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658B1 -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0658B1 KR100480658B1 KR10-2002-0019876A KR20020019876A KR100480658B1 KR 100480658 B1 KR100480658 B1 KR 100480658B1 KR 20020019876 A KR20020019876 A KR 20020019876A KR 100480658 B1 KR100480658 B1 KR 1004806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isposal site
- leachate
- coated
- sprink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287 sand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99 direct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13 diox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chlorine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33 de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1 electr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09 electro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1 environment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로부터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피복형 최종 처분장의 폐기물에 대하여 살수 장치에 의해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Ca 성분을 제거하고,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를 정석(晶析) 방법에 의해 탈염하며, 탈염수의 일부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순환시켜 재이용한다. 탈염수의 잔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생물 오니(汚泥)를 응집 침전시키며,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한 후,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한다. 이렇게 해서,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를 탈염하고, 탈염수를 처분장 내에서 순환시켜 재이용함으로써, 피복형 최종 처분장 내의 무해화,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복형, 즉 폐쇄 시스템의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의 처분에 대해, 피복형이 아닌 이른바 개방형의 처분장에서는, 빗물 때문에 침출수의 염소 이온 농도는 10000 ppm 전후이며, 따라서 침출수는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므로, 활성 오니법 등에 의해 유기물을 제거하고, 처리수를 방류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피복형의 최종 처분장에서는, 살수량은 우량(雨量)에 비하여 적고, 침출수의 농도는 해수의 농도보다도 높다. 이와 같이 염농도가 높아서 농작물에 염해(鹽害)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탈염 처리를 하지 않으면 방류할 수 없고, 또한 처분장 내에서 살수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염분이 순환하여 처분장 내부가 소위 염절이가 되기 때문에, 처분장 내의 무해화, 안정화를 달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한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피복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를 정석(晶析) 방법 또는 건조 방법에 의해 탈염하고, 탈염한 물을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피복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Ca 성분을 제거하고,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를 정석 방법에 의해 탈염하며, 탈염수의 일부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순환시켜 사용하는 동시에, 탈염수의 잔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생물 오니(汚泥)를 응집 침전시키며,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한 후,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피복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Ca 성분을 제거하고,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며, 생물 오니를 응집 침전시키고,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 후의 처리수를 정석 방법에 의해 탈염하며, 탈염수의 일부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동시에, 탈염수의 잔부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피복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Ca 성분을 제거하고,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를 드럼 드라이어 등의 직접 건조 방법에 의해 탈염하며, 탈염수의 일부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동시에, 탈염수의 잔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생물 오니를 응집 침전시키며,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한 후,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어느 방법의 경우에도 피복형 최종 처분장 내의 무해화,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로부터의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를 탈염하기 위해서는 증발법인 상기 정석 방법, 혹은 또 예컨대 드럼 드라이어, 디스크 드라이어, 스크레이프(scrape)식 열교환기 및 분무 건조기 등의 직접 건조법에 따르지만, 그 중에서도, 정석 방법에서는 이젝터를 사용하여 증기량을 반감시킬 수 있고, 에너지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또한 드럼 드라이어에 의한 건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출수의 염농도가 묽고, 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염고화(鹽固化) 설비에 도입하기 전에 증발 농축법, RO 농축법, 또는 전기 투석법에 의한 농축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에너지 절약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로부터의 침출수 처리에 있어서는, 침출수 중의 미량 유해 물질(특히 다이옥신이나 환경 호르몬 등)이 외부로 누설, 유출되지 않도록 배려한다. 또한, 반출하는 고화염에 대해서는 리사이클이나 처분 방법을 검토하고, 요구되는 성상(性狀)을 결정하여 그것에 따른 처리 방법을 채용해야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설명을 붙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중, 정석법에 의한 탈염 프로세스를 실시하고 있다.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의 최종 처분장에서, 폐기물을 안정화 및 무해화시키기 위해서는 피복된 폐기물에 살수를 행하지만, 피복형 즉 밀폐 시스템의 폐기물 최종 처분장에서는, 살수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침출수의 농도는 높고, 예컨대 침출수의 염소 이온 농도는 2배 정도로까지 되기 때문에, 탈염 고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침출수에 함유된 유기물량(BOD, COD 등)은 폐기물의 내용에 따라 크게 좌우되지만, 탈염수를 방류하기 위해서는 방류 기준을 만족시키는 유기물 제거 처리를 행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형 최종 처분장의 폐기물(1)에 대하여 살수 장치(2)에 의해 살수하고, 얻어진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3)를 탈염하는 것이지만,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우선 Ca(칼슘) 성분을 제거한다. 즉,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를 Ca 성분 제거 수조(水槽)에 도입하고, Na2CO3 및 응집제를 첨가한다. 이것에 의해 CaCO3가 침전하는 동시에, 유기물의 일부가 응집하여 침전하고, 이들 침전물을 탈수기로 탈수하며, 탈수에 의해 분리된 침전 오니를 소정의 외부 처분장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탈수에 의해 분리된 수분은 Ca 성분 제거 수조의 입구 부분으로 되돌려 침출수와 함께 재처리한다.
