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690B1 - 경화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경화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690B1
KR100481690B1 KR10-2003-0034449A KR20030034449A KR100481690B1 KR 100481690 B1 KR100481690 B1 KR 100481690B1 KR 20030034449 A KR20030034449 A KR 20030034449A KR 100481690 B1 KR100481690 B1 KR 10048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hardening
cure
withdrawal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128A (ko
Inventor
준 모리카와
Original Assignee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 입출금구와, 경화 통로에 설치되고, 금종별의 경화를 판별하고 계수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 유닛과, 수입가능한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와,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경화 저장통과, 경화 입출금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기는 경화의 출금에 앞서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를 금종별로 판별시키고 계수시키도록 하고, 각 금종에 대해 소정 매수의 경화를 상기 경화 저장통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경화가 출금될 때 상기 경화 저장통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저장통으로부터 취출된 경화를 금종별로 판별시키고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유닛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경화를 상기 경화 입출금구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센서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 저장 박스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경화 입출금기{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본 발명은 경화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새롭게 발행된 금종의 경화를 용이하게 입금하고 출금할 수 있는 경화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제2986912호 공보 등은 입금된 경화를 금종에 따라 선별하고, 금종마다 구비된 저장 박스내에 그것들을 저장하고, 금종마다 구비된 저장 박스 내에 저장된 경화를 출금을 위해 이용하도록 구성된 경화 입출금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입금된 경화의 진위 및 금종을 판별하고, 금액을 산출하고, 입금된 경화를 일시 저장부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오퍼레이터가 경화 입금 지시를 내린 때는, 입금된 경화를 금종에 따라 선별하여, 금종마다 설치된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이 경화 입출금기는 오퍼레이터가 출금 지시를 내닌 때는, 금종마다 설치된 경화 저장 박스에 수용된 경화를 취출하여,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출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가 입금될 때, 입금된 경화의 진위 및 금종을 판별하고, 입금된 경화를, 금종별로 선별하고, 금종마다 설치된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금종마다 설치된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저장된 경화가 출금을 위해 이용될 때에, 경화의 진위 및 금종을 판별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경화는 금종마다 설치된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수납된 경화를 이용하여 오류 없이 신속하게 출금될 수 있다.
하지만, 경화의 금종마다 경화 저장 박스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경화 입출금기가 필연적으로 대형화되고, 경화 입출금기의 원가가 불가피하게 증가한다.
더욱이, 입금되는 경화의 매수 및 출금되는 경화의 매수가 상이한 금종간에 크게 다르기 때문에, 다른 사이즈를 가진 경화 저장 박스가 금종마다 설치되어져야만 한다. 하지만, 다른 사이즈를 가진 경화 저장 박스가 금종마다 설치되어 있다 해도, 보충용 경화 저장 박스가 어느 경화 저장 박스 내에도 저장될 수 없는 경화를 회수하기 위해 설치되지 않으면, 경화 입출금기의 동작은 자주 정지되어져야만 한다. 다른 한편, 보충용 경화 저장 박스가 어느 경화 저장 박스 내에도 저장될 수 없는 경화를 회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경우에는, 경화 입출금기는 필연적으로 더욱 대형화되고,경화 입출금기의 코스트가 불가피하게 증가한다.
게다가, 새로운 금종의 경화가 발행된 경우에는, 이 경화 입출금기에 새로운 금종의 경화를 저장하고, 출금을 위해 저장된 경화를 인출하는 경화 저장 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금종의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 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미리 확보되면, 경화 입출금기는 필연적으로 더 한층 대형화된다. 그러므로, 장래의 새로운 금종의 경화의 발행을 대비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새롭게 발행된 금종의 경화를 용이하게 입금하고 출금할 수 있는 경화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은 경화가 투입되고 출금될 수 있는 경화 입출금구와, 경화 통로에 설치되고, 경화가 수입(受入)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 수단과, 수입가능한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와,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과, 경화 입출금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경화의 출금에 앞서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각 금종에 대해 소정 매수의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경화가 출금될 때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으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경화를 상기 경화 입출금구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 및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 저장 박스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가 투입되고 출금될 수 있는 경화 입출금구와, 경화 통로에 설치되고,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 수단과, 수입가능한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와,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과, 경화 입출금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경화의 출금에 앞서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각 금종에 대해 소정 매수의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경화가 출금될 때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으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경화를 상기 경화 입출금구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 및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 저장 박스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금되어야 할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경화를 제외한 모든 경화는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경화 입출금기는 각각이 하나의 금종의 경화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경화 저장 박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를 소형화하고 경화 입출금기의 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출금되어야 할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경화를 제외한 모든 경화는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저장되고, 경화 입출금기는 각각이 하나의 금종의 경화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경화 저장 박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경화 저장 박스의 어느 것에도 저장될 수 없는 경화를 회수하기 위한 보충용 경화 저장 박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경화 입출금기를 소형화하고 경화 입출금기의 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출금되어야 할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경화를 제외한 모든 경화는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저장되고, 경화 입출금기는 각각이 하나의 금종의 경화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경화 저장 박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금종의 입금 경화의 매수가 과대하게 되어도, 모든 경화를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경화 저장 박스 내에 더 이상 저장될 수 없는 경화를 회수하기 위해, 경화 입출금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의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출금되어야 할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경화를 제외한 모든 경화는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저장되고, 경화 입출금기는 각각이 하나의 금종의 경화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경화 저장 박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경화 입출금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금종의 경화가 발행된 경우에, 새롭게 발행된 금종의 경화를 저장하고, 저장된 경화를 출금하는 경화 저장 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새롭게 발행된 금종의 경화는 제어 수단의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 만으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해 입금되고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출금될 수 있고, 새롭게 발행될 금종의 경화에 대비하기 위해 적어도 처음에는 아무 기능도 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확보해 두는 것이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경화 입출금기를 더 한층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 장래의 새로운 금종의 경화의 발행에 용이하게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에 앞서 1회의 경화 출금 처리에 의해 출금되는 최대 출금액과 같은 금액의 경화를 1 출금 단위의 경화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에 앞서 1회의 경화 출금 처리에 의해 출금되는 최대 출금액과 같은 금액의 경화를 1 출금 단위의 경화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객에 의해 요구된 금액의 경화를 신뢰성 있게 출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합계 매수가 최소로 되도록,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기 위해 금종별의 경화를 선택하고, 경화의 출금에 앞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저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합계 매수가 최소로 되도록,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기 위해 금종별의 경화를 선택하고, 경화의 출금에 앞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저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금을 위해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으로부터 취출되는 경화의 매수가 저감될 수 있고, 따라서, 경화 입출금기의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에 앞서 2 이상의 출금단위의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에 앞서 2 이상의 출금단위의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의 출금이 완료될 때마다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보충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경화 입출금기의 경화의 출금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 출금처리 종료후에,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금종별의 매수가 출금된 경화의 매수와 같은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보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 출금처리 종료후에,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금종별의 매수가 출금된 경화의 매수와 같은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보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1 출금 단위의 경화 또는 2 이상의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가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내에 항상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보충하기 위해, 경화의 출금처리를 중단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의 경화의 출금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경화 입출금기는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처리에 앞서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를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의 각각에 저장시키고,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1개로부터 경화를 선택적으로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1개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경화를 상기 경화 입출금구로 출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경화 입출금기는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처리에 앞서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를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의 각각에 저장시키고,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1개로부터 경화를 선택적으로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1개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경화를 상기 경화 입출금구로 출금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화는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를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 중 1개로부터 선택적으로 취출시키는 것만으로 출금될 수 있고, 경화는 단시간에 출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를 출금시킴에 앞서 2 이상의 출금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를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적어도 1개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를 출금시킴에 앞서 2 이상의 출금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를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적어도 1개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1 출금 단위 또는 2 이상의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가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내에 항상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에 보충하기 위해 경화의 출금처리를 중단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의 경화의 출금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내의 전방부 및 후방부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경화 카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화 카세트는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되어야 할 경화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경화의 입금처리 및 출금처리에 앞서 상기 경화 카세트에 수용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경화 카세트로부터 취출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의 여부 및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를 계수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한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경화 입출금기가 경화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내의 전방부 및 후방부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경화 카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화 카세트는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되어야 할 경화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경화의 입금처리 및 출금처리에 앞서 상기 경화 카세트에 수용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경화 카세트로부터 취출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의 여부 및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를 계수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한 판별 및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업무의 개시에 앞서 경화 입출금기에 수용되어야 할 경화를 경화 카세트에 수용시키고, 경화 카세트를 경화 입출금기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출금에 사용되는 경화를 경화 저장 박스 내에 용이하게 장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경화 입출금기가 상기 경화 카세트 및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를 이송하는 반송 벨트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반송 벨트가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수용된 경화와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으로부터 취출된 경화와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의 여부 및 경화가 수용가능한 때는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고,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상기 경화 카세트 내에 수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수용된 경화와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으로부터 취출된 경화와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의 여부 및 경화가 수용가능한 때는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고,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상기 경화 카세트 내에 수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업무가 종료된 후에, 경화 입출금기내에 수용된 모든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경화 카세트 내에 수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경화 입출금기가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고 수입 불가능한 경화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수입 불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상기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에 회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측단면도이다. 도 3은 회전원판의 근방의 상세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경화 입출금기는 본체의 측부 부근의 정상부벽상에 형성되고, 경화가 경화 입출금기내에 투입되고 경화가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출금되는 경화 입출금구(1)를 포함하고 있고, 경화 입출금구(1)의 바닥부는 셔터(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경화 입출금구(1)의 하방에는, 경화 입출금구(1)로부터 낙하하는 경화를 그 상면에서 수취하기 위한 회전원판(3)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 가이드(4)가 회전원판(3)의 외주부의 바로 외측에 고정되고, 링형상 가이드(4)는 처리해야 할 경화중 최대 두께의 경화의 두께보다 크고, 최소 두께의 경화의 두께의 2배보다 작은 간극을 가지는 슬롯(5)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경화 입출금구(1)로부터 회전원판(3) 상에 낙하한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에 대해 가압되고,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슬롯(5)을 통해 1매씩 경화 통로(6)로 송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 통로(6)는 슬롯(5)에 접속되고, 반송 벨트(7)가 경화를 경화 통로(6)의 상면으로 가압하면서 화살표(A)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경화 통로(6) 내에 설치되어 있다.
