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547B1 -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 Google Patents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547B1
KR100484547B1 KR10-2002-0002369A KR20020002369A KR100484547B1 KR 100484547 B1 KR100484547 B1 KR 100484547B1 KR 20020002369 A KR20020002369 A KR 20020002369A KR 100484547 B1 KR100484547 B1 KR 10048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ace
pattern
manufactur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010A (ko
Inventor
배성태
Original Assignee
배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태 filed Critical 배성태
Priority to KR10-2002-000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5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with an internal foursided frame
    • E06B3/825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with an internal foursided frame with a woode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92Fixing of window panes in openings in 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 도어를 제작함에 있어 도어의 내부 중앙부가 충진되도록 하여 도어 집성 접합 후에 제작자가 원하는 문양 및 공간부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받침역할을 하는 목형틀을 이용함으로써 도어에 형성된 공간부의 주변부분에 대해서도 문양지가 확실히 부착됨과 아울러 공간부의 형상을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깔끔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manufacturing method and things of gathering door}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제작함에 있어 도어의 내부 중앙부가 충진되도록 하여 도어 집성 접합 후에 제작자가 원하는 문양 및 공간부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도어에 형성된 공간부의 주변부분에 대해서도 문양지가 확실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깔끔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사용되어지는 도어는 디자인이나 제작방법에 따른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어를 제작하고 판매하는 제작자는 보다 값싸고 좋은 디자인의 도어를 개발하여 소비자들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종래에는 도어를 제작함에 있어 원목의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원목의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정 및 문양을 형성시키기 위한 각종 공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한 제작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은 물론 원목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도어의 중량화를 가중시켜 취급자의 작업성이 저하되며, 도어를 장시간 사용할 때 습기 등의 자연환경에 의하여 목재가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뒤틀림 및 휨에 의하여 도어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어를 제작함에 있어 고가의 원목 목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중질유섬유판과 목재를 집성 접합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집성목도어의 집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집성목도어의 표면에 문양지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집성목도어는 중질유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이루어진 마감판재(15,15a)의 상부로 상, 하, 좌, 우측면에 위치되어 문틀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강성 및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결속용목재(가)를 접합한다.
이때, 상기 결속용목재(가)는 하나 또는 다수개(11,12,13,14)의 목재가 하나의 군을 이루어 접합되어 있어 도어의 강성을 증가시킴은 물론 중질유섬유판과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결속용목재(가:11,12,13,14)의 내측부로는 소기하는 격자형틀을 형성시키기 위한 격자성형부재(나:16,17)가 접합된다.
이때, 상기 격자성형부재(나)는 어느 한가지의 특정한 격자형틀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제작자가 소기하는 격자형틀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자성형부재(나)의 상부로는 중질유섬유판으로 이루어져 하부의 마감판재(15)와 동일한 마감판재(15a)를 접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집성 접합되어 이루어진 집성목도어는 그 표면부를 격자성형부재(나)의 격자형틀에 따라 NC목공기계를 이용하여 소기하는 격자형틀(19)을 성형한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부에 PVC데코시트와 같은 원목의 질감을 갖는 문양지(20)를 부착하여 완성되게 된다.
이때, 도어의 표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문양지(20)를 압착하여 부착한 뒤 절삭공구 등을 이용하여 격자형틀(19)을 따라 문양지(20)를 제거해내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격자형틀(19)에는 유리 등과 같은 삽입부재를 배설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집성목도어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작자가 원하는 격자형틀(19)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미리 그에 대응되는 격자성형부재(나)를 제작당시에 결속용목재(가)의 내측부에 구비하여야 하며, 일단 도어의 제작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격자성형부재(나)에 대응되는 격자형틀(19)만을 성형할 수 있어 다양한 격자형틀(19)을 가지는 도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작업공정이 복잡해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표리면에 문양지(20)를 전체적으로 부착한 다음 상기 격자형틀(19)의 형태를 따라 문양지(20)를 제거해내는 과정에서 격자형틀(19)의 형태에 기인하여 도어 표면부에 굴곡부가 형성됨에 따라 문양지(20)의 깔끔한 부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제작함에 있어 도어의 내부 중앙부가 충진되도록 하여 도어 집성 접합 후에 제작자가 원하는 문양 및 공간부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받침역할을 하는 목형틀을 이용함으로써 도어에 형성된 공간부의 주변부분에 대해서도 문양지가 확실히 부착됨과 아울러 공간부의 형상을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깔끔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집성목도어는 중질유섬유판을 집성 접합하여 표면에 임의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목형틀을 공간부에 끼운 상태에서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한 후, 다시 상기 목형틀을 뺀 상태에서 공간부의 형상을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어 상기 공간부에 유리판재의 자유로운 착탈삽입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집성목도어는 중질유섬유판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마감판재와, 상기 마감판재 사이에 개재되어 문틀을 이루는 결속용목재와, 상기 결속용목재의 내측부에 위치되어 도어의 표면에 소기하는 공간부를 자유롭게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격판으로 이루어진 격판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도어의 표면에 유리판재의 자유로운 착탈 삽입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제외한 도어의 표리면에 문양지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중질유섬유판을 