한편, Ca 성분 제거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Ca 성분 등이 제거된 후의 중간 처리수는 정석염 고화 장치에 도입한다.
또 여기서, 폐기물(1)에 대하여 살수 장치(2)로부터 살수하여 얻어지는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3)의 양을 「W」로 한 경우, Ca 성분 등이 제거되어 정석 염고화 장치에 도입되는 중간 처리수의 양도 W이며, 대개 동일한 양이다.
그런데, 폐기물의 침출수로부터 Ca 성분을 제거하는 것은 Ca 장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침출수에 Ca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전열관(傳熱管) 등으로의 스케일 부착이 많기 때문에, Ca 침전에 따른 전처리에 의해 이것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끊임없이 장치의 점검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Ca 성분뿐만 아니라, 실리카의 스케일 부착에도 유의해야 한다. 또 CaCO3의 침전 속도는 빠르지만, 수조 저부에 침전 고화하기 쉬우므로, 연속적으로 안정화시켜 배출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를 정석염 고화 장치에 도입하여 정석 방법에 의해 탈염한다. 여기서, 증발법인 정석 방법을 실시하는 데에 증기 이젝터를 사용한다. 공급하는 증기는 공업용수를 보일러에 도입하여 발생시킨 것으로, 그 양은 0.5 W 정도이다. 또한 이 경우, 침출수 중의 유기물이나 유해 미량 물질의 비산(飛散)에 유의할 필요가 있고, 진공 장치에 의해 흡인하면서, 될 수 있는 한 저온으로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석 장치의 용기 바닥으로부터 배출되는 고형염은 탈수기로 탈수하고, 탈수에 의해 분리된 고형염을 반출하여 소각 등의 가열 처리를 행하며, 얻어진 고순도 염은 외부로 반출한다.
또, 정석 장치에 있어서, 이젝터를 사용함으로써, 증기량을 반감시킬 수 있고, 에너지가 적게 들어서 유리하다. 또한, 정석 방법에서는, 염의 슬러리를 취급하기 때문에, 운전 조작에 다소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정석 장치의 용기 바닥에서는, 고형염에 의한 막힘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교반 등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배관 등은 유속을 적절하게 취하여 폐색을 방지한다. 또한 장치의 부하나 슬러리 농도를 적절한 값으로 하고, 일정한 값으로 운전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석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탈염수의 1.5 W 중, 1.0 W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리사이클, 즉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방류를 행하기 위해서, 탈염수의 잔부 0.5 W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생물 오니를 응집 침전시키며,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한 후,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한다.
또, 응집 침전 공정에 있어서 응집에 의해 침전한 침전물은 상기 CaCO3의 침전물의 탈수기로 보내어 거기서 CaCO3 침전물과 함께 탈수시킨다.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는 경우, 0.5 W의 처리수는 보일러를 경유하여 증기로 되어 상기 정석 장치의 이젝터에 공급된다. 혹은 또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는 경우, 0.5 W의 처리수는 냉각탑의 보급수로서 이용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에 따르면, 피복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를 탈염하고, 탈염수를 처분장 내에서 순환시켜 재이용함으로써, 피복형 최종 처분장 내의 무해화,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피복형 최종 처분장의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로부터의 침출수 처리 설비에서는, 염분 등 고농도의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스케일 부착, 막힘, 부식 등에 유의하는 동시에, 유기물이나 미량 유해 물질 등의 비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유지 관리를 행해야 한다.