경화 통로(6)에는,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과 같은 경화의 광학적 성질을 검출하는 광학 센서 및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8)이 또한 설치되어 있다. 센서 유닛(8)에 의해 검출된 경화의 검출 데이터는 후술하는 컨트롤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 출력되고,이 컨트롤 유닛에 의해 경화 입출금구(1)를 통해 투입된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이고, 그것의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경화인지, 혹은, 위조 경화, 외국 경화 또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넘어선 손상 경화와 같은 수입 불가능한 경화인지 여부, 즉,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가 판별되고, 경화 입출금구(1)를 통해 투입된 경화의 매수가 금종별로 계수된다.
경화 선별 디바이스(9)가 센서 유닛(8)의 하류측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경화 선별 디바이스(9)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 선별 디바이스(9)는 경화 통로(6)애 대해 거의 수직이 되도록 경화 통로(6)의 하면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고, 경화가 그 내부를 통해 낙하될 수 있는 경화 선별 통로(10)와, 축(10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원통으로부터 절결된 섹터의 형상을 가지는 선별 롤러(10b)를 포함하고 있다.
선별 롤러(10b)는 경화를 경화 선별 통로(10) 내에 낙하시키는 일 없이 화살표(B)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경화가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유지되고,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하여 경화가 화살표(C)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경화 선별 통로(10) 내로 낙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표시되는 위치까지 회전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 선별 통로(10)는 후술하는 입출금 벨트(20)에 연통하는 제1의 슈트(11)와 후술하는 출금 벨트(25)에 연통하는 제2의 슈트(12)로 분기되고, 후술하는 경화 카세트(30)에 연통하는 제3의 슈트(13)가 제1의 슈트(11)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더욱이,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에 연통하는 제4의 슈트(14)가 경화 카세트(30)에 연통하는 제3의 슈트(13)로부터 분기되고,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는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연통하는 제5의 슈트(15)가 제4의 슈트(14)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제1의 게이트 부재(16)가 경화를 입출금 벨트(20) 또는 출금 벨트(25)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1의 슈트(11)와 제2의 슈트(12)의 분기점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의 게이트 부재(17)가 경화를 입출금 벨트(20) 또는 경화 카세트(30), 제1의 경화 저장통(35) 또는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1의 슈트(11)와 제3의 슈트(13)의 분기점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제3의 게이트 부재(18)가 경화를 경화 카세트(30) 또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 혹은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3의 슈트(13)와 제4의 슈트(14)의 분기점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4의 게이트 부재(19)가 경화를, 제1의 경화 저장통(35) 또는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4의 슈트(14)와 제5의 슈트(15)의 분기점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의 게이트 부재(16)는 통상은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1의 슈트(11)가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유지되고, 제2의 게이트 부재(17)는 통상은 제1의 슈트(11)를 통해 경화 선별 통로(10)와 입출금 벨트(20)가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제3의 게이트 부재(18)는 통상은 제3의 슈트(13)를 통해 제1의 슈트(11)와 경화 카세트(30)가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유지되고, 제4의 게이트 부재(19)는 통상은 제4의 슈트(14)를 통해 제3의 슈트(13)와 제1의 경화 저장통(35)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슈트(11)는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입출금 벨트(20) 상에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입출금 벨트(20)의 하류단부에는 경화 리프트 벨트(21)가 경화를 입출금 벨트(20)로부터 수취하고, 수취된 경화를 회전원판(3)으로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경화 리프트 벨트(21)는 경화 입출금기의 상부에 배치된 회전원판(3) 위로 상승시키도록 경화를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 피스(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의 슈트(12)는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풀리(25a, 25a) 둘레에 감겨진 출금 벨트(25) 위로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경화 입출금기의 배면부측의 출금 벨트(25)의 단부는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넘어선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와, 오퍼레이터에 의해 회수되지 않은 채 남겨진 경화를 회수하기 위한 경화 회수 박스(26)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한편, 출금 벨트(25)로부터 경화를 수취하고, 수취된 경화를 경화 입출금구(1)로 반송하기 위한 경화 리프트 벨트(27)가 경화 입출금기의 전방부측의 출금 벨트(25)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경화 리프트 벨트(27)는 경화와 경화 리프트 벨트(27)의 표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경화를 경화 리프트 벨트(27)의 표면에 유지하고, 그것을 경화 입출금구(1)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금 벨트(25)가 감겨진 풀리(25a, 25a)는 정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경화가 경화 회수 박스(26)로 반송되어야 할 때는, 풀리(25a, 25a)가 도 2에 있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다른 한편, 경화가 경화 입출금구(1)로 이송되어야 할 때는, 풀리(25a, 25a)가 도 2에 있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의 슈트(13)는 경화를 경화 카세트(30)로 인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화 카세트(30)는 경화 입출금기의 배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경화 카세트(30)는 금고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업무의 개시시에는, 이 경화 카세트(30)가 경화 입출금기에 장착되어 경화 카세트(30)에 수용된 경화가 경화 카세트(30)로부터 경화 입출금기로 이송된다. 한편, 업무의 종료시에는,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된 경화가 경화 카세트(30) 내에 수집되고 경화 카세트(30)는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분리된다.
경화 카세트(30)의 하부에는, 경화 카세트(30) 안에 수용된 경화를 1 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하는 경화 취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 통로(6)의 종단부에는 제6의 슈트(34)가 접속되어 있고, 경화 통로(6)를 통과한 모든 경화는 금종에 관계없이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입출금기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경화 저장 박스(40)로 이송되어서,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저장된다.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는,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된 경화를 1 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하는 경화 취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경화 회수 박스(26)의 부근의 상세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 회수 박스(26)는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과 같은 수입 불가능한 경화를 회수하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와 경화 입출금구(1)에 출금됐지만 오퍼레이터에 의해 회수되지 않아서 남겨진 경화를 회수하는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를 포함하고 있고, 출금 벨트(25)의 종단부에는 경화 회수 통로(43)가 접속되어 있다.
경화 회수 통로(43)는 제7의 슈트(44)와 제8의 슈트(45)로 분기되고 제7의 슈트(44)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와 연통되어 있고, 제8의 슈트(45)는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와 연통되어 있다.
제7의 슈트(44)와 제8의 슈트(45)의 분기부에는, 경화를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또는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5의 게이트 부재(46)가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5의 게이트 부재(46)는 통상 경화 회수 통로(43)를 제7의 슈트(44)를 통하여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연통시키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의 경화 저장통(35)의 하부에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 안에 저장된 경화를 1 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하는 경화 취출 수단이 설치되고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하부에는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저장된 경화를 1 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하는 경화 취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화 입출금기의 제어계, 검출계, 구동계, 입력계 및 표시계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화 입출금기의 제어계는 경화 입출금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50)과, 제어 프로그램, 경화의 금종별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등을 저장하는 ROM(51)과, RAM(52)을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화 입출금기의 검출계는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을 검출하는 광학 센서 및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컨트롤 유닛(5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유닛(8); 그리고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선별 디바이스(9)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컨트롤 유닛(50)의 경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경화 센서(53)을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화 입출금기의 구동계는 셔터(2), 회전원판(3)을 회전시키는 회전원판 모터(54), 반송 벨트(7)를 구동하는 반송 벨트 모터(55), 입출금 벨트(20)를 구동하는 제1의 모터(56), 경화 리프트 벨트(21)를 구동하는 제2의 모터(57), 출금 벨트(25)의 풀리(25a, 25a)를 정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3의 모터(58), 경화 리프트 벨트(27)를 구동하는 제4의 모터(59), 선별 롤러(10b)를 구동하는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을 구동하는 제1의 취출 모터(61), 경화 카세트(3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0a)을 구동하는 제2의 취출 모터(62), 제1의 경화 저장통(35)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5a)을 구동하는 제3의 취출 모터(63),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6a)을 구동하는 제4의 취출 모터(64),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하는 제1의 솔레노이드(65),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구동하는 제2의 솔레노이드(66), 제3의 게이트 부재(18)를 구동하는 제3의 솔레노이드(67),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구동하는 제4의 솔레노이드(68) 그리고 제5의 게이트 부재(46)를 구동하는 제5의 솔레노이드(69)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화 입출금기의 입력계는 입금처리 스타트 스위치(70), 경화의 입금을 지시하는 입금 지시 스위치(71), 경화의 입금 취소를 지시하는 입금취소 스위치(72), 경화의 출금을 지시하는 출금지시 스위치(73), 경화 카세트(30)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로 장전을 지시하는 경화 장전지시 스위치(74),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된 경화를 경화 카세트(30)로 회수를 지시하는 경화 회수지시 스위치(75),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 매수 확인을 지시하는 경화 매수확인 스위치(76) 그리고 출금되어야 할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텐 키이 패드(77)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화 입출금기의 표시계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에 의하여 구성된 표시 패널(78)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화 입출금기는 지폐 입출금기와 함께 설치되어 사용되고 경화가 경화 카세트(30)로부터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된다.
도 7은 경화를 본체의 배면부에 장착된 경화 카세트(30)로부터 경화 입출금기 내에 장전하는 경화 장전 처리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소정 매수의 경화가 수용된 경화 카세트(30)가 경화 입출금기에 장착되고 경화 장전 지시 스위치(74)가 조작된다.
경화 장전 지시 스위치(74)가 조작되면, 경화 장전 지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입력된다.
경화 장전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3의 모터(58)에 역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가 구동되어 회전원판(3)이 회전된다. 또한,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에 컨트롤 유닛(50)은 제2의 취출 모터(62)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그 결과 경화 카세트(3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0a)에 의해 경화 카세트(30) 안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입출금 벨트(20) 상에 1 매씩 취출되게 한다.
경화 카세트(30)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 벨트(21) 상에 인도되어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하여 회전원판(3) 상에 이송된다.
