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629B1 -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629B1
KR100482629B1 KR10-2003-0004033A KR20030004033A KR100482629B1 KR 100482629 B1 KR100482629 B1 KR 100482629B1 KR 20030004033 A KR20030004033 A KR 20030004033A KR 100482629 B1 KR100482629 B1 KR 10048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ember
center stay
vehicle
engine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072A (ko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6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5/0021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fo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2005/002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heat exchange fluid storag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2005/0032Systems storing energy during the n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슈라우드 어퍼패널(10)과 하부의 크로스 멤버(2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지지함과 동시에 정면 충돌시에 엔진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 스테이(60)에 있어서;
상기 센터 스테이(60)는 슈라우드 어퍼패널(10)에 용접 고정되도록 몸체 일측부가 절곡되며, 다른 일측부로 호형상을 갖는 접합부(31)가 형성된 상부 결속부재(30)와;
크로스 멤버(20)에 체결고정되도록 몸체가 절곡되어 일측부로 체결홈(41)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부로 호형상을 갖는 접합부(31)가 형성된 하부 결속부재(40)와;
상기 상부 결속부재(30) 및 하부 결속부재(40)의 접합부(31)에 용접고정되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임팩트 바(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정면 충돌시 범퍼에서 전달되는 충돌 하중에 대응되도록 강성이 향상된 센터 스테이가 정면 바디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엔진실 및 엔진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센터 스테이에 의해 엔진실내의 엔진이 2차적으로 실내 운전자에게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The Reinforced Structure of Head-on Collision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발생되는 응력집중에 의해 전면 바디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도록, 전면바디의 센터 스테이에 임팩트바를 적용시켜 차량 충돌시 정면부의 강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첨단기술들이 지원되어 기동성과 유용성이 향상됨으로 인해 산업사회에서 대표적인 문명의 이기로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차는 고속으로 운행되고 운전자 각각의 습성과 기능이 다르므로 도로에서 수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미치는 충돌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거나 사망하게 되는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치명적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안전장치는 전, 후부에 완충용 범퍼를 부착하고 운전석와 조수석에 에어백을 장착하며, 승용차의 경우 차체의 전체 또는 특정부분으로 내, 외측판넬사이에 부강부재등을 내설하여 차량사고시 충돌에너지에 의해 차체의 파손 및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완충시키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설계시 프론트 바디로는 강성을 갖는 내판부분과 전방의 모양을 형성하는 외판부분으로 엔진실이 형성되고 있으며, 특히 전방부는 차량 충돌시 엔진실을 보호하기 위하여 슈라우드 어퍼패널과 크로스 멤버에 센터 스테이가 결합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센터 스테이(60)는 라디에이터 및 컴비네이션 램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차량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좌, 우 프론트 프레임에 전달시키는 슈라우드 어퍼패널(10)과, 프론트 펌퍼와 결합되어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프론트 프레임에 전달시키는 크로스 멤버(20)에 상,하부가 각각 용접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슈라우드 어퍼패널(10)과 크로스 멤버(20)에 연결되어 결합된 센터 스테이(60)는 단순한 판상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차량 충돌시 엔진룸의 변형을 방지하고 엔진의 실내침입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센터 스테이는 단순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강성이 약하므로, 정면 충돌시 센터 스테이의 고정부가 파손되면서 엔진실내부로 침입하며 엔진실의 2차파손 및 엔진의 실내침입을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전방부는 가장 빈번한 접촉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차체의 강도를 높여 엔진실 및 승차인원을 보호하여야 하나 약한 충격에도 센터 스테이가 파손되며 엔진 및 차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슈라우드 어퍼패널에는 상부 결속부재가 용접고정되며, 크로스 멤버에는 하부 결속부재가 체결고정되도록 하고, 상부와 하부 결속부재사이로는 임팩트바가 용접고정되도록 한 센터 스테이에 의해 차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및 하부 결속부재의 몸체에 강성비드를 형성시켜 차량충돌에 따른 결속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여 차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갖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슈라우드 어퍼패널(10)과 하부의 크로스 멤버(2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지지함과 동시에 정면 충돌시에 엔진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 스테이(60)에 있어서;
상기 센터 스테이(60)는 슈라우드 어퍼패널(10)에 용접 고정되도록 몸체 일측부가 절곡되며, 다른 일측부로 호형상을 갖는 접합부(31)가 형성된 상부 결속부재(30)와;
크로스 멤버(20)에 체결고정되도록 몸체가 절곡되어 일측부로 체결홈(41)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부로 호형상을 갖는 접합부(31)가 형성된 하부 결속부재(40)와;
상기 상부 결속부재(30) 및 하부 결속부재(40)의 접합부(31)에 용접고정되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임팩트 바(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센터 스테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센터 스테이의 설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센터 스테이(60)는 상부 결속부재(30)와 하부 결속부재(40) 및 임팩트 바(50)로 구성되어 슈라우드 어퍼패널(10)과 크로스 멤버(20)를 상, 하 연결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결속부재(30)는 슈라우드 어퍼패널(10)의 상부 및 측면에 용접고정되도록 상부면이 절곡되어 있으며, 하부면으로는 호형상을 갖는 접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결속부재(40)는 크로스 멤버(20)에 체결고정되도록 하부면으로 체결홈(41)이 형성되며, 몸체는 부분절곡시켜 상부면으로 상기, 상부 결속부재(30)의 접합부(31)와 동일한 위치로 호형상을 갖는 접합부(31)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결속부재(30)와 하부 결속부재(40)의 접합부(31)내로는 소정길이를 갖는 임팩트 바(50)를 용접고정시키도록 하여 상, 하 연결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슈라우드 어퍼패널(10)과 크로스 멤버(20)를 상, 하 연결시키도록 하는 센터 스테이(60)에 의해 차량의 정면 충돌시 1차적으로 엔진실내의 파손을 방지하며, 특히 엔진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강성이 유지되어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 상기 임팩트 바(50)는 강성이 증대된 파이프형상을 갖고 있어 차량 정면충돌시 프론트 범퍼에서 전달되는 응력집중에 의한 전면 바디의 변형을 최소화 시키도록 하여 엔진 및 차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결속부재(30)와 하부 결속부재(40)의 몸체에는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몸체 양측으로 강성비드(32)가 형성되어 있어, 슈라우드 어퍼패널(10) 및 크로스 멤버(20)와의 결속력이 증대되며, 차량 충돌시 결속부재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결속부재()와 하부 결속부재() 및 임팩트 바()로 구성된 센터 스테이()에 의해 차량의 정면 충돌시 전방 바디 및 엔진의 파손을 최소화시키며, 2차적으로 엔진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정면 충돌시 범퍼에서 전달되는 충돌 하중에 대응되도록 강성이 향상된 센터 스테이가 정면 바디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엔진실 및 엔진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센터 스테이에 의해 엔진실내의 엔진이 2차적으로 실내 운전자에게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정면바디에 센터 스테이가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센터 스테이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센터 스테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센터 스테이의 설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슈라우드 어퍼패널 20 - 크로스 멤버
30 - 상부 결속부재 31 - 접합부
32 - 강성비드 40 - 하부 결속부재
41 - 체결홈 50 - 임팩트 바
60 - 센터 스테이