예컨대 부식 방지에는, 높은 진공에서 저온의 프로세스 및 기기를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어쩔 수 없이 고온이 되는 경우는 염소 이온(Cl-)에 의한 피팅[点食], 응력 부식 균열에 대응할 수 있는 티탄 등의 재질을 사용한다. 특히, 전열관 등의 부식에 주의한다.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기 방식(防食)을 고려한다.
환경 보전에 대해서는, 유기물, 중금속, 다이옥신(이하, DXN이라 함) 등의 미량 유해 물질의 환경으로의 비산, 유출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유지 관리를 행하는 동시에, 정기적으로 환경 분석을 행한다. 방류수 중의 DXN에 대해서는 생물학적 처리,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에 의해 규제치의 10 pg-TEQ/L은 제거할 수 있지만, 또한, 추가로 규제가 있는 경우는 수중(水中) DXN 제거 장치를 설치한다.
생물학적 처리에 있어서는, 담수와 해수 모두에서 살아 숨쉴 수 있는 유기물 처리 미생물은 적기 때문에, 염분 농도는 일정하게 하고, 미생물의 순양(馴養)에 힘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로부터의 침출수 처리 방법 중, 생물학적 처리 후, 정석법에 의한 탈염 프로세스를 실시하고 있다.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를 직접 염고화 설비에 의해 처리하면, 생성염에 유기물이나 미량 유해 물질이 혼입하여 생성염의 효과적인 이용이나 리사이클, 또는 처분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 예상되고, 그 때문에 생성염의 가열 처리, 또는 소각 처리가 필요로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형 최종 처분장의 폐기물(1)에 대하여 살수 장치(2)에 의해 살수하고, 얻어진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3)를 탈염하는 것이지만,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우선 Ca 성분을 제거한다.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의 염농도가 높기 때문에, 생물학적 처리가 염장해에 의해 작용하지 않는 경우는, 염농도를 해수보다 묽게 또한 일정 농도가 되도록 탈염수로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Ca 성분 제거후의 중간 처리수(W)에 희석수(2W)를 가하고, 얻어진 혼합수(3W)를 생물학적 처리 설비에 도입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생물 오니를 응집 침전시키며,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리고,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 후의 처리수를 정석 염고화 장치에 도입하여 정석 방법에 의해 탈염한다. 여기서, 증발법인 정석 방법을 실시하는 데에 증기 이젝터를 사용한다. 공급하는 증기는 공업용수를 보일러에 도입하여 발생시킨 것으로, 그 양은 1.5 W 정도이다. 또한 이 경우, 진공 장치에 의해 흡인하면서, 가능한 한 저온으로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석 장치의 용기 바닥으로부터 배출되는 고화염은 탈수기로 탈수하고, 탈수에 의해 분리된 고형염을 반출하여 소각 등의 가열 처리를 행하며, 얻어진 고순도염은 외부로 반출한다.
또, 물 희석에 의해 처리수량이 수배 정도로까지 되면, 후단의 탈염의 염고화 설비 등이 커지고, 필요 에너지도 커지기 때문에, 물 희석에 의해 처리수량이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석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탈염수의 4.5 W중, 1.0 W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리사이클, 즉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동시에, 2.0 W를 생물학적 처리의 희석수로서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것이다. 잔부 1.5 W의 처리수는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한다.
또, 응집 침전 공정에 있어서 응집에 의해 침전한 침전물은 상기 CaCO3의 침전물의 탈수기로 보내어 거기서 CaCO3 침전물과 함께 탈수시킨다.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는 경우, 1.5 W의 처리수는 보일러를 경유하여 증기로 되어 상기 정석 장치의 이젝터로 공급된다. 혹은 또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는 경우, 1.5 W의 처리수는 냉각탑의 보급수로서 이용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에 따르면,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를 탈염하고, 탈염수를 처분장 내에서 순환시켜 재이용함으로써, 피복형 최종 처분장 내의 무해화,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로부터의 침출수 처리 방법 중, 진공식 드럼 드라이어에 의한 탈염 프로세스를 실시하고 있다.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중에 유기물이나 미량 유해 물질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침출수를 직접 염고화 설비에 의해 처리하면, 처리수량이 적고, 또한 처리 시간이 적게 들어서 유리하다.
