
도 20은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2)에 액세스할 때의 어드레스 변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휴대전화기(MS)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로 송신되는 IP 서버(W2)로의 액세스 요구에는 IP 서버(W2)의 호스트명 "www.bbbbb.com"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www.bbbbb.com"을 호스트명으로 갖는 레코드가 일차변환 테이블(T1)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광역 IP 어드레스를 요구하는 문의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의해 인터넷(INET)으로 송출된다. IP 서버(W2)는 인터넷(INET)에 접속된 실재하는 서버이기 때문에, 이 문의는 해결되어, IP 서버(W2)의 광역 IP 어드레스 "yyy.yyy.yyy.yyy"가 게이트웨이 서버(GWS)에 통지된다(도 12의 단계 S1, S2, S7).
그리고, 상기 광역 IP 어드레스 "yyy.yyy.yyy.yyy"에 의해 특정되는 IP 서버(W2)와 휴대전화기(MS) 사이에 게이트웨이 서버(GWS) 및 인터넷(INET)을 통한 TCP 접속이 설정되어, 이 접속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 IP 서버(W2)로 휴대전화기(MS)로부터의 액세스 요구가 전송된다(단계 S8, S9). 이후, 휴대전화기(MS)와 IP 서버(W2) 사이에 HTTP(AL)에 따른 통신이 행해진다.
이 때, IP 서버(W2)에 관한 캐시처리도 행해져(단계 S10), IP 서버(W2)로부터 취득된 보유기간에 따라서 구한 만료시간(예컨대 2000년 7월 30일 13시 15분)과 호스트명 "www.bbbbb.com" 및 광역 IP 어드레스 "yyy.yyy.yyy.yyy"를 갖는 새로운 레코드가 일차변환 테이블(T1)에 추가된다(도 21 참조).
한편, 일차변환 테이블(T1)이 도 21에 나타낸 상태에 있을 때 휴대전화기(MS)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로 IP 서버(W2)의 호스트명 "www.bbbbb.com"을 포함하는 액세스 요구가 송신되면, "www.bbbbb.com"을 호스트명으로 갖는 레코드가 일차변환 테이블(T1)에 존재하기 때문에, 휴대전화기(MS)가 IP 서버(W1)에 액세스하는 경우와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도 12의 단계 S1∼S3, S6).
또,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 IP 서버(W2)에 관한 레코드는 2000년 7월 30일 13시 15분에 일차변환 테이블(T1)로부터 삭제된다.
(3-6) 존재하지 않는 IP 서버에 액세스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휴대전화기(MS)에서 게이트웨이 서버(GWS)로 송신되는 IP 서버로의 액세스 요구에 존재하지 않는 IP 서버의 호스트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 1차 검색이 행해지고, 인터넷(INET)에 문의를 발송하더라도, 해당하는 광역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단계 S1, S2, S7). 따라서, 목적지 IP 서버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 게이트웨이 서버(GWS)에서 휴대전화기(MS)로 통지된다(단계 S8, S1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계장치는 우선 접속 요구 목적지의 호스트가 광역망 상의 호스트인지 폐역망 상의 호스트인지를 판별한 다음에 호스트의 호스트명을 특정한다. 이와 같이 2단계의 검색을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호스트명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광역망 상의 호스트인지 폐역망 상의 호스트인지에 관계없이 단말과 호스트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더욱이, 폐역망에는 광역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기 때문에, 광역망으로부터의 정보가 폐역망 측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폐역망에서는 부정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한 고도의 보안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참여가 용이해진다. 또한, 폐역망과 중계장치 사이의 통신로의 전 대역을 단말과의 통신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 이용자와 폐역망 상의 호스트는 고품질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변환 테이블에서 폐역망에 관한 정보를 최초에 검색되는 위치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역망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폐역망 상의 호스트 수가 적어, 호스트의 유무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폐역망에 관해 검색이 행해진 후에 광역망에 관해 검색이 행해지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호스트명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보충
휴대전화기는 PC에 비하여 보급이 쉬운 정보처리단말이고, 방대한 수의 사용자가 게이트웨이 서버(GWS)를 통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는 것이 예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서버(GWS)의 처리능력 향상에 있어서의 비용 대 효과는 어떤 레벨까지는 타당한 범위로 추이하지만, 어떤 레벨을 넘으면 서비스가 현저히 악화한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게이트웨이 서버는 호스트명의 문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중계방식을 채용한 시스템에 비하여, 통신의 중계에 드는 비용을 낮추면서, 많은 사용자를 수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방대한 수의 잠재적인 사용자가 있고, 휴대전화기(MS)의 정보처리능력이 일반적인 PC에 비해 아직 낮으며, 유선망에 비해 이동 패킷 통신망(MPN)이 좁은 대역과 높은 지연을 갖기 때문에, 휴대전화기(MS) 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의한 중계효율의 향상 효과가 보다 커지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가 구체적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망에 접속되는 단말, 폐역망 상의 호스트 및 광역망 상의 호스트에 접속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역망 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광역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레코드와, 상기 폐역망 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해당 폐역망의 식별정보를 대응시킨 레코드를 가진 제1 변환 테이블과, 상기 폐역망 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해당 폐역망 상의 호스트의 폐역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레코드를 가진 제2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기억부;
