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776A - 하이브리드 도어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776A
KR20180119776A KR1020170053342A KR20170053342A KR20180119776A KR 20180119776 A KR20180119776 A KR 20180119776A KR 1020170053342 A KR1020170053342 A KR 1020170053342A KR 20170053342 A KR20170053342 A KR 20170053342A KR 20180119776 A KR20180119776 A KR 20180119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bs
membrane
locking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496B1 (ko
Inventor
노홍문
Original Assignee
노홍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홍문 filed Critical 노홍문
Priority to KR102017005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49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23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foam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6Door leaves with provisions for locks, hinges or othe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실내용 도어에 멀티락킹을 위한 하드웨어를 탑재할 수 있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단열성과 고기밀성이 보장되어 다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충진재층, 상기 충진재층의 외곽을 감싸는 베니어, 상기 베니어의 외곽을 감싸는 보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ABS재질의 시트가 감싸도록 구성되는 ABS도어와, 상기 ABS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ABS도어가 도어프레임에 여닫힐 수 있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ABS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ABS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락킹유닛과, 상기 ABS도어의 측면과 상기 락킹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상기 ABS도어의 측면을 보강하는 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도어 {HYBRID DOO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실내용 도어에 멀티락킹을 위한 하드웨어를 탑재할 수 있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단열성과 고기밀성이 보장되어 다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공동주택의 건축 시장에 있어 도어 설비의 요구 조건은 다양한 디자인을 통한 심미의 획득뿐만 아니라 단열, 기밀 성능 및 변형 방지와 같은 기능성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다.
종래 보일러실, 세탁실, 베란다 등에 이용되고 있는 다용도 도어의 경우 단열 및 기밀 성능이 높고 습기에 의한 변형이 없는 PVC새시의 터닝도어로 구성되는 것이 통상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PVC새시의 터닝도어(10)는 새시를 이루는 프레임 자체가 PVC 등의 합성수지로, 도어 패널은 단열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다용도 도어로 사용되는 종래 PVC새시 터닝도어의 경우, PVC새시와 단열유리로 인해 강도가 우수하고 습기 등으로 인한 변형에 내성이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동일 공간 내에 설치되는 실내용 도어와 그 형태가 달라 디자인의 미스매치가 불가피하며 제조단가가 고가이기 때문에 고장 및 파손 발생 시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용 도어를 다용도 도어에 적용하는 여러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종래 실내용 도어의 경우 다용도 도어에 적용되는 멀티락킹을 위한 하드웨어를 탑재할 수 있는 강도 구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아울러 다용도 도어의 특성상 단열 및 기밀 성능이 높아야 하는데 종래 실내용 도어의 경우 이를 만족하지 못하며, 중질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board)과 같은 가공목재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습기로 인한 뒤틀림에 취약하다는 또 다른 문제점들이 여전한 과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실내용 도어를 다용도 도어에 적용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도어프레임과 멀티락킹을 위한 하드웨어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도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실내용 도어에 멀티락킹을 위한 하드웨어를 탑재할 수 있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단열성과 고기밀성이 보장되어 다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는, 충진재층, 상기 충진재층의 외곽을 감싸는 베니어, 상기 베니어의 외곽을 감싸는 보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ABS재질의 시트가 감싸도록 구성되는 ABS도어; 상기 ABS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ABS도어가 도어프레임에 여닫힐 수 있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ABS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ABS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락킹유닛; 상기 ABS도어의 측면과 상기 락킹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상기 ABS도어의 측면을 보강하는 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ABS도어 내측을 향해 홈을 형성하여,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ABS도어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ABS도어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전체를 감싸되, 너비 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이 상기 ABS도어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ㄱ'자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ABS재질의 시트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감싸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내부패널에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ABS재질의 시트가 상기 내부패널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진재층은, 경질의 우레탄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는, 목재층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 상기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PVC시트, 상기 내부패널과 상기 PVC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PVC시트를 상기 내부패널에 접착시키는 접착재층으로 구성되는 멤브레인도어;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멤브레인도어가 도어프레임에 여닫힐 수 있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멤브레인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멤브레인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락킹유닛;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과 