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697B1 -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697B1
KR100481697B1 KR10-2002-0047907A KR20020047907A KR100481697B1 KR 100481697 B1 KR100481697 B1 KR 100481697B1 KR 20020047907 A KR20020047907 A KR 20020047907A KR 100481697 B1 KR100481697 B1 KR 100481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lor line
paint composition
agen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621A (ko
Inventor
박성수
최덕재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6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1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D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09D109/08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용제로 사용함으로써 점도의 균일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도포성 및 은폐력이 우수하고, 가류후 색선의 선명도가 유지되는 색선 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합성고무계 바인더 25-30 중량%, 안료 25-30 중량%와 방부제, 소포제, 도막제, 산화방지제, 왁스, 흐름개선제, 이형제, 가교제 및 건조촉진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10-15 중량% 및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현탁고형물 및 유기물질을 등을 제거한 물 25-40 중량% 포함하는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Aqueous paint composition for color line}
본 발명은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용제로 사용함으로써 점도의 균일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도포성 및 은폐력이 우수하고, 가류후 색선의 선명도가 유지되는 색선 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차량의 견인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성능이 개선되고 사용환경 즉, 차량의 고급화, 고성능화, 또는 사용조건의 다양화에 따라 타이어에 요구되는 기능, 성능도 점점 복잡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타이어의 요구특성도 날로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다.
타이어의 외관품질은 타이어에 요구되는 요인 중의 하나로서, 압출공정 중 트레드 압출고무에 문자 및 색선을 도포하는데 페인트가 사용되고 있는데, 기존의 유성계 색선 페인트는 압출후 고무의 표면에 페인트 도포시 용액의 균일성 및 안정성의 하락으로 인하여 롤러자국이 형성되고 간헐적으로 불균일성이 발생하여 가류시 몰드의 전이 및 색선의 변색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외관의 품질이 저하된다.
즉, 종래의 유성계 색선 페인트의 주요성분은 코레진, 안료, N-부틸아세테이트(N-butyl acetate), 2-부톡시 에탄올(2-butoxy ethanol) 및 고분자 바인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용제성분이 휘발될 경우 고형분의 함량이 증가하여 점도가 상승됨으로써 작업성의 하락과 롤러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롤러자국과 간헐적인 불균일성에 의해 평활도가 하락하여 색선 변색성을 촉진하여 외관품질 하락의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색선 페인트의 명도 및 보색 면에서도 초기의 선명도가 하락하는 문제가 있으며, 온도, 압력, 속도 등 제반 압출 라인조건 면에서도 도포성 및 공정성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되는 용제에 함유되어 있는 톨루엔, 크실렌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존재에 의해 산업현장에서 유성계 페인트의 사용을 기피하고, 유성계 페인트의 사용시 화재위험 및 환경오염 문제가 내재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유성계 색선 페인트가 지니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하여 오던 중, 물을 용제로 사용하여 유기용제를 배제시키고 합성고무계 바인더(binder)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의 식별이 용이하고, 품질 균일성 및 색선 선명도의 유지로 외관의 품질을 향상시킨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합성고무계 바인더 25-30 중량%, 안료 25-30 중량%와 방부제, 소포제, 도막제, 산화방지제, 왁스, 흐름개선제, 