회전원판(3) 상에 이송된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원심력에 의하여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반송 벨트(7)에 의해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하여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ROM(51)에 저장된 금종마다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여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와 비교하고,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컨트롤 유닛(50)이 상기 경화를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한 때에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그리고,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RAM(52)의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경화 통로(6) 내에서 하류측으로 이송되고 경화 선별 디바이스(9)의 부근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하여 상기 경화가 검출되면, 경화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경화 검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그 경화의 판별 결과를 판독한다. 상기 경화가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과 같은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되는 때에는, 컨트롤 유닛(50)이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10b)를 회전운동시키고, 그 결과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시키고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하는 제1의 솔레노이드(6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2의 슈트(12)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로 회전운동시킨다.
그 결과,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으로 낙하하여 경화 선별 통로(10)로부터 제2의 슈트(12)에 인도되어,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된다.
이에 대하여,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되는 때에는, 컨트롤 유닛(50)이 어떤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디바이스(9)를 통과하고 경화 통로(6)의 종단부에 접속된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저장 박스(40) 안으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된 수입 불가능한 경화는 제3의 모터(58)에 역회전 신호가 출력되고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 2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경화 회수 박스(26)를 향하여 이송된다.
제5의 게이트 부재(46)가 경화 회수 통로(43)와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입 불가능한 경화는 출금 벨트(25)로부터 경화 회수 통로(43)에 이송되어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안으로 회수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경화 카세트(30) 안에 수용된 전체의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 또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내로 이송되어서 수용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3의 모터(58), 회전원판 모터(54), 반송 벨트 모터(55) 및 제2의 취출 모터(62)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그 결과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출금 벨트(25), 경화 리프트벨트(21) 및 경화 카세트(3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0a)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회전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경화 장전 처리를 종료시킨다.
그 결과, RAM(52)의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는 경화입출금기의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수용된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가 저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출금되어야 할 경화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업무의 개시에 앞서, 먼저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 출금 경화 수용 처리가 실행되고 출금되어야 할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 이송되어서 저장된다.
따라서, 경화 카세트(30)에 수용된 전체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 또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안으로 이송되어서 수용되고 경화 장전 처리가 종료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 이송하여 저장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경화 입출금기는 지폐 입출금기와 함께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1 회의 출금 처리로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출금되는 경화의 최대 금액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지폐 중에서 최소 금액의 지폐의 금액으로부터 현재 유통되고 있는 경화 중에서 최소 금액의 경화의 금액을 공제한 금액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경화 입출금기에서, 1 회의 출금 처리에 의하여 출금되는 최대 출금액과 같은 금액의 경화가 1 출금단위(U)로서 결정되고 1 출금단위(U)의 경화가 1 회의 출금 경화 수용 처리로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 본 실시 형태의 경화 입출금기가 사용되는 경우,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지폐 중에서 최소 금액의 지폐는 1000엔 지폐이고 현재 유통되고 있는 경화 중에서 최소 금액의 경화는 1엔이기 때문에, 999엔이 1 출금단위(U)로 된다.
2 종류 이상의 금종의 경화가 유통되고 있는 경우에는 1 출금단위(U)로서 다른 금종의 경화의 2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체 매수가 최소가 되도록 다른 금종의 경화의 매수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 유통되고 있는 경화의 금종은 1 엔화, 5 엔화, 10 엔화, 50 엔화, 100 엔화, 500 엔화이기 때문에, 일본에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화 입출금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 개의 500 엔화, 4 개의 100 엔화, 1 개의 50 엔화, 4 개의 10 엔화, 1 개의 5 엔화 및 4 개의 1 엔화에 의하여 1 출금단위(U)의 경화가 구성된다.
경화 입출금기가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통을 1 개만 구비하고 있고, 1 출금단위(U)의 경화만이 이 경화 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경화가 출금될 때마다 출금 경화 수용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불가결하게 되고, 출금 경화 수용 처리의 실행중에는 경화를 입금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경화 저장통에 2 이상의 출금단위(U)의 경화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출금을 위해 경화 저장통으로부터 취출될 필요가 있는 경화의 매수가 증대하고 출금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을 구비하고 있고 각각이 1 출금단위(U)의 경화를 수용한다.
도 8은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수용하는 출금 경화 수용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경화 카세트(30)에 수용된 전체의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 또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안으로 이송되어서 수용되고 경화 장전 처리가 종료되면,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 및 제2의 솔레노이드(67)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운동시켜서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하고 제2의 게이트 부재(17) 및 제3의 게이트 부재(18)를 구동하여 경화 선별 통로(10)를 제4의 슈트(14)에 연통시킨다.
그 다음에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가 구동되고 회전원판(3)이 회전된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취출 모터(61)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에 의하여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를 1 매씩 계속해서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되게 한다.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벨트(21) 상으로 인도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하여 회전원판(3) 상으로 이송된다.
회전원판(3)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원심력에 의하여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슬롯(5)를 통하여 계속해서 경화통로(6)로 송출된다.
경화 통로(6)로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반송 벨트(7)에 의하여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하여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으로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ROM(51)에 저장된 금종마다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와 비교하여,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컨트롤 유닛(50)이 상기 경화를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한 때에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상기 경화의 매수를 기록한다.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은 제1의 경화 저장통(35)에 저장되어 있는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경화 통로(6) 내에서 하류측으로 반송되고 경화 선별 디바이스(9)의 부근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하여 경화가 검출되면, 경화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으로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경화 검출 신호를 받으면,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경화의 판별 결과를 판독한다. 상기 경화가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과 같은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되는 때에는, 컨트롤 유닛(50)이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복귀시켜서, 경화 선별 통로(10)를 폐쇄시킨다.
그 결과,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는 또한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경화 통로(6) 안으로 반송되고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가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내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수용되는 것은, 경화 저장 박스(40)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경화는 이미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것인데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의 출금 경화 수용 처리 동안에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잘못 판별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되는 때에는, 컨트롤 유닛(50)은 어떤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으로 낙하한다.
그 결과, 제2의 게이트 부재(17) 및 제3의 게이트 부재(18)가 구동되고 제4의 게이트 부재(19)가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3의 슈트(13)와 제1의 경화 저장통(35)을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는 제3의 슈트(13) 및 제4의 슈트를 통과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 안에 수용된다.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컨트롤 유닛(50)은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아닌지 및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동시에,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판별된 금종의 경화의 매수를 갱신한다.
따라서,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금종의 경화의 매수가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그 금종의 경화의 매수와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 안에는 이미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매수의 그 금종의 경화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그 금종의 경화가 검출될 때에는,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RAM(52)의 제2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RAM(52)의 제2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은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저장되어 있는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를 저장시키는 영역이다.
그 금종의 경화가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경화 통로(6) 내에서 하류측으로 반송되고 경화 선별 디바이스(9)의 부근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하여 경화가 검출되고 경화 검출 신호가 경화 센서(53)로부터 입력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구동하는 제4의 솔레노이드(68)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제3의 슈트(13)와 제5의 슈트(15)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제1의 경화 저장통(35) 안에 이미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매수가 수용되어 있는 금종의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으로 낙하하여 제1의 슈트(11), 제3의 슈트(13), 제4의 슈트(14) 및 제5의 슈트(15)를 통하여,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으로 이송되어서 저장된다.
한편, 센서 유닛(8)에 의하여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다른 금종의 경화가 검출된 때에는,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그 금종의 경화의 매수가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그 금종의 경화의 매수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그 금종의 경화의 매수를 갱신하고 그 금종의 경화를 제1의 슈트(11), 제3의 슈트(13) 및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로 이송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 안에 저장시킨다.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그 금종의 경화의 매수가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그 금종의 경화의 매수와 같게 되면, 제1의 경화 저장통(35) 안에는 이미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매수의 그 금종의 경화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그 금종의 경화가 검출될 때에는,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RAM(52)의 제2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그 금종의 경화가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경화 통로(6) 내에서 하류측으로 반송되고 경화 선별 디바이스(9)의 부근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하여 경화가 검출되고 경화 검출 신호가 경화 센서(53)로부터 입력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구동하는 제4의 솔레노이드(68)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제3의 슈트(13)와 제5의 슈트(15)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제1의 경화 저장통(35) 안에 이미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매수가 수용되어 있는 그 금종의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으로 낙하하고 제1의 슈트(11), 제3의 슈트(13), 제4의 슈트(14) 및 제5의 슈트(15)를 통하여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으로 이송되어서 저장된다.
이와 같이,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각각의 금종의 경화의 매수가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상응하는 금종의 경화의 매수와 같게 되는 경우,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의 경화의 수용을 종료시킨다.
또한, RAM(52)의 제2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금종의 경화의 매수가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그 금종의 경화의 매수와 같게 되는 때에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는 각각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매수의 그 금종의 경화가 이미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취출 모터(61)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1 출금단위(U)에 포함되어야 할 각 금종의 경화가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수용되어 있고 경화 취출 수단이 정지된 때에,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이미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된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수납되어야 할 경화에 후속하는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회수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회전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복귀시켜서, 경화 선별 통로(10)를 폐쇄시킨다. 그 결과,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 출금되어야 할 경화의 출금 경화 수용 처리가 종료된다.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 출금되어야 할 경화의 출금 경화 수용 처리가 종료되면,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 및 제2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수용되어 있는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의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경화 입출금구(1)를 통하여 투입된 경화를 경화 저장 박스(40) 안으로 수용하는 경화 수용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경화가 수용되면,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경화가 경화 입출금구(1) 안으로 투입되고 입금처리 스타트 스위치(70)가 조작된다.
입금처리 스타트 스위치(70)가 조작되면, 입금처리 스타트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입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입금처리 스타트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서 파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회전운동시켜서, 경화 선별 통로(10)을 개방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회전원판 모터(54), 반송 벨트모터(55) 및 제 4의 모터(59)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3의 모터(58)에 정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셔터(2)에 개방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회전원판(3)이 회전되고 반송 벨트(7) 및 경화 리프트벨트(27)가 구동된다. 또한,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가 개방되어, 경화 입출금구(1)에 투입된 경화가 회전원판(3) 상에 낙하한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셔터(2)에 폐쇄 신호를 출력하여,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를 폐쇄시킨다.
