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107U -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107U
KR20090011107U KR2020080005566U KR20080005566U KR20090011107U KR 20090011107 U KR20090011107 U KR 20090011107U KR 2020080005566 U KR2020080005566 U KR 2020080005566U KR 20080005566 U KR20080005566 U KR 20080005566U KR 20090011107 U KR20090011107 U KR 200900111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lug
hoist
boom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193Y1 (ko
Inventor
고부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5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9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1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를 붐의 일측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복수개의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가 수용되도록 각각의 공간부가 양측으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그 공간부의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러그 본체와, 러그 본체의 단부에 결속되고 붐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로프로 대별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와이어 로프의 교체작업시 붐에 위치한 와이어 로프의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고정작업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Lug apparatus for hoist wire rope}
본 고안은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 로프의 교체작업시 항만 호이스트의 붐측에 배치된 와이어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러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전하고 간편하게 와이어 로프를 교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등과 같은 크레인류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는 동력 전달의 필수 부품이면서도 안전과 관련된 주요한 부품으로 운전중, 소손절단 허용 기준 초과, 마모 기준 초과, 킹크(Kink) 발생등 최대 사용 허용 기준에 도달시 반드시 와이어 로프를 교체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대용량 크레인류의 와이어 로프는 중량이 무겁고 양정등이 크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의 조작이 어려워 크레인 자체에 와이어 로프 교체 기구를 설치한는 경우도 있으나 제한된 공간에 설치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조작이 어렵고 크레인의 중량 증가 요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크레인마다 설치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고 안전성이 저하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호이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조작실인 캐빈이 마련되는 호이스트 본체(12)와, 호이스트 본체(12)에 대해 와이어 로프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에 후크(15)가 배치되는 붐(boom;14)으로 구성된다.
붐(14)은 와이어 로프(17)의 견인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어 후크(15)에 연결된 하물을 인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와이어 로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해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붐의 하부에 위치한 와이어 로프가 처지는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를 붐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러그(lug)구조체가 구비되며, 그 러그구조체는 와이어 로프(17)를 구속하는 샤클(20)과, 샤클(20)의 단부와 연결되고 붐(14)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로프(22)로 구성된다.
즉, 샤클(20)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17)를 구속시킨 후에, 샤클(20)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로프(22)를 붐(14)의 일측에 묶어서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와이어 로프를 샤클의 내부에 구속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붐과 이격된 와이어 로프를 당겨서 직접 샤클의 내부에 구속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붐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크레인류,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 및 브리지 타입 언로더(Bridge Type Unloader)등 항만 크레인의 동력 전달 부품인 와이어 로프를 용이하고도 안전한 방법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가 수용되도록 각각의 공간부가 양측으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그 공간부의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러그 본체와,
상기 러그 본체의 단부에 결속되고 붐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로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러그 본체의 양측으로 구획된 하부는 상호 연결되도록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를 붐의 일측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와이어 로프의 교체작업시 붐에 위치한 와이어 로프의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고정작업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연결로프,붐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의 와이어로프용 러그구조체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복수개의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17)가 수용되도록 각각의 공간부가 양측으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그 공간부의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러그 본체(110)와, 러그 본체(110)의 단부에 결속되고 붐(14)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로프(22)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러그 본체(110)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17)가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통해 내부로 수용되는 중앙 부위가 양측으로 분기된 부분보다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 러그 본체(110)는 양측으로 분기된 하부가 연결부(12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이는 보강성을 충족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러그 본체(110)의 양측 공간부에는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17)가 직접 접촉되고 회전 가능한 롤러 형태의 가이드롤러(150)가 배치되어 있다.
그 가이드롤러(150)는 러그 본체(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연 결핀(155)이 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결로프(22)는 러그 본체(11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결속되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100)는, 일단부가 붐(14)의 일측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러그 본체(110)의 중앙 부위에 결속된 연결로프(22)를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붐(14)의 일측에서 하부에 위치한 와이어 로프(17)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복수의 와이어 로프(17)가 러그 본체(110)의 양측 공간부 내부로 각각 수용되면서 가이드롤러(150)에 접촉된다.
이어서, 와이어 로프(17)가 상측으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로프(22)의 길이를 조절하여 붐(14)의 일측 부위에 고정시키면 와이어 로프(17)의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와이어 로프(17)가 상측으로 당겨져 텐션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와이어 로프(17)의 처짐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150)는 와이어 로프(17)의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회전 동작되어 유동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와이어 로프(17)의 권취동작시에도 와이어 로프(17)의 동작을 가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붐(14) 위에 올라간 상태에서 단순히 연결로프(22)를 들어 올리는 동작으로 러그 본체(110)의 공간부내에 와이어 로프(17)를 수용시켜 상측으로 긴장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 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한편, 와이어 로프(17)와 러그구조체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붐(14)의 일측에 결속되어 고정된 연결로프(22)를 풀어서 하측으로 늘어 뜨리면, 와이어 로프(17)가 러그 본체(110)의 공간부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호이스트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를 붐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 붐 17 : 와이어 로프
22 : 연결로프 100 : 러그구조체
110 : 러그 본체 120 : 연결부
150 : 가이드롤러 155 : 연결핀