    상기 단말에서 호스트로의 액세스 요구를 상기 망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상기 액세스 요구에 포함되는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제1 변환 테이블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가 광역 어드레스인 경우에, 해당 광역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호스트에 상기 액세스 요구를 중계하며,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가 폐역망 식별정보인 경우에, 상기 액세스 요구에 포함되는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상기 폐역망 상의 폐역 어드레스를 상기 제2 변환 테이블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식별정보와 상기 제2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폐역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호스트에 상기 액세스 요구를 중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변환 테이블에서, 상기 폐역망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상기 폐역망의 식별정보를 대응시킨 영역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정보가 취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광역망상의 호스트의 호스트명과 상기 광역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영역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호스트명에 대응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중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휴대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장치.
KR10-2002-7009490A 2000-11-24 2001-11-21 중계장치 KR100485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8309A JP3745616B2 (ja) 2000-11-24 2000-11-24 中継装置
JPJP-P-2000-00358309 2000-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802A KR20020079802A (ko) 2002-10-19
KR100485621B1 true KR100485621B1 (ko) 2005-04-27

Family

ID=1883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490A KR100485621B1 (ko) 2000-11-24 2001-11-21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170898B2 (ko)
EP (1) EP1337076B1 (ko)
JP (1) JP3745616B2 (ko)
KR (1) KR100485621B1 (ko)
CN (1) CN1190926C (ko)
AT (1) ATE388550T1 (ko)
AU (2) AU2002224061B2 (ko)
BR (1) BR0107641A (ko)
CA (1) CA2398448C (ko)
DE (1) DE60133121T2 (ko)
ES (1) ES2301577T3 (ko)
HK (1) HK1055863A1 (ko)
NO (1) NO332694B1 (ko)
NZ (1) NZ519807A (ko)
PL (1) PL357095A1 (ko)
TW (1) TWI222801B (ko)
WO (1) WO2002043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9390B2 (en) * 2002-05-28 2008-03-25 Ntt Docomo, Inc.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439222B1 (ko) * 2002-08-13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에 대한 개별 아이피할당장치 및 그 방법
JP4551218B2 (ja) * 2002-09-04 2010-09-22 株式会社いいじゃんネット 接続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66538B2 (en) 2005-07-08 2012-04-24 Microsoft Corporation Unified architecture for remote network access
US20070110437A1 (en) 2005-11-14 2007-05-17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Bridging end point device supporting inter access point communication
US7626994B2 (en) 2005-11-14 2009-12-01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node applications cooperatively managing a plurality of packet switched network pathways
US7715432B2 (en) 2005-11-14 2010-05-11 Broadcom Corporation Primary protocol stack having a secondary protocol stack entry point
TWI425790B (zh) * 2005-11-14 2014-02-01 Broadcom Corp 通信架構
JP4038221B2 (ja) * 2005-12-08 2008-01-23 フリービット株式会社 中継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機器とサーバとの接続方法
JP4492575B2 (ja) * 2006-03-29 2010-06-30 村田機械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1237385B (zh) * 2007-01-29 201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利用主机名实现信令传输的方法及装置
US20120087255A1 (en) * 2009-06-26 2012-04-12 Yosuke Ukita Re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5241763B2 (ja) * 2010-03-24 2013-07-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639502B2 (ja) * 2011-02-23 2014-12-10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通信サービス制御ノード、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
