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659B1 -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659B1
KR100484659B1 KR10-2003-0026036A KR20030026036A KR100484659B1 KR 100484659 B1 KR100484659 B1 KR 100484659B1 KR 20030026036 A KR20030026036 A KR 20030026036A KR 100484659 B1 KR100484659 B1 KR 10048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movable body
fixing member
gap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201A (ko
Inventor
사사키노리요시
야나기타요스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03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과제) 도어유리측 부착구멍과 유지부측 장착구멍의 위치맞춤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차체 진동 등에 의한 나사의 이완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도어 본체(5)의 가이드 레일(2)를 따라서 승강되는 가동체(10)와, 가동체(10)에 형성된 유지부(20)와, 유지부(20)에 지지된 도어유리(WG)를 빠짐방지하는 고정부재(45)를 구비한 유지장치에 있어서, 유지부(20)는, 가동체(10)의 대응면과의 사이에 도어유리(WG)의 하단측이 삽입되는 틈새(S)를 형성하는 지지편(21,22)과, 지지편(22)에 설치되어 틈새(S) 내로 출몰되는 요동부재(30)와, 가동체(10)에 형성되며 고정부재(45)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장착구멍(11a)을 가지고 있다. 도어유리(WG)가 고정부재(45)의 선단측을 통과시키는 부착구멍(h)을 가지고 있으며, 요동부재(30)가 도어유리(WG)의 틈새(S) 내로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틈새(S)로부터 퇴피하도록 이동되고, 또한 부착구멍(h)과 요동부재(30)의 선단이 일치하였을 때에 부착구멍(h) 내로 돌출하여 도어유리(WG)를 위치결정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도어유리용 유지장치{HOLDING DEVICE FOR DOOR GLASS}
본 발명은 도어유리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지장치 중, 특히 캐리어 플레이트로서 매우 적합한 도어유리용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승강식 도어유리는, 도어유리를 홀더 등을 통해서 지지하는 유지장치(캐리어 플레이트)와, 도어 본체에 부설되어 유지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윈도 레귤레이터)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개폐된다. 승강장치를 구동타입에 따라 분류하면, Ⅹ암식, 평행 암식, 와이어식, 테이프식으로 대별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도어유리용 유지장치는, 일본국 실개평 5-67516호 공보(제 1 및 제 2 페이지, 도 1∼도 5)(이하 "문헌 1"이라 한다) 및 일본국 특개평 7-208020호 공보(제 2 페이지∼제 5 페이지, 도 1∼도 3)(이하 "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와이어식 승강장치에 매우 적합한 예이다.
도 8에 나타낸 유지장치(50)(문헌 1)는, 가동체(승강부재)(51)와, 이 가동체(51)의 양 상측에 볼트(53a) 및 너트(53b)(고정부재)를 통해서 장착되는 리테이너(52)로 이루어진다. 가동체(51)는 금속 프레스품이고, 도어 본체에 부설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된다. 리테이너(52)는 수지 성형품이고, 상측이 개구된 틈새를 형성하고 있는 유지부(54) 및 하측의 부착부(55)를 형성하고 있다. 유지부(54)는 상측이 개구된 대략 U자 형상의 양 지지편(54a)과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부(56)를 가지고 있다. 부착부(55)는 이 부착부(55)의 대략 중앙부 내에 매설된 너트(53b)를 가지고 있으며, 돌기부(56)와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유지부(54)가 도어유리(WG)의 하단측에 접착제 등에 의해서 장착되고, 부착부(55)가 가동체(51)에 대해서 볼트(53a)를 통해서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유리(WG)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9에 나타낸 유지장치(60)(문헌 2)는, 금속제의 가동체(캐리어 플레이트) (61)와, 가동체(61)의 양 상측에 장착되는 유지구(62)로 이루어진다. 가동체(61)는 끼워맞춤부(63a)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부(63)를 가지며, 이 가이드부(63)를 통해서 도어 본체(66)에 부설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64)을 따라서 승강된다. 유지구(62)는 가동체(61)의 양측에 부착됨과 아울러 고정부재(볼트 등의 나사고정부재)(65)가 도어유리(WG)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빠짐방지된 상태로 도어유리(WG)를 가동체(61)에 고정 지지한다.