Claims (3)

  1. 복수개의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17)가 수용되도록 각각의 공간부가 양측으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그 공간부의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러그 본체(110)와,
    상기 러그 본체(110)의 단부에 결속되고 붐(14)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로프(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호이스트용 와이어 로프(17)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1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러그 본체(110)의 양측으로 구획된 하부는 상호 연결되도록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1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KR2020080005566U 2008-04-25 2008-04-25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KR200448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566U KR200448193Y1 (ko) 2008-04-25 2008-04-25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566U KR200448193Y1 (ko) 2008-04-25 2008-04-25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07U true KR20090011107U (ko) 2009-10-29
KR200448193Y1 KR200448193Y1 (ko) 2010-03-24

Family

ID=4155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566U KR200448193Y1 (ko) 2008-04-25 2008-04-25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8472A (zh) * 2016-06-07 2016-08-17 南京港机重工制造有限公司 一种大拉杆钢丝绳托辊结构
CN112678690A (zh) * 2021-02-01 2021-04-20 江阴市恒润环锻有限公司 一种法兰吊装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264B2 (ja) * 1987-11-05 1996-11-13 株式会社 安岡マリン 帆走装置の紐体掛止め具
JP2004142839A (ja) * 2002-10-22 2004-05-20 Kawasak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クレーンの横行集電装置のメッセンジャワイヤ跳ね上がり防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8472A (zh) * 2016-06-07 2016-08-17 南京港机重工制造有限公司 一种大拉杆钢丝绳托辊结构
CN112678690A (zh) * 2021-02-01 2021-04-20 江阴市恒润环锻有限公司 一种法兰吊装的控制方法
CN112678690B (zh) * 2021-02-01 2024-02-20 江阴市恒润环锻有限公司 一种法兰吊装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193Y1 (ko)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1934A1 (en) A motion compensating system for use with a crane hoist
JP6080537B2 (ja) 荷役装置
JP5961416B2 (ja) クレーンの複滑車機構
CN107792778A (zh) 一种自提升式轨道板起吊吊钩装置
KR200448193Y1 (ko)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WO2021172996A1 (en) Forerunner unit to be hung in a crane for protecting operators from freely moving loads during heave movements
KR20090080968A (ko) 지브 크레인
WO2015152235A1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JP4822395B2 (ja) 自走式クレーンの荷重吊り上げ装置
JP2003306291A (ja) 鋼板等の重量物吊上用係合具
WO2022099801A1 (zh) 一种开斗机构及施工设备
CN213834230U (zh) 一种箱梁钢筋整体起吊装置
CN213923753U (zh) 一种承重装置及桥式起重机
JP7224189B2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CN107805982A (zh) 一种改进型轨道板起吊部件
JP6393954B2 (ja) 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製造方法
JP6272406B2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ロープの保持具及びエレベーター調速機の取り替え方法
JP2006008410A (ja) 荷役用ハンガー
CN211004313U (zh) 一种起重机双起升装置
CN210260871U (zh) 电动抓斗
KR200443905Y1 (ko) 크레인용 중추리미트 구조
CN108715405A (zh) 一种挡车石墩起吊装置
CN106629439B (zh) 一种便于施工的配电箱起吊器
CN215287761U (zh) 一种土箱防旋转装置及设有该装置的起重机
JP4426932B2 (ja) 乗客コンベアの揚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