상기 락킹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을 보강하는 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멤브레인도어 내측을 향해 홈을 형성하여,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홈을 형성하는 너비 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이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각각 'ㄱ'자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 테두리를 향해 연장된 상기 PVC시트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감쌈으로써 상기 내부패널에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PVC시트가 상기 내부패널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전면이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전면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과 일치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래치홈에 걸릴 수 있게 마련된 래치가 구비되어,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는,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유닛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래치홈으로 진입하고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상기 래치홈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실내용 도어에 멀티락킹을 위한 하드웨어를 탑재할 수 있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단열성과 고기밀성이 보장되어 다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 도어프레임과 멀티락킹을 위한 하드웨어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도어의 교체에 어려움이 없으며, 동일 공간 내의 실내용 도어와 디자인을 일치시킬 수 있고 도어프레임과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아 심미감 역시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다용도 도어에 적용되는 PVC새시 터닝도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유닛의 도어프레임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도어(110)를 기반으로 하는 다목적 도어로서, 종래 다용도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300, 도 2 참조)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ABS도어(110), 락킹유닛(120), 플레이트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BS도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재층(112), 충진재층(112)의 외곽을 감싸는 베니어(114), 베니어(114)의 외곽을 감싸는 보강프레임(116)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ABS재질의 시트(118)가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진재층(112)은 단열 및 방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패널을 채우는 중간층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 재질의 하니콤보드(honeycomb-board)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충진재층(112)은 내습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ABS재질로 이루어진 하니콤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충진재층(112)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질의 우레탄 폼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충진재층(112)에 발포재인 우레탄 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우레탄 폼의 특성상 단열성과 저온특성, 그리고 충격흡수력이 매우 좋아 보다 견고한 충진재층(112)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우레탄 폼의 경우 용도에 따라 경질 폼 및 반경질 폼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장소 및 사용 목적에 특화된 맞춤형 도어를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한편, 베니어(114)는 충진재층(112)의 외곽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단판 적층재(laminated veneer lumber) 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한 충진재층(112)의 외곽을 감쌈으로써 내부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베니어(114)는 도어의 핸들(손잡이)이 설치되는 지지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했듯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한 충진재층(112)를 대신하여 핸들의 설치를 위한 홀 가공 및 볼트 체결 시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116)은 베니어(114)의 외곽을 감싸는 도어의 문틀로서, 발포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앞서 언급했던 베니어(114)와 함께 2중 보강 구조로 내부패널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116)은 베니어(114)가 단판 적층재로 이루어질 경우 상대적으로 습기 및 온도에 의한 뒤틀림과 같은 형태 변형에 노출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 2중 보강 구조를 통해 베니어(114)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고 바로 잡아 줄 수 있다.
ABS재질의 시트(118)는 앞서 언급한 충진재층(112), 베니어(114), 보강프레임(116)으로 구성되는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 ABS도어(110)의 겉면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ABS재질의 시트(118)에서 ABS는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를 일컬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가 다목적실(보일러실, 세탁실, 베란다 등)에 적용되는 것을 고려한 구성이다.
이는 다용도 도어의 특성상 습기나 수분에 쉽게 노출되는 환경에 적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습기나 수분에 상대적으로 약한 베니어(114)가 썩거나 변형(부풀림 및 뒤틀림 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ABS도어(110)는 일반적으로 중질 섬유판과 같은 가공목재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인 종래 실내용 도어 대비 습기에 의한 변형, 뒤틀림, 시트의 박리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충격강도가 뛰어나 고가의 종래 PVC새시의 터닝도어(10, 도 1 참조)를 대신하여 다용도 도어에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으며, ABS재질의 시트(118) 특성상 표면 무늬의 가공이 자유로워 디자인의 통일과 같은 심미의 획득에도 뛰어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ABS도어(110)는 도 3과 같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전면이 도어프레임(300)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전면이 도어프레임(300)의 일측과 일치하게 마련됨으로써 통일성과 심미감을 더할 수 있다.