회전원판(3) 상에 낙하한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원심력에 의하여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슬롯(5)를 통하여 1 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 안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반송 벨트(7)에 의하여 화살표(A)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경화의 지름,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하여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ROM(51)에 기억된 금종마다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와 비교하여,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컨트롤 유닛(50)이 상기 경화를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게다가,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RAM(52)의 입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경화가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경화 통로(6) 내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되고 경화 선별 디바이스(9)의 부근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하여 상기 경화가 검출되면, 경화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경화 검출 신호를 받으면,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경화의 판별 결과를 판독한다. 경화가,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과 같은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되는 때에는, 컨트롤 유닛(50)이 제1의 솔레노이드(6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2의 슈트(12)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에 이동시킨다.
그 결과,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으로 낙하되고 제2의 슈트(12)를 통과하여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된다.
이에 대하여,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때에는, 컨트롤 유닛(50)은 어떤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1의 게이트 부재(16)가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1의 슈트(11)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에서 유지되고 제2의 게이트 부재(17)가 제1의 슈트(11)와 입출금 벨트(20)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에 낙하되고 제1의 슈트(11)을 통과하여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이송된다.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 상에서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수입 불가능이라고 판별되어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출금 벨트(25)에 의하여 경화 입출금구(1)를 향하여 반송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7)로 인도된다.
경화 리프트 벨트(27)로 인도된 경화는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경화 입출금구(1)에 투입된 모든 경화가 회전원판(3)으로부터 송출되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가 입출금벨트(20) 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고, 한편, 수입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경화가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으로 복귀되면, 컨트롤 유닛(50)은 회전원판 모터(54), 반송 벨트모터(55), 제3의 모터(58) 및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원판(3)의 회전과 반송 벨트(7) 및 출금 벨트(25)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복귀시켜서 경화 선별 통로(10)을 폐쇄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입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로부터 경화 입출금구(1)에 투입된 경화의 합계 금액을 산출하여 표시 패널(78)에 표시시키고 경화를 확정적으로 입금한 때는 입금 지시 스위치(71)를 조작하고, 경화의 입금을 취소한 때는 입금 취소 스위치(72)를 조작해야 할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다.
그 후, 오퍼레이터가 입금 지시 스위치(71)을 조작하면, 입금 지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입력된다.
도 10은 경화 입출금구(1)로부터 투입되어 입출금 벨트(20) 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되어 있던 경화를 확정적으로 입금하는 입금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컨트롤 유닛(50)이 입금 지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벨트(21)을 구동시키고 회전원판(3)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입출금 벨트(20) 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되어 있던 경화는 경화 리프트벨트(21)에 의하여 회전원판(3) 상으로 이송된다.
회전원판(3)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원심력에 의하여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1 매씩 경화 통로(6)로 송출된다.
경화 통로(6)로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반송 벨트(7)에 의하여 화살표(A)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하여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ROM(51)에 저장된 금종마다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와 비교하여,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카운트하고 RAM(52)의 경화 저장 매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경화 입출금기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정정한다.
또한, 상기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하여 경화 통로(6) 안으로 이송되고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출금 벨트(20) 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되어 있던 경화가 전부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수용되면 컨트롤 유닛(50)은 회전 원판 모터(54), 반송 벨트 모터(55), 제1의 모터(56) 및 제2의 모터(57)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 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입금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수입 불가능으로 판별되어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에 반환된 경화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회수된다.
이에 대하여, 입금 취소 스위치(72)가 조작된 때에는, 입금 취소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입력된다.
도 11은 경화 입출금구(1)를 통하여 투입되어 입출금 벨트(20) 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되어 있던 경화를 경화 입출금구(1)에 반환하는 입금 취소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컨트롤 유닛(50)이 입금 취소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회전운동시켜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시킨다. 컨트롤 유닛(50)은 또한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하는 제1의 솔레노이드(6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2의 슈트(12)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4의 모터(59), 회전 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경화 리프트 벨트(21) 및 경화 리프트 벨트(27)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회전 원판(3)을 회전시키고 제3의 모터(58)에 정회전 신호를 출력하여, 제3의 모터(58)가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를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입출금 벨트(20) 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되어 있던 경화는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다.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회전 원판(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슬롯(5)를 통하여 1 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 A로 도시되는 방향으로 반송 벨트(7)에 의해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ROM(51)에 저장된 금종마다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의 금종을 판별한다. 그리고 나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 유닛(50)이 RAM(52)의 입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입금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로부터 1 개를 감산하여 RAM(52)의 입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입금 경화 매수 데이터를 정정한다.
경화는 또한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내로 보내지고 경화 선별 통로(10)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 선별 통로(10) 내로 낙하한다.
입금 취소처리 프로세스 동안에 경화 선별 통로(10)가 제2의 슈트(12)와 연통하는 위치에 제1의 게이트 부재(16)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 선별 통로(10) 내로 낙하한 경화는 제2의 슈트(12)를 통과하여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된다.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출금 벨트(25)에 의해 경화 입출금구(1)를 향하여 반송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7)에 인도된다.
경화 리프트 벨트(27)에 인도된 경화는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입출금 벨트(20) 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되어 있던 경화가 전부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으로 복귀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3의 모터(58), 제4의 모터(59), 회전 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 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경화 리프트 벨트(21), 출금 벨트(25) 및 경화 리프트 벨트(2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복귀시켜 경화 선별 통로(10)을 폐쇄시키도록 한다. 컨트롤 유닛(50)은 또한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하는 제1의 솔레노이드(65)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1의 솔레노이드(65)가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1의 슈트(11)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컨트롤 유닛(50)이 입금 취소처리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도 12는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경화를 출금하는 출금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경화를 출금하는 경우, 먼저 텐 키이 패드(77)에 출금해야 할 금액이 입력된다.
먼저 출금해야 할 금액이 텐 키이 패드(77)에 입력되면, 텐 키이 패드(77)로부터 출금 금액 지정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출금 금액 지정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출금 금액 지정 신호에 기초하여 출금해야 할 각 금종의 경화의 매수를 산출하여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다음에,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출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를 기록함과 동시에 RAM(52)의 보충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를 저장한다.
뒤이어, 출금 지시 스위치(73)가 조작된다.
출금 지시 스위치(73)이 조작되면, 출금 지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입력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를 제1의 경화 저장통(35)과 제2의 경화 저장통(36) 중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출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경화를 제1의 경화 저장통(35)과 제2의 경화 저장통(36) 중의 어느 한 쪽으로부터 출금한 후 아직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의 출금해야 할 경화의 보충이 완료되어 있지 않고, 제1의 경화 저장통(35)과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한 쪽에 1 출금 단위(U)의 경화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의 경화 저장통(35)과 제2의 경화 저장통(36) 중 1 출금 단위(U)의 경화가 저장되어 있는 경화 저장통으로부터 항상 경화가 출금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컨트롤 유닛(50)이 출금 지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 및 제2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액세스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내에 저장되어 있는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를 판독하고 1 출금 단위(U)의 경화가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또는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 유닛(50)이 제1의 경화 저장통(35)과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양 쪽에 1 출금 단위(U)의 경화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한 때는,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취출 부분이 센서 유닛(8)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부터 경화를 출금시킨다.
컨트롤 유닛(50)이 출금 지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하여,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4의 모터(59), 회전 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 원판(3)을 회전시키고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경화 리프트 벨트(21) 및 경화 리프트 벨트(27)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3의 모터(58)에 정회전 신호를 출력하여,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를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제3의 취출 모터(63)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5a)에 의해 제1의 경화 저장통(35)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를 입출금 벨트(20) 상에 1 매씩 계속해서 취출시킨다.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 벨트(11)로 인도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다.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회전 원판(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슬롯(5)를 통하여 1 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 벨트(7)에 의해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O)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ROM(51)에 저장된 금종마다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컨트롤 유닛(50)이 상기 경화를 수입 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출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에서 그 금종의 경화의 출금해야 할 매수를 1개만 줄여서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를 정정한다.
경화가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내에서 하류측으로 반송되고 이 경화가 경화 선별 디바이스(9) 근방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면, 경화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경화 검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경화의 판별 결과를 판독한다. 경화가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넘은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컨트롤 유닛(50)은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구동하는 제2의 솔레노이드(66)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 3의 슈트(13)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구동하는 제4의 솔레노이드(68)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3의 슈트(13)와 제1의 경화 저장통(35)을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경화 선별 통로(10)가 개방되고 제4의 게이트 부재(19)가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3의 슈트(13)와 제1의 경화 저장통(35)을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입 불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내로 낙하하고 제1의 슈트(11), 제3의 슈트(13) 및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 내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입 불가능한 경화로 판별된 경화가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제1의 경화 저장통(35)에 복귀되는 것은, 제1의 경화 저장통(35)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는 이미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용 가능한 경화로 판별된 것인데 출금 처리시에 수입 불가능한 경화로 잘못 판별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입 불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회수하기 위해서는 경화를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하여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를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고, 이러한 처리가 경화의 출금 처리를 방해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상기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용 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하는 제1의 솔레노이드(6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1의 솔레노이드(65)가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2의 슈트(12)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용 가능한 경화로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내에 낙하하고 제2의 슈트(12)를 통하여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된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용 가능한 경화가로 판별되어 출금 벨트(25)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구(1)를 향하여 반송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7)로 인도된다.
경화 리프트 벨트(27)로 인도된 경화는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으로 출금된다.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컨트롤 유닛(50)은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용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경화가 수용 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컨트롤 유닛(50)은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동시에,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출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에서 그 금종의 경화의 출금해야 할 매수를 1 매씩 줄여서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를 정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해서 RAM(52)의 출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를 정정한 결과 어떤 금종의 출금해야 할 경화의 매수 데이터가 제로로 되면,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도 컨트롤 유닛(50)은 더 이상 그 금종의 경화의 판별이나 계수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 금종의 경화가 경화 센서(53)의해 검출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구동하는 제2의 솔레노이드(66)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2의 솔레노이드(66)가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 3의 슈트(13)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구동하는 제4의 솔레노이드(68)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4의 솔레노이드(68)가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3의 슈트(13)와 제1의 경화 저장통(35)을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경화 선별 통로(10)가 개방되고 제4의 게이트 부재(19)가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3의 슈트(13)와 제1의 경화 저장통(35)을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RAM(52)의 출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출금해야 할 경화의 매수 데이터가 제로로 되는 금종의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내로 낙하하고 제1의 슈트(11), 제3의 슈트(13) 및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 내로 복귀된다.
