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542B1 -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 - Google Patents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542B1
KR100479542B1 KR10-2002-0055399A KR20020055399A KR100479542B1 KR 100479542 B1 KR100479542 B1 KR 100479542B1 KR 20020055399 A KR20020055399 A KR 20020055399A KR 100479542 B1 KR100479542 B1 KR 100479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power
corneal curvature
photodetector
measur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946A (ko
Inventor
조민수
권혁제
이규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KR10-2002-005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5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8Arrangement of plural eye-testing or -exami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7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the shape or measuring the curvature of the corn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굴절력 측정을 위한 굴절력 측정부, 각막 곡률 측정을 위한 각막곡률 측정부 및, 굴절력 측정부 및 각막곡률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구비한 각막-굴절계를 이용하여, 각막 곡률과 굴절력을 동시에 측정할 때, 중앙처리부가 굴절력 측정부의 굴절력 측정부 챠트의 위치를 이동시켜 망막에서 반사된 광을 굴절력 측정부의 광검출기에 이미지로 결상시킴과 동시에 각막에서 반사된 광을 각막곡률 측정부의 광검출기에 결상되도록 한 뒤, 각 광검출기에 결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각 굴절력 및 각막곡률을 병렬적으로 연산함으로써, 굴절력 및 각막 곡률의 동시 측정 시간을 굴절력 측정을 위한 굴절력 측정부의 광검출기의 이미지 결상 시간과 각막곡률 측정을 위한 각막곡률 측정부의 광검출기의 이미지를 이용한 연산 시간의 합의 수준으로, 대폭적으로 줄였다.

Description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Method for reducing measuring time of refractive power-corneal curvature in keratometer-refractometer}
본 발명은, 각막 곡률 및 굴절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막곡률과 굴절력을 동시에 측정하여, 이들의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각막곡률 및 굴절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막 곡률은 검안기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링 형의 광이 각막에서 반사되어 결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연산되며, 굴절력은 검안기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망막에서 반사되어 결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연산되는 값으로서, 이들은 별도의 장비에서 측정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각막 곡률 뿐만 아니라 피검자의 굴절력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복합 기능을 갖는 검안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복합 기능의 검안기를 각막-굴절계(Keratometer-Refractometer)라 칭한다. 이러한 각막-굴절계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 되어 있다.
도 1에서, 각막-굴절계는 피검안의 시선을 고정하며, 초점을 흐리게 하는 운무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챠트 이미지 생성부(20), 피검안(1)의 망막(3)에 굴절력 측정광을 주사하기 위한 측정 광원(10), 피검안(1)의 망막(3)에서 반사된 측정광이 입사 되는 측정광 검출기(12), 각막 곡률을 측정하기 위한 원형 측정광을 출사하는 마이어 링(5) 및 운무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피검안(1)의 망막(3)에서 반사된 챠트 이미지를 검출하며, 피검안의 각막 곡률을 측정하기 위해 피검안의 각막(2)에서 반사된 원형 이미지가 입사되는 광검출기(40)로 이루어진 광학 회로와, 상기 광학 회로를 제어하고, 광검출기(12, 40)의 이미지를 연산처리하여 각막곡률반경 및/또는 굴절력을 출력하는 중앙처리부(50) 및 각막곡률반경 및/또는 굴절력을 표시하는 모니터(52)를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각막-굴절계를 이용하여, 굴절력을 측정하는(이하에서는 "굴절력 측정 모드"라 칭한다.) 과정을 설명하면, 피검자의 안구가 측정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가측정을 한 다음, 안구가 측정 가능한 위치가 있을 경우에는, 이미지 생성부(20)의 램프(22)에서 출사된 가시광선이 챠트(24)를 통과하면서 이미지를 형성하고, 챠트(24)에서 형성된 이미지는 제1 릴레이렌즈(25), 반사미러(26), 제2 및 제3 릴레이 렌즈(27, 28), 제1 및 제2 빔스플리터(35,36)를 통하여 피검안(1)의 망막(3)에 챠트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때, 각막(2)에서 반사된 조명광에 의한 눈의 이미지는 제1 및 제2 빔 스플리터 미러(35, 36), 제3 릴레이렌즈(28), 제4 릴레이렌즈(37)를 거쳐 광검출기(40)로 입사된다. 