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890B1 - 열가소성난연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난연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890B1
KR100483890B1 KR1019970074504A KR19970074504A KR100483890B1 KR 100483890 B1 KR100483890 B1 KR 100483890B1 KR 1019970074504 A KR1019970074504 A KR 1019970074504A KR 19970074504 A KR19970074504 A KR 19970074504A KR 100483890 B1 KR100483890 B1 KR 10048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lame retardant
compound
methacryl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644A (ko
Inventor
박은하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7007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8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890B1/ko

Links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제품과 자동차 부품의 전장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얼로이 수지에 있어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로서 충격강도가 낮으나 강성, 성형성이 우수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사용하며, 이들 수지의 상용성 증진과 물성 향상을 위해 공액디엔계 고무 중합체 존재하에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첨가하며, 글리시딜이 포함된 브롬계 난연제와 보조난연제를 첨가함으로써 난연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이는 내충격성, 내열성이 탁월하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대형품 성형에도 문제가 없으며 성형수축율이 작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 수지로서 내충격성, 내열성이 탁월하고 유동성이 우수하고 복잡한 대형품 성형이 가능하며 성형수축율이 작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 부품의 하우징, 케이스, 스위치, 아답터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난연수지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낮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와의 얼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규 수지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새로이 중합하는 경우는 개발시간과 비용 등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폴리머 얼로이(allo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폴리머 얼로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범용 플라스틱과의 얼로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의 얼로이 및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의 얼로이 등 그 범위는 광범위하며, 이미 많은 부분에서 개발이 완료되어 자동차 부품은 물론 전기, 전자, 잡화 부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용도로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부품으로의 용도, 예를 들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 범퍼(bumper), 라디에이터 그릴(radiator grile), 휠커버(wheel cover) 등과 전기, 전자 부품의 하우징(housing)류, 케이스류, 트레이(tray)류와 플레이트(plate)류 등에의 적용은 그 기능성 및 비용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폴리머 얼로이의 사용이 확대되어 왔다.
특히, 전기, 전자부품의 경우는 난연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얼로이 소재로서의 난연성 부여는 그 기술이 급격히 진보하고 있다.
한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BT라 함)를 얼로이하여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범퍼나 헬멧(helmet) 등에 적용하였는데, 이 경우 PBT의 결정성으로 인해 제품 사출성형시 싱크(sink)가 발생되고, 수축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그 용도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두 수지는 상용성이 불량하여 이의 개선을 위해 상용화제를 첨가하였는 바, 이는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폴리카보네이트와 PBT와의 얼로이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3,864,428호, 제4,034,016호, 제4,560,722호 및 제4,654,400호, 일본특허 공개 소57137347와 60197757, 및 유럽특허 제194043호와 제850511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얼로이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이하, ABS라 함)같은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과의 얼로이가 있는 바, 그 예로는 미국특허 제3,130,177호, 제4,218,544호, 제4,472,554호, 제4,522,979호, 제4,526,926호, 제4,595,729호 및 제4,624,869호 등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ABS는 상호간에 부분적으로 혼합될 수 있는(partially miscible)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상용성을 가지고 있는 바, 완전한 얼로이 조성물을 위해서 ABS를 α-메틸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 개질하거나, 글리시딜기(glycydyl)나 말레인산무수물(maleic anhydride)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함유된 상용화제를 첨가하고 있다.