RAM(52)의 출금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모든 금종의 출금해야 할 경화의 매수 데이터가 제로로 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3의 취출 모터(63)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5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뒤이어, 출금해야 할 모든 경화가 셔터(2) 상으로 출금되고 경화 취출 수단(35a)이 정지된 때에,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부터 이미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되어 있는 출금해야 할 경화에 후속하는 모든 경화가 제1의 경화 저장통(35) 내에 회수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3의 모터(58), 제4의 모터(59), 회전 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 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경화 리프트 벨트(21), 출금 벨트(25) 및 경화 리프트 벨트(2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여, 경화 선별 통로(10)를 폐쇄시킨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보충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출금 경화 매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RAM(52)의 저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 입출금기에 수용되어 있는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를 정정하여, 출금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금 처리가 종료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경화 저장통(35)에 출금된 금종의 경화를 보충한다.
즉, 출금 처리가 종료되면,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보충 처리를 개시하고 먼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하여,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구동하는 제2의 솔레노이드(66)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2의 솔레노이드(66)가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3의 슈트(13)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구동하는 제4의 솔레노이드(68)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4의 솔레노이드(68)가 제4의 게이트 부재(19)를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3의 슈트(13)와 제1의 경화 저장통(35)을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 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가 구동되고 회전 원판(3)이 회전된다.
컨트롤 유닛(50)은 또한 제1의 취출 모터(61)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에 의해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를 1 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시킨다.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된 경화는 경화 리프트 벨트(21)로 인도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다.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회전 원판(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1 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 벨트(7)에 의해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ROM(51)에 저장된 금종마다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와 비교하여,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가 수입 가능한 경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컨트롤 유닛(50)이 상기 경화를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한 경우,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보충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에서 그 금종의 경화의 출금해야 할 개수를 1개만 줄여서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를 정정한다.
경화가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내에서 하류측으로 반송되고 이 경화가 경화 선별 디바이스(9) 근방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면, 경화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경화 검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경화의 판별 결과를 판독한다. 경화가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넘은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될 때는, 컨트롤 유닛(50)이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여, 경화 선별 통로(10)를 폐쇄시킨다.
그 결과, 수입 불가능한 경화로 판별된 경화는 또한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내로 반송되고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입 불가능한 경화로 판별된 경화가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회수되지 않고 경화 저장 박스(40)에 수용되는 것은, 경화 저장 박스(40)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는 이미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것인데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의 경화의 보충 처리 동안에 수입 불가능한 경화로 잘못 판별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컨트롤 유닛(50)은 어떤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현재 유통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로 판별된 경화는 제1의 슈트(11), 제3의 슈트(13) 및 제4의 슈트(14)를 통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 내에 수용된다.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컨트롤 유닛(50)은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컨트롤 유닛(50)이 상기 경화를 수입 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동시에,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보충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에서 판별한 금종의 경화의 출금해야 할 개수를 1개만 줄여서 금종별의 출금 매수 데이터를 정정한다.
RAM(52)의 보충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어떤 금종의 출금해야 할 경화의 매수가 제로로 된 경우,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도 컨트롤 유닛(50)은 그 금종의 경화의 판별 또는 계수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 금종의 경화가 경화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여, 경화 선별 통로(10)를 폐쇄시킨다.
그 결과, RAM(52)의 보충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출금해야 할 경화의 매수가 제로로 되어 있는 금종의 경화는 또한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를 반송되고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회수된다.
RAM(52)의 보충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모든 금종의 출금해야 할 경화의 매수가 제로로 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취출 모터(61)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제1의 경화 저장통(35) 내에 보충되어야 할 모든 경화가 제1의 경화 저장통(35) 내에 수용되고 경화 취출 수단(40a)이 정지된 때에,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이미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되어 있는 보충되어야 할 경화에 후속하는 경화가 전부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회수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3의 모터(58), 제4의 모터(59), 회전 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 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경화 리프트 벨트(21), 출금 벨트(25) 및 경화 리프트 벨트(2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 출력하여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하여, 경화 선별 통로(10)을 폐쇄시킨다. 컨트롤 유닛(50)은 또한 RAM(52)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출금 가능한 경화의 매수를 1 출금 단위(U)를 구성하는 경화의 매수로 정정하고,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의 경화의 보충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에 대하여, 컨트롤 유닛(50)이 제1의 경화 저장통(35)과 제2의 경화 저장통(36) 중의 한 쪽에만 1 출금 단위(U)의 경화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한 때는, 컨트롤 유닛(50)은 1 출금 단위(U)의 경화를 포함하고 있는 경화 저장통으로부터 경화를 출금시킨다.
업무의 종료시에, 통상적인 업무는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경화가 수입 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경화의 금종마다의 개수를 계수하고,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넘은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를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회수하면서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전부 경화 카세트(30) 내에 회수하고, 경화 카세트(30)를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분리하여,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회수한다. 한편, 업무의 개시시에, 통상적인 업무는 경화 카세트(30)를 경화 출금기에 장착하고,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경화가 수입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경화의 금종마다의 개수를 계수하고,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를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회수하면서 경화 카세트(3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 내에 장전한다. 따라서, 업무의 종료시에는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던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업무의 개시시에는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업무의 종료시에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용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경화가 수입 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경화의 금종마다의 개수를 계수하고,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넘은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를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회수하면서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전부 경화 카세트(30) 내에 회수하고, 경화 카세트(30)를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분리하여,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회수하고, 그리고 업무의 개시시에, 경화 카세트(30)를 경화 입출금기에 장착하고, 경화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로서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경화가 수입가능한 경화인 것으로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경화의 금종마다의 개수를 계수하고,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넘은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인 경화를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회수하면서 경화 카세트(30)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 내에 장전하는 것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업무의 종료시에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업무의 개시시에서도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경화 입출금기는 또한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 매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경화 수용 매수 확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 매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경화 수용 매수 확인 처리를 실행되는 경우, 경화 매수 확인 스위치(76)가 조작되고 경화 수용 매수 확인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경화 수용 매수 확인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 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를 구동시키고 회전 원판(3)을 회전시킨다.
컨트롤 유닛(50)은 또한 제3의 취출 모터(63)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5a)에 의해 제1의 경화 저장통(35)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를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1 매씩 취출시킨다.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 벨트(21)로 인도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다.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회전 원판(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슬롯(5)를 통하여 1 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 벨트(7)에 의해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부터 취출된 경화는 전부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수용되고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경화가 취출된 때에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이 판별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때에도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판별도 계수도 실행하지 않는다.
경화는 경화 선별 디바이스(9)로 이송되지만, 선별 롤러(10b)는 통상적으로 경화 선별 통로(10)가 폐쇄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는 경화 선별 디바이스(9)를 통과하고 경화 통로(6)의 종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저장 박스(40)로 이송되어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저장된다.
센서 유닛(8)으로부터 최후 검출 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경화 저장통(5)에 수용되어 있던 경화가 전부 경화 저장 박스(40)로 이송된 것으로 판정하고 제3의 취출 모터(63)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5)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5a)을 정지시킨다. 동시에, 컨트롤 유닛(50)은 제4의 취출 모터(64)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6a)을 구동하고 경화 취출 수단(36a)이 제2의 경화 저장통(36)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를 1 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시키도록 한다.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 벨트(21)로 인도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다.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회전 원판(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1 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 벨트(7)에 의해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이르면, 센서 유닛(8)에 의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부터 취출된 경화는 전부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수용되고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경화가 취출될 때에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이 판별되기 때문에,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도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판별도 계수도 실행하지 않는다.
경화는 경화 선별 디바이스(9)에 이송되지만, 선별 롤러(10b)는 통상적으로 경화 선별 통로(10)가 폐쇄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는 경화 선별 디바이스(9)를 통과하고 경화 통로(6)의 종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저장 박스(40)로 이송되어서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저장된다.
센서 유닛(8)으로부터 최후 검출 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컨트롤 유닛(50)은 제2의 경화 저장통(6) 내에 저장되어 있던 경화가 전부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이송된 것으로 판정하고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 원판 모터(54), 반송 벨트 모터(55) 및 제4의 취출 모터(64)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경화 리프트 벨트(21) 및 제2의 경화 저장통(6)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6a)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회전 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 결과,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저장된다.
경화 입출금기 내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저장되면,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 및 제2의 솔레노이드(66)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하여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하고 제2의 솔레노이드(66)에 의해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구동시켜서 경화 선별 통로(10)를 제3의 슈트(3)와 연통시킨다.
컨트롤 유닛(50)은 또한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 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3의 모터(58)에 역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가 구동되고 회전 원판(3)이 회전된다. 또한,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컨트롤 유닛(50)은 또한 제1의 취출 모터(61)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에 의해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를 1 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시킨다.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으로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 벨트(21)로 인도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다.
회전 원판(3) 상으로 이송된 경화는 회전 원판(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1 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 안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도달하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ROM(51)에 기억된 각각의 금종에 대한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와 비교하여, 경화가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이고, 그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 유닛(50)이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또, 제어 유닛(50)은 경화의 금종별 매수를 카운트하고, RAM(52)의 경화 저장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경화가,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안을, 또한 하류측으로 향하여 반송되고, 경화 선별 디바이스(9) 부근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면, 경화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경화 검출 신호를 받으면,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에 기록된 경화의 판별 결과를 판독한다. 경화가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로 판별되었을 때,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하는 제1의 솔레노이드(6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2의 슈트(12)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결과, 수입 불가능이라고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에 낙하하고, 경화 선별 통로(10)로부터 제2의 슈트(12)에 인도되고, 출금 벨트(25) 상에 보내진다.
