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206B1 -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206B1
KR100482206B1 KR10-2000-0060633A KR20000060633A KR100482206B1 KR 100482206 B1 KR100482206 B1 KR 100482206B1 KR 20000060633 A KR20000060633 A KR 20000060633A KR 100482206 B1 KR100482206 B1 KR 10048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ire rope
control valves
cran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963A (ko
Inventor
신용호
정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6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2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2Hydraulic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WIRE ROPE)가 연결된 훅크(HOOK)의 권상중 과권하 또는 타설비와의 충돌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처지게 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메인탱크 (42)가 설치되고 크레브(14)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프레임 (44)을 갖춘 프레임부 (40);와, 상기 프레임(40)의 내측 상부에 오일탱크(42)의 저부에 연결되는 제 1 제어밸브(52) 및 그 하측으로 서브탱크(54)를 개재하여 분리 연결되는 제 2,3 제어밸브(56)(58)를 갖추고, 상기 서브탱크(54)와 제 2,3 제어밸브(56)(58)에는 리턴밸브 (60)를 개재하여 리턴라인(62)이 연결되는 오일제어부(50);와, 상기 오일탱크 (42) 및 서브탱크(54)상에 제어밸브들의 작동에 따른 오일량을 감지하여 드럼(12)의 작동을 제어토록 작동센서(12a)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 1,2 오일감지기 (72)(74)를 구비하는 오일 감지부(70); 및, 상기 크레브(14)의 하측에 연결된 고정판(82)의 하부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제 2,3 제어밸브(56)(58)가 연결되어 스프링(82) 작동되며, 로드(84a)에 설치된 연결블록(85)이 와이어로프 고정단(30b)에 결속되는 작동실린더(84) 및, 상기 실린더 로드(84a)와의 접촉시 제 1-3 제어밸브 (54)(56)(58)들을 작동토록 상기 고정판(82)의 단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86)를 갖춘 로프 처짐감지부(80);로서 구성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WIRE ROPE OF CRANE FROM DROOPPING}
본 발명은 크레인(CRANE)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WIRE ROPE)가 연결된 훅크(HOOK)의 권상중 과권하 또는 타설비와의 충돌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처지게 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특히, 수십톤 이상의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천정크레인은 공장내에서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데, 집전설비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드럼에 와이어 로프가 권선되어 드럼의 구동에 따라 드럼에서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훅크로서 중량물이 결속 운반되는 것인데,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본체에 설치된 크레브(CRAB)(14)상에 장착되고 트롤리바와 접촛슈로 이루어져 전원을 공급하는 집전설비로 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되는 드럼(12)에 연결된 상부 쉐이브(10)와, 훅크(22)가 장착된 하부 쉐이브(20)사이에 여러 가닥의 와이어로프(30)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로프 (30)의 일단(30a)은 상,하 쉐이브(10)(20)를 통하여 드럼(10)에 권선되어 권상 및 권하 작동되고, 상기 와이어로프(30)의 타단(30b)은 상기 크레브(14)에 설치된 로프 밸런스(16)에 이중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드럼(12)의 구동에 따라 로프 밸런스(16)에 타단이 고정된 와이어로프(30)는 권상 및 권하되면서 훅크(22)를 이동시키어 중량물을 운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크레인의 와이어로프(30)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운전미숙으로 드럼(12)이 과구동되면서 와이어로프 (30)가 과권하되거나 또는 운반중에 훅크(22) 부분이 타설비와 충돌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는 결국 와이어로프(30)의 처짐현상을 발생시키어 심한 경우 와이어로프(30)의 탈선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된 와이어로프(30)의 일단(30a)과 훅크 연결된 와이어로프 (30)의 타단(30b)부분이 손상되면서 이룰 보수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여 크레인의 작동중지로 그 가동율이 상당히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과권하되거나 또는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훅크와 타설비와의 충돌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처짐이 발생되면, 이를 신속하게감지하여 드럼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서, 와이어로프의 손상 또는 드럼탈락을 미연에 방지시키도록 하여 크레인의 기동율을 가일층 향상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크레브상에 장착된 상부 쉐이브와, 훅크가 장착된 하부 쉐이브사이에 연결되고, 일단은 크레브상의 구동드럼에 권선되고 타단은 크레브상의 로프밸런스에 2중 결속되어 드럼의 구동으로 권상 및 권하 작동되어 중량물을 운반하는 크레인 와이어로프에 있어서, 상부에 메인탱크가 설치되고 크레브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갖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오일탱크 저부에 연결되는 제 1 제어밸브 및, 그 하측으로 서브탱크를 개재하여 분리 연결되는 제 2,3 제어밸브를 갖추고, 상기 서브탱크와 제 2,3 제어밸브에는 리턴밸브를 개재하여 리턴라인이 연결되는 오일제어부; 와,