이어서, 락킹유닛(1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도어(110)의 측면에 결합되며, ABS도어(110)가 도어프레임(300)에 여닫힐 수 있게 결합된 상태에서 ABS도어(110)가 닫혔을 때 ABS도어(110)를 도어프레임(3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락킹유닛(1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도어(1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이 마련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래치(1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래치(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도어(1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도어프레임(300)에 형성된 래치홈(310)에 걸려 ABS도어(110)를 도어프레임(30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도어프레임(300)에 형성된 래치홈(310) 일측에는 가이드홈(322)이 형성된 가이드유닛(320)이 구비되고, 래치(122)는 ABS도어(110)가 닫힐 때 상기 가이드유닛(320)의 가이드홈(322)을 따라 래치홈(310)으로 진입한 뒤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래치홈(3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치홈(31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유닛(320)은 금속재 또는 강도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ABS도어(100)가 닫힐 때 래치(122)의 진입 및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문을 여닫을 때 래치(122)가 도어프레임(300)에 지속적으로 충돌하여 도어프레임(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위와 같은 래치(122)의 슬라이딩 운동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에 설치된 핸들의 조작(예컨대, 핸들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든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 또는 레버 등을 이용해 조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유닛(13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도어(110)의 측면과 락킹유닛(120) 사이에 배치되어 락킹유닛(12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 및 강도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ABS도어(110)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유닛(130)은 락킹유닛(120)이 결합되는 부분이 ABS도어(110) 내측을 향해 홈(132)을 형성함으로써 락킹유닛(120)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재로 마련되고 금속압출 또는 금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유닛(13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도어(110)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락킹유닛(120)이 내부패널의 보강프레임(116)에 직접 설치되었을 때 대비 높은 강도의 설치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패널의 보강프레임(116)에 덧대어짐으로써 ABS도어(110)의 측면 강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유닛(130)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이브리드 도어(100)의 용도 및 설치장소에 맞춰 ABS도어(110)의 측면 테두리 4개의 면 모두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레이트유닛(130)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100)는 종래 실내용 도어에 강도 문제로 다수의 락킹 하드웨어를 탑재할 수 없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일반적인 실내용 도어의 경우 심재의 강도가 약하여 다수의 락킹 하드웨어를 탑재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적용하더라도 락킹 시 가해지는 하드웨어의 힘을 버텨내지 못해 파손으로 이어지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100)의 경우 락킹유닛(120)의 설치기반인 플레이트유닛(130)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다용도 도어로 이용되고 있는 PVC새시 터닝도어(10, 도 1 참조)를 대신하여 ABS도어(110)를 다용도 도어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락킹 하드웨어 탑재를 통한 멀티락킹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유닛(130)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도어(110)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전체를 감싸되, 너비 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이 ABS도어(11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ㄱ'자로 절곡 연장되어, ABS재질의 시트(118)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ㄱ'자 형상으로 절곡 연장된 플레이트유닛(130)의 플랜지(flange)가 내부패널의 전면 과 후면에 걸쳐 측면 테두리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내부패널의 뒤틀림을 방지 및 교정할 수 있으며, 혹시 모를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ABS재질의 시트(118)가 내부패널로부터 들뜨거나 벗겨지는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생략하겠으며, 본 실시예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실시예 대비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도어(210)를 기반으로 하는 다목적 도어로서, 앞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종래 다용도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300, 도 2 참조)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게 마련되며, 멤브레인도어(210), 락킹유닛(120), 플레이트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멤브레인도어(210)는 목재층(212)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PVC시트(214), 내부패널과 PVC시트(214) 사이에 배치되어 PVC시트(214)를 상기 내부패널에 접착시키는 접착재층(2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목재층(212)은 합성목재와 목재가 혼합된 형태인 중질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board)과 같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심지어 원목 자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목재층(212) 자체를 구성하는 재질의 경우 본 발명을 제한하는 사항에 속하지 않는다.
