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761Y1 -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761Y1
KR200283761Y1 KR2020020001255U KR20020001255U KR200283761Y1 KR 200283761 Y1 KR200283761 Y1 KR 200283761Y1 KR 2020020001255 U KR2020020001255 U KR 2020020001255U KR 20020001255 U KR20020001255 U KR 20020001255U KR 200283761 Y1 KR200283761 Y1 KR 200283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plate
pattern paper
space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태
Original Assignee
배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태 filed Critical 배성태
Priority to KR2020020001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761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집성목도어의 제작시 도어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유리판재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공간부의 테두리를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라운드 및 절곡진 공간부의 주변에 대해서도 반듯하고 깔끔한 절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문양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어의 표면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홀(10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중심축(106)과, 상기 지지판(100)을 기준으로 중심축(106)의 상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110)와, 상기 지지판(100)을 기준으로 중심축(106)의 하부에 결합되어 문양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원 형상을 가지면서 그 외주면이 날카롭게 성형된 절단날(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cutting apparatus of decorative sheet for gathering door}
본 고안은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성목도어의 제작시 도어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유리판재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공간부의 둘레 형상을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라운드 및 절곡진 공간부의 주변에 대해서도 반듯하고 깔끔한 절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문양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사용되어지는 도어는 디자인이나 제작방법에 따른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어를 제작하고 판매하는 제작자는 보다 값싸고 좋은 디자인의 도어를 개발하여 소비자들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종래에는 도어를 제작함에 있어 원목의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원목의 목재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정 및 문양을 형성시키기 위한 각종 공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한 제작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은 물론 원목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도어의 중량화를 가중시켜 취급자의 작업성이 저하되며, 도어를 장시간 사용할 때 습기 등의 자연환경에 의하여 목재가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뒤틀림 및 휨에 의하여 도어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어를 제작함에 있어 고가의 원목 목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중질유섬유판과 목재를 집성 접합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집성목도어의 표면에 문양지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집성목도어는 중질유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으로 이루어진 마감판재(15)의 상부로 상, 하, 좌, 우측면에 위치되어 문틀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강성 및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결속용목재(가)를 접합한다.
이때, 상기 결속용목재(가)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목재가 하나의 군을 이루어 접합되어 있어 도어의 강성을 증가시킴은 물론 중질유섬유판과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결속용목재(가)의 내측부로는 다수개의 격판으로 이루어진 격판지지부재 또는 격자성형부재 등이 개재되어 도어의 외측에 제작자가 원하는 격자형틀이나 공간부(19)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어의 표면부에 PVC데코시트와 같은 원목의 질감을 갖는 문양지(20)를 부착하여 집성목도어의 제작이 마무리되게 된다.
이때, 도어의 외측에 유리판재의 착탈 삽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19)가 형성된 경우에는, 먼저 상기 도어의 표면부에 전체적으로 문양지(20)를 부착한 다음 상기 공간부(19)에 유리판재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공간부(19)의 둘레 형상을 따라 문양지(20)를 제거해내는 모따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모따기작업을 하기 위해 단순한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간부(19)의 둘레 형상을 따라 문양지(20)를 제거해내기 때문에 정교하고 깔끔한 작업이 어려워 작업성 및 도어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공간부(19)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 및 절곡부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모따기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집성목도어의 제작시 도어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유리판재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공간부의 테두리를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라운드 및 절곡진 공간부의 주변부에 대해서도 반듯하고 깔끔한 절삭작업이 이루어져 미려한 외관을 갖는 도어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삭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집성목도어의 표면에 문양지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집성목도어의 문양지지 절단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 : 공간부 100 : 지지판
102 : 끼움홀 106 : 중심축
107 : 끼움부 110 : 손잡이
114 : 제1베어링 116 : 고정링
118 : 고정너트 120 : 절단날
124 : 제2베어링 126 : 와셔
128 : 체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집성목도어의 제작시 도어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유리판재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공간부의 테두리를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표면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지지판을 기준으로 중심축의 상부에 제1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판을 기준으로 중심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문양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원 형상을 가지면서 그 외주면이 날카롭게 성형된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와 지지판 사이에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날과 지지판 사이에 제2베어링 및 복수개의 와셔가 끼움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절단날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그 중심부에 끼움홀(102)이 형성된 지지판(100)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홀(102)을 관통하여 소정길이의 중심축(106)이 끼워지며, 상기 지지판(100)을 기준으로 상부쪽 중심축(106)에 손잡이(110)가 제1베어링(11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판(100)을 기준으로 하부쪽 중심축(106)에는 날카로운 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단날(1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판(100)은 상, 하부를 관통하여 비춰질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원형판으로 이루어지고, 끼움홀(102)은 지지판(100)상의 소정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지지판(100)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00)의 끼움홀(102)을 