Claims (2)

  1. 슈라우드 어퍼패널(10)과 하부의 크로스 멤버(2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지지함과 동시에 정면 충돌시에 엔진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 스테이(60)에 있어서;
    상기 센터 스테이(60)는 슈라우드 어퍼패널(10)에 용접 고정되도록 몸체 일측부가 절곡되며, 다른 일측부로 호형상을 갖는 접합부(31)가 형성된 상부 결속부재(30)와;
    크로스 멤버(20)에 체결고정되도록 몸체가 절곡되어 일측부로 체결홈(41)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부로 호형상을 갖는 접합부(31)가 형성된 하부 결속부재(40)와;
    상기 상부 결속부재(30) 및 하부 결속부재(40)의 접합부(31)에 용접고정되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임팩트 바(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속부재(30)와 하부 결속부재(40)에는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몸체 양측으로 강성비드(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KR10-2003-0004033A 2003-01-21 2003-01-21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KR10048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33A KR100482629B1 (ko) 2003-01-21 2003-01-21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33A KR100482629B1 (ko) 2003-01-21 2003-01-21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072A KR20040067072A (ko) 2004-07-30
KR100482629B1 true KR100482629B1 (ko) 2005-04-14

Family

ID=3735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033A KR100482629B1 (ko) 2003-01-21 2003-01-21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7569A (zh) * 2022-07-19 2022-09-0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身前部传力结构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072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719B1 (ko) 차량의 전면 보강구조
US20010004160A1 (en) Vehicle frame reinforcement
US11084533B2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US7080875B2 (en) Vehicle floor capable of distributing impact load at collision
KR100482629B1 (ko)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JPH058755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100387776B1 (ko) 자동차의 에이필러 이음보강구조
KR200216709Y1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
KR100363627B1 (ko) 차량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00377848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JP6669152B2 (ja) 衝突検出装置
KR100265965B1 (ko) 차량용 프론트 필라 트림의 충격흡수장치
KR0133775B1 (ko) 자동차 전면기등 하단부의 보강구조
KR1003502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보강구조
KR100357401B1 (ko) 자동차용 전면기둥
KR200140912Y1 (ko)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0137506Y1 (ko) 차량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JPH11105738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CN118025334A (zh) 一种车身前舱结构及车辆
KR100264602B1 (ko) 자동차의 센터 필러 패널 어셈블리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0129214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모듈캐리어
KR0130149Y1 (ko) 자동차의 시이트벨트취부용 보강재구조
KR200260745Y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20020088746A (ko) 자동차의 루프판넬과 사이드아웃판넬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