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591B1 -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591B1
KR100638591B1 KR1020040104459A KR20040104459A KR100638591B1 KR 100638591 B1 KR100638591 B1 KR 100638591B1 KR 1020040104459 A KR1020040104459 A KR 1020040104459A KR 20040104459 A KR20040104459 A KR 20040104459A KR 100638591 B1 KR100638591 B1 KR 10063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s
address
message
mobile termi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351A (ko
Inventor
전선미
박남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4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591B1/ko
Priority to US11/721,148 priority patent/US7826410B2/en
Priority to PCT/KR2005/003571 priority patent/WO2006062290A1/en
Publication of KR2006006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1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network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DNS의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DNS까지의 일주 지연(roundtrip delay)을 계산한다. 그 후, 계산된 일주 지연이 최소인 DNS의 주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DNS의 주소로 이동 단말의 DNS 주소를 갱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서 이동 IP의 도움으로 이동을 하는 단말의 위치 변경에 따른 DNS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DNS 질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시에 DNS 질의에 따른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이동 IP, Mobile IP, DNS, DHCP, 주소 갱신, ICMP

Description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MOBILE IP TERMINAL CAPABLE OF UPDATING DNS ADDRESS AND METHOD FOR UPDATING DNS ADDRESS IN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IP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갱신될 DNS 주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이 도 1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 IP(Mobile Internet Protocol) 사용이 가능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무선 이동망 기반의 휴대 인터넷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에서 이동 IPv4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할당받을 때 DNS(Domain Name Server) 주소를 획득하여 갱신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IP는 이동 노드들의 이동이 빈번해지면서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된 프로토콜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이동 IP 워킹 그룹에서 RFC(Request For Comments) 2002로 제안하여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IP 환경에서, 이동 단말이 외부에서 원격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홈 에이전트(Home Agent, 이하 "HA"라고 함)에 현재 네트워크에서 획득한 주소를 등록하면 HA가 원격지 네트워크에 있는 이동 단말로 데이터를 보낸다. 이 이동 IP 표준은 이동 IP 에이전트(mobile IP agents)와 이동 노드(mobile nodes)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동 IP 에이전트는 등록된 이동 단말로 패킷을 라우트(route)시키는 가상의 라우팅 서비스를 담당한다.
한편, 이동 단말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IP 주소를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IP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인지하고 기억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를 위하여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이라는 인간이 인지하기 쉬운 문자의 형태로 구성된 주소 단위를 제공한다.
DNS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IP 주소와 그에 대응되는 도메인 주소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IP 시스템에서 도메인 이름으로 요청하는 서비스를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한 질의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인터넷 서비스에서 DNS 절차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종래 이동 단말에서는 최초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사용된 DNS만이 이용되는 구조이므로,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IP 사용이 가능한 이동 단말이 여러 네트워크 사이를 이동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최초에 정해진 DNS에 접속하여 IP 주소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인터넷 서비스를 요구한 이동 단말과 DNS와의 거리에 따라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이동 IPv4의 고유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이 이동 IP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때 이동 단말은 이동 에이전트로부터 IP 주소와 게이트웨이, 라우터 주소 등을 할당받을 뿐, 표준 메시지 형식에 DNS 주소를 요구할 수 있는 항목이 없어서 이동 단말이 사용할 DNS 주소를 갱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이동 단말이 DNS 주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로 국제특허출원 공개번호 WO 02/082207 "Discovering an address of a name server"가 있는데, 여기에는 이동 단말과 세션을 설정할 수 있는 패킷 서비스 노드를 가지는 이동 통신망에서 IPCP(Internet Control Protocol) 메시지를 이용하거나 이동 IP 의 표준 RRP(Registration Reply) 메시지의 내용을 변경하여 DNS의 IP 주소를 받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미리 약속된 인증 서버와 메시지를 정의하여 DNS IP 주소를 받는 것으로 인증 서버와의 DNS 정보 제공을 위한 별도의 메시지가 정의되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별도의 약속된 메시지 등의 추가 없이 DNS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DNS 주소를 갱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은,
이동 IP 기반의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의 DNS 주소를 갱신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DNS의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된 각 DNS까지의 일주 지연(roundtrip delay)을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계산된 일주 지연이 최소인 DNS의 주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DNS의 주소로 상기 이동 단말의 DNS 주소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NS 주소 추출에 사용되는 메시지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메시지 형식으로, DHCP discovery 메시지이며, 옵션으로 DNS 주소를 요구하는 옵션을 설정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일주 지연은 상기 a) 단계에서 추출된 주소의 DNS에 대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시지 송수신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NS 주소 갱신이 가 능한 이동 단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IP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이동 단말(13)이 처음에 등록된 홈망이고, 도면부호 20은 이동 단말(13)이 이동한 방문방을 나타낸다.