집성 접합하여 도어를 형성시키는 도어의 집성공정과, 상기 도어의 표면에 NC목공기계를 이용하여 소기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도어의 성형공정과,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목형틀을 제작하여 이를 공간부에 끼운 상태에서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하는 문양지 부착공정과, 상기 공간부의 형상을 따라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공정과, 상기 문양지가 제거된 공간부로 유리판재를 삽입하는 도어의 유리판재 삽입공정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의 성형공정은 도어의 사용목적 또는 환경에 따라 도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임으로 선택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인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성목도어가 집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가 성형공정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문양지가 부착되는 공정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모따기공정을 도시한 부분상세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성목도어는 중질유섬유판을 집성 접합하여 표면에 소기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를 제외한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유리판재의 자유로운 착탈삽입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성목도어는 중질유섬유판으로 이루어진 마감판재(101)의 상부로 문틀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강성 및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결속용목재(103)를 접합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용목재(103)의 내측부로는 다수개의 격판으로 이루어진 격판지지부재(105)가 개재되는데, 이때 상기 격판지지부재(105)는 중질유섬유판을 재질로 하여 다수개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결속용목재(103)의 내측부에 충진되도록 끼워짐으로써 도어의 내측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판지지부재(105)가 3개의 격판으로 이루어져 결속용목재(103)의 내측부에 개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용목재(103)의 상부로는 하부의 마감판재(101)와 동일한 중질유섬유판으로 이루어진 마감판재(101a)를 접합한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C목공기계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외측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공간부(110)를 형성하는데, 상기 공간부(110)는 어느 한가지의 일정한 형태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개수도 임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10)에는 유리판재의 자유로운 착탈 삽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간부(110)에 유리판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공간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홈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 형성된 공간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표면부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문양지(120)를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문양지(120)는 어느 한가지를 택일하지 않고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문향을 선택하여 부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공간부(110)에 유리판재를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집성목도어가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성목도어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질유섬유판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마감판재(101,101a) 사이에 결속용목재(103)와 격판지지부재(105)를 집성 접합하는 도어의 집성공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내외측을 관통하여 유리판재가 착탈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간부(110)를 형성시키는 도어의 성형공정을 이루게 된다.
상기 도어의 성형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공간부(110)를 갖는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120)를 부착하는 문양지 부착공정을 이루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간부(110)내에 끼워질 수 있는 목형틀(124)을 제작하여 이를 공간부(110)에 끼운 상태에서 도어의 표면부에 전체적으로 문양지(120)를 부착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일측(또는 상부) 표면부에 문양지(120)를 부착하기 위해 상기 목형틀(124)을 도어의 타측(또는 하부) 방향에서 공간부(110)내로 끼운 상태에서 도어의 일측 표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문양지(120)를 전체적으로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문양지(120)가 부착된 후에 상기 목형틀(124)을 도어의 타측방향을 통해 공간부(110)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10)내에는 문양지(120)가 목형틀(124)이 끼워져 있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문양지 부착공정이 마무리되면, 절삭공구(130)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110)의 형상을 따라 문양지(120)를 제거해내어 상기 공간부(110)에 유리판재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모따기공정을 이루게 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은 도어의 이면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문양지 부착공정 및 모따기공정이 마무리되게 된다.
또한, 마지막으로 상기 문양지가 제거된 상기 공간부(110)의 결합홈(114)을 통해 유리판재를 삽입하는 도어의 유리판재 삽입공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집성목도어는 도어의 내부중앙부에 격판지지부재(105)가 내부 공간을 충진하면서 개재됨으로써 도어 집성 접합 후에 제작자가 원하는 문양 및 공간부(110)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도어를 제작하는 과정중 문양지 부착공정에 있어, 공간부(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목형틀(124)을 상기 공간부(110)내에 끼운 상태에서 문양지(120)를 도어의 표면부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목형틀(124)이 공간부(110)내에서 받침역할을 하여 굴곡진 형상을 이루는 공간부(110)의 둘레 주변부분에 대해서도 문양지(120)를 확실히 부착할 수 있어 깔끔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도어를 제작할 수 있고, 상기 목형틀(124)을 이탈시킨 상태에서 문양지(120)가 목형틀(124)의 형상대로 공간부(110)내에 위치되어 있어 공간부(110)의 형상을 따라 문양지(120)를 제거해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중앙부에 격판지지부재가 내부 공간을 충진하면서 개재됨으로써 도어 집성 접합 후에 제작자가 원하는 문양 및 공간부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도어에 형성된 공간부에 끼워져 받침역할을 하는 목형틀을 이용함으로써 공간부의 주변부분에 대해서도 문양지가 확실히 부착됨과 아울러 공간부의 형상에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깔끔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도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집성목도어의 집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집성목도어의 표면에 문양지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성목도어가 집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가 성형공정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문양지가 부착되는 공정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모따기공정을 도시한 부분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1a : 마감판재 103 : 결속용목재
