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519B1 -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519B1
KR100482519B1 KR10-2001-0084284A KR20010084284A KR100482519B1 KR 100482519 B1 KR100482519 B1 KR 100482519B1 KR 20010084284 A KR20010084284 A KR 20010084284A KR 100482519 B1 KR100482519 B1 KR 100482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filter
pressure
filter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4163A (ko
Inventor
배연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5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0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with means for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필터의 내부로 유입된 후 엘리먼트를 통과하기 전인 연료의 압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 동작하는 압력연동스위치와, 이 압력연동스위치의 온 동작시 작동하는 경고수단을 채용하여, 엘리먼트 통과전의 연료압이 일정 압력수준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상기 경고수단이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연료 필터의 적절한 교환시기임을 알려주는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거리로 판단하였던 연료 필터의 교환주기를 실제 연료 필터의 오염정도에 따라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연료 필터의 정확한 교환시기를 놓치거나 조기에 연료 필터를 교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를 놓쳐 초래되던 연료와 공기의 혼합 비율 불량 및 차량 가속의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System for automatically notifying replacement time of fuel filter}
본 발명은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 필터의 내부로 유입된 후 엘리먼트를 통과하기 전인 연료의 압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하는 압력연동스위치와, 이 압력연동스위치의 온 동작시 작동하는 경고수단을 채용하여, 엘리먼트 통과전의 연료압이 일정 압력수준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상기 경고수단이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연료 필터의 적절한 교환시기임을 알려주는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공급 시스템은 모든 운전조건하에서 엔진에 필요한 혼합기를 가장 연소하기 쉬운 상태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 공급 시스템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 펌프, 연료 속에 있는 수분과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 연료를 각 인젝터로 분배하는 딜리버리 파이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 부품은 연료 파이프로 연결된다.
즉,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는 연료 펌프의 구동에 의해 연료 탱크로부터 퍼올려져 연료 필터를 거친 후 딜리버리 파이프를 통해 각 인젝터로 공급되는 것이다.
첨부한 도 2는 고압 및 저압의 연료 펌프가 적용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연료 탱크(1)에 저장된 연료는 저압 연료 펌프(3)의 구동에 의해 연료 필터(5)로 압송되어 여과작용을 거치게 되고, 이 연료 필터(5)에서 여과된 연료는 고압 연료 펌프(7)의 구동에 의해 딜리버리 파이프(9)를 통해 각 인젝터(11)로 공급된다.
상기 인젝터(11)로 공급된 연료는 엔진의 작동상태에 따른 각 인젝터(11)의 분사작동에 의해 연소실(미도시됨) 내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는 고압 연료 펌프(7)에 의해 압송되어 딜리버리 파이프(9)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딜리버리 파이프(9)의 일단에 설치한 고압 레귤레이터 밸브(13)가 과압의 연료를 리턴 파이프(15)를 통해 연료 탱크(1)로 회수토록 하고 있다.