홈망(10)에는 홈망(10) 내에 있는 이동 단말(13)에 대한 라우팅과 이동 IP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홈 에이전트(Home Agent, 이하 "HA"라고 함, 11)가 포함되고, 방문방(20)에는 방문망(20) 내로 이동한 이동 단말(13)에 대한 라우팅과 IP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이하 "FA"라고 함, 21)가 포함된다.
한편, 홈망(10)과 방문망(20)에 공통으로 연결된 인터넷(70)에는 도메인 네임을 관리하는 다수의 DNS(30, 40)와 동적으로 IP를 할당해주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50, 60)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동 단말(13)은 홈망(10)에 최초로 가입되어 HA(11)를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고, 또한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얻기 위해 DNS(30)를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환경에서, 이동 단말(13)이 방문망(20)으로 이동하여 FA(21)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도 처음에 설정된 DNS(30)에 질의하여 실제 IP 주소를 획득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방문망(20)과 DNS(30) 사이에 거리가 멀어 DNS 메시지의 송수신으로 인한 서비스의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환경에서 이동 단말(13)이 방문망 (20)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새로 진입한 방문망(20)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즉 DNS 메시지의 송수신으로 인한 서비스의 지연이 가장 짧은 DNS(40)의 주소를 설정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DNS 주소를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13)이 홈망(10)에서 방문망(20)으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13)은 방문망(20)에서의 서비스 사용을 위해 이동 IP 등록을 수행하여야 한다(S10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13)이 방문망(20)에서의 이동 IP 등록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인 RRQ(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FA(21)로 전송하면(S110), FA(21)는 이동 단말(13)이 사용할 IP 주소와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하는 RRP(Registration Reply) 메시지를 이동 단말(13)로 보냄으로써 이동 단말(13)에 대한 등록을 허용한다(S120).
따라서, 이동 단말(13)은 FA(21)에서 보내온 RRP 메시지에 포함된 IP 주소와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 등과 같은 등록 정보를 추출한 후(S200), 추출된 등록 정보를 사용하여 방문망(20)에서의 인터넷 서비스 사용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한다(S300).
다음, 이동 단말(13)은 방문망(20)으로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자신과 가장 가까이 있는 DNS를 찾아서 그 주소를 갱신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S400).
이하, 이러한 과정(S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13)은 인터넷(70)에 접속되어 있는 DNS의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메시지를 형성하는데, 그 형식은 일반적인 DHCP 절차 중에 초기 트랜잭션으로 DHCP 서버를 검색하는 메시지인 DHCP discovery 메시지 포맷을 따른다.
이러한 DHCP discovery 메시지 포맷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DHCP discovery 메시지에는 DNS 주소를 요청하는 옵션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DHCP 메시지의 DNS 주소 요청 옵션을 사용하여 DNS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 때, 이동 단말(13)이 DHCP discovery 메시지를 사용하여 DNS의 주소 정보를 추출한다고 하여, 이 메시지가 DHC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이동 IP 클라이언트 내부의 한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DHCP discovery 메시지에 이어지는 다음의 DHCP 메시지의 절차가 계속 진행되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13)은 DNS 주소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형성된 DHCP discovery 메시지를 FA(21)를 통해 인터넷으로 방송(broadcast)한다(S410, S412, S414). 이와 같이 DHCP discovery 메시지를 방송하기 위한 목적지 주소는 방송 주소(255.255.255.255)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DHCP(50, 60)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2개의 DHCP 서버(50, 60)가 이동 단말(13)로부터 방송되는 DHCP discovery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그 후, 이동 단말(13)은 내부에 설치된 타이머를 초기화시켜 동작시킨 후 방송된 DHCP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도착하기를 기다린다(S420).
만약 타이머가 해제될 때까지 이동 단말(13)이 어떠한 응답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설정된 DNS(30)의 주소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DNS 주소 갱신을 위한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인터넷(70)에 DHCP 서버(50, 60)가 접속되어 있고, 이동 단말(13)로부터 방송된 DHCP discovery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들 DHCP 서버(50, 60)는 이동 단말이 사용할 IP 어드레스, DNS 서버 주소, 임대 시간 등을 포함하는 DHCP offer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이동 단말(13)로 각각 송신한다(S420, S420', S422, S422'). 이 경우, 상기한 DHCP 서버(50, 60) 이외에 다른 다수의 DHCP 서버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DHCP 서버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13)은 타이머 기간동안에 적어도 DHCP 서버(50, 6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이들 수신된 응답 메시지들을 각각 파싱하여 DNS 주소를 추출한다(S430). 여기서 이동 단말(13)은 DHCP 서버(5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파싱하여 DNS(30)의 주소를 추출하고, DHCP 서버(6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DNS(40)의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13)이 수신한 응답 메시지들은 임의의 DHCP 서버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므로, 해당 DHCP 서버들의 사양이나 설정 등에 따라 DNS 주소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13)은 여러 DHCP 서버들로부터 송신된 응답 메시지들 중에서 DNS 주소 정보가 파싱되지 않아 하나의 주소 정보도 추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전에 설정된 DNS(30)의 주소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DNS 주소 갱신을 위한 절차를 종료한다.