105 : 격판지지부재 110 : 공간부
120 : 문양지 124 : 목형틀

Claims (2)

  1. 삭제
  2. 중질유섬유판을 집성 접합하여 도어를 형성시키는 도어의 집성공정과, 상기 도어의 표면에 NC목공기계를 이용하여 소기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도어의 성형공정과, 상기 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하는 문양지 부착공정과, 상기 공간부에 유리판재를 삽입하는 도어의 유리판재 삽입공정으로 이루어진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목형틀을 제작하여 이를 공간부에 끼우도록 하는 문형틀 설치공정과;
    상기 공간부의 형상을 따라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공정과;
    상기 공간부내에서 설치된 문형틀을 제거하는 문형틀 제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KR10-2002-0002369A 2002-01-15 2002-01-15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48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369A KR100484547B1 (ko) 2002-01-15 2002-01-15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369A KR100484547B1 (ko) 2002-01-15 2002-01-15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010A KR20030062010A (ko) 2003-07-23
KR100484547B1 true KR100484547B1 (ko) 2005-04-20

Family

ID=3221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369A KR100484547B1 (ko) 2002-01-15 2002-01-15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5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776A (ko) * 2017-04-26 2018-11-05 노홍문 하이브리드 도어
KR20190122613A (ko) * 2019-10-21 2019-10-30 노홍문 하이브리드 도어
KR102288105B1 (ko) 2021-03-22 2021-08-09 최성옥 방사선관리구역 안전표지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90B1 (ko) * 2002-03-09 2005-06-03 배성태 중질섬유판을 구비하는 도어
KR100929124B1 (ko) * 2008-01-11 2009-11-27 배동국 도어판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2791U (ja) * 1982-12-27 1984-07-11 古江 雅 取り付けと取り外しがともに自在な額縁状の硝子押え用枠を具えた合板製の扉
KR100243742B1 (ko) * 1997-11-05 2000-02-01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이용한 도아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243743B1 (ko) * 1997-08-04 2000-02-01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도아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200177664Y1 (ko) * 1999-11-02 2000-04-15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도아의 집성목구조
KR200177663Y1 (ko) * 1999-11-02 2000-04-15 김영진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도어
KR100282236B1 (ko) * 1997-08-04 2001-02-15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격자문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291754B1 (ko) * 1998-06-05 2001-06-01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한 도아의 성형방법
KR200283761Y1 (ko) * 2002-01-15 2002-07-27 배성태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2791U (ja) * 1982-12-27 1984-07-11 古江 雅 取り付けと取り外しがともに自在な額縁状の硝子押え用枠を具えた合板製の扉
KR100243743B1 (ko) * 1997-08-04 2000-02-01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도아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282236B1 (ko) * 1997-08-04 2001-02-15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격자문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243742B1 (ko) * 1997-11-05 2000-02-01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이용한 도아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291754B1 (ko) * 1998-06-05 2001-06-01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한 도아의 성형방법
KR200177664Y1 (ko) * 1999-11-02 2000-04-15 배성태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도아의 집성목구조
KR200177663Y1 (ko) * 1999-11-02 2000-04-15 김영진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도어
KR200283761Y1 (ko) * 2002-01-15 2002-07-27 배성태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776A (ko) * 2017-04-26 2018-11-05 노홍문 하이브리드 도어
KR102135496B1 (ko) * 2017-04-26 2020-07-17 노홍문 하이브리드 도어
KR20190122613A (ko) * 2019-10-21 2019-10-30 노홍문 하이브리드 도어
KR102139891B1 (ko) * 2019-10-21 2020-07-30 노홍문 하이브리드 도어
KR102288105B1 (ko) 2021-03-22 2021-08-09 최성옥 방사선관리구역 안전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010A (ko)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627B2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TW200419060A (en) A door skin,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produced therewith, and door produced therefrom
KR20030010606A (ko) 역성형패널
KR100484547B1 (ko)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282236B1 (ko)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격자문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200436575Y1 (ko) 양음각 장식무늬를 갖는 장식판재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200177664Y1 (ko)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도아의 집성목구조
KR100243743B1 (ko)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도아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CN204541154U (zh) 一种梳篦
CN2226122Y (zh) 一种组合门扇
JP4086012B2 (ja) 扉パネル
CN218117040U (zh) 一种双饰面板安装结构
KR100929124B1 (ko) 도어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243742B1 (ko) 중질유섬유판을 이용한 도아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CN201439783U (zh) 家具转角弧度结构
CN211473154U (zh) 一种具有保温结构的装饰面板
JPS6020793Y2 (ja) 木彫扉
CN2442812Y (zh) 仿木并合式塑胶地板
CN104738966A (zh) 一种梳篦及其制造方法
CN2661833Y (zh) 可拆卸组合门套
JP3596610B2 (ja) 木製ドアの製造方法
CN205502435U (zh) 一种马赛克组件及其单体
KR200230760Y1 (ko) 장식물을 갖춘 방화문
CN2329408Y (zh) 纸糊立体模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