광검출기(40)에서 눈의 이미지를 관찰하여 눈과 검안기의 광축을 일치시킨 후, 제1 릴레이렌즈(25)를 이동시켜 피검안(1)의 타겟에 초점을 맞춘다. 이와 같이 피검안(1)의 초점이 맞아 있는 상태에서, 중앙처리부(5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릴레이렌즈(25)의 위치를 이동시켜 피검안(1)의 초점이 맞지 않는 상태로 만드는 운무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운무과정을 거치면 피검안(1)의 수정체가 이완되고, 이 상태에서 측정광원(10)으로부터 굴절력 측정광을 출사한다. 측정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측정광은 제5 릴레이렌즈(11)에서 집속되어 홀미러(19)의 중심을 통과하며, 대물렌즈(34) 및 제1 빔스플리터 미러(35)를 거쳐 피검안(1)의 망막(3)으로 입사된다. 망막(3)에서 반사된 측정광은 제1 빔 스플리터 미러(35)를 거쳐, 홀미러(19)에서 반사되고, 6홀 플레이트(13)에서 6개의 측정광으로 분리된 다음, 제6 릴레이 렌즈(14)에서 집속되어, 광검출기(15)로 입사된다. 상기 6홀 플레이트(13)에서 분리된 6개의 측정광의 진행방향은 피검안(1)의 굴절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광검출기(15)에 형성된 6개의 측정광의 위치를 이용하여 중앙처리부(50)는 피검안(1)의 굴절력을 계산한다.
다음, 전술한 각막-굴절계를 사용하여, 피검안(1)의 각막 곡률을 측정(이하에서는 "각막곡률 측정 모드" 라한다.)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굴절력 측정 모드"에서와 같이, 피검자의 안구가 측정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가측정을 수행하여, 안구가 측정 가능한 위치가 있을 경우에, 이미지 생성부(20)의 챠트(24)의 이미지를 망막(3)에 형성하기 위한 과정 각막(2)에 조준광을 입사하여 검안기의 광축과 피검안의 동공축을 일치시키는 과정을 수행한 뒤, 피검안(1)의 전면에 장착된 마이어링(5)으로부터 원형광을 피검안(1)의 각막에 입사시켜서, 피검안(1)의 각막에서 반사된 빛이 제1 및 제2 빔 스플리터 미러(35, 36)를 통해 광검출기(40)로 입사되도록 하고, 중앙처리부(50)는 입사된 원형광의 찌그러진 정도로부터 피검안(1)의 각막곡률 반경을 연산한다.
그리고, 각막곡률과 굴절률 양자를 측정하고자 할 때(이하에서는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모드"라 칭한다.), 각막-굴절계는 중앙처리부(50)에 의해 전술한 굴절률 측정 과정을 수행한 뒤, 각막곡률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신호를 받은 뒤 각막 곡률 측정을 하므로, 각막곡률과 굴절률의 측정 시간은 각막곡률 측정 시간에 굴절률 측정 시간을 합한 결과가 되게 된다.
그런데, 각막곡률과 굴절력을 측정하는 동안에는 피검자는 계속 눈을 뜨고 있어야 하므로,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모드 시에는 피검자의 눈의 피로감이 더욱 부가되게 되며, 또한 검사자의 피로감도 더욱 부가되게 된다. 그리고,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모드 시에는 눈을 깜빡이게 될 확률이 증가하게 되어, 정확한 측정을 위해 재측정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궁극적으로 측정 시간을 계속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각막곡률-굴절률 측정 모드에서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막-굴절계를 이용하여 각막곡률과 굴절력을 동시 측정할 때, 이들의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굴절력 측정을 위한 제 1 광원,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고 피검자의 안구 망막에서 반사된 광이 결상되는 제 1 광검출기, 및 굴절력 측정을 위한 운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챠트를 구비한 굴절력 측정부, 각막 곡률 측정을 위한 제 2 광원,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고 상기 피검자의 각막에서 반사된 광이 결상되는 제 2 광검출기 및 오픈 샷 상태 또는 클로즈 샷 상태에서의 제 2 광검출기에 의한 각막 이미지 결상을 위한 셔터를 구비한 각막곡률 측정부 및, 상기 굴절력 측정부 및 상기 각막곡률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구비한 각막-굴절계를 이용하여, 각막 곡률과 굴절력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피검자의 안구가 각막 곡률 및 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후에, 상기 각막곡률 및 굴절력이 측정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피검자의 시선을 고정시키고, 피검자의 동공 중앙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조준한 뒤, 중앙처리부가 굴절력 측정부의 챠트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 1 광검출기에 이미지를 결상시킴과 동시에 각막곡률 측정부의 셔터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여 각막에서 반사된 오픈 샷 상태와 클로즈 샷 상태에서의 광을 제 2 광검출기에 결상시킨다. 이어서, 제 1 광검출기 및 상기 제 2 광검출기에 결상된 이미지로부터 각각 굴절력 및 각막곡률을 연산한다. 