이와같은 조성물의 경우 내충격성 및 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은 우수하나, 유동성이 불량하고 복잡한 구조의 사출 성형 후에 제품에 싱크 마크(sink mark)나 제팅(jetting) 등이 발생하여 제품의 외관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 경우 전기, 전자 부품, 예를 들어 컴퓨터의 하우징류, 디스켓 및 CD 드라이브 케이스, 아답터, 스위치, 카세트 케이스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난연제를 첨가할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제품에 크랙이 발생되며, 충격강도를 요하는 부품 및 유동성의 불량으로 복잡한 구조물에의 용도 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조성물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 전자 부품과 자동차 부품의 전장부품에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난연성을 부여하며, 내충격성, 내열성이 탁월하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대형 부품으로의 성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성형수축율이 작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80 중량%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20∼80 중량%로 이루어진 주성분 100 중량부; 공액디엔계 고무,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무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관능기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5∼15 중량부; 및 글리시딜기를 갖는 브롬계 난연제와 삼산화안티몬이 2~4:1 중량비로 혼합된 난연제 혼합물 10∼13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미국특허 제2,999,846호, 제3,028,365호, 제3,153,008호, 제3,271,367호 및 제4,452,9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충격성 및 내열성은 뛰어나지만 성형시 유동성이 불량하여 제품에 제팅이나 플로우마크(flow mark) 등이 발생되어 사출성형이 불량하고, 제품의 두께에 따라 충격강도가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방향족 2가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물질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바, 여기서 카보네이트 전구물질은 포스겐(phosgen), 할로포메이트(haloformate), 카보네이트 에스테르(carbonate ester) 등이다.
본 발명에서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카보네이트 전구물질로서 포스겐을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며, 포스겐 기체를 활성화된 2가 페놀 및 피리딘이나 디메틸아닐린과 같은 산 수용체 반응혼합물에 통과시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산 수용체는 희석되지 않거나, 불활성 유기용매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불활성 유기용매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또는 1,2-디클로로에탄 등이 있다.
포스겐 반응이 진행되는 온도는 10∼80℃이며, 포스겐의 양은 2가 페놀의 함량에 의존하는데, 1몰의 포스겐은 1몰의 2가 페놀과 반응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및 2몰의 염산을 생성하며, 염산은 산 수용체에 흡수된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벤젠, 클로로벤젠 또는 톨루엔과 같은 비수성 물질 중에서 아릴디올(aryldiol)의 무수 알카리염의 현탁액을 포스겐화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나 클로로벤젠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 존재 하에 비스페놀 A의 나트륨염 슬러리에 포스겐을 가하여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생성 반응에서 카보네이트에스테르를 카보네이트 전구물질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1∼15시간 동안 120℃ 이상의 온도에서 반응시킨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카보네이트에스테르 및 2가 페놀 사이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포스겐과 비스페놀 A와 함께 반응기에서 금속리튬, 칼륨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촉매 1ppm∼0.5 중량%를 첨가하며, 10∼100mmHg로 감압하면서, 바람직하게는 질소,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관내에 투입하여 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반응을 통해 형성된 올리고머 카보네이트를 100mmHg 이하로 감압 하에서 120℃ 이상의 온도로, 3∼5시간 동안 가열하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수평균분자량에는 큰 제약은 없으나 20,000∼6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수평균분자량이 20,000 미만이면 최종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불량해지고 60,000 초과면 유동성이 저하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00∼500인 정수이다.
이와같은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주성분 수지 중 20∼80 중량%인 바, 만일 그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불량하고 80 중량% 초과면 유동성이 불량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얼로이되는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단량체로 이루어진 수지 성분을 공중합시켜 제조된 것도 사용 가능하다.
이때, 방향족 비닐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모노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또는 o-메틸스티렌이며, 이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이들 방향족 비닐화합물 중에서 스티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이며, 비닐시안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화합물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헥실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이다.
이와같은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AE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및 아크릴로니트릴-n-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AAS)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공중합체 중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는 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는 유화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하에 단량체, 유화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온도 30∼150℃에서 2∼10시간동안 100mmHg 이하의 압력하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얻어진다.
이때,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기로는 1:1∼2:1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은 충격강도는 다소 낮으나 강성, 성형성이 우수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단독으로 사용할 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같은 역할을 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주성분 수지 중 20∼80 중량%로서, 만일 그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유동성 개선이 어렵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능기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첨가하는 바, 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간의 상용성을 증진시켜 내충격성, 내열성, 유동성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관능기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공액디엔계 고무,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에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액디엔계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나 블록공중합체,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본산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스티렌-부타디엔의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등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공액디엔계 고무는 부타디엔을 함유하는 고무질 중합체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폴리부타디엔을 고무질 중합체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공액디엔계 고무는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 함량에 있어서 10∼4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5∼45 중량%이다.