그래서,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형 최종 처분장의 폐기물(1)에 대하여 살수 장치(2)에 의해 살수하고, 얻어진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3)를 탈염하는 것이지만,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우선 Ca 성분을 제거한다.
이어서,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 W를 드럼 드라이어로 이루어진 직접 염 고화 설비에 의해 처리하여 탈염한다.
드럼 드라이어로 이루어진 직접 건조 설비에 있어서는, 중간 처리수 중의 유기물이나 유해 미량 물질의 비산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예컨대 진공 조작의 드럼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등의 밀폐된 장치의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에너지의 소비량은 비교적 크고, 또한 보일러로부터 고압 증기를 도입하는 동시에, 드럼 드라이어에 의해 증발된 증기를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탑으로부터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여 탈염수를 얻는다. 또한 드럼 드라이어에서 고압 증기의 배출수는 보일러로 되돌려 재이용한다.
드럼 드라이어의 저부로부터 배출되는 고형염은 탈수기로 탈수하고, 탈수에 의해 분리된 고형염을 반출하여 소각 등의 가열 처리를 행하며, 얻어진 고순도염은 외부로 반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럼 드라이어의 저류부로부터의 탈염수 중, 1.0 W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리사이클, 즉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방류를 행하기 위해서, 탈염수의 잔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생물 오니를 응집 침전시키며,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한 후,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한다.
또, 응집 침전 공정에 있어서 응집에 의해 침전한 침전물은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상기 CaCO3의 침전물의 탈수기로 보내어, 거기서 CaCO3 침전물과 함께 탈수시킨다.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는 경우, 1.0 W의 처리수는 냉각탑의 보급수로서 이용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에 따르면,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를 탈염하고, 탈염수를 처분장 내에서 순환시켜 재이용함으로써, 피복형 최종 처분장내의 무해화,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에 따르면, 피복형 최종 처분장 내의 무해화, 안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정석법에 의한 탈염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생물학적 처리 후 정석법에 의한 탈염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진공식 드럼 드라이어에 의한 탈염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살수 장치
3 : 침출수
Claims (4)
- 삭제
-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피복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Ca 성분을 제거하고,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를 정석염 고화장치에 도입하여 증기 이젝터를 사용하는 증발법인 정석 방법에 의해 탈염하며, 탈염수의 일부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동시에, 탈염수의 잔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생물 오니를 응집 침전시키며,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한 후,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피복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Ca 성분을 제거하고,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며, 생물 오니를 응집 침전시키고,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 후의 처리수를 정석염 고화 장치에 도입하여 증기 이젝터를 사용하는 증발법인 정석 방법에 의해 탈염하며, 탈염수의 일부를 처분장내의 살수 용수로서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동시에, 탈염수의 잔부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서, 피복된 일반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에 살수하여 이것에 의해 생긴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침출수로부터 Ca 성분을 제거하고, Ca 성분 제거 후의 중간 처리수를 드럼 드라이어 등의 직접 건조 방법에 의해 탈염하며, 탈염수의 일부를 처분장 내의 살수 용수로서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동시에, 탈염수의 잔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이것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하고, 생물 오니를 응집 침전시키며, 또한, 모래 여과 및 활성탄 처리한 후, 처리수를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거나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115801 | 2001-04-13 | ||
JP2001115801A JP3742921B2 (ja) | 2001-04-13 | 2001-04-13 | 被覆型最終処分場における浸出水の処理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9593A KR20020079593A (ko) | 2002-10-19 |
KR100480658B1 true KR100480658B1 (ko) | 2005-04-06 |
Family
ID=1896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9876A KR100480658B1 (ko) | 2001-04-13 | 2002-04-12 |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742921B2 (ko) |