이형제, 가교제 및 건조촉진제로 구성되는 첨가제 10-15 중량% 및 물 25-40 중량%로 구성된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고무계 바인더는 불휘발 조성물로서 안료와 충진제 등을 결합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부착력 내구성 등을 페인트에 부여하며 트레드 고무 압출시 고무 표면온도가 120℃ 정도로 유지되며 고무면과 페인트를 도포하는 롤러사이에 마찰 및 열로 인하여 도포상태가 불량하여 은폐력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내마모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가공성이 좋은 부타디엔 고무(BR) 바인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바인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SB Latex) 바인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료는 은폐력이 우수하고 내광성에 유리한 무기안료의 일종인 산화티타늄(TiO2)계 안료와 내용제성, 내약품성, 색조 및 선명도, 착색력이 우수한 유기안료의 일종인 동프탈로시아닌계 안료를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산화티타늄(TiO2)계 안료와 동프탈로시아닌계 안료를 55∼70 : 30∼4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각각 별개의 안료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각각의 장점을 포함하도록 무기안료와 유기안료의 혼합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페인트 색상의 선명도 및 착색력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평활도 및 퍼짐성 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체 중량대비 방부제 1.0-2.0 중량%, 소포제 0.3-0.5 중량%, 도막제 3.5-5.0 중량%, 산화방지제 0.25-0.35 중량%, 왁스(wax) 0.25-0.35 중량%, 흐름개선제 3.5-5.0 중량%, 이형제 0.3-0.4 중량%, 가교제 0.3-0.4 중량% 및 건조촉진제 0.6-1.0 중량% 포함하는데, 각각의 첨가제는 종래 색선 페인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은 바인더와 안료의 분산매개 역할을 하여 페인트 조성물의 점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색선 페인트의 도포성 및 은폐력을 향상시켜 가류후 색선 부착성과 선명도를 유지하고 몰드의 전이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켜 현탁고형물이나 유기물질을 제거한 이온교환수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다양한 수치범위로 합성고무계 바인더, 안료, 도막제 등의 첨가제, 안료의 혼합비를 적용하여 실시한바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수치범위의 합성고무계 바인더, 안료, 도막제 등의 첨가제, 안료의 혼합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개시된 배합비와 같이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고무계 바인더 25 중량%를 50∼60℃의 온도에서 천천히 교반시키면서 물(이온교환수) 40 중량%를 넣어 에멀젼시키고, 전기의 바인더 함유 에멀젼 용액에 안료분산기를 이용하여 산화티타늄계 안료 25 중량%를 혼합하고 기타 첨가제로서 종래 색선 페인트에 사용하는 통상의 첨가제인 방부제 1.0 중량%, 소포제 0.3 중량%, 도막제 3.5중량%, 산화방지제 0.25 중량%, 불소계 왁스 0.25 중량%, 흐름개선제 3.5 중량%, 이형제 0.3 중량%, 가교제 0.3 중량%, 건조촉진제 0.6 중량%를 배합하여 수성계 색선 페인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고무계 바인더 30 중량%, 물(이온교환수) 25 중량%, 산화티타늄계 안료 30 중량%, 기타 첨가제로서 종래 색선 페인트에 사용하는 통상의 첨가제인 방부제 2.0 중량%, 소포제 0.5 중량%, 도막제 5.0 중량%, 산화방지제 0.35 중량%, 불소계 왁스 0.35 중량%, 흐름개선제 5.0 중량%, 이형제 0.35 중량%, 가교제 0.4 중량%, 건조촉진제 1.0 중량%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성계 색선 페인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계 바인더 15 중량%를 헥산과 시클로헥산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매 58 중량%에 용해하여 바인더를 분산시키고, 전기의 바인더가 용해된 용액에 안료분산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티타늄계 안료와 동프탈로시아닌계 안료가 65: 35의 중량비로 혼합된 안료 25 중량%를 혼합하여 50℃ 이하의 온도에서 60 rpm 속도로 유지하면서 혼합시킨 다음, 기타 첨가제로서 종래 색선 페인트에 사용하는 통상의 첨가제인 소포제 0.3 중량%, 도막제 0.5중량%, 흐름개선제 0.2 중량%, 이형제 0.2 중량%, 가교제 0.3 중량%, 건조촉진제 0.5 중량%를 넣고 교반하여 유성계 색선 페인트를 제조하였다.