상기한 도어유리용 유지장치는, 도어유리(WG)가 가동체(51 또는 61)의 상하이동에 수반되어 반복해서 승강되기 때문에, 도어유리(WG)를 가동체(51,61)에 대해서 소정의 강도로 결합하여야 한다. 이 결합력은 고정부재(65)를 도어유리(WG)의 부착구멍에 끼워서 체결하는 지지구조로 된 문헌 2의 것이 문헌 1의 지지구조보다도 우수하지만, 도어유리(WG)의 하단측에 부착구멍을 형성하고, 이 부착구멍에 고정부재(65)를 끼워서 빠짐방지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문제가 된다.
즉, 유지장치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유리의 하단측을 U자형 유지부 내에 삽입하여 지지하는 구성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를 유지부측 장착구멍에서 도어유리측 부착구멍으로 끼워서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도어유리측 부착구멍과 유지부측 장착구멍의 위치맞춤을 하기 어렵게 되고, 이 위치맞춤이 불완전하게 되면, 고정부재를 끼울 때에 도어유리를 파손시키거나 손상시키기 쉬워지게 된다. 이것은, U자형 유지부 내에서 도어유리측 부착구멍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위치맞춤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고, 부착구멍이 도어유리의 하단측에 있어서의 좌우 중간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게 된다. 또, 고정부재에 의한 나사고정구조는 도어유리의 교환성이 우수하지만, 고정부재의 나사결합상태가 반복되는 차체 진동에 의해서 이완되기 쉽다. 또한, 유지장치의 구조로서는, 간이화를 꾀함에 있어서 가동체 및 도어유리의 유지부를 수지재로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상기 유지부를 가동체에 어떻게 형성할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도어유리측에 부착구멍을 형성하고, 고정부재를 유지부측 장착구멍에서 상기 부착구멍으로 끼워 통과시켜서 도어유리를 빠짐방지하는 경우 및 도어유리의 좌우 중간부근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도어유리측 부착구멍과 유지부측 장착구멍의 위치맞춤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또 고정부재로서 나사고정구조를 채용하더라도 차체 진동 등에 의한 나사의 이완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 중에서 순차적으로 밝혀 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특정하면, 도어 본체(5)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을 따라서 승강되는 가동체(10)와, 상기 가동체(10)에 형성되어 도어유리(WG)를 받쳐 들도록 지지하는 유지부(20)와, 상기 유지부(20)에 지지된 상기 도어유리(WG)의 하단측을 빠짐방지하는 고정부재(45)를 구비한 도어유리용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20)는, 상기 가동체(10)의 대응면과의 사이에 상기 도어유리(WG)의 하단측이 삽입되는 상측이 개구된 틈새(S)를 형성하는 지지편(21,22)과, 상기 지지편(22)에 설치되어 상기 틈새(S) 내로 출몰되는 요동부재(30)와, 상기 가동체(10)에 형성되며 상기 요동부재(30)와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45)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장착구멍(11a)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도어유리(WG)가 상기 고정부재(45)의 선단측을 통과시키는 부착구멍(h)을 가지고 있고, 상기 요동부재(30)가 상기 도어유리(WG)의 상기 틈새(S) 내로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틈새(S)로부터 퇴피하도록 이동되고, 또한 상기 부착구멍(h)과 상기 요동부재(30)의 선단이 일치하였을 때에 상기 부착구멍(h) 내로 돌출하여 상기 도어유리(WG)를 위치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장치구조에서는, 유지부(20)가 가동체(10)와의 사이에 상측이 개구된 틈새(S)를 형성하는 지지편(21,2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어유리(WG)의 하단측이 상기 틈새(S)에 삽입되어 지지되게 된다. 이 때, 도어유리(WG)는 틈새(S)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 틈새(S) 내로 돌출되어 있던 요동부재(30)의 선단과 맞닿게 됨으로써 요동부재(30)를 요동변위시켜 틈새(S)로부터 퇴피시킨다. 요동부재(30)는, 부착구멍(h)이 요동부재(30)의 선단과 일치하지 않는 한 틈새(S) 내로 돌출될 수 없으며, 부착구멍(h)이 요동부재(30)의 선단과 일치하였을 때에 본래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즉 부착구멍(h) 내로 돌출함으로써 도어유리(WG)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지장치에서는, 도어유리(WG)를 유지부(20)의 틈새(S)에 삽입하여 지지하는 구성과 고정부재(45)를 판상부(11)의 장착구멍(11a)에서 도어유리(WG)의 부착구멍(h)으로 끼워 통과시키는 빠짐방지구성을 채용하더라도 가동체 (10)에 대한 도어유리(WG)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또한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요동부재(30)를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요동변위시키면, 작업자는 요동부재(30)의 선단이 부착구멍(h)에 끼워질 때의 소리에 의해서 위치결정이 완료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은 이하의 제 2 내지 제 5 특징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상기 고정부재(45)는, 상기 도어유리(WG)가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구멍(11a)에서 상기 도어유리(WG)의 부착구멍(h)을 통과하여 상기 요동부재(30)의 선단에 누름접촉되는 구성이다. 