그런데, 제 1 광검출기에 이미지가 결상되는 시간은 제 2 광검출기에 이미지가 결상되는 시간 보다 길며, 제 1 광검출기의 이미지로부터 연산하는 시간은 제 2 광검출기의 이미지로부터 연산하는 시간 보다 짧아서, 굴절력 및 각막 곡률의 동시 측정 시간은 굴절력 측정을 위한 제 1 광검출기의 이미지 결상 시간과 각막곡률 측정을 위한 제 2 광검출기의 이미지를 이용한 연산 시간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각막-굴절계를 이용한 굴절력 및 각막곡률의 동시 측정 시간이 종래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게 되어 피검자 및 검사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각막-굴절계의 중앙처리부와 굴절력 측정용 챠트 및 각막곡률 측정용 셔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굴절계의 측정 시간 단축 과정의 이해를 돕기위한 도면이며, 도 3은 각막-굴절계에서 각막곡률 및 굴절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막곡률 및 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을 구현할 수 있는 각막-굴절계의 광학 회로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각종 광학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중앙처리부에 있어서, 종래의 각막-굴절계의 중앙처리부에는 각막곡률 굴절력 측정 모드 시, 각막곡률 측정 모드 시의 광학회로 제어와 굴절력 측정 모드 시의 광학회로 제어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굴절계의 중앙처리부에는, 각막곡률 굴절력 측정 모드 시에, 각막곡률 측정 모드 시의 광학회로 제어 굴절력 측정 모드 시의 광학회로 제어 병렬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동작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중앙처리부(50)는 도 1에 도시된 챠트 이미지 생성부(20)의 램프(22)의 온/오프, 측정광원(10)의 출사 여부, 그리고 각막 곡률 측정을 위한 마이어링(5)의 출사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광검출기(15, 40)의 이미지로부터 각막곡률 및/또는 굴절력을 연산하는 연산부(미도시) 외에도, 각막-굴절계의 측정 모드의 유형을 인식하는 동작 모드 인식부(50a)와 모드 인식 결과에 따라 측정 동작을 수행케 하되 특히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모드 시에는 이들 측정 동작을 독립적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 프로그램 모듈(50b)을 포함하고 있다.
"측정 동작을 독립적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면, 측정 항목이 오직 하나로 인식될 경우에는 그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동작을 하며 측정 항목이 2개 또는 복수 개 일 경우에는, 이러한 복수 개의 측정 항목의 값을 얻기 위한 동작의 공통부분을 1회 수행하고, 공통부분 이외의 부분에서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 측정 항목의 값을 얻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앙처리부(50)의 모드 인식부(50a)에서 각막-굴절계의 측정 모드가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모드인 것으로 인식되면, 중앙처리부(50)의 동작 프로그램 모듈(50b)은, 각막-굴절계의 광학 회로의 챠트 이미지 생성부(20)를 제어하여 가측정, 챠트 이미지를 망막에 포커싱하는 단계 및 안구로 입사되는 광과 안구의 동공축을 일치시키는 조준 단계를 수행시킨 뒤, 운무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챠트(24)를 이동시키도록 굴절계 모터 구동기(54) 및 모터(56)를 구동시킨다. 즉, 굴절계 모터 구동기(54)는 챠트(24)가 연결되어 있는 나사(59)를 움직여서 챠트(24)를 입사광의 경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서, 망막(3)에 결상된 챠트 이미지의 초점을 흐리며, 이때에 망막(3)에서 반사되어 광검출기(15)에서 결상된 이미지는 중앙처리부(50)에 의해 분석되고 모니터(52)에 굴절력 값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굴절력 측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굴절력 측정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운무법의 수행과 동시에, 중앙처리부(50)는 마이어링(5)으로부터 광을 출사시켜 광검출기(40)에 오픈 샷(open shot) 상태의 각막(2) 곡률 이미지가 결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50)는 오픈 샷 상태의 각막 이미지를 촬영 한 후, 바로 각막계 모터 구동기(60) 및 모터(62)를 동작시켜, 광검출기(40) 카메라의 바로 앞에 셔터(64)가 배치되도록 셔터(64)를 이동시켜, 광검출기(40)에 결상된 각막 이미지를 클로즈 샷(close shot) 상태로 만든다. 이와 같은 각막곡률 측정 방법도 통상적인 각막곡률 측정 방법과 동일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각막곡률을 측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측정 과정인 오픈 샷(open shot) 상태의 각막(2) 곡률 이미지 결상 단계가 상기 운무법의 수행과 동시에 실시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여기서 미 설명된 참조 번호 58은, 운무용 챠트가 움직일 때 원점을 잡기 위한 위치감지 센서이며 66은 클로즈 샷 상태를 만들기 위해, 광검출기(40)의 전면에 배치된 셔터(64)가 정확히 닫혔는지를 인식하는 센서이다.