다음, 이동 단말(13)은 상기 단계(S430)에서 추출된 주소의 DNS 중에서 방문망(20)의 FA(21)와 가장 거리가 가까워서 전송 지연이 최소인 DNS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서, 이동 단말(13)은 추출된 주소의 DNS들이 살아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440), 이 확인 과정에서 획득된 DNS들과 이동 단말(13) 사이의 일주 지연(roundtrip delay)을 계산하여(S450) 최소값을 가지는 DNS 주소를 선택한다(S460).
이 때, 추출된 주소의 DNS들이 살아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TCP/IP 환경에서 접속 확인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이용한다. 이러한 ICMP는 호스트 서버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에러를 알려주는 프로토콜로서 RFC(Request For Comments) 792에 정의되어있다. 한편, 일주 지연은 이동 단말(13)에서 패킷을 보내고 해당 주소의 DNS에서 이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보내어 이동 단말(13)까지 도착하는 시간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13)이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서 추출한 주소는 DNS(30)와 DNS(40)의 주소이므로, 이동 단말(13)은 이들 DNS(30)와 DNS(40)으로 각각 ICMP 메시지를 송신하고(S440, S440', S442, S442'), 이를 수신한 DNS(30)와 DNS(4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각각 수신한다(S444, S444', S446, S446').
이동 단말(13)은 DNS(30)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DNS(30)에 대한 일주 지연을 계산하고, 또한 DNS(40)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DNS(40)에 대한 일주 지연을 계산한 후(S450), 두 개의 일주 지연을 비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NS(30)가 DNS(40)에 비해 방문망(20)의 FA(21)에 접속된 이동 단말(13)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일주 지연 또한 큰 것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13)은 일주 지연이 최소인 DNS, 즉 DNS(40)의 주소를 선택한다(S460).
이와 같이, 이동 단말(13)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DNS(40)의 주소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13)은 선택된 DNS(40)의 주소 정보로 자신의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한다(S500). 특히, 이동 단말(13)이 사용할 DNS의 주소 정보를 DNS(40)의 주소 정보로 갱신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13)은 일반적인 DHCP 메시지와 ICMP를 사용하여 전송 지연이 작은 DNS 주소를 획득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DNS의 주소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이동 단말이 홈망(10)에서 방문망(20)으로 이동한 후에 등록 절차를 수행한 후에 DNS 주소를 갱신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단말(13)이 홈망(10) 또는 방문망(20)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현재 설정되어 있는 DNS의 주소를 갱신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DHCP discovery 메시지와 ICMP 메시지는 이동 단말(13)이 타 망으로 이동한 후가 아닌 현재 망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한 메시지들이므로 당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서 이동 IP의 도움으로 이동을 하는 단말의 위치 변경에 따른 DNS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DNS 질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시에 DNS 질의에 따른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mobile) IP 기반의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의 DNS(Domain Name Server) 주소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DNS의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된 각 DNS까지의 일주 지연(roundtrip delay)을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계산된 일주 지연이 최소인 DNS의 주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DNS의 주소로 상기 이동 단말의 DNS 주소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 상기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DNS의 주소를 추출하기 위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
    ii) 상기 방송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DNS의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의 메시지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메시지 형식으로, DHCP discovery 메시지이며, 옵션으로 DNS 주소를 요구하는 옵션을 설정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에서 응답 메시지 수신은 특정 타이머를 초기화한 후 시간 계수가 종료될 때까지 수행되며,
    상기 iii) 단계는,
    상기 특정 타이머의 시간 계수가 완료될 때까지 수신된 응답 메시지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타이머의 시간 계수가 완료될 때까지 수신된 응답 메시지가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파싱하여 DNS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타이머의 시간 계수가 완료될 때까지 수신된 응답 메시지가 없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DNS 주소를 계속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타이머의 시간 계수가 완료될 때까지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DNS 주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DNS 주소를 계속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DHCP discovery 메시지를 수신한 DHCP 서버에서 송신하는 DHCP offer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일주 지연은 상기 a) 단계에서 추출된 주소의 DNS에 대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시지 송수신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현재 망에서 다른 망으로 이동한 후, 이동 IP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다른 망의 외부 에이전트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망의 외부 에이전트로부터 이동 IP 등록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IP 등록 요청 메시지와 이동 IP 등록 허용 메시지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Request For Comments) 2002 표준 프로토콜인 이동 IP 등록 메시지인 RRQ(Registration Request) 및 RRP(Registration Reply) 메시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KR1020040104459A 2004-12-10 2004-12-10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KR10063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459A KR100638591B1 (ko) 2004-12-10 2004-12-10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US11/721,148 US7826410B2 (en) 2004-12-10 2005-10-26 Method for updating DNS address in mobile IP terminal