또한, 연료 필터(5)를 통과한 연료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연료 필터(5)에 별도 설치한 저압 레귤레이터 밸브(17)가 과압의 연료를 리턴 파이프(19)를 통해 연료 탱크(1)로 회수함으로써, 연료 필터(5)를 통과하는 연료의 압력이 연료 필터(5) 전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거의 일정한 압력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한편, 차량의 관리측면에서 이러한 연료 공급 시스템은 엔진의 구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세심한 관리를 요구하고 있고, 이물질 등이 계속해서 쌓이는 연료 필터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즉, 연료 필터가 오염된 때에는 자동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에 오차가 발생하여 공기와의 혼합 비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계속해서 연료와 공기와의 혼합 비율이 최적의 상태로 제어되지 못할 경우에는 엔진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또한, 가속 순간 적절한 연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구동력 저하 및 가속 지연을 초래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시동 불능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결국, 차량 인도시 전달되는 정비지침서를 통해 운전자가 일정 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연료 필터를 교환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제품의 연료 필터라 하더라도 그 수명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고, 주행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연료 필터의 오염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아니며, 여과되는 연료의 질에 따라서도 필터의 수명이 크게 달라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정비지침서에 기재된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를 운전자가 잘 숙지하지 않음은 물론 현재의 성능상태가 아닌 일률적으로 규정된 필터의 교환시기가 적용됨으로써, 운전자가 연료 필터의 정확한 교환시기를 놓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없었고, 조기에 연료 필터를 교환하는 경우도 빈번하여 차량의 불필요한 관리비용을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주행거리 대신 연료 필터의 실제 오염정도에 따르는 연료 필터의 적절한 교환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연료 필터의 정확한 교환시기를 놓치거나 조기에 연료 필터를 교환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를 놓쳐 초래되던 연료와 공기의 혼합 비율 불량 및 차량 가속의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는 연료 필터(5) 내부로 유입된 후 엘리먼트(21)를 통과하기 전인 연료의 압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상기 연료 필터(5)의 저부에 설치되는 압력연동스위치(30)와, 이 압력연동스위치(30)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고 그 작동여부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차량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경고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에 있어서,상기 압력연동스위치(30)는 내부가 다이어프램(34)에 의해 엘리먼트(21) 통과 전의 연료 필터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실(32a)과 기준압으로 봉입된 항압실(32b)로 구분되는 본체(32)와, 상기 경고수단(40)의 작동전원을 단속하는 항압실(32b) 내부의 스위치부(38)와, 상기 다이어프램(34)의 상/하 작동으로 상기 스위치부(38)를 선택적으로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어프램(34)에 일체로 부착된 플런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삭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장치구성도이다.
도면부호 21는 연료 필터의 내부에 설치된 엘리먼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엘리먼트(21)는 연료필터 케이싱(6)의 내부 즉, 연료 필터(5)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통과시켜 연료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일종의 여과수단이다.
즉, 연료 필터(5)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는 엘리먼트(21)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이 여과된 연료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는 고압 연료 펌프(7)의 구동으로 딜리버리 파이프(9)를 통해 각 인젝터(11)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엘리먼트(21)에는 연료를 통과시키도록 된 다수의 미세공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계속된 여과작용으로 엘리먼트(21)의 내부에 이물질들이 계속해서 쌓이게 되면, 많은 수의 미세공들이 막히면서 엘리먼트(21)의 통과성능이 점점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계속해서 쌓이는 이물질들로 인해 엘리먼트(21)의 통과성능이 저하되면 될수록 엘리먼트(21)를 통과하기 전의 연료압은 점점 상승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운전자는 적절한 시기에 연료 필터(5)를 교환해주어야 하는 바, 결국 연료 필터(5)의 적절한 교환시기를 엘리먼트(21) 통과전의 연료압이 일정 압력수준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로 하는 것이 타당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 필터(5)의 내부에 구비된 엘리먼트(21)에 이물질에 의한 일정 수준 이상의 막힘이 발생하였을 때, 즉 연료 필터(5) 내부로 유입된 엘리먼트(21) 통과전의 연료압이 일정 압력수준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경고수단(40)을 자동 작동시켜주어 운전자에게 연료 필터(5)의 적절한 교환시기임을 알리는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인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연료 필터(5) 내부의 엘리먼트(21) 통과 전 연료압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되도록 연료 필터(5)의 저부에 설치되는 압력연동스위치(30)와, 이 