이제 도 3을 참조로 하여, 각막-굴절계의 각막곡률-굴절 측정 모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각막곡률-굴절률 측정 모드로 하여 측정을 시작한다(S10). 먼저 가측정을 실시하여(S12) 피검자의 안구가 측정 가능한 위치에 있는 지를 파악한다(S14). 안구가 측정 가능한 위치가 있지 않을 경우에는 중앙처리부(50)를 거쳐 모니터(52)에 "측정 대상"이 없음이 표시된다(S16). 그런데 안구가 측정 가능한 위치가 있을 경우에는, 챠트 생성부(도 1의 2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시선을 고정시키고, 조준광을 조사시켜 피검자의 안구 동공중심과 검안기의 광축을 일치시킨다(S18). 다음, 중앙처리부(50)는 각막곡률의 반경을 측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즉, 마이어 링(5)으로부터 광을 출사시켜서, 광검출기(40)에 오픈 샷 이미지를 결상하고 이러한 오픈 샷 이미지를 저장하고(S20), 소정 시간 경과 후 중앙처리부(50)는 각막계 모터 구동기(60)와 모터(62)를 동작시켜, 셔터(64)를 광검출기(40)의 카메라 앞에 위치시켜 클로즈 샷 상태를 만들고, 클로즈 샷 상태의 이미지를 저장한다(S22). 오픈 샷 이미지 촬영 개시와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부(50)는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측정광원(10)으로부터 굴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광을 출사하도록 하고, 굴절계 모터 구동기(54) 및 모터(56)를 구동시켜, 챠트(24)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운무를 수행한 다음(S24), 굴절력의 실측정을 실시한다(S26). 그리고 중앙처리부(50)는 오픈 샷 이미지와 클로즈 샷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막 곡률 반경을 연산하고(S23), 또한 광검출기(15)에 결상된 이미지로부터 굴절력을 연산한다(S27).
한편, 전술한 굴절력 측정 동작 및 각막 곡률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굴절력 측정을 위해 운무를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각막 곡률 반경 측정을 위해 오픈 샷 이미지와 클로즈 샷 이미지를 촬영하는 데 걸리는 시간 보다 길게 소요된다(약 10%정도). 그런데, 각막곡률 연산 단계(S23)에서는 오픈 샷 및 클로즈 샷 이미지(2개의 이미지)를 처리해야 하는 반면, 굴절력 연산 단계(S27)에서는 하나의 이미지만이 처리되므로, 각막곡률 연산단계(S23)의 소요시간이 굴절력 연산단계(S27)의 소요시간보다 길게 된다. 이에 전체 동작 시간으로 보아 굴절력 측정 동작이 먼저 종료되게 되고, 이후에 바로 각막곡률 반경 측정 동작이 종료되게 된다. 따라서,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모드 시의 측정 시간은 굴절력 측정 시간과 각막곡률 반경 연산 시간의 합에 의존하게 되며, 이 값은 각막곡률측정시간, 각막곡률반경연산시간, 굴절력 측정 시간 및 굴절력 연산 시간의 합으로 되는 종래 방식에 따른 측정 시간에 비해 상당히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더군다나, 본 발명에서는 각막 곡률 및 굴절률 측정 단계 자체는 종래와 동일하면서도, 각막 곡률 및 굴절률 측정을 위한 선행 과정 즉, 가측정(S10), 시선 고정(S12) 및 검안기의 광축과 안구의 동공 중심의 일치(S18) 등과 같은 선행 단계를 2회에서 1회로 감소시키고, 나머지 굴절력 측정 단계 및 각막곡률 측정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각막곡률 및 굴절력의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굴절력의 연산 과정 이후에, 중앙처리부(50)는 연산된 굴절력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눈이 아닌 다른 부분에 반사된 환영(ghost)을 측정한 것이므로, 측정값이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살피고(S28), 후속하여 연산 완료되는 각막 곡률의 반경 측정값이 정해진 범위 내인지를 살피고(S32), 측정값이 정해진 범위내인 경우 측정값 모니터(52)에 출력하고(S36), 그렇지 않을 경우, 측정값이 정해진 범위 밖의 값임을 모니터(52)에 출력하고(S30, S34), 종료한다(S38).