이것은, 도어유리(WG)를 고정부재(45)에 의해서 빠짐방지하는 경우, 고정부재(45)가 장착구멍(11a)에 단지 나사결합 등에 의해서 걸려 고정되어 있으면, 차체 진동 등에 의해서 이완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45)를 요동부재(30)의 선단에 누름접촉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회전을 저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상기 요동부재(30)가 상기 가동체(10)에 설치된 탄성 판상부(40) 및 이 탄성 판상부(40)에 설치된 돌기부(32)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 (32)의 선단과 상기 고정부재(45)의 선단에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부(34) 및 오목부(48) 중 어느 일측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걸어맞춤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상기한 고정부재(45)의 이완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상기 가동체(10) 또는 상기 가동체(10) 및 상기 지지편(22)이 상기 틈새(S)의 상측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폭이 넓어지게 되도록 가이드부(16 혹은 23)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가이드부의 안내작용에 의해서 도어유리의 삽입 조작성을 향상시키거나 자동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상기 가동체(10)가 상기 지지편(21,22)과 상기 가이드 레일(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12)를 대향하는 표리면에 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유지장치가 수지 성형품으로서 매우 적합한 것임을 특정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지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모식 구성도, 도 2는 도어유리를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나타낸 모식 구성도이다. 도 3의 (a),(b)는 도어유리를 유지장치에 위치결정되도록 배치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 종단면도, 도 4는 도어유리를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나타낸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상기 유지장치의 용도예를 나타낸 모식 구성도이다. 도 7은 유지장치의 변형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지장치의 용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장치의 구조 및 도어유리의 부착 작동을 서술한 후, 변형예를 언급한다.
(개요)
본 실시형태의 도어유리용 유지장치는 주부재가 가동체(10)로 구성되고,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치인 윈도 레귤레이터(1)에 의해서 도어유리 (WG)를 가동체(10)를 통해서 상하로 승강시키는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윈도 레귤레이터(1)는 와이어식이고, 자동차의 도어 본체(이너 패널)(5)에 고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2)과, 이 가이드 레일(2)의 상하단측에 부설되어 와이어(3)를 레귤레이터측으로 안내하는 풀리 유니트(4a,4b)와, 가이드 레일(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가동체(10)를 구비하며, 가동체(10)가 와이어(3)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승강이동됨으로써 가동체(10)에 고정 지지된 도어유리(WG)를 개폐한다. 부호 2a는 가이드 레일(2)에 형성된 세로 리브이고, 후술하는 가동체(10)의 세로 홈(15)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유지장치는 캐리어 플레이트, 승강부재, 가동부재 혹은 가동체라 불리우는 것도 있다. 또, 윈도 레귤레이터(1)로서는 상기한 와이어식에 한정하지 않고 평행 암식 등의 다른 방식이어도 된다.
(장치의 구조)
상기 유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입체의 가동체(10)와, 요동부재로서의 비교적 작은 클립(30)과, 탄성 판상부로서의 세장(細長)의 판스프링(40)과, 나사식 고정부재(45)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 중에서, 가동체(10)와 클립(30)은 수지성형품이고, 판스프링(40)과 고정부재(45)는 금속 또는 합금제로 되어 있으나 수지로 형성하여도 된다.
가동체(10)는, 메인 판상부(이하, 판상부라 약칭한다)(11)의 표리면에 유지부(20)와 끼워맞춤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또 판스프링용 부착부로서 걸림편(18) 및 걸림고정편(19a,19b)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끼워맞춤부(12)는 판상부(11)의 이면측에 위치하며, 서로 대향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끼워맞춤부(12)는 판상부(11)와의 사이에 공간(12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공간(12a)에 상기 가이드 레일(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이 끼워맞춤부(12)는 상기 가이드 레일(2)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된다.