상기 오일탱크 및 서브탱크상에 제어밸브들의 작동에 따른 오일량을 감지하여 드럼의 작동을 제어토록 작동센서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 1,2 오일감지기를 구비하는 오일 감지부; 및,
상기 크레브의 하측에 연결된 고정판의 하부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제 2,3 제어밸브가 연결되어 스프링 작동되며, 로드에 설치된 연결블록이 와이어로프 고정단에 결속되는 작동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로드와의 접촉시 제 1-3 제어밸브들을 작동토록 상기 고정판의 단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갖춘 로프 처짐감지부;로서 구성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의 제 1 오일감지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의 제 2 오일감지기를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6은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의 작동실린더를 도시한 요부도이며, 이하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1)는 크게 프레임부 (40)와 오일제어부(50)와 오일감지부(70) 및, 로프 처짐감지부(80)로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각각의 구성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프레임부(4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프레임부(40)는 상부 쉐이브(10)가 장착된 크레브(14)의 로프밸런스(16) 중앙에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44)과 상기 프레임(44)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작동오일이 충진되는 오일탱크(42)를 구비한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오일 제어부(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오일제어부(50)는 상기 프레임(40)의 내측 상부에 오일탱크(42)의 저부에 연결되는 제 1 제어밸브(52) 및, 그 하측으로 서브탱크(54)를 개재하여 분리 연결되는 제 2,3 제어밸브(56)(58)를 갖춘다.
그리고, 상기 서브탱크(54)와 제 2,3 제어밸브(56)(58)에는 리턴밸브(60)를 개재하여 리턴라인(62)이 연결되는데, 상기의 제 1-3 제어벨브(52)(56)(58)들은 일방향 솔레노이드작동밸브이고, 상기 제 1-3 제어밸브(52)(56)(58)는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다음, 도 3 내지 5 에서는 상기 오일감지부(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오일감지부(70)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오일탱크(42) 및 서브탱크(54)상에 제어밸브들의 작동에 따른 오일량을 감지하여 드럼(12)의 작동을 제어토록 작동센서(12a)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 1,2 오일감지기(72)(74)를 갖춘다.
그리고, 상기 제 1 오일감지기(72)는, 오일탱크(42)내의 오일이 통하는 다수의 개구(72a)가 형성된 케이스(72b)와 그 내측으로 오일량에 따라 승,하강하는 볼부력(72c) 및, 상기 볼부력(72c)의 접촉으로 작동하는 스위치(72d)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제 2 오일감지기(74)는 서브탱크(54)상에 오일이 통하도록 설치된 케이스(74a)와 그 내부 상측으로 드럼 작동센서(12a)와 연결토록 설치된 스위치(74b) 및 , 서브탱크(54)내의 오일량 변화시 승,하강하여 스위치(74b)를 작동시키고 하측의 스프링(74c)으로서 탄성작동되는 볼부력(74d)을 갖춘다.
다음, 도 3 및 도 5에서는 상기 로프처짐 감지부(8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감지부(80)는 크게 상기 크레브(14)의 하측에 연결된 고정판(82)의 하부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제 2,3 제어밸브(56)(58)가 연결되어 스프링(82) 작동되며, 로드(84a)에 설치된 연결블록(85)이 와이어로프 고정단(30b)에 결속되는 작동실린더(84) 및, 상기 실린더 로드(84a)와의 접촉시 제 1-3 제어밸브(54)(56)(58)들을 작동토록 상기 고정판(82)의 단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86)를 갖추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84)의 로드(84a)에는 와이어로프(30)의 처짐발생시 고정판(82)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리미트 스위치(86)에 접촉하여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캠(84b)이 장착되고, 상기 로드(84a)의 외곽으로 작동캠(84b)과 실린더 본체(84c)사이에는 스프링(84d)이 탄설되어 상기 스프링(84d)의 탄성으로 상기 작동캠(84b)의 초기위치는 일정하게 유지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하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먼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12)의 과권하 또는 훅크(22)의 타설비충돌로 인하여 와이어로프(30)의 양단부(30a)(30b)가 벌어지면, 고정단(30b)에 연결블록(85)으로 결속된 작동실린더(84)의 로드(84a)가 벌어진 만큼 당겨지고, 이때 상기 로드(84a)의 단부에 설치된 작동캠(84b)은 상기 실린더(84)가 설치된 크레브(14) 하측의 고장판(82) 단부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86)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 3 에서 도시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86)의 작동시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8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제어밸브(52)는 밀폐되고 하측의 제 2,3 제어밸브(56)(58)는 개방되고, 상기 제 2,3 제어밸브(56)(58)가 연결된 서브탱크 (54)내의 오일은 급감하는데, 제 1 제어밸브(52)가 밀페되어 있어 새로운 오일의 공급은 중단된다.