이에 대하여, 경화가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이고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되었을 때, 컨트롤 유닛(50)은 어떤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이고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이라고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에 낙하하고, 경화 선별 통로(10)로부터 제3의 슈트(13)에 인도되고, 경화 저장 카세트(30) 안에 보내지고 저장된다.
한편, 수입 불가능이라고 판별되어 출금 벨트(25) 상으로 보내진 경화는, 제3의 모터(58)에 역회전 신호가 출력되고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경화 회수 박스(26)를 향하여 보내진다.
수입 불가능한 경화는 출금 벨트(25)로부터 경화 회수 통로(43)에 보내지고, 제5의 게이트 부재(46)가 경화 회수 통로(43)와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안에 회수된다.
경화 저장 박스(40)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경화가 경화 카세트(30) 또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보내져서 수입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3의 모터(58), 회전원판 모터(54), 반송 벨트 모터(55) 및 제1의 취출 모터(61)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경화 리프트 벨트(21), 출금 벨트(25) 및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회전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컨트롤 유닛(50)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 및 제2의 솔레노이드(66)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선별 롤러(10b)를 도4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복귀시키고,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1의 슈트(11)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복귀시킨다.
경화 저장 박스(40)에 저장되어 있던 경화가 전부 경화 카세트(30) 또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보내지고 수입되면, RAM(52)의 경화 저장 매수 메모리 영역에는 경화 입출금기에 수입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 매수가 기억된다.
계속해서, 경화 카세트(30)에 수입된 모든 경화가, 경화 장전 처리와 마찬가지로,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이송되고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수입된다.
이 방식에서, 경화가 경화 카세트(30)로부터 경화 저장 박스(40)에 이송될 때, RAM(52)의 경화 저장 매수 메모리 영역에는 이미 경화 입출금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별 매수가 기억되어 있고, 수입 불가능한 경화는 전부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안에 회수되고, 경화 카세트(30) 안에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안에 회수해야 할 경화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도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판별도, 계수도 실행하지 않는다.
경화 카세트(30) 안에 수입되어 있던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에 이송되고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출금해야 할 경화의 출금 경화 수입 처리를 실행하고, 1출금 단위씩의 경화가 각각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보내지고,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저장된다.
도13은, 경화 입출금구(1)에 출금된 경화 또는 경화 입출금구에 반환된 경화를 오퍼레이터가 수취 망각한 경우에,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 내에 회수하는 불수령 경화 회수 처리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에 경화를 출금한 후 또는 입금된 경화를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에 반송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에 경화가 남아 있을 때,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선별 롤러(10b)를 도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운동시키고, 이에 의해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시킨다.
다음에,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시키는 제1의 솔레노이드(65) 및 제5의 게이트 부재(46)를 구동시키는 제5의 솔레노이드(69)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2의 슈트(12)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제5의 게이트 부재(46)를 경화 회수 통로(43)와 제8의 슈트(45)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회전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회전원판(3)을 회전시키고 반송 벨트(7)를 구동함과 동시에, 제3의 모터(58)에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여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를 도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컨트롤 유닛(50)은 셔터(2)에 개방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셔터(2)를 개방시킨다.
그 결과, 회전원판(3)이 회전되고 반송 벨트(7)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가 구동된다. 또한,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가 개방되고, 이에 의해 경화 입출금구(1)에 잔류하고 있는 경화는 회전하는 회전원판(3) 상에 낙하된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셔터(2)에 폐쇄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를 폐쇄시킨다.
회전원판(3) 상에 낙하한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1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 안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도달하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에 출금된 경화, 또는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에 반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퍼레이터가 수취 망각한 경화는 전부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 안에 수용되고,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 및 경화 카세트(30) 안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는 별개로 회수되기 때문에, 컨트롤 유닛(50)은 불수령 경화 회수 처리시에 경화의 판별도, 계수도 실행하지 않는다.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안을, 또한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되고, 선별 롤러(10b)가 도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운동되고, 경화 선별 통로(10)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 선별 통로(10) 안에 낙하한다.
경화 선별 통로(10) 안에 낙하한 경화는, 제1의 게이트 부재(16)가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2의 슈트(12)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슈트(12)를 통하여 출금 벨트(25) 상에 보내진다.
출금 벨트(25) 상에 보내진 경화는,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경화 회수 박스(26)를 향하여 보내진다.
경화는, 출금 벨트(25)로부터 경화 회수 통로(43)에 보내지고, 제5의 게이트 부재(46)가 경화 회수 통로(43)와 제8의 슈트(45)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제8의 슈트(45)를 통하여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 안에 보내지고, 저장된다.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에 출금된 경화, 또는 경화 입출금구(1)의 셔터(2) 상에 반환됐음에도 불구하고 오퍼레이터가 수취 망각한 모든 경화가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 안에 보내지고 저장되면, 컨트롤 유닛(50)은 회전원판 모터(54), 반송 벨트 모터(55) 및 제3의 모터(58)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회전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반송 벨트(7) 및 출금 벨트(25)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선별 롤러(10b)를 도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복귀시키고, 이에 의해 경화 선별 통로(10)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시키는 제1의 솔레노이드(65) 및 제5의 게이트 부재(46)를 구동시키는 제5의 솔레노이드(69)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제1의 게이트 부재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1의 슈트(11)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복귀시키고, 제5의 게이트 부재(46)를 경화 회수 통로(43)와 제7의 슈트(44)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복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어 유닛(50)은 불수령 경화 회수 처리를 종료시킨다.
도14는 업무의 종료후에 경화 입출금기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경화 카세트(30)에 회수하는 경화 회수 처리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업무의 종료시, 경화 입출금기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경화 카세트(30) 안에 회수하기 위해 경화 회수 지시 스위치(75)가 조작된다.
경화 회수 지시 스위치(75)가 조작되면, 경화 회수 지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되고, 경화 회수 지시 신호를 받으면 컨트롤 유닛(50)은 먼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원판(3)을 회전시킨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제3의 모터(58)에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를 도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제3의 취출 모터(63)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1의 경화 저장통(35)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5a)에 의해 제1의 경화 저장통(35) 안에 수용되어 있는 경화를 입출금 벨트(20) 상에 1매씩 취출시킨다.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넘겨 지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원판(3) 상에 보내진다.
회전원판(3) 상에 보내진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1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 안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에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도달하면, 센서 유닛(8)에 의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검출되고, 검출 신호는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부터 취출된 모든 경화는 경화 저장 박스(40)에 저장되고,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취출될 때 경화가 수입 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이 판별되기 때문에,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를 받더라도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판별도, 계수도 실행하지 않는다.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안을, 또한 하류측으로 향하여 반송되고, 경화 선별 디바이스(9)를 통과하고, 경화 통로(6)의 종단부에 접속된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보내지고 저장된다.
센서 유닛(8)으로부터 마지막으로 경화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에 경과되었을 때,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경화 저장통(35)에 저장되어 있던 경화가 전부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이송되었다고 판정하고 제3의 취출 모터(63)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1의 경화 저장통(35)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5a)을 정지시킨다. 동시에, 컨트롤 유닛(50)은 제4의 취출 모터(64)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6a)을 구동하여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를 1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시킨다.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넘겨 지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원판(3) 상에 보내진다.
회전원판(3) 상에 보내진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1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 안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도달하면 센서 유닛(8)에 의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검출되고, 검출 신호는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부터 취출된 모든 경화가 경화 저장 박스(40)에 저장되고,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취출될 때 경화가 수입 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이 판별되기 때문에, 센서 유닛(8)으로부터 검출 신호를 받더라도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판별도, 계수도 실행하지 않는다.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안을, 또한 하류측으로 향하여 반송되고, 경화 선별 디바이스(9)를 통과하고, 경화 통로(6)의 종단부에 접속된 제6의 슈트(34)를 통하여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보내지고 저장된다.
센서 유닛(8)으로부터 마지막으로 경화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컨트롤 유닛(50)은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저장되어 있던 경화가 전부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이송되었다고 판정하고,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3의 모터(58), 회전원판 모터(54), 반송 벨트 모터(55), 제3의 솔레노이드(67) 및 제 4의 취출 모터(64)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출금 벨트(25), 경화 리프트 벨트(21)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36a)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회전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뒤이어,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경화가 경화 카세트(30) 안에 회수된다.
먼저, 컨트롤 유닛(50)은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 및 제2의 솔레노이드(66)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선별 롤러 구동 솔레노이드(60)가 선별 롤러(10b)를 도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운동시켜 경화 선별 통로(10)를 개방하고, 제2의 솔레노이드(66)가 제2의 게이트 부재(17)를 구동시킴으로써 경화 선별 통로(10)를 제3의 슈트(13)와 연통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회전원판 모터(54) 및 반송 벨트 모터(5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및 경화 리프트 벨트(21)가 구동되고 회전원판(3)이 회전된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제3의 모터(58)에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를 도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뒤이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취출 모터(61)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은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를 1매씩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시킨다.
경화 저장 박스(40)로부터 입출금 벨트(20) 상에 취출된 경화는, 입출금 벨트(20)로부터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넘겨 지고, 경화 리프트 벨트(21)에 의해 회전원판(3) 상에 보내진다.
회전원판(3) 상에 보내진 경화는 회전원판(3)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링형상 가이드(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고, 슬롯(5)을 통하여 1매씩 경화 통로(6)에 송출된다.