판상부(11)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양 끼워맞춤부(12)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세로 홈(14,15)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 홈(14)은 상기 와이어 (3)의 대응부를 받아들여서 안내하는 개소이고, 세로 홈(15)은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세로 리브(2a)가 끼워맞춰지는 개소이다.
부호 17은 판상부(1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이 개구부(17)는 세로 홈(14)과 연이어 통하여 있으며, 여기서는 와이어(3)의 대응부가 도시하지 않은 걸림구에 의해서 걸려 고정됨으로써, 가동체(10)가 와이어(3)를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판상부(11)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리면을 관통하는 장착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11a)은, 도어유리(WG)의 하단측에 있어서, 대략 좌우 중간부근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2개의 부착구멍(h)에 대응하여 1쌍 형성되며, 또 이 장착구멍(11a) 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암나사부는 틈새(S)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부재(45)는 축부(46)와 수나사부(47)로 이루어진다. 축부(46)는 도어유리(WG)의 부착구멍(h)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부착구멍(h)에 틈새없어 삽입된다. 축부(46)의 단면에는 오목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8)는 대략 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 (47)는 상기 장착구멍(11a)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며, 고정부재(45)를 도 4에 나타낸 최종 나사삽입위치까지 나사끼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나사부(47)의 단면에는 드라이버 등으로 조작 가능한 홈부(47a)가 각인되어 있다. 또, 상기한 암나사부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를 가동체(10)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매설하도록 하여도 된다.
유지부(20)는 판상부(11)의 표면측에 위치하며, 이 판상부(11)와의 사이에 도어유리(WG)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틈새(S)를 유지하면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편(21,22)을 가지고 있다. 지지편(21)은 양측의 지지편(22)보다도 일단(一段)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7)를 노출시키고 있다. 양 지지편(22)의 선단은 틈새(S)의 상측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즉 외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23)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부(23)는 판상부(11)의 표면 상측에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16)와 함께 도어유리(WG)를 틈새(S) 내로 삽입하기 용이하게 한다. 양 지지편(22)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24)은 상기한 장착구멍(11a)과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하며, 내측 구멍(24a)이 외측 구멍(24b)보다도 지름이 작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편(18) 및 걸림고정편(19a,19b)은 판상부(11)에 있어서의 지지편(22)의 직하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18)은, 판상부(11)의 대응부를 대략 ㄷ자 형상의 슬릿(18a)으로 구획 형성한 상태로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또 하측의 요동단부에 돌조부를 가지고 있다. 걸림고정편(19a,19b)은 걸림편(18)의 양측과 하측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가동체(10)에는 클립(30)이 장착된 판스프링(40)이 부착됨과 아울러 고정부재(45)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로 나사고정되며, 이 상태로 차체의 조립라인에 공급된다.
상기 요동부재로서의 클립(30)은 플랜지부(31)와 이 플랜지부(31)의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로서의 축부(32)로 이루어진다. 플랜지부(31)는 상기 관통구멍(24)의 외측 구멍(24b)에 끼워맞춰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 형성된 원형 부착부(33)를 가지고 있다. 이 부착부(33)는 그 둘레부에 있어서, 플랜지부(31)와의 사이에 작은 틈새를 유지하고 있는 1쌍의 돌기(33a)를 형성하고 있다. 축부(32)는 상기 관통구멍(24)의 내측 구멍(24a)에 끼워맞춰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 형성된 볼록부 (34)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34)는 그 축부(32)의 단면이 대략 十자 형상이 되도록 돌출되고, 또한 전체가 둥그스름한 주발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고정부재(45)의 오목부(48)와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하거나, 도어유리(WG)의 하단면과 맞닿았을 때에 판스프링(40)을 통해서 요동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탄성 판상부로서의 판스프링(40)은 걸림고정편(19a,19b)에 부착되는 부착판부(41), 판상부(11)와 지지편(22)과의 사이에 단차되게 배치되는 굴곡판부(42), 클립(30)이 장착되는 장착판부(4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부착판부(41)에는 중앙부에 걸림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판부(43)에는 원형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구멍(44)에는 상하에 도피용 구멍부(44a)와 좌우에 1쌍의 걸림돌조(4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판스프링(40)에는 클립(30)이 장착된다. 이 경우, 클립(30)은 그 부착부(33)를 원형구멍(44)에 삽입한 상태에서 대략 90도 회전시킴으로써, 각 돌기(33a)가 대응하는 걸림돌조(44b)에 압착상태로 걸림으로써 판스프링(40)에 장착된다. 그 후, 판스프링(40)은, 부착판부(41)가 걸림고정편(19a,19b)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한 걸림편(18)의 돌조부가 걸림구멍(41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가동체(10)에 부착된다.