압력연동스위치(30)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경고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연동스위치(30)는 엘리먼트(21) 통과 전 연료의 압력상태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50)로부터 공급되는 경고수단(40)의 작동전원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여, 엘리먼트(21) 통과 전 연료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압 이상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온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연동스위치(30)는 그 실시예로서, 연료 필터(5) 내부로 유입된 엘리먼트(21) 통과 전의 연료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32)와, 이 본체(32)의 내부로 공급된 엘리먼트(21) 통과 전의 연료압 상태에 따라 상/하 작동하는 다이어프램(34) 및 플런저(36)와, 이 다이어프램(34) 및 플런저(36)의 상/하 작동에 의해 경고수단(40)의 작동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부(38)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2)는 연료 필터(5)의 케이싱(6) 저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 공간은 다이어프램(34)에 의해 연료 필터(5)의 내부로부터 엘리먼트(21) 통과전의 연료가 유입되는 압력실(32a)과, 소정의 기준압으로 봉입된 항압실(32b)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실(32a)은 엘리먼트(21) 통과전의 연료압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연료 필터(5)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야 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연료가 연료 필터(5)의 내부 공간 중에서도 엘리먼트(21)의 바깥쪽 공간으로 유입된 후 엘리먼트(21)의 중심쪽을 향하여 통과하는 경우에는 이 엘리먼트(21)의 바깥쪽 공간과 본체(32)의 압력실이 연통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실(32a)의 유입구를 별도의 공급라인(미도시됨)을 통해 엘리먼트(21)의 바깥쪽 공간과 연결하여, 엘리먼트(21) 통과전의 연료압이 압력실(32a)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미리 설정되는 상기 항압실(32b) 내부의 압력, 즉 상기한 기준압은 저압 레귤레이터 밸브(17)의 설정압력과 시험을 통하여 알려진 그 연료 필터 스펙의 자체 손실압력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 예로서, 저압 레귤레이터 밸브(17)의 설정압력이 3.35㎏/㎠이고 연료 필터(5)의 알려진 손실압력이 0.3㎏/㎠이라면 항압실(32b)의 기준압을 3.65㎏/㎠로 설정하여, 압력실(32a)로 공급되는 엘리먼트(21) 통과전의 연료압이 3.65㎏/㎠보다 클 경우 다이어프램(34)이 하방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어프램(34)의 하면에는 길게 형성된 플런저(36)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 플런저(36)는 다이어프램(34)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하방 작동하면 항압실(32b)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부(38)의 가동접점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준압 이상의 압력실(32a) 내 압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다이어프램(34)이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어프램(34)의 하면에는 리턴 스프링(35)이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부(38)는 항압실(32b)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34)의 하방 작동으로 플런저(36)가 가동접점을 누르게 되면 온 작동하여 배터리(50)의 전원이 경고수단(4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경고수단(40)은 그 작동여부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데, 상기 압력연동스위치(30)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50)로부터 선택적으로 작동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고수단(40)은 압력연동스위치(30)를 통해 작동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작동하여 운전자가 연료 필터(5)의 교환시기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시각 또는 청각적인 방법을 이용한 그 어떠한 것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즉, 그 실시예로서, 압력연동스위치(30)를 통해 작동전원을 공급받게 되면 점등되는 램프(32)를 설치하고, 이 램프(32)가 점등되면서 "연료 필터 교환"이라는 문자가 보일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램프(32) 및 "연료 필터 교환"의 문자표시부(34)는 점등시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계기판(미도시됨) 전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엘리먼트 통과전의 연료압이 압력연동스위치의 압력실 내부로 공급된 상태에서, 엘리먼트에 일정 수준 이상의 막힘이 발생하여 압력실의 압력이 항압실의 기준압보다 커지게 되면, 다이어프램 및 플런저가 하방 작동하게 된다.
결국, 다이어프램 및 플런저가 스위치부의 가동접점을 누름과 동시에 경고수단이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임을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에 의하면, 주행거리로 판단하였던 연료 필터의 교환주기를 실제 연료 필터의 오염정도에 따라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연료 필터의 정확한 교환시기를 놓치거나 조기에 연료 필터를 교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를 놓쳐 초래되던 연료와 공기의 혼합 비율 불량 및 차량 가속의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터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장치구성도
도 2는 고압 및 저압의 연료 펌프가 적용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일례를 보여주는 장치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 탱크 3 : 저압 연료 펌프
5 : 연료 필터 7 : 고압 연료 펌프
9 : 딜리버리 파이프 11 : 인젝터
13 : 고압 레귤레이터 밸브 17 : 저압 레귤레이터 밸브
21 : 엘리먼트 30 : 압력연동스위치
32 : 본체 32a : 압력실
32b : 항압실 34 : 다이어프램
36 : 플런저 38 : 스위치부
40 : 경고수단 6 : 연료필터의 케이싱

Claims (2)