경화 통로(6) 안에 송출된 경화는 반송 벨트(7)에 의해 가압되면서,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경화가 경화 통로(6)에 설치된 센서 유닛(8)에 도달하면 경화의 직경, 표면 패턴 등의 광학적 성질 및 경화의 자기적인 성질이 센서 유닛(8)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 신호는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검출 신호를 받으면, ROM(51)에 기억된 금종별의 기준 직경 데이터, 기준 표면 패턴 데이터, 기준 자기 데이터 및 기준 손상 정도 데이터를 판독하고 센서 유닛(8)으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와 비교하고, 이에 의해 경화가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이고,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컨트롤 유닛(50)이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한 때는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RAM(52)의 판별 결과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컨트롤 유닛(50)은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카운트하고 RAM(52)의 회수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경화가 반송 벨트(7)에 의해 경화 통로(6) 안을, 또한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되고, 경화가 경화 선별 디바이스(9)의 부근의 경화 통로(6)에 설치된 경화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면, 경화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5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50)이 경화 센서(53)로부터 경화 검출 신호를 받으면, RAM(52)에 판별 결과 메모리에 저장된 경화의 판별 결과를 판독한다. 경화가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되었을 때,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구동하는 제1의 솔레노이드(6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1의 게이트 부재(16)를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2의 슈트(12)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 결과, 수입 불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는 경화 선별 통로(10) 안에 낙하되고, 경화 선별 통로(10)로부터 제2의 슈트(12)에 인도되고 출금 벨트(25) 상에 보내진다.
이에 대하여, 경화가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이고,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되었을 때, 컨트롤 유닛(50)은 어떤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 진정한 경화이고,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 이하의 수입 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는, 제2의 게이트 부재(17)가 경화 선별 통로(10)와 제3의 슈트(13)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3의 슈트(13)를 통과하고, 경화 카세트(30)에 보내지고, 경화 카세트(30) 안에 회수된다.
한편, 수입 불가능이라고 판별되고 출금 벨트(25) 상에 보내진 경화는, 제3의 모터(58)에 역회전 신호가 출력되고 출금 벨트(25)가 감겨져 있는 풀리(25a, 25a)가 도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경화 회수 박스(26)를 향하여 보내진다.
수입 불가능한 경화는 출금 벨트(25)로부터 경화 회수 통로(43)에 보내지고, 제5의 게이트 부재(46)가 경화 회수 통로(43)와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안에 회수된다.
이 방식에서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경화가, 경화 카세트(30) 또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보내지고 수용되면, 컨트롤 유닛(50)은 제1의 모터(56), 제2의 모터(57), 제3의 모터(58), 회전원판 모터(54), 반송 벨트 모터(55), 제3의 솔레노이드(67) 및 제1의 취출 모터(61)에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반송 벨트(7), 입출금 벨트(20), 출금 벨트(25), 경화 리프트 벨트(21) 및 경화 저장 박스(40)의 하부에 설치된 경화 취출 수단(40a)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회전원판(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 입출금기내의 경화가 전부 경화 카세트(30) 안에 또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안에 회수되면, 경화 카세트(30)는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떼어지고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경화가 회수된다.
한편, 수입 불가능이라고 판별되고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및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 안에 회수된 경화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 및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도시생략)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회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경화는 각각 1출금 단위(U)씩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출금에 즈음해서는 1출금 단위를 구성하는 경화만을 제1의 경화 저장통(35) 또는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따라서, 출금 처리는 짧은 시간에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저장되어 있는 최대 2출금 단위의 경화를 제외한 모든 경화는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경화 입출금기에는 금종별로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 박스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를 소형화 하고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저장되어 있는 최대 2출금 단위의 경화를 제외한 모든 경화는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경화 입출금기에는 금종별로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 박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금종별로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 박스의 어느 곳에 저장되지 않은 경화를 수용하는 보충용 경화 저장 박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경화 입출금기를 소형화 하고 경화 입출금기의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저장되어 있는 최대 2출금 단위의 경화를 제외한 모든 경화는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경화 입출금기에는 금종별로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 박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금종의 경화의 입금수가 과대하게 되어도 경화 저장 박스(4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경화 저장 박스 안에 저장되지 않은 경화를 회수하기 위하여 경화 입출금기의 동작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경화 입출금기의 경화 처리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안에 저장되어 있는 최대 2출금 단위의 경화를 제외한 모든 경화는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40) 안에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경화 입출금기에는 금종별로 경화를 저장하는 경화 저장 박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경화 입출금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새로운 금종의 경화가 발행된 경우에도, 새롭게 발행된 금종의 경화를 저장하고 출금을 위해 저장된 경화를 지불하기 위해 경화 저장박스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단지 컨트롤 유닛(50)의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새롭게 발행된 금종의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에 입금하고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출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금종의 경화가 발행될 경우에 대비하여 필요없는 스페이스를 확보해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경화 입출금기를 더욱 더 소형화 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금종의 경화가 발행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1출금 단위(U)의 경화가 저장되어 있지만, 각각의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 경화 저장통(36)에 1출금 단위(U)의 경화를 저장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한쪽에 또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양쪽에 2이상의 출금 단위(U)의 경화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경화 입출금기에는 출금해야 할 경화를 저장하는 출금용 경화 저장부로서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이 구비되어 있지만, 경화 입출금기가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을 포함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경화 입출금기는 출금해야 할 경화를 저장하는 3 이상의 출금용 경화 저장통을 구비하고 있거나 또는 단지 하나의 출금용 경화 저장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출금 처리후에 곧 출금해야 할 경화를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보충하기 위하여 출금 경화 수입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경화 입출금기는 각각 1출금 단위(U)의 경화를 수용하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경화의 출금 처리후에 곧 출금해야 할 경화를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보충하기 위하여 출금 경화 수입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컨트롤 유닛(50)이 RAM(52)의 제1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 및 제2의 출금 가능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금종별 경화의 저장 매수에 근거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 경화 저장통(36)의 양쪽에서 어떠한 금종의 경화의 매수가 1출금 단위(U)보다 작게 되었다고 판정한 때에, 컨트롤 유닛(50)은 RAM(52)의 보충 경화 매수 메모리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출금 경화 매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의 경화 저장통(35) 또는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대한 출금 경화 수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출금 처리의 경우에, 컨트롤 유닛(50)이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양쪽에 1출금 단위(U)와 동일한 경화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한 때, 컨트롤 유닛(50)은 센서 유닛(8)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놓인 경화 취출 부분을 갖는 제1의 경화 저장통(35)으로부터 경화를 취출하고 경화 입출금구(1)에 출금한다. 그러나,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의 양쪽에 1출금 단위(U)의 경화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경화가 제2의 경화 저장통(36)으로부터 취출되고 경화 입출금구(1)에 출금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 경화 통로(6)는 경화 입출금기에서 회전원판(3)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뻗도록 설치되고, 경화 리프트 벨트(27)는 경화를 회전원판(3)의 높이까지 들어올리기 위해 출금 벨트(25)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경화 통로(6)를 경화 입출금기에서 회전원판(3)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뻗도록 설치하고, 경화를 경화 입출금구(1)의 높이까지 들어올리기 위해 출금 벨트(25)에 이웃하게 경화 리프트 벨트(27)를 구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일본 특개2001-43420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경화 통로의 일부를 스프로킷 휠에 감긴 엔드리스 체인과,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두고 메인 보디에 부착되고 경화를 지지하는 지지판에 의하여 구성하므로써 경화가 경화 통로에 의해 경화 입출금구(1)의 높이까지 들어올려지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경화 저장 박스(40)는 경화 입출금기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경화 저장 박스(40)는 경화 입출금기의 앞 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그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 입출금 벨트(20)와 연통하는 제1의 슈트(11) 및 출금 벨트(25)와 연통하는 제2의 슈트(12)는 경화 선별 통로(10)로부터 분기하고, 경화 카세트(30)와 연통하는 제3의 슈트(13)는 제1의 슈트(11)로부터 분기한다. 제1의 경화 저장통(35)과 연통하는 제4의 슈트(14)는 제3의 슈트(13)로부터 분기하고, 제2의 경화 저장통(36)과 연통하는 제5의 슈트(15)는 제4의 슈트(14)로부터 분기한다. 경화 저장 박스(40)와 연통하는 제6의 슈트(34)는 경화 통로(6)와는 독립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경화 통로(6)에 보내진 경화가 선택적으로 입출금 벨트(20) 상에, 출금 벨트(25) 상에, 경화 카세트(30) 내에, 제1의 경화 저장통(35) 내에, 제2의 경화 저장통(36) 내에 또는 경화 저장 박스(40) 내에 보내진다면 어떠한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출금해야 할 경화가 제1의 경화 저장통(35) 및 제2의 경화 저장통(36) 또는 경화 저장 박스(40)에 저장되어 있지만, 출금해야 할 경화를 작은 용적을 갖는 경화 저장부에 저장하면 충분하고, 출금해야 할 경화를 원통형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경화 입출금기의 경화 회수 박스(26)에는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를 회수하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와, 경화 입출금구(1)에 출금되었지만 오퍼레이터가 받는 것을 잊고 수령하지 않은 경화 또는 경화 입출금구(1)에 반환되었지만 오퍼레이터에 의해 회수되지 않고 남겨진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불수령 경화 저장 박스(42)가 구비되어 있지만,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는 제1의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와 제2의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로 분할하므로써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는 경화 입출금기에 경화가 장전될 때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를 회수하기 적합하게 되고, 제2의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는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경화가 회수될 때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를 회수하기 적합하게 된다. 경화 입출금기에 경화가 장전될 때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가 경화 입출금기에 장전해야 할 경화중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에 경화가 장전될 때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로 판별된 경화를 회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한편, 경화 입출금기의 경화 저장 박스(40), 제1의 경화 저장통(35), 제2의 경화 저장통(36)에 저장된 경화는 저장될 때 수입 가능이라고 판별된 것이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경화 회수 처리시에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는 어떠한 원인으로 잘못하여 수입 불가능이라고 판별된 것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경화 입출금기에 경화 장전 처리시 위조 경화, 외국 정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와,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경화 회수 처리시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를 단일의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에 회수하는 경우에, 다시 경화를 판별할 필요가 생길 수 있는데,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41)를 제1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와 제2가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로 분할한 경우에는 경화 입출금기에 경화 장전 처리시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를 제1의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에 회수하고,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경화 회수 처리시 위조 경화, 외국 경화, 손상 정도가 기준 손상 정도를 초과한 손상 경화 등의 수입 불가능한 경화라고 판별된 경화를 제2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에 회수하고, 불필요한 경화 판별 동작이 요구되는 않으므로 유리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수단은 반드시 물리적 수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각 수단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하나의 수단의 기능이 둘 이상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수단의 기능이 하나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새롭게 발행된 금종의 경화를 용이하게 입출금할 수 있는 경화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면도,
도 3은 회전 원판의 근방의 상세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확대도,
도 4는 경화 선별 디바이스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경화 회수 박스의 근방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 입출금기의 제어계, 검출계, 구동계, 입력계 및 표시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7은 본체의 배면부에 장착된 경화 카세트로부터 경화를 장전하기 위한 경화 장전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단면도,
도 8은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제1의 경화 저장통 및 제2의 경화 저장통에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수요하기 위한 출금 경화 수용 처리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단면도,
도 9는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를 경화 저장 박스내로 수용하기 위한 경화 수용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단면도,
도 10은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되고 입출금 벨트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경화를 최종적으로 입금하기 위한 경화 입금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단면도,
도 11은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되고 입출금 벨트상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경화를 경화 입출금구로 반환하기 위한 입출금 취소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단면도,
도 12는 경화 입출금기로부터 경화를 출금하기 위한 출금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단면도,
도 13은 경화 입출금구에 출금었지만 오퍼레이터에 의해 회수되지 않고 남겨진 경화 또는 경화 입출금구에 반환되었지만 오퍼레이터에 의해 회수되지 않고 남겨진 입금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 내에 회수하기 위한 불수령 경화 회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단면도,
도 14는 업무의 종료후에 경화 입출금기에 수용된 경화를 경화 카세트 내에 회수하기 위한 경화 회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경화 입출금기의 개략 종측단면도.