만일, 공액디엔계 고무의 함량이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 함량 중 15 중량% 미만이면 최종 조성물에서 충격강도 증진에 효과가 미미하며, 45 중량% 초과면 유동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구성하는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p-t-부틸스티렌 또는 디메틸스티렌이 있으며, 이중에서 선택하여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스티렌을 방향족비닐 화합물로 첨가하는 것이다.
한편, 이같은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 중 35∼65 중량%이다.
그리고,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구성하는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도데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페닐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며, 전체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 중 15∼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조성의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상기 공액디엔계 고무 존재 하에 상기 각 단량체를 유화중합, 현탁중합 또는 용액중합을 거쳐 제조되는 바, 통상 유화중합 방법을 사용한다.
중합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 분자량조절제, 유화제, 분산제 및 용매 등으로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예로는 공액디엔계 고무 존재 하에 단량체 및 유화제,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온도 50∼100℃에서, 3∼15시간 동안 1∼5kg/㎠의 압력하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유화중합 또는 용액중합으로 얻어지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혼합하여 관능기를 함유한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로 이루어진 주성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5 중량부인 바,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간의 상용성 증진 효과가 미미하여 충격강도가 불량해지고, 15 중량부 초과면 유동성 및 내열성이 저하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은 난연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바, 이는 난연성을 향상시켜 최종 제품의 적용상의 기능 특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난연제 혼합물은 난연제와 보조난연제로 이루어지는 바, 난연제는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브롬계 난연제이며, 보조난연제는 삼산화안티몬이다.
이때, 난연제와 보조난연제의 함량비는 2∼4:1, 바람직하기로는 3:1이다.
이같은 난연제 혼합물의 함량은 주성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3 중량부이며, 만일 그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UL94에서 인정하는 1/32인치 시편에서의 난연성 94V-0 요구항목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13 중량부 초과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난연제의 경우 제품 성형시 스크랩(scrap)을 사용할 때 이의 분해로 인한 물성저하가 발생되므로 그 함량이 1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같은 조성의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은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바, 수지조성물의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투입구가 2개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련하며, 1차 투입구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2차 투입구에는 상기에서 제조된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계 수지, 난연제 및 보조난연제를 투입한다.
특히, 난연제의 경우 열에 불안정하기 때문에 가능한한 압출기의 노즐부쪽에 설치된 투입구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혼련시 조성물의 열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체류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열안정제, 이형제 또는 대전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에 의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내열제로서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와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록시신나마이드)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12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 및 조성으로 26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칩상태로 만든 후 90℃에서 5시간 건조한 후 시험시편 제작용 몰드(mold)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2
실험예
상기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12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충격강도, 용융지수, 성형수축율, 난연성 및 열변형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충격강도는 ASTM D258에 의거하여 아이조드 노치드(Izod Notched) 타입으로 1/8인치 시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용융지수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칩 상태로 90℃에서 5시간 건조한 후 275℃, 5kg/㎠ 하중에서 10분간 흐른 양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성형수축율은 ASTM D955에 의거하여 지름이 100mm 인 원판 시편을 이용하여 흐름방향의 수축율을 평가하였다.
난연성은 UL94방법에 의거하여 1/32인치의 시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열변형온도는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264psi에서 평가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3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부품과 전장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난연성 수지는 충격강도가 20kg·cm/cm 이상이어야 하고, 열변형온도는 100℃ 이상이며, 용융지수는 15g/10분 이상이여야 하며, 성형수축율은 0.41∼0.44%이고, 난연성은 UL49 방법에 따른 측정에서 V-0를 만족해야 한다.
만일, 성형수축율이 0.44%보다 큰 경우 수축이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이와같은 조건을 근거로 하여 볼 때 본 발명에서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관능기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상용화제로 첨가하고, 글리시딜기를 갖는 난연제와 삼산화안티몬을 난연보조제로 첨가하여 제조된 수지의 경우는 충격강도, 열변형온도, 용융지수, 성형안정성 및 난연성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다.
반면, 비교예 1∼6에서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만으로 이루어진 수지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물성이 열악한 바, 특히 충격강도와 성형안정성 및 난연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비교예 7∼12에서와 같이 각 조성의 함량범위가 본 발명의 것을 벗어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관능기 함유 폴리스티렌의 함량이 적으면 충격강도가 떨어지고, 과량이면 열변형온도, 용융지수 등이 저하된다.