한편, 각막-굴절계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각막 곡률만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중앙처리부(50)의 모드 인식부(50a)가 각막곡률 측정 모드를 인식하고, 동작프로그램모듈(50b)은 모드 인식부(50a)로부터 각막곡률 측정 모드를 알리는 신호를 받아서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막곡률을 측정한다. 즉, 가측정, 시선 고정 및 조준 과정(S12, S14, S18)을 거친 후에, 마이어링(5)으로부터 원형광을 출사시켜 광검출기(40)에 이미지가 결상되게 하여 오픈 샷 상태에서의 각막 곡률을 측정하게 한다(S20). 이어서 각막계 측정 모터 구동기(60)와 모터(62)를 동작시켜, 셔터(64)가 광검출기(40)의 카메라를 가리도록 이동시켜 클로즈 샷 상태의 각막 이미지를 촬영하고(S22), 오픈 샷 이미지와 클로즈 샷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막곡률을 연산한다(S23).
그리고, 각막-굴절계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굴절력만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중앙처리부(50)의 모드 인식부(50a)가 절력 측정 모드를 인식하고, 동작프로그램모듈(50b)은 모드 인식부(50a)로부터 굴절력 측정 모드를 알리는 신호를 받아서,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굴절력을 측정한다. 즉, 가측정 및 시선 고정 및 조준 과정(S12, S14, S18)을 거친 후에, 챠트 이미지 생성부(20)의 챠트(24)에 연동되어 있는 굴절계 모터 구동기(54)와 모터(56)를 동작시켜 망막(3)에 형성된 챠트 이미지의 초점을 흐리게 한 뒤(S24), 광원(10)으로부터 광을 출사시켜 광검출기(15)에 이미지를 결상시켜 굴절력을 실측정한다(S26). 다음, 광검출기(15)에 결상된 이미지로부터 굴절력을 연산한다(S27).
각막-굴절계를 이용하여 각막 곡률과 굴절력 양자의 측정값을 얻고자 할 때, 각 측정값을 얻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 또는 직렬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즉 굴절력 측정 과정을 수행한 후에 각막곡률 측정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굴절력 측정과정과 각막곡률 측정 과정을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진행함으로써, 각막 곡률과 굴절력을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동시에 측정해 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측정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피검자 및 검사자의 피로감을 덜 수 있게 되어서,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도 있고, 재측정을 하게 될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각막-굴절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일반적인 각막-굴절계의 중앙처리부와 굴절력 측정용 챠트 및 각막곡률 측정용 셔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굴절계의 측정 시간 단축 과정의 이해를 돕기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굴절계의 각막 곡률 및/또는 굴절력의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2)

  1. 굴절력 측정을 위한 제1 광원,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되고 피검자의 안구 망막에서 반사된 광이 결상되는 제1 광검출기, 및 굴절력 측정을 위한 운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챠트를 구비한 굴절력 측정부, 각막 곡률 측정을 위한 제2 광원,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고 상기 피검자의 각막에서 반사된 광이 결상되는 제2 광검출기, 및 오픈 샷 상태 또는 클로즈 샷 상태에서의 제2 광검출기에 의한 각막 이미지 결상을 위한 셔터를 구비한 각막곡률 측정부 및, 상기 굴절력 측정부 및 상기 각막곡률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구비한 각막-굴절계를 이용하여, 각막곡률과 굴절력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각막 곡률 및 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피검자의 안구 동공중심과 각막-굴절계의 광축을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굴절력 측정부의 챠트의 위치를 이동시켜 운무를 수행하고, 상기 제1 광검출기에 상기 피검자의 안구 망막에서 반사된 광의 이미지를 결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막곡률 측정부의 상기 셔터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각막에서 반사된 오픈 샷 상태와 클로즈 샷 상태에서의 광을 상기 제2 광검출기에 결상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광검출기 