Claims (11)

  1. 경화가 투입되고 출금될 수 있는 경화 입출금구와, 경화 통로에 설치되고,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 수단과, 수입가능한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단일의 경화 저장 박스와,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과, 경화 입출금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경화의 출금에 앞서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각 금종에 대해 소정 매수의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경화가 출금될 때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으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경화를 상기 경화 입출금구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 여부 및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 저장 박스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에 앞서 1회의 경화 출금 처리에 의해 출금되는 최대 출금액과 같은 금액의 경화를 1 출금 단위의 경화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합계 매수가 최소로 되도록,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기 위해 금종별의 경화를 선택하고, 경화의 출금에 앞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저장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에 앞서 2 이상의 출금단위의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경화 입출금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 출금처리 종료후에,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금종별의 매수가 출금된 경화의 매수와 같은 경화를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보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출금되어야 할 경화를 저장하기 위한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의 출금처리에 앞서 1 출금 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를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의 각각에 저장시키고,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1개로부터 경화를 선택적으로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1개로부터 취출된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도록 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경화를 상기 경화 입출금구로 출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경화를 출금시킴에 앞서 2 이상의 출금단위의 경화를 구성하는 경화를 상기 2 이상의 경화 저장 수단중 적어도 1개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화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내의 전방부 및 후방부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경화 카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화 카세트는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되어야 할 경화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경화의 입금처리 및 출금처리에 앞서 상기 경화 카세트에 수용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경화 카세트로부터 취출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의 여부 및 그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금종별의 경화의 매수를 계수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한 판별 및 계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카세트 및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를 이송하는 반송 벨트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반송 벨트가 상기 경화 입출금구를 통해 투입되고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에 수용된 경화와 상기 경화 저장 박스에 저장된 경화를 취출시키고, 상기 센서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1개의 경화 저장 수단으로부터 취출된 경화와 상기 경화 저장 박스로부터 취출된 경화가 수입가능한지의 여부 및 경화가 수용가능한 때는 경화의 금종을 판별시키고 경화의 금종별의 매수를 계수시키고, 수입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상기 경화 카세트 내에 수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11. 제 8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고 수입 불가능한 경화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수입 불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를 상기 수입 불가능 경화 회수 박스에 회수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KR10-2003-0034449A 2002-05-29 2003-05-29 경화 입출금기 KR100481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5949 2002-05-29
JP2002155949A JP4358481B2 (ja) 2002-05-29 2002-05-29 硬貨入出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128A KR20030093128A (ko) 2003-12-06
KR100481690B1 true KR100481690B1 (ko) 2005-04-07

Family

ID=2941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449A KR100481690B1 (ko) 2002-05-29 2003-05-29 경화 입출금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99214B2 (ko)
EP (1) EP1367544B1 (ko)
JP (1) JP4358481B2 (ko)
KR (1) KR100481690B1 (ko)
CN (1) CN1287333C (ko)
DE (1) DE60307364T2 (ko)
HK (1) HK1060425A1 (ko)
TW (1) TW5746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95513T1 (de) * 2004-01-15 2011-01-15 Jofemar Sa Gerät zum prüfen und zur ausgabe von münzen
US20050266787A1 (en) * 2004-05-25 2005-12-01 Kay Broaddus Token collector and dispenser
US7724743B2 (en) * 2005-03-31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VoIP data packets in group communications amou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CA2617257A1 (en) * 2005-08-02 2007-02-08 Telequip Corporation Coin handling system for validation, sorting, and dispensing coins
JP4684827B2 (ja) * 2005-09-27 2011-05-18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硬貨入金機
WO2007146705A2 (en) * 2006-06-09 2007-12-21 Mei, Inc. Batch re-load of a coin recycler
JP5018158B2 (ja) * 2007-03-19 2012-09-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入出金装置
JP5022815B2 (ja) * 2007-08-10 2012-09-12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EP2270755B1 (en) * 2008-04-24 2012-08-01 Glory Ltd. Coin processing device
GB0812627D0 (en) * 2008-07-10 2008-08-20 Money Controls Ltd Coin acceptor
WO2010106962A1 (ja) * 2009-03-19 2010-09-2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機
DE102009043944A1 (de) * 2009-09-03 2011-03-1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Münzverarbeitungsvorrichtung
ES2388257B1 (es) * 2011-03-15 2013-08-23 Boxiana Corporation Aparato reciclador de monedas adaptable a cajeros y autoservicio.
CN103959348A (zh) * 2011-05-13 2014-07-30 Ismi有限公司 自动投币式份额分配装置
KR101250657B1 (ko) * 2011-10-10 2013-04-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카세트 및 금융기기
TWI459327B (zh) * 2012-10-31 2014-11-01 Int Currency Tech How to check out the currency
CN103021063B (zh) * 2012-11-29 2016-02-03 苏州少士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硬币清分机
GB2514156A (en) * 2013-05-15 2014-11-19 Crane Payment Solutions Ltd Money item dispensing
EP2908294B1 (de) * 2014-02-14 2021-12-1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Münzsortiereinrichtung mit Überlaufauffangeinrichtung
JP6227453B2 (ja) * 2014-03-24 2017-11-0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JP6290045B2 (ja) * 2014-09-03 2018-03-07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CN104444305B (zh) * 2014-10-30 2017-01-11 芜湖杰诺科技有限公司 一种分选式输送装置
JP6790642B2 (ja) * 2016-09-16 2020-11-25 富士電機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CN108122325B (zh) * 2016-11-29 2021-07-30 富士电机株式会社 硬币检验装置
JP6969263B2 (ja) * 2016-11-29 2021-11-24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検銭装置
CN107170104B (zh) * 2017-06-05 2019-04-19 广州市银科电子有限公司 一种硬币处理设备及方法
EP4254368A3 (en) * 2018-11-01 2023-12-27 Asahi Seiko Co., Ltd. Coin deposit/disbursal device, coin elevation device, and coin elevation device of coin deposit/disbursal device
JP1643761S (ko) * 2019-03-04 2019-10-21
JP2021149758A (ja) * 2020-03-23 2021-09-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786A (ja) 1982-07-08 1984-01-19 株式会社湊製作所 硬貨自動入出金機
JPS599787A (ja) * 1982-07-09 1984-01-19 株式会社湊製作所 硬貨自動入出金機
US4558711A (en) * 1983-07-08 1985-12-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processing apparatus
WO1985000909A1 (en) 1983-08-12 1985-02-28 Commercial Guardian, Inc. Coin handling system
US5021026A (en) 1988-07-22 1991-06-04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TW208747B (ko) 1991-10-03 1993-07-01 Roreru Bank Machine Kk
GB9716326D0 (en) 1997-08-02 1997-10-08 Jpm Int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oin dispensing apparatus
GB2349496A (en) 1999-04-27 2000-11-01 Mars Inc Currency hand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46207A (ja) 2003-12-05
CN1287333C (zh) 2006-11-29
EP1367544A2 (en) 2003-12-03
US6899214B2 (en) 2005-05-31
TW200401232A (en) 2004-01-16
CN1469323A (zh) 2004-01-21
DE60307364T2 (de) 2006-11-30
TW574675B (en) 2004-02-01
JP4358481B2 (ja) 2009-11-04
KR20030093128A (ko) 2003-12-06
HK1060425A1 (en) 2004-08-06
EP1367544B1 (en) 2006-08-09
DE60307364D1 (de) 2006-09-21
US20030221933A1 (en) 2003-12-04
EP1367544A3 (en)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690B1 (ko) 경화 입출금기
WO2006070606A1 (ja) 硬貨入出金機
JPS61276090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JPS61276089A (ja) 紙葉類搬送制御装置
JPH0223912B2 (ko)
JPH11283074A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3423645B2 (ja) 硬貨入出金機
JPS6293133A (ja) 紙葉類収納繰出装置
JP4145521B2 (ja) 硬貨処理機
JPH08263720A (ja) 自動取引装置
JPS61287641A (ja) 自動出金装置
JP3872380B2 (ja) 硬貨入出金機
JPH0757129A (ja) 硬貨収納処理装置
WO2021106386A1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487053B2 (ja) 遊技媒体貸出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媒体補給器具
JP4953662B2 (ja) 紙幣搬送システム
JP4585887B2 (ja) 硬貨入出金機
JPS63242839A (ja) 自動取引装置
JP2600701Y2 (ja) 貨幣入出金機
KR0175306B1 (ko) 지폐입출금장치
JP4307821B2 (ja) 硬貨繰出装置及び硬貨処理装置
JP2023152348A (ja) 硬貨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846393B2 (ja) 紙幣搬送システム
JPH0387989A (ja) 現金入出金装置
JP2020140649A (ja) 硬貨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