KR (1) | KR100480658B1 (ko) |
TW (1) | TWI24315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1468B1 (ko) | 2023-11-23 | 2024-10-02 | 환경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 폐수 재활용 처리설비 및 이를 사용한 폐수 재활용 처리공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6120B1 (ko) * | 2009-12-31 | 2010-05-07 |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
KR101103996B1 (ko) * | 2010-01-21 | 2012-01-06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이동식 이물질 수거장치 |
JP5346412B1 (ja) * | 2013-04-08 | 2013-11-20 | 株式会社フジコーポレーション | 浸出水処理システム |
JP6908361B2 (ja) * | 2016-08-18 | 2021-07-28 | フリーズ食品開発株式会社 | 脱塩装置及び脱塩食品の製造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5452A (ja) * | 1996-02-23 | 1997-09-02 | Kazuteru Shinohara | 廃棄物最終処分場の浸出水処理設備 |
JPH105714A (ja) * | 1996-06-24 | 1998-01-13 | Kubota Corp | 廃棄物最終処分場の有害物質除去方法 |
JPH10137757A (ja) * | 1996-11-11 | 1998-05-26 | Shinko Pantec Co Ltd |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
JPH1133533A (ja) * | 1997-07-16 | 1999-02-09 | Kubota Corp | ごみ焼却施設排水からの塩類分離方法 |
KR20010017298A (ko) * | 1999-08-10 | 2001-03-05 | 이구택 | 전기도금폐수 처리방법 |
-
2001
- 2001-04-13 JP JP2001115801A patent/JP374292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4-11 TW TW091107363A patent/TWI24315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4-12 KR KR10-2002-0019876A patent/KR1004806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5452A (ja) * | 1996-02-23 | 1997-09-02 | Kazuteru Shinohara | 廃棄物最終処分場の浸出水処理設備 |
JPH105714A (ja) * | 1996-06-24 | 1998-01-13 | Kubota Corp | 廃棄物最終処分場の有害物質除去方法 |
JPH10137757A (ja) * | 1996-11-11 | 1998-05-26 | Shinko Pantec Co Ltd |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
JPH1133533A (ja) * | 1997-07-16 | 1999-02-09 | Kubota Corp | ごみ焼却施設排水からの塩類分離方法 |
KR20010017298A (ko) * | 1999-08-10 | 2001-03-05 | 이구택 | 전기도금폐수 처리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1468B1 (ko) | 2023-11-23 | 2024-10-02 | 환경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 폐수 재활용 처리설비 및 이를 사용한 폐수 재활용 처리공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2307033A (ja) | 2002-10-22 |
KR20020079593A (ko) | 2002-10-19 |
TWI243155B (en) | 2005-11-11 |
JP3742921B2 (ja) | 2006-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20030012A1 (en) | Comprehensive waste treat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animal feeding operations to effectively recover waste solids for beneficial re-use and for treatment of wastewater for nutrient removal and recycle, re-use or discharge | |
CA2343832A1 (en) | Waste treatment system | |
US20090255863A1 (en) |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
US661685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circulating in open-circuit cooling systems | |
CN105198175A (zh) | 一种乐果农药生产废水的处理方法 | |
CN101628771B (zh) | 一种废水零排放的方法 | |
CN105254096A (zh) | 一种造气含氨含氰含酚的循环水预处理方法及装置 | |
KR100480658B1 (ko) | 피복형 최종 처분장에서의 침출수 처리 방법 | |
Masson et al. | Membrane 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purification of sewage: Secondary effluent for re-use at Eraring Power Station | |
KR101278475B1 (ko) | 선회류식 무기슬러지 분리배출장치와 생물반응조를 결합한 슬러지처리장치 | |
JP3673072B2 (ja) | 廃棄物処理装置 | |
JPH10202271A (ja) | フッ素、リン酸及び有機物含有廃水の処理方法 | |
KR20010029655A (ko) | 슬러지의 처리 방법 및 이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유기성폐수 처리 방법 | |
JP4007639B2 (ja) | 下水返流水の処理方法と装置 | |
KR0184304B1 (ko) | 부영양화 된 원수 정화처리방법 | |
JP2004074009A (ja) | 焼却灰廃棄物の安定化処理方法 | |
JP4531823B2 (ja) | 汚水処理用薬品を再利用する汚水処理装置及び汚水処理方法 | |
JP2001009495A (ja) | 有機性廃水処理方法 | |
JP3406149B2 (ja) | 廃棄物最終処分場の有害物質除去方法 | |
KR100689079B1 (ko) | 폐수처리장치와 이를 탑재한 폐수처리 차량 및 폐수처리방법 | |
KR200173545Y1 (ko) | 오폐수의 중수도화 장치 | |
KR20160003935A (ko) | 인 제거, 회수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533195B1 (ko) | 고농도 유기폐수의 무방류 처리시스템 | |
KR102564929B1 (ko) | 고농도 유기폐수의 무방류 처리시스템 | |
JP2005305253A (ja) | 汚泥の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