<표 1> 페인트 조성물의 조성비 (단위: 중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바인더 25 30 15
안료 25 30 25
방부제 1.0 2.0 -
소포제 0.3 0.5 0.3
도막제 3.5 5.0 0.5
산화방지제 0.25 0.35 -
왁스 0.25 0.35 -
흐름개선제 3.5 5.0 0.2
이형제 0.3 0.35 0.2
가교제 0.3 0.4 0.3
건조촉진제 0.6 1.0 0.5
물(솔벤트) 40 25 58
<시험예 1>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페인트의 점도, 색상 선명도, 몰드 전이성, 자외선(UV) 안정성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페인트의 물리적 특성측정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외관 유백색 유백색 유백색
비중 1.05 1.05 1.03
고형분 (%)(100℃,2hr) 41.6 56.4 45.9
점도 (cps)(브룩필드,#3.30rpm) 5,500 6,200 8,000
pH 9.5 9.4 -
회분(%)(550℃,2hr) 32.4 53.8 36.8
건조성(분)(상온) 25 25 20
내수성(상온) 퍼짐없음 퍼짐없음 퍼짐없음
색상선명도 양호 양호 양호
몰드전이성(175℃,15분) 없음 없음 약간 발생
평활성 롤러자국없음 롤러자국없음 롤러자국발생
점도변화(실온방치) 없음 없음 점도상승
냄새 없음 없음 냄새심함
용액층분리(상온,10일) 없음 없음 발생
UV안정성(256nm, 2주) 초기대비변화없음 초기대비변화없음 약간변색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한 색선 페인트를 공지의 방법으로 각각의 고무 종류에 도포한 후 내수성 평가후의 색선 부착성 및 가류후의 몰드 전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색선 부착성은 고무시편에 색선 페인트를 도포하여 40℃ 온수에 20 분간 침적한 후 손으로 문질렀을 경우의 부착성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몰드 전이성은 175℃에서 15분간 인장시편 제작용 몰드를 이용하여 평가한 것이다.
<표 3> 부착성 및 몰드전이성 시험결과
구분 부착성 몰드 전이성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NR 양호 양호 양호 없음 없음 없음
NR-SBR 양호 양호 양호 없음 없음 약간발생
NR-SBR-BR 양호 양호 양호 없음 없음 없음
*NR : 천연고무
*NR-SBR : 천연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고무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고무
*NR-SBR-BR :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및 부타디엔고무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고무
상기의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이나 유성계 색성 페인트 조성물은 모두 벗겨짐이 없었으나, 몰드 전이성은 유성계 색선 페인트에서 일부 고무에서 몰드 전이성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성계 색선 페인트는 용제가 물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유해성 및 작업환경상의 문제가 없으며, 비인화성으로서 화재나 폭발위험이 없고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색선도포시 안정된 도포성 및 작업성이 유지되어 은폐력 및 가류후의 색선유지로 완제품 타이어의 외관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압출공정상 유기용제를 완전히 배제시켜 작업현장의 환경 및 작업공정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기존의 유성계 색선 페인트에 비하여 명도나 채도 등 보색관계 조합에 있어서 유리한 점을 지니고 있어 색선의 선명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색선 페인트 조성물에 있어서,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SB Latex)의 합성고무계 바인더 25-30중량%,
    산화티타늄(TiO2)계 안료, 동프탈로시아닌계 안료를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이 55∼70 : 30∼45의 중량비로 혼합된 안료 25-30중량%,
    이온교환수 25-40중량%,
    전체 중량대비 방부제 1.0-2.0중량%, 소포제 0.3-0.5중량%, 도막제 3.5-5.0중량%, 산화방지제 0.25-0.35중량%, 왁스 0.25-0.35중량%, 흐름개선제 3.5-5.0중량%, 이형제 0.3-0.4중량%, 가교제 0.3-0.4중량% 및 건조촉진제 0.6-1.0중량% 포함하는 첨가제 10-15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47907A 2002-08-13 2002-08-13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 KR100481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907A KR100481697B1 (ko) 2002-08-13 2002-08-13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907A KR100481697B1 (ko) 2002-08-13 2002-08-13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621A KR20040015621A (ko) 2004-02-19
KR100481697B1 true KR100481697B1 (ko) 2005-04-11

Family