(부착 작동)
이어서, 이상의 유지장치에 도어유리를 고정 지지하는 조작 요령과 부착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a)는 상기 가동체(10)에 클립(30)과 고정부재(45)가 설치된 유지장치의 조립상태이고, 도어유리(WG)가 유지부(20)의 틈새(S) 내로 상측에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유지장치는, 조립상태에 있어서, 클립(30)의 볼록부(34)가 틈새(S) 내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유리(WG)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16,23)에서 틈새(S) 내로 삽입되는 도중에 클립(30)의 볼록부(34)와 맞닿게 된다. 클립(30)은, 상기 맞닿음상태에서 도어유리(WG)의 하중에 의해서 판스프링(40)의 요동변위를 수반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고, 볼록부(34)가 틈새(S)로부터 퇴피하였을 때에 도어유리(WG)의 삽입을 허용한다. 또, 클립(30)은, 도어유리(WG)의 부착구멍(h)이 볼록부(34){및 장착구멍(11a)}와 일치하지 않는 한 유리면에 규제되어 틈새(S) 내로 돌출되지 않지만, 부착구멍(h)이 볼록부(34)와 일치하여 위치맞춤되면, 판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본래의 위치로 되돌려짐으로써 볼록부(34)가 부착구멍(h) 내로 삽입되게 된다. 이 위치결정시에는 볼록부(34)가 판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부착구멍(h) 내로 급격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클릭감 또는 클릭음이 발생한다. 작업자는 이 클릭음에 의해서 도어유리(WG)가 바르게 위치맞춤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유리(WG)를 로보트에 의해서 삽입할 때에는, 클립(30)의 이동위치나 판스프링(40)의 요동변위를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위치맞춤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게 된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도어유리(WG)가 위치맞춤된 후, 고정부재(45)가 드라이버 등에 의해서 체결방향으로 회전 조작된다. 이 회전 조작에 의해서, 고정부재(45)는 수나사부(47)와 장착구멍(11a)의 암나사부와의 나사결합을 통해서 도 4의 (a)에 나타낸 최종 나사삽입위치까지 나사끼움된다. 이 과정에서는, 고정부재(45)가 부착구멍(h) 내로 삽입되면서 그 선단면이 부착구멍(h) 내로 돌출되어 있던 클립(30)의 볼록부(34)와 맞닿게 됨으로써, 클립(30)은 판스프링(40)의 탄성변위를 수반하면서 외측으로 이동한다. 고정부재(45)는, 축부(46)가 부착구멍(h)을 완전히 관통한 상태에서, 오목부(48)가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34)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판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클립(30)과 누름접촉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고정부재(45)가 장착구멍(11a)에 대해서 나사끼움에 의해서 걸려 고정되도록 하더라도, 판스프링(40)으로부터 받는 응역(F)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탄지되고 또 오목부(48)와 볼록부(34)와의 걸어맞춤상태에 의해서, 차체 진동 등에 기인하여 나사가 이완되는 우려를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45)를 로보트로 회전 조작할 경우에는, 클립(30)의 위치나 판스프링(40)의 요동변위를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고정부재(45)의 최종적인 나사삽입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변형예)
도 7에 나타낸 변형예는 상기한 클립 및 판스프링을 생략하여 간략화한 일례이다. 도 7의 (a)는 도 1에 상당하고, 도 7의 (b)는 도 7(a)의 A-A선 종단면도로서 도 4의 (a)에 상당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변경점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유지장치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상부(11)와의 사이에 틈새(S)를 유지하면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편(21,22) 중, 양측의 지지편(22)을 변경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지지편(22)은 내측 지지편(25a)과 중간 지지편(26)과 외측 지지편(2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편(26)은 슬릿(27)을 통해서 지지편(25a,25b)과 구획되게 형성되고, 또 지지편(25a,25b)의 판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요동변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편(26)의 내면측에는 돌기부(3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35)의 선단에는 볼록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35a)는 장착구멍(11a)과 대향하고 또한 틈새(S) 내로 돌출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클립(30)의 볼록부(34)에 상당하는 볼록부(35a)이다. 다만, 이 볼록부(35a)의 형상은 성형상의 제약에 의해서 볼록부(34)와는 다르게, 즉 대략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고정부재(45)의 축부(46)의 단면에는 볼록부(35a)와 걸어맞춰지는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유지장치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가동체(10)에 고정부재(45)만을 조립하면 된다.