PVC시트(214)는 PVC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로서 ABS재질의 시트(118, 도 4 참조)와 마찬가지로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 멤브레인도어(210)의 겉면을 완성하며, 목재층(212)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이 습기나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재층(216)은 난연제 및 방습제가 포함된 특수 접착제로 이루어져 PVC시트(214)와 더불어 목재층(212)에 내식성을 더하고 화재 시 하이브리드 도어의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멤브레인도어(2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ABS도어(110, 도 3 참조)와 마찬가지로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전면이 도어프레임(300)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전면이 도어프레임(300)의 일측과 일치하게 마련됨으로써 통일성과 심미감을 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락킹유닛(1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도어(210)의 측면에 결합되며, 멤브레인도어(210)가 도어프레임(300)에 여닫힐 수 있게 결합된 상태에서 멤브레인도어(210)가 닫혔을 때 멤브레인도어(210)를 도어프레임(3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락킹유닛(120)의 경우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락킹유닛(120)과 동일한 구성이며, 작동 및 결합관계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세하게 다룬 바가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유닛(1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도어(210)의 측면과 락킹유닛(120) 사이에 배치되어 락킹유닛(12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 및 강도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멤브레인도어(210)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유닛(130)은 락킹유닛(120)이 결합되는 부분이 멤브레인도어(210) 내측을 향해 홈(132)을 형성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락킹유닛(120)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재로 마련되고 금속압출 또는 금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유닛(1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32)을 형성하는 너비 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이 멤브레인도어(210)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각각 'ㄱ'자로 절곡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유닛(130)의 절곡 연장된 부분은 멤브레인도어(210)의 측면 테두리를 향해 연장된 PVC시트(214)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감쌈으로써 내부패널에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PVC시트(214)가 내부패널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유닛(130)은 락킹유닛(120)이 목재층(212)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에 직접 설치되었을 때 대비 높은 강도의 설치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패널의 측면 강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유닛(130)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이브리드 도어(100)의 용도 및 설치장소에 맞춰 ABS도어(110)의 측면 테두리 4개의 면 모두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레이트유닛(130)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어(100)는 종래 실내용 도어로 이용되던 멤브레인도어(210)가 강도 문제로 다수의 락킹 하드웨어를 탑재할 수 없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종래 다용도 도어로 이용되고 있는 PVC새시 터닝도어(10, 도 1 참조)를 대신하여 멤브레인도어(210)를 다용도 도어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락킹 하드웨어 탑재를 통한 멀티락킹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사항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이해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ABS도어
120: 락킹유닛
130: 플레이트유닛
210: 멤브레인도어
300: 도어프레임

Claims (11)

  1. 충진재층, 상기 충진재층의 외곽을 감싸는 베니어, 상기 베니어의 외곽을 감싸는 보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ABS재질의 시트가 감싸도록 구성되는 ABS도어;
    상기 ABS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ABS도어가 도어프레임에 여닫힐 수 있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ABS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ABS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락킹유닛;
    상기 ABS도어의 측면과 상기 락킹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상기 ABS도어의 측면을 보강하는 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ABS도어 내측을 향해 홈을 형성하여,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ABS도어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ABS도어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전체를 감싸되, 너비 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이 상기 ABS도어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ㄱ'자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ABS재질의 시트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감싸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내부패널에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ABS재질의 시트가 상기 내부패널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층은,
    경질의 우레탄 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6. 목재층으로 이루어진 내부패널, 상기 내부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PVC시트, 상기 내부패널과 상기 PVC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PVC시트를 상기 내부패널에 접착시키는 접착재층으로 구성되는 멤브레인도어;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멤브레인도어가 도어프레임에 여닫힐 수 있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멤브레인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멤브레인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락킹유닛;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과 상기 락킹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을 보강하는 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멤브레인도어 내측을 향해 홈을 형성하여, 상기 락킹유닛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홈을 형성하는 너비 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이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 테두리 중 하나의 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각각 'ㄱ'자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측면 테두리를 향해 연장된 상기 PVC시트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감쌈으로써 상기 내부패널에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PVC시트가 상기 내부패널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전면이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전면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과 일치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래치홈에 걸릴 수 있게 마련된 래치가 구비되어,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ABS도어 또는 상기 멤브레인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유닛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래치홈으로 진입하고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상기 래치홈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도어.