또한, 난연제의 함량이 소량이면 난연성이 떨어지고, 과량이면 용융지수가 저하된다.
그리고, 주성분 수지의 함량비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과량이면 용융지수가 떨어지며, 소량이면 충격강도, 성형안정성 및 난연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두 수지간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액디엔계 고무,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과의 공중합 가능 화합물로 이루어진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첨가하고, 글리시딜기를 갖는 난연제와 삼산화안티몬을 첨가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은 내충격성, 내열성이 탁월하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대형품 제조에 있어서 성형상의 문제가 없으며 성형수축율이 작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 부품의 하우징, 케이스, 스위치, 아답터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성형품 및 대형품 제조에 유용하며, 제조원가도 저렴하다.

Claims (3)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80 중량%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20∼80 중량%로 이루어진 주성분 100 중량부;
    공액디엔계 고무,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관능기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5∼15 중량부; 및
    글리시딜기를 갖는 브롬계 난연제와 삼산화안티몬이 2~4:1 중량비로 혼합된 난연제 혼합물 10∼13 중량부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있어서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은 메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페닐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 수지조성물.
KR1019970074504A 1997-12-26 1997-12-26 열가소성난연수지조성물 KR100483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504A KR100483890B1 (ko) 1997-12-26 1997-12-26 열가소성난연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504A KR100483890B1 (ko) 1997-12-26 1997-12-26 열가소성난연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644A KR19990054644A (ko) 1999-07-15
KR100483890B1 true KR100483890B1 (ko) 2005-07-21

Family

ID=3730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504A KR100483890B1 (ko) 1997-12-26 1997-12-26 열가소성난연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534B1 (ko) * 2005-12-30 2006-12-05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0301449B2 (en) 2013-11-29 2019-05-2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light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KR101690829B1 (ko) 2013-12-30 2016-12-28 롯데첨단소재(주) 내충격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0636951B2 (en) 2014-06-27 2020-04-2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reflectivity
KR101793319B1 (ko) 2014-12-17 2017-11-03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49830B1 (ko) 2015-06-30 2018-04-18 롯데첨단소재(주) 내충격성 및 광신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082A (en) * 1986-12-03 1989-05-16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modified aromatic carbonate compositions
KR910008070A (ko) * 1989-10-04 1991-05-30 이다가끼 히로시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전기 부품용 성형품
WO1993022382A1 (en) * 1992-04-24 1993-11-11 Ge Plastics Japan,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H07145307A (ja) * 1993-07-23 1995-06-06 General Electric Co <Ge> 低減された光沢、難燃性及び耐衝撃性をもつ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602201A (en) * 1994-01-12 1997-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082A (en) * 1986-12-03 1989-05-16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modified aromatic carbonate compositions
KR910008070A (ko) * 1989-10-04 1991-05-30 이다가끼 히로시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전기 부품용 성형품
WO1993022382A1 (en) * 1992-04-24 1993-11-11 Ge Plastics Japan,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H07145307A (ja) * 1993-07-23 1995-06-06 General Electric Co <Ge> 低減された光沢、難燃性及び耐衝撃性をもつ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602201A (en) * 1994-01-12 1997-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644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517B2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US9018312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EP1209163B1 (en) Oligomeric phosphoric acid ester morpholide compound and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2143754B1 (en) Flame retardent and impact modifier,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2215163B1 (en) Non-halogen flameproof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0483890B1 (ko) 열가소성난연수지조성물
KR20070069347A (ko) 저선팽창계수를 가지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574085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EP2341098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H079015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162066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3887865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CN110527267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制备的模制品
KR100422936B1 (ko) 내충격성, 및 강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및 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난연 수지
KR100360988B1 (ko) 가스 사출 성형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242503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4084873B2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505506B1 (ko) 내충격성 및 사출품의 외관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수지 조성물
CN112795159B (zh) 一种pc/abs合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611645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0141454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24605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80480B1 (ko)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05512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S60199055A (ja) ポリカ−ボネ−ト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