ID=3732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907A KR100481697B1 (ko) 2002-08-13 2002-08-13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875A (ko) 2018-02-20 2019-08-28 최영대 다기능 발열 목걸이
KR20230001630A (ko)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윌켐코리아 타이어 마킹용 친환경 수성 잉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88B1 (ko) * 2007-09-18 2009-11-19 신한유화(주) 타이어 트레드 마킹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8539B1 (ko) * 2009-03-10 2012-02-29 한국신발피혁연구소 포화 신발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KR101116296B1 (ko) * 2009-11-17 2012-03-14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재박리가 용이한 탁구 라켓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KR101997830B1 (ko) * 2017-10-16 2019-07-0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인쇄용 색선 페인트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897A (en) * 1979-01-11 1981-08-25 Nalco Chemical Company Water-based anti-blemish paint
EP0038943A2 (en) * 1980-03-31 1981-11-04 The B.F. GOODRICH Company Outside tire paint
US4325852A (en) * 1980-03-31 1982-04-20 The B. F. Goodrich Company Inside tire paint
KR19980059113A (ko) * 1996-12-30 1998-10-07 김충세 소부 경화형 수계도료 조성물
KR20010048010A (ko) * 1999-11-24 2001-06-15 엄정철 수성페인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897A (en) * 1979-01-11 1981-08-25 Nalco Chemical Company Water-based anti-blemish paint
EP0038943A2 (en) * 1980-03-31 1981-11-04 The B.F. GOODRICH Company Outside tire paint
US4325852A (en) * 1980-03-31 1982-04-20 The B. F. Goodrich Company Inside tire paint
KR19980059113A (ko) * 1996-12-30 1998-10-07 김충세 소부 경화형 수계도료 조성물
KR20010048010A (ko) * 1999-11-24 2001-06-15 엄정철 수성페인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875A (ko) 2018-02-20 2019-08-28 최영대 다기능 발열 목걸이
KR20230001630A (ko)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윌켐코리아 타이어 마킹용 친환경 수성 잉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621A (ko)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80126A (en) Marking crayon
US2618574A (en) Surfaces of plastics coated with ink containing a chlorinated or chlorosulfonated polymer of ethylene
JP2007070601A (ja) 多彩模様塗料組成物
KR100481697B1 (ko) 수성계 색선 페인트 조성물
JPS5874757A (ja) 道路標示用塗料
JP4301802B2 (ja) 多彩模様塗料組成物
US5480920A (en) Ozone-friendly correction fluid
KR102237474B1 (ko) 내광성이 우수한 물감 및 물감 보조제
EP1506263B1 (en) Plastisol ink for textiles
KR100927388B1 (ko) 타이어 트레드 마킹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38596A1 (de) Drucksystem
CN114752266A (zh) 一种uv木器漆及其制备方法
KR101011906B1 (ko) 타이어 규격 마킹용 수성계 압인문자 잉크 조성물
KR20090000467A (ko) 타이어 인쇄용 색선 페인트 조성물
EP0761789B1 (en) Improved plastisol paint and method of use
KR100411020B1 (ko) 타이어 백테 보호용 페인트 조성물
KR100481972B1 (ko) 다채무늬형성용도료조성물
CN1060495C (zh) 着色电泳涂漆用的颜料分散体组合物
RU2246511C1 (ru) Эмульс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красок и краска для живописи на ее основе
US2757155A (en) Stabilized chlorosulfonated hydrocarbon polymer compositions
KR100869092B1 (ko) 그린타이어의 외부 이형제 조성물
SK7762Y1 (sk) Dekoratívna disperzná farba
WO2023249415A2 (ko) 수성 옵셋 잉크 및 그의 제조방법
CA2079926A1 (en) Gloss acrylic paint
KR101862631B1 (ko) 타이어 트레드 색선 표시 페인트 조성물, 타이어 트레드 색선 표시 방법, 색선이 표시된 타이어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