KR1020170053342A 2017-04-26 2017-04-26 하이브리드 도어 KR10213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42A KR102135496B1 (ko) 2017-04-26 2017-04-26 하이브리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42A KR102135496B1 (ko) 2017-04-26 2017-04-26 하이브리드 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332A Division KR102139891B1 (ko) 2019-10-21 2019-10-21 하이브리드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76A true KR20180119776A (ko) 2018-11-05
KR102135496B1 KR102135496B1 (ko) 2020-07-17

Family

ID=6432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342A KR102135496B1 (ko) 2017-04-26 2017-04-26 하이브리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90B1 (ko) 2023-01-10 2023-09-21 팀텍 주식회사 실내외용 하이브리드 방음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635A (ko) * 1995-12-11 1997-07-26 배순훈 냉장고의 도어걸림장치
KR100484547B1 (ko) * 2002-01-15 2005-04-20 배성태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770277B1 (ko) * 2007-04-06 2007-10-30 윤용웅 도어유닛
KR20090070884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도어
KR101349103B1 (ko) * 2012-01-11 2014-01-09 주식회사 남도화학 재생 pet/abs계 수지 조성물, 재생 pet/abs계 수지 시트, 재생 pet/abs계 수지 시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도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635A (ko) * 1995-12-11 1997-07-26 배순훈 냉장고의 도어걸림장치
KR100484547B1 (ko) * 2002-01-15 2005-04-20 배성태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770277B1 (ko) * 2007-04-06 2007-10-30 윤용웅 도어유닛
KR20090070884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도어
KR101349103B1 (ko) * 2012-01-11 2014-01-09 주식회사 남도화학 재생 pet/abs계 수지 조성물, 재생 pet/abs계 수지 시트, 재생 pet/abs계 수지 시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도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496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5458B2 (ja) 木質防音ドア
KR101530839B1 (ko) 한지창호
KR20180119776A (ko) 하이브리드 도어
KR102139891B1 (ko) 하이브리드 도어
JP2023129779A (ja) 防音ドア
KR101863614B1 (ko) 방화문의 단열구조
KR100751548B1 (ko) 도어 및 도어세트
KR101318959B1 (ko) 방화문
KR102051866B1 (ko) 변형 방지 구조형 도어
KR101602608B1 (ko) 컨테이너 단열 시스템
KR20090070884A (ko) 조립식 도어
JP6914805B2 (ja) 建具
KR20140004965U (ko) 차음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차음판넬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 도어
JP6489806B2 (ja)
KR101891286B1 (ko) 가구 조립구조
JP5238217B2 (ja) 壁パネル
KR20200052729A (ko) 강재소재의 프레임 보강재를 활용하여 내력 및 강성을 증대시킨 구조단열패널
KR20190002618U (ko) 비틀림 강도가 향상된 도어
JP6923598B2 (ja) 見切材を備えた開口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58235B1 (ko) 복합패널
KR101581813B1 (ko) 단열기능 및 구조적 강도가 보강된 도어
KR102642852B1 (ko) 인발 보강부재가 구비된 grp 패널도어
JP6444722B2 (ja) 扉体
KR20070095263A (ko) 에스엠씨 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에스엠씨 도어
JP4655774B2 (ja) 壁パネル構造及び壁パネル構造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