그리고, 도어유리(WG)는 가이드부(16)에서 틈새(S) 내로 삽입되는 도중에 볼록부(35a)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지지편(26)은 상기 맞닿음상태에서 도어유리(WG)의 하중에 의해서 탄성요동변위를 수반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고, 볼록부(35a)가 틈새(S)로부터 퇴피하였을 때에 도어유리(WG)의 삽입을 허용한다. 또, 지지편(26)은 도어유리(WG)의 부착구멍(h)이 볼록부(35a){및 장착구멍(11a)}와 일치하지 않는 한 유리면에 규제되어 틈새(S) 내로 돌출되지 않지만, 부착구멍(h)이 볼록부(35a)와 일치하여 위치맞춤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본래의 위치로 되돌려짐으로써 볼록부(35a)가 부착구멍(h) 내에 삽입된다. 이 위치결정시에도 볼록부 (35a)가 지지편(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부착구멍(h)에 급격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클릭감 또는 클릭음이 발생한다.
또, 도어유리(WG)가 위치맞춤된 후, 고정부재(45)가 드라이버나 전용 치구에 의해서 체결방향으로 회전 조작된다. 이 회전 조작에 의해서, 고정부재(45)는 수나사부(47)와 장착구멍(11a)의 암나사부와의 나사결합을 통해서 도 7의 (b)에 나타낸 최종 나사삽입위치까지 나사끼움된다. 이 과정에서도, 고정부재(45)가 부착구멍(h) 내로 삽입되면서 그 선단면이 부착구멍(h) 내로 돌출되어 있던 볼록부(35a)와 맞닿게 됨으로써, 이 볼록부(35a)가 지지편(26)을 탄성변위시키면서 틈새(S)로부터 퇴피된다. 고정부재(45)는 그 축부(46)가 부착구멍(h)을 완전히 관통한 상태에서 오목부(49)가 볼록부(35a)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지지편(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누름접촉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도, 고정부재(45)가 장착구멍(11a)에 대해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나사끼움에 의해서 걸려 고정되도록 하더라도, 지지편(26)으로부터 받는 탄성력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눌려지는 결과, 차체 진동 등에 기인하여 나사가 이완되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어유리용 유지장치는, 청구항에 특정한 요건을 제외하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유지장치를 자동차의 도어유리를 지지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용도적으로는 도어유리가 승강되어 개폐하는 형태라면 이것 이외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유리용 유지장치는, 종래부터 개시된 도어유리의 하단측을 유지부의 틈새에 삽입하여 지지하는 구성과 고정부재를 가동체의 장착구멍에서 도어유리의 부착구멍으로 끼워 통과시키는 빠짐방지구성을 동시에 채용함으로써, 가동체에 대한 도어유리의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자동적인 위치결정도 가능하게 한다.