PCT/KR2005/003571 WO2006062290A1 (en) 2004-12-10 2005-10-26 Method for updating dns address in mobile ip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459A KR100638591B1 (ko) 2004-12-10 2004-12-10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351A KR20060065351A (ko) 2006-06-14
KR100638591B1 true KR100638591B1 (ko) 2006-10-26

Family

ID=3657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459A KR100638591B1 (ko) 2004-12-10 2004-12-10 이동 ip 단말에서의 dns 주소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26410B2 (ko)
KR (1) KR100638591B1 (ko)
WO (1) WO2006062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1477A1 (en) * 2007-02-15 2008-08-21 Microsoft Corporation Client side replacement of DNS addresses
US8661101B2 (en) * 2007-06-01 2014-02-25 Avaya Inc. Method of IP address de-aliasing
KR100948836B1 (ko) * 2007-12-03 2010-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도메인이름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KR100940091B1 (ko) * 2007-12-18 2010-02-02 주식회사 케이티 타이머를 이용한 단말 이동성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8423607B2 (en) * 2010-06-01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Fallback procedures for domain name server update in a mobile IP registration
US9445354B2 (en) * 2013-02-05 2016-09-13 Mediate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IPv6 domain name system server and SIP server address
JP2016062232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7979657B (zh) * 2017-12-18 2021-06-15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网络设备的dns地址处理方法及系统
CN111836319B (zh) 2019-08-23 2023-04-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域名地址获取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6045B1 (en) * 1997-05-19 2001-09-04 Matchlogic, Inc. Information storage and delivery over a computer network using centralized intelligence to monitor and control the information being delivered
US6810411B1 (en) * 1999-09-13 2004-10-2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hos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795858B1 (en) * 2000-12-29 2004-09-2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tric based server selection
US7702760B2 (en) * 2001-03-26 2010-04-20 Nokia Corpor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US7447182B2 (en) * 2001-04-06 2008-11-04 Nortel Networks Limited Discovering an address of a name server
DE60222875T2 (de) * 2001-04-06 2008-02-14 Nortel Networks Ltd., St. Laurent Verfahren und system zur erkennung einer namenserveradresse
US7248873B2 (en) * 2003-06-25 2007-07-24 Nokia Corporation Parameter selection optimization for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351A (ko) 2006-06-14
US20090274114A1 (en) 2009-11-05
WO2006062290A1 (en) 2006-06-15
US7826410B2 (en)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0815B1 (en) System, method and gateway for dynamically allocating a home network address to a mobile node in a foreign network
US8457014B2 (en) Method for configuring control tunnel and direct tunnel in IPv4 network-based IPv6 service providing system
US7639686B2 (en) Access network clusterhead for providing local mobility management of a roaming IPv4 node
US7826410B2 (en) Method for updating DNS address in mobile IP terminal
US20070053334A1 (en) Packet forwarding apparatus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to ISP network
EP1139632A2 (en) Method for packet communication with mobile node
KR100538223B1 (ko) 모바일 노드와 대응 노드간 접속 시 터널링 제거 시스템및 방법
JP2002314618A (ja) トランスレータにおけるプロトコル変換方法,変換サーバにおけるプロトコル変換情報の提供方法及びアドレス変換サーバ
JP2006502636A (ja) 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
CA2427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 mobile ip to a mobile node
KR100882355B1 (ko) 제어 서버의 성능 향상을 위한 IPv6-IPv4 전환방법 및 시스템
US824368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roadcast optimization in mobile IP
US7684796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agent apparatus, and server function moving method
EP152217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choring of mobile nodes using DNS
EP17004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 secure tunnel in a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
EP1854247A1 (en) Packet data transmission
US744716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choring of mobile nodes using DNS
US201602189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ing packet in id/locator separation environment
JP4306579B2 (ja) ホームリンク設定方法、ホーム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移動端末
WO2009005212A1 (en) Ipv6 over ipv4 tran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control server
JP2006352444A (ja)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転送方法
WO2008069504A1 (en) Method for configuring control tunnel and direct tunnel in ipv4 network-based ipv6 service providing system
Van den Wijngaert et al. Integration of IP mobility in OPNET: modeling and simulation
JP3861885B2 (ja) 移動端末及びパケット送信方法
JP2004363755A (ja) 通信装置及びパケット中継装置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