및 상기 제2 광검출기에 결상된 이미지로부터 각각 굴절력 및 각막곡률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굴절계를 이용한 각막 곡률과 굴절력의 동시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검출기에 이미지가 결상되는 시간은 상기 제2 광검출기에 이미지가 결상되는 시간 보다 길며, 상기 제1 광검출기의 이미지로부터 굴절력을 연산하는 시간은 상기 제2 광검출기의 이미지로부터 각막곡률을 연산하는 시간 보다 짧아서, 상기 굴절력 및 각막 곡률의 동시 측정 시간은 굴절력 측정을 위한 상기 제1 광검출기의 이미지 결상 시간과 각막곡률 측정을 위한 상기 제2 광검출기의 이미지를 이용한 연산 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굴절계를 이용한 각막 곡률과 굴절력의 동시 측정방법.
KR10-2002-0055399A 2002-09-12 2002-09-12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 KR100479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399A KR100479542B1 (ko) 2002-09-12 2002-09-12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399A KR100479542B1 (ko) 2002-09-12 2002-09-12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946A KR20040023946A (ko) 2004-03-20
KR100479542B1 true KR100479542B1 (ko) 2005-04-06

Family

ID=3732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399A KR100479542B1 (ko) 2002-09-12 2002-09-12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91B1 (ko) * 2006-10-12 2009-05-27 유니코스주식회사 검안기의 초점거리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084A (ja) * 1992-03-27 1993-10-19 Canon Inc 検眼装置
JPH05329104A (ja) * 1992-05-30 1993-12-14 Nidek Co Ltd 角膜形状測定装置
JPH06311965A (ja) * 1993-04-30 1994-11-08 Nidek Co Ltd 角膜形状測定装置
KR19990075162A (ko) * 1998-03-18 1999-10-15 이종수 다기능 검안장치
JP2000107130A (ja) * 1998-10-06 2000-04-18 Canon Inc 検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084A (ja) * 1992-03-27 1993-10-19 Canon Inc 検眼装置
JPH05329104A (ja) * 1992-05-30 1993-12-14 Nidek Co Ltd 角膜形状測定装置
JPH06311965A (ja) * 1993-04-30 1994-11-08 Nidek Co Ltd 角膜形状測定装置
KR19990075162A (ko) * 1998-03-18 1999-10-15 이종수 다기능 검안장치
JP2000107130A (ja) * 1998-10-06 2000-04-18 Canon Inc 検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946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7802B1 (en) Multifunctional ophthalmic measurement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0589753C (zh) 眼科装置
JP4907227B2 (ja) 眼内寸法測定装置
NL2006471C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serving an eye.
US20120057130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RU2565098C2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й способ
JP2001321340A (ja) 眼特性測定装置
US5280313A (en) Ophthalmic measuring apparatus
JP2012075647A (ja) 眼科測定装置
US20060146285A1 (en) Eye characteristics measuring system
JP4630126B2 (ja) 眼光学特性測定装置
JP4252288B2 (ja) 眼特性測定装置
KR100479542B1 (ko) 각막-굴절계에서의 각막곡률-굴절력 측정 시간 단축 방법
JPH067298A (ja) 眼屈折計
JPH05317256A (ja) 眼内寸法測定装置
JPH10276985A (ja) 眼球の光学的データの検査装置
JP3576656B2 (ja) 眼科器械用位置合わせ検出装置
CN112254936B (zh) 一种光路调校装置及调校方法
JP4231273B2 (ja) 眼特性測定装置
JP3206936B2 (ja) 眼屈折計
JP4653576B2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2010110371A (ja) 眼の計測装置、眼の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994225A (ja) 眼科測定装置
CN116439654A (zh) 一种用于对眼部进行检测的多功能光学检测仪
JPH03267039A (ja) 眼屈折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