CN103503384B (zh) * 2011-04-21 2016-06-08 村田机械株式会社 中继服务器及中继通信系统
TWI533651B (zh) * 2012-01-10 2016-05-11 群暉科技股份有限公司 提供資料雙向存取服務的系統及其方法
JP5891877B2 (ja) * 2012-03-19 2016-03-23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US9981066B2 (en) * 2013-05-20 2018-05-29 Yale University Anti-thrombogenic graf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1006B2 (ja) 1993-03-03 2003-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ーブル検索方法及びルータ装置
JP3232023B2 (ja) 1997-04-16 2001-11-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3529621B2 (ja) * 1997-05-12 2004-05-24 株式会社東芝 ルータ装置、データグラム転送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H11122301A (ja) 1997-10-20 1999-04-30 Fujitsu Ltd アドレス変換接続装置
JPH11154966A (ja) 1997-11-21 1999-06-08 Nec Telecom Syst Ltd Lan間接続方法および接続装置
WO1999035811A1 (en) * 1998-01-07 1999-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net access by telephone
JP3666723B2 (ja) 1999-01-22 2005-06-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個人情報提供ネットワーク及び個人情報提供方法
JP2000232484A (ja) * 1999-02-09 2000-08-22 Fujitsu Ltd ノード装置、端末装置およびこれらの装置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
JP3688149B2 (ja) * 1999-05-26 2005-08-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パケット中継装置及びパケット中継方法
KR100847596B1 (ko) * 2000-03-02 2008-07-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망 시스템, 게이트웨이, 데이터 통신방법과 프로그램제공매체
JP3574372B2 (ja) * 2000-03-14 2004-10-06 Kddi株式会社 Dnsサーバ、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20022317A (ko) 2000-09-19 2002-03-27 윤종용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7076A1 (en) 2003-08-20
NO332694B1 (no) 2012-12-10
ES2301577T3 (es) 2008-07-01
CN1419765A (zh) 2003-05-21
US7170898B2 (en) 2007-01-30
WO2002043330A1 (fr) 2002-05-30
PL357095A1 (en) 2004-07-12
CN1190926C (zh) 2005-02-23
TWI222801B (en) 2004-10-21
AU2406102A (en) 2002-06-03
NZ519807A (en) 2004-11-26
EP1337076A4 (en) 2007-05-02
JP2002164936A (ja) 2002-06-07
JP3745616B2 (ja) 2006-02-15
KR20020079802A (ko) 2002-10-19
NO20023490L (no) 2002-09-20
EP1337076B1 (en) 2008-03-05
US20030048796A1 (en) 2003-03-13
CA2398448A1 (en) 2002-05-30
ATE388550T1 (de) 2008-03-15
DE60133121D1 (de) 2008-04-17
AU2002224061B2 (en) 2004-03-04
CA2398448C (en) 2006-01-10
DE60133121T2 (de) 2009-02-26
NO20023490D0 (no) 2002-07-22
BR0107641A (pt) 2002-10-08
HK1055863A1 (en)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621B1 (ko) 중계장치
US7299044B2 (en) Mobility manag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4106909B2 (ja) パケット通信制御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制御方法
US20020091760A1 (en) Distributed selection of a content server
US20060056369A1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router,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JP2008035250A (ja) 情報提供サービス制御システム
JP2005065253A (ja) ドメインネーム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188894A (ja) 地理的に隣接したアクセス・ルータの発見とモバイル・ノードのためのキャッシング
KR100454529B1 (ko) 이동통신망 시스템 상의 패킷전송방법, 패킷전송시스템 및패킷데이터 전송 매체
CN107231262A (zh) 一种基于mqtt多层级联的消息路由方法
KR20030004135A (ko) 가상 사설 네트워크에서 서버가 이동 통신 단말기로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JP2004120534A (ja) ルータと中継装置、フォワーディング方法
CN1886945B (zh) 在分散移动无线电网中用于在业务请求者(客户)和业务提供者(服务器)之间建立连接的方法
EP1670210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agent apparatus and server function moving method
WO2020108182A1 (zh) 一种实现零代理ip快速漫游的系统及方法
KR100638591B1 (ko)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WO2015145953A1 (ja)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憶媒体
JP5761709B2 (ja) 移動端末間の無線通信方法
JP2009201130A (ja) 移動管理方法および移動端末
JP2000156710A (ja) Ipアドレス変換装置
JP2002232934A (ja) 移動体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JP2005236480A (ja) 情報通信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経路選択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経路選択プログラム
EP1993266B1 (en) Internet protocol address discovery in cellular networks
JP2004274300A (ja) ソフトウェア無線機
JPH0888654A (ja) 接続装置の経路情報伝達方法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