결국, 상기 도 3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탱크(54)상에 설치된 제 2 오일감지기(74)의 케이스(74a)내부의 오일에 따라 부력된 볼부력(74d)은 하강하여 접촉되어 있던 스위치(74b)를 작동시키면, 상기 스위치(74b)와 케이스(74a)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드럼(12)의 작동센서(12a)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드럼(12)의 작동이 중지된다.
이때, 상기 제 1 오일감지부(74)는 도 2에서 도시한 조작패널(90)에 연결되어 있어 작동시 조작패널(90)의 램프 및 부져(BUZZER)가 작동하여 작업자에서 로프의 처짐을 알리고, 작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중지된 구동드럼(12)을 리셋(RESET)시키어 드럼을 구동시키면서 벌어진 와이어로프(30)의 처짐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다음,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84)에 연결된 와이어로프(30) 고정단(30b)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일체로 이동하는 실린더 로드(84a)의 작동캠(84b)은 고정판 하측의 리미트 스위치(86)와 분리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86)와 연결된 제 1 제어밸브(52)는 개방되고, 반대로 제 2,3 제어밸브(56)(58)은 밀폐되어 오일탱크 (42) 및 제 1 제어밸브(52)를 통하여 서브탱크(54)에 오일이 공급되면, 상기 서브탱크(54)에 설치된 제 2 오일감지기(74)는 초기 위치로 그 내부 볼부력(74d)이 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84)내에 공급된 오일은 리턴라인(62)의 리턴밸브(60)즉, 도면에는 간단하게 설치하였지만 체크밸브(check valve)로 이루어져 서브탱크(54)로 복귀되며, 이는 작동실린더(84)가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82)으로 복귀되는 단동실린더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일탱크(42)내에도 제 1 오일감지기(72)가 설치되는데, 이는 조작패널(90)과 연결되어 있어 오일이 감소하는 경우, 케이스(72b)의 개구(72a)를 통하여 오일레벨이 변화되면, 오일에 부력되는 볼부력(72c)이 케이스(72b)내의 스위치(72d)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조작패널(90)의 램프 및 부져를 작동시키어 오일의 제충진을 알려준다.
한편, 상기 각각의 제 1-3 제어밸브(52)(56)(58)들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 지는데, 즉 리미트 스위치(86)의 작동에 따라 1차적으로는 제 1 및 제 2,3 밸브가 밀폐 및 개방되고, 반대로 리미트 스위치(86)와 작동캠(84b)이 분리되면 제 1 및 제 2,3 제어밸브(560(58)는 개방 및 밀폐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크레인의 와이어로프(30)가 처짐에 따라 드럼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와이어로프(30)를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 있어 와이어로프 (30)의 탈락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에 의하면,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과권하되거나 또는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훅크와 타설비와의 충돌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처짐이 발생되면, 이를 신속하게감지하여 드럼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서, 와이어로프의 손상 또는 드럼탈락을 미연에 방지시키도록 하여 크레인의 기동율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현상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의 제 1 오일감지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의 제 2 오일감지기를 도시한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의 작동실린더를 도시한 요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10,20.... 상,하부 쉐이브 12.... 구동드럼
22.... 훅크 14.... 크레브(CRAB)
16.... 로프밸런스 30.... 와이어로프
30b.... 와이어로프 고정단 40.... 프레임부
42.... 메인탱크 44.... 프레임
50.... 오일제어부 52,56,58.... 제 1-3 제어밸브
54.... 서브탱크 60.... 리턴밸브
70.... 오일 감지부 72,74.... 제 1,2 오일감지기
80.... 로프 처짐방지부 84.... 작동실린더
86.... 리키트 스위치 90....조작패널

Claims (4)

  1. 크레브(14)상에 장착된 상부 쉐이브(10)와, 훅크(22)가 장착된 하부 쉐이브 (20)사이에 연결되고, 일단(30a)은 크레브(14)상의 구동드럼(12)에 권선되고 타단 (30b)은 크레브(14) 상의 로프밸런스(16)에 2중 결속되어 드럼(12)의 구동으로 권상 및 권하 작동되어 중량물을 운반하는 크레인 와이어로프(30)에 있어서,
    상부에 메인탱크(42)가 설치되고 크레브(14)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프레임 (44)을 갖춘 프레임부(40);와,
    상기 프레임(40)의 내측 상부에 오일탱크(42)의 저부에 연결되는 제 1 제어밸브(52) 및, 그 하측으로 서브탱크(54)를 개재하여 분리 연결되는 제 2,3 제어밸브(56)(58)를 갖추고, 상기 서브탱크(54)와 제 2,3 제어밸브(56)(58)에는 리턴밸브 (60)를 개재하여 리턴라인(62)이 연결되는 오일제어부(50);와,
    상기 오일탱크(42) 및 서브탱크(54)상에 제어밸브들의 작동에 따른 오일량을 감지하여 드럼(12)의 작동을 제어토록 작동센서(12a)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 1,2 오일감지기(72)(74)를 구비하는 오일 감지부(70);및,