또, 요동부재를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요동변위시키는 것 뿐이고, 작업자는 요동부재의 선단이 부착구멍에 끼워질 때의 소리에 의해서 위치결정이 완료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예를 들면, 도어유리의 좌우 중간부근을 유지하는 형태에서도 도어유리측 부착구멍과 유지부측 장착구멍의 위치맞춤 또한 고정부재에 의한 빠짐방지를 도어유리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지장치를 일부 분해한 상태로 나타낸 모식 구성도
도 2는 상기 유지장치에 도어유리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 구성도
도 3은 상기 유지장치에 도어유리를 지지하는 조작을 나타낸 모식 단면도
도 4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도어유리를 지지하는 조작을 나타낸 모식 단면도
도 5는 상기 유지장치의 도어측에 대한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상기 유지장치의 승강구동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 구성도
도 8은 종래 유지장치의 요부 및 요부 단면도
도 9는 종래 유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가이드 레일 2a - 세로 리브
10 - 가동체(유지장치) 11 - 메인 판상부
12 - 끼워맞춤부 20 - 유지부
S - 틈새 21,22 - 지지편
25a,25b - 지지편 26 - 지지편(요동부재 또는 탄성 판상부)
30 - 클립(요동부재) 33 - 부착부
32 - 축부(돌기부) 34 - 볼록부
35 - 돌기부 35a - 볼록부
40 - 판스프링(탄성 판상부) 45 - 고정부재
46 - 축부 47 - 수나사부
48,49 - 오목부 WG - 도어유리
h - 부착구멍

Claims (7)

  1. 도어 본체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형성되어 도어유리를 받쳐 들도록 지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지지된 상기 도어유리의 하단측을 빠짐방지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도어유리용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가동체의 대응면과의 사이에 상기 도어유리의 하단측이 삽입되는 상측이 개구된 틈새를 형성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설치되어 상기 틈새 내로 출몰되는 요동부재와, 상기 가동체에 형성되며 상기 요동부재와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장착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도어유리가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측을 통과시키는 부착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도어유리의 상기 틈새 내로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틈새로부터 퇴피하도록 이동되고, 또한 상기 부착구멍과 상기 요동부재의 선단이 일치하였을 때에 상기 부착구멍 내로 돌출하여 상기 도어유리를 위치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유리가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구멍에서 상기 도어유리의 부착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요동부재의 선단에 누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가동체에 설치된 탄성 판상부 및 이 탄성 판상부에 설치된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일측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가동체에 설치된 탄성 판상부 및 이 탄성 판상부에 설치된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일측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 또는 상기 가동체 및 상기 지지편이 상기 틈새의 상측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폭이 넓어지게 되도록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가, 상기 지지편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대향하는 표리면에 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가, 상기 지지편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대향하는 표리면에 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KR10-2003-0026036A 2002-10-01 2003-04-24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KR100484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9124 2002-10-01
JP2002289124A JP2004124479A (ja) 2002-10-01 2002-10-01 ドアガラス用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201A KR20040030201A (ko) 2004-04-09
KR100484659B1 true KR100484659B1 (ko) 2005-04-22

Family

ID=3228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036A KR100484659B1 (ko) 2002-10-01 2003-04-24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124479A (ko)
KR (1) KR100484659B1 (ko)
TW (1) TW5710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391B1 (ko) * 2006-10-09 200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글래스의 취부구조
KR100888207B1 (ko) 2007-10-30 2009-03-1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글라스의 승강장치
CN103221754B (zh) * 2010-12-27 2015-07-22 三菱电机株式会社 换气扇
JP6493078B2 (ja) * 2015-08-07 2019-04-03 Agc株式会社 車両窓用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201A (ko) 2004-04-09
TW200405920A (en) 2004-04-16
TW571022B (en) 2004-01-11
JP2004124479A (ja)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908B2 (en) Engaging piece for window regulator
JP4235655B2 (ja) ベルトモール
EP1887902B1 (en) Plastic fastener
US20070113485A1 (en) Door module positioning system
US20070113483A1 (en) Door module positioning system
EP0782218A2 (en) Construction for connecting electric connection box for instrument panel harness
WO2007047734B1 (en) Cutting tool with locking pin
JP2000263350A (ja) ブッシュ圧入装置
KR100484659B1 (ko) 도어유리용 유지장치
KR20080039276A (ko) 유리홀더
JPH09144715A (ja) 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US9217266B2 (en) Self locating tie bar guide for sash lock tie bars
US7785686B2 (en) Molding
US10697206B2 (en) Operation handle and handle main body structure for operation handle
WO2015004822A1 (ja) ワイヤ張力増強手段を備えた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CN113811690B (zh) 泵安装框架
KR101323964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트 장치
JP2007321413A (ja) ケーブル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のガラス連結構造
KR10083965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핑장치
WO2010122885A1 (ja) クリップ
JP3843725B2 (ja) プレス用カム型
CN114643316B (zh) 冲压机钻孔加工方法
KR100523547B1 (ko)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프레임 성형용 금형
KR20070020656A (ko) 자동차 헤드라이닝 결합구
KR102304556B1 (ko) 리벳 체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