통해 끼워지는 중심축(106)은 그 외부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양끝단에는 각각 끼움부(107,107a)가 형성되어 손잡이(110)와 절단날(1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110)는 그 내측에 제1베어링(114)이 내삽된 상태에서 중심축(106)의 끼움부(107)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114)은 손잡이(110)의 내측에 내삽되어 중심축(106)의 끼움부(107)에 끼워진 뒤 고정링(116)에 의해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손잡이(110)와 지지판(100)의 상부면 사이에는 고정너트(118)가 중심축(106)의 나사산상에 끼움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00)의 하부쪽에 위치한 중심축(106)의 끼움부(107a)에는 그 외주면이 칼날과 같이 날카롭게 성형된 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단날(120)이 체결부재(128)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절단날(120)과 지지판(100)의 하부면 사이에는 제2베어링(124)과 복수개의 와셔(126)가 끼움 구비되는데, 상기 제2베어링(124)은 지지판(100)의 하부면에 밀착 접촉된 상태에서 중심축(106)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와셔(126)는 작업환경에 따라 임의의 개수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지지판(100)의 하부면과 절단날(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문양지 절단장치는 집성목도어의 표면부에 문양지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부의 테두리 형상을 따라 문양지를 절단해내는 모따기작업에 사용되는데, 중질유섬유판과 목재를 집성 접합하여 제작된 집성목도어의 외측에는 NC목공기계를 이용하여 제작자가 소기하는 공간부 및 격자형틀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도어의 외측에 유리판재 등을 착탈 삽입할 수 있도록 임의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경우 도어의 표면부에 전체적으로 문양지를 부착한 후 상기 공간부의 테두리 형상을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는 그 형상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그 주변부에 라운드 또는 절곡부를 이루게 되고, 이렇게 라운드 및 절곡진 부분에도 문양지가 부착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문양지 절단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절단장치의 지지판(100)이 도어의 표면부에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손잡이(110)를 잡고 공간부(19)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지지판 (10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그 외주면이 날카롭게 성형된 절단날(120)이 공간부(19)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이동되면서 문양지가 절삭되게 되는데, 손잡이(110)가 제1베어링 (114)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에 공간부(19)의 테두리를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지지판(100)이 도어의 표면부에 접착되어 지지되므로 절단날(120)이 공간부(19)의 내측면상에서 균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문양지를 절단하여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날(120)이 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간부(19)의 모서리부에형성된 라운드부 및 절곡부에서도 부드러우면서도 깔끔한 절삭이 가능하게 되며,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보다 용이하게 모따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판(100)의 상부측 중심축(106)상에 결합된 고정너트(118)를 풀어주거나 조여주고 지지판(100)의 하부측 중심축(106)상에 끼워지는 와셔(126)의 개수를 조절해 줌으로써 공간부(19)의 크기 및 문양지가 절삭되는 내부면상의 위치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집성목도어의 제작시 도어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유리판재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공간부의 둘레 형상을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문양지 절단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라운드 및 절곡진 공간부의 주변에 대해서도 반듯하고 깔끔한 절삭작업이 이루어져 미려한 외관을 갖는 도어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삭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집성목도어의 제작시 도어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유리판재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공간부의 테두리를 따라 문양지를 제거해내는 모따기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표면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지지판을 기준으로 중심축의 상부에 제1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판을 기준으로 중심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문양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원 형상을 가지면서 그 외주면이 날카롭게 성형된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외부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상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와 지지판 사이에서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날과 지지판 사이에 제2베어링 및 복수개의 와셔가 끼움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절단날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KR2020020001255U 2002-01-15 2002-01-15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KR200283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55U KR200283761Y1 (ko) 2002-01-15 2002-01-15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55U KR200283761Y1 (ko) 2002-01-15 2002-01-15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761Y1 true KR200283761Y1 (ko) 2002-07-27

Family

ID=7311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255U KR200283761Y1 (ko) 2002-01-15 2002-01-15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7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47B1 (ko) * 2002-01-15 2005-04-20 배성태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20230030166A (ko) 2021-08-25 2023-03-06 (주)이가도어산업 도어 가공용 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47B1 (ko) * 2002-01-15 2005-04-20 배성태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20230030166A (ko) 2021-08-25 2023-03-06 (주)이가도어산업 도어 가공용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3761Y1 (ko) 집성목도어의 문양지 절단장치
KR20010049951A (ko) 상부 테이블 제조 공정
CN205818060U (zh) 一种板材切割机
KR102220737B1 (ko) 파이프 샌딩기
US8726962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manufacture shaped counter top edges for custom counter tops
CN211640303U (zh) 一种仿形自适应刀架组合体
KR100484547B1 (ko)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US10486331B1 (en) Devic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aesthetic wall coverings
KR200343706Y1 (ko) 선단에 편심접촉회전대를 갖는 모터
JP6379334B2 (ja) 回転式洗浄機用ブラシの製造方法
CN112277118A (zh) 一种餐椅生产拼装系统及其工艺
KR960005696B1 (ko) 액자틀 및 그 제조방법
CN217992730U (zh) 一种家具装饰膜边缘裁切机构
CN114407158B (zh) 一种异形拼花板材的加工方法及家具
CN220332355U (zh) 一种具有保护机构的陶瓷工艺品
CN218263233U (zh) 一种无纺布边角切割装置
CN217076458U (zh) 用于无纺布洗脸巾生产的裁断装置
JP2003326507A (ja)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8226948U (zh) 一种用于板材封边条的裁剪工具
JPH0330069Y2 (ko)
JP3138965U (ja) 板材
KR920000980Y1 (ko) 조립식 거울프레임
CN110130016B (zh) 一种弧面模板组件及3d立体电脑花样机
KR100622391B1 (ko) 목재표면 가공을 위한 브러쉬 어셈블리
KR100929124B1 (ko) 도어판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