    상기 크레브(14)의 하측에 연결된 고정판(82)의 하부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제 2,3 제어밸브(56)(58)가 연결되어 스프링(82) 작동되며, 로드(84a)에 설치된 연결블록(85)이 와이어로프 고정단(30b)에 결속되는 작동실린더(84) 및, 상기 실린더 로드(84a)와의 접촉시 제 1-3 제어밸브(54)(56)(58)들을 작동토록 상기 고정판(82)의 단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86)를 갖춘 로프 처짐감지부(8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일감지기(72)는, 오일탱크(42)내의 오일이 통하는 다수의 개구(72a)가 형성된 케이스(72b)와 그 내측으로 오일량에 따라 승,하강하는 볼부력(72c) 및, 상기 볼부력(72c)의 접촉으로 작동하는 스위치(72d)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일감지기(74)는 서브탱크(54)상에 오일이 통하도록 설치된 케이스(74a)와 그 내부 상측으로 드럼 작동센서(12a)와 연결토록 설치된 스위치(74b) 및 , 서브탱크(54)내의 오일량 변화시 승,하강하여 스위치(74b)를 작동시키고 하측의 스프링(74c)으로서 탄성작동되는 볼부력(74d)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84)의 로드(84a)에는 와이어로프(30)의 처짐발생시 고정판(82)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리미트 스위치(86)에 접촉하여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캠(84b)이 장착되고, 상기 로드(84a)의 외곽으로 작동캠(84b)과 실린더 본체(84c)사이에는 스프링(84d)이 탄설되어 상기 스프링(84d)의 탄성으로 상기 작동캠(84b)의 초기위치는 일정하게 유지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KR10-2000-0060633A 2000-10-16 2000-10-16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KR10048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633A KR100482206B1 (ko) 2000-10-16 2000-10-16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633A KR100482206B1 (ko) 2000-10-16 2000-10-16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963A KR20020029963A (ko) 2002-04-22
KR100482206B1 true KR100482206B1 (ko) 2005-04-13

Family

ID=1969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633A KR100482206B1 (ko) 2000-10-16 2000-10-16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689B1 (ko) 2011-11-23 2012-03-09 강용주 크레인 하중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588U (ko) * 1979-01-19 1980-07-23
JPS563284A (en) * 1979-06-08 1981-01-14 Skagit Corp Motion compensating apparatus used with crane hoist
US4593885A (en) * 1984-06-29 1986-06-1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ortable balanced motion compensated lift apparatus
KR19990012628U (ko) * 1997-09-11 1999-04-15 김형벽 개별 조작이 가능한 유압로프긴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588U (ko) * 1979-01-19 1980-07-23
JPS563284A (en) * 1979-06-08 1981-01-14 Skagit Corp Motion compensating apparatus used with crane hoist
US4593885A (en) * 1984-06-29 1986-06-1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ortable balanced motion compensated lift apparatus
KR19990012628U (ko) * 1997-09-11 1999-04-15 김형벽 개별 조작이 가능한 유압로프긴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689B1 (ko) 2011-11-23 2012-03-09 강용주 크레인 하중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963A (ko)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596A (en) Cable foul sensor device for winches
CA2128059C (en) Double-masted crane with improved brake arrangement
KR100482206B1 (ko)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KR100396802B1 (ko)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WO1987003657A1 (en) Load hook
US4905849A (en) Overhoist prevention system
RU2539442C2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электропогрузчик
CA2119300C (en) Limit switch weight apparatus for crane hoist drives
CA2092143C (en) Sensing device for indicating improper orientation of a hoist lifting line
KR200205695Y1 (ko) 사다리차의 물품하역용 붐조립체
CN220392231U (zh) 一种自卸物料爪斗
KR920001609B1 (ko)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US5454474A (en) Dual weight assembly for a crane
JP2000272871A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スプレッダ
JPH0673071U (ja) ワイヤーロープの点検装置
JP4562252B2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用昇降装置
KR101842183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케이블 보호장치
KR20090011107U (ko)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JPH08143296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高さ検出装置
JP3923577B2 (ja) クレーン装置
KR940008468Y1 (ko) 곤도라의 과적방지장치
KR200180821Y1 (ko) 천정기중기의 보권와이어 탈선 경보장치
KR20020068127A (ko) 지브 크레인
CA2080715A1 (en) Suspended work platform with safety line
JPH07330290A (ja) クレ−ンにおけるワイヤロ−プの接結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