  1. 연료 필터(5) 내부로 유입된 후 엘리먼트(21)를 통과하기 전인 연료의 압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상기 연료 필터(5)의 저부에 설치되는 압력연동스위치(30)와, 이 압력연동스위치(30)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고 그 작동여부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차량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경고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연동스위치(30)는 내부가 다이어프램(34)에 의해 엘리먼트(21) 통과 전의 연료 필터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실(32a)과 기준압으로 봉입된 항압실(32b)로 구분되는 본체(32)와, 상기 경고수단(40)의 작동전원을 단속하는 항압실(32b) 내부의 스위치부(38)와, 상기 다이어프램(34)의 상/하 작동으로 상기 스위치부(38)를 선택적으로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어프램(34)에 일체로 부착된 플런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2. 삭제
KR10-2001-0084284A 2001-12-24 2001-12-24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KR10048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284A KR100482519B1 (ko) 2001-12-24 2001-12-24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284A KR100482519B1 (ko) 2001-12-24 2001-12-24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163A KR20030054163A (ko) 2003-07-02
KR100482519B1 true KR100482519B1 (ko) 2005-04-14

Family

ID=3221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284A KR100482519B1 (ko) 2001-12-24 2001-12-24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09B1 (ko) 2004-08-24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에어필터 교체 경보장치
KR20160087081A (ko) * 2015-01-13 2016-07-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필터
KR20160131356A (ko) 2015-05-07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필터의 교환 알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164B1 (ko) * 2002-02-15 2008-01-24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에어필터 교환시기 경고장치
CN114592996A (zh) * 2022-03-24 2022-06-07 浙江圣峰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油滤清器
CN115518455A (zh) * 2022-10-08 2022-12-27 湖南神农国油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多级处理茶籽油滤清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4918A (ja) * 1983-03-10 1984-09-18 Atsugi Motor Parts Co Ltd 車両用燃料フイルタ−の水分検知警報器
KR19980078221A (ko) * 1997-04-25 1998-11-16 김영귀 차량용 연료필터의 누유점검장치
KR19990011535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연료 필터 교환 시기 자동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4918A (ja) * 1983-03-10 1984-09-18 Atsugi Motor Parts Co Ltd 車両用燃料フイルタ−の水分検知警報器
KR19980078221A (ko) * 1997-04-25 1998-11-16 김영귀 차량용 연료필터의 누유점검장치
KR19990011535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연료 필터 교환 시기 자동 알림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09B1 (ko) 2004-08-24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에어필터 교체 경보장치
KR20160087081A (ko) * 2015-01-13 2016-07-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필터
KR101693957B1 (ko) * 2015-01-13 2017-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필터
KR20160131356A (ko) 2015-05-07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필터의 교환 알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163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1860B2 (ja) 燃料濾過装置
US5095880A (en) Air purging and shut-down system for diesel engines
KR100482519B1 (ko) 연료 필터의 교환시기 자동 알림장치
US20080142097A1 (en) Fuel Supply Unit for a Motor Vehicle
AU6966700A (en) Integrated fuel pump and fuel filter with fuel-water separation
JP4155402B2 (ja) 燃焼機関の燃料系用組合せ弁および該燃料系
US5915926A (en) Lift pump for filter module
US4981584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air and water from fuel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213510983U (zh) 一种燃油滤清器及车辆
JP4340627B2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JP4015936B2 (ja) 燃料供給装置
JP2008247450A (ja) 液体充填装置及び液体充填方法
JP4155900B2 (ja) 燃料フィルタ
CN116677530A (zh) 燃油滤清器结构、控制方法和汽车
KR20160131356A (ko) 연료필터의 교환 알람 시스템
KR100193506B1 (ko) 자동차의 연료 브리딩 장치
KR20040092504A (ko) 연료 필터의 배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80005655A (ko)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
KR200141390Y1 (ko) 자동차 연료 공급관의 이상 압력 경보 장치
KR100440229B1 (ko) 엔진 오버플로우 밸브의 저압경고장치
KR100285603B1 (ko) 연료여과기의 자기진단장치
KR19990030329U (ko) 연료 필터의 고장 경고장치
KR200410716Y1 (ko) 리턴 파이프가 장착된 연료필터
KR100273175B1 (ko) 자동차의 보조 연료 공급장치
KR20030025333A (ko) 연료필터의 워터 센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