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325B1 -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325B1
KR100479325B1 KR10-2002-0065398A KR20020065398A KR100479325B1 KR 100479325 B1 KR100479325 B1 KR 100479325B1 KR 20020065398 A KR20020065398 A KR 20020065398A KR 100479325 B1 KR100479325 B1 KR 10047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functional
pigment
low temperature
natural pi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389A (ko
Inventor
오경식
오호석
Original Assignee
오경식
오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식, 오호석 filed Critical 오경식
Priority to KR10-2002-006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32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23V2200/044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2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sis, electrical field treatment, with or without heating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색소를 쌀에 침투시켜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방법은 우선, 쌀의 표면에 묻어있는 미세 분말을 세척하고, 저온플라즈마와 자화기를 이용하여 쌀 표면을 미세 물 분자와 오존 등으로 활성화시키며, 물 분자 군집이 작은 자화수로 쌀을 부풀려 쌀의 조직을 이완시키고, 쌀의 내부까지 침투해 쌀의 조직을 이완시켜준 물을 제거하며, 색소를 용질에 10ppm-1000ppm까지 녹인후 필터링한 다음 가공된 쌀에 주입하고, 감압탈수된 쌀과 색소를 용기에 적당량 넣고 5㎏/㎠-15㎏/㎠까지 가압한 다음 1-5시간 후에 꺼내어주며,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저압저온 상태에서 쌀을 건조하여 주는 과정을 거치도록 된 것으로서,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색깔이 있는 밥을 지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색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고, 색깔이 있는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김밥, 초밥, 떡 등과 같은 다양한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를 촉진함은 물론 소비자의 식품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킴으로써 쌀소비를 촉진시켜 농촌발전이나 쌀에 대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A manufacturing process of a functional rice for using a natural coloring matter}
본 발명은 색깔을 갖는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이나 동물 등에서 추출한 천연색소를 쌀 내부까지 침투시켜 착색시킴으로써 외적미관이 뛰어난 쌀을 생산함과 더불어 이를 이용하여 여러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쌀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량자원으로서, 특히 동양권 대부분의 나라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의 식생활에서도 역시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대적이라 할 수 있고, 상기 쌀의 중요성은 기본적인 식생활 뿐만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데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쌀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지고 식생활이 고급화되면서, 건강식품이 첨가되거나 취반을 간편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상기 쌀에 차, 식물, 과일, 해초류 및 버섯 등과 같은 천연 물질을 처리함으로써 그들이 갖고 있는 영양소 및 맛을 쌀에 첨가한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 쌀에 감잎차, 녹차, 두충차 등의 차를 처리한 차쌀이 있고, 천연색소와 전분을 이용하여 백미의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 등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백미의 표면에 붙어있는 전분이 떨어져 나올 경우 쌀이 지저분해 질 수 있고, 단지 쌀의 표면만 코팅한 경우에는 밥을 했을 때 기본쌀의 소모가 많은 것이 아니라 기능성 쌀의 소모가 많게 되기 때문에 기능성 쌀을 생산하기 위한 원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기능성 쌀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외식산업에 밀려 쌀소비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국내의 쌀 생산과 쌀 수입은 증대되고 있지만 소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여 쌀의 재고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농민의 어려움이 증가될 뿐만아니라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자원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물이나 동물 등에서 추출한 천연색소를 쌀 내부까지 침투시켜 착색시킴으로써 외적미관이 뛰어난 쌀을 생산함과 더불어 이를 이용하여 여러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쌀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쌀의 표면에 묻어있는 미세 분말을 세척하는 쌀 세척단계;와, 저온플라즈마와 자화기를 이용하여 쌀 표면을 미세 물 분자와 오존 등으로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처리단계;와, 물 분자 군집(cluster)이 작은 자화수로 쌀을 부풀려 쌀의 조직을 이완시키는 팽윤단계;와, 쌀의 내부까지 침투해 쌀의 조직을 이완시켜준 물을 제거하는 감압탈수단계;와, 색소를 용질에 10ppm-1000ppm까지 녹인후 필터링한 다음 가공된 쌀에 주입하는 색소첨가단계;와, 감압탈수된 쌀과 색소를 용기에 적당량 넣고 5㎏/㎠-15㎏/㎠까지 가압한 다음 1-5시간 후에 꺼내어주는 가압침투단계; 및,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저압저온 상태에서 쌀을 건조하여 주는 쌀 건조단계;를 거치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기능성 쌀의 경우 약용식물이나 재배식물 및 동물 등에서 추출한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색깔로 물을 들여주는 것으로서, 천연색소를 쌀의 내부까지 침투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고, 소량의 기능성 쌀과 일반쌀을 섞어 밥을 지을 경우 색상이 선명한 밥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색깔이 있는 밥을 지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색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고, 색깔이 있는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김밥, 초밥, 떡 등과 같은 다양한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를 촉진함은 물론 소비자의 식품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킴으로써 쌀소비를 촉진시켜 농촌발전이나 쌀에 대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천연색소를 쌀에 침투시켜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방법은 우선, 쌀의 표면에 묻어있는 미세 분말을 세척하고, 저온플라즈마와 자화기를 이용하여 쌀 표면을 미세 물 분자와 오존 등으로 활성화시키며, 물 분자 군집이 작은 자화수로 쌀을 부풀려 쌀의 조직을 이완시키고, 쌀의 내부까지 침투해 쌀의 조직을 이완시켜준 물을 제거하며, 색소를 용질에 10ppm-1000ppm까지 녹인후 필터링한 다음 가공된 쌀에 주입하고, 감압탈수된 쌀과 색소를 용기에 적당량 넣고 5㎏/㎠-15㎏/㎠까지 가압한 다음 1-5시간 후에 꺼내어주며,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저압저온 상태에서 쌀을 건조하여 주는 과정을 거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쌀은 한약재 식물, 재배식물 등에서 추출한 색소를 쌀의 내부까지 보다 효율적으로 착색시켜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름다운 색을 쌀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쌀을 소량(전체 쌀에 대해 1%-10%) 첨가하여 밥을 하게 되면, 밥 전체가 원하는 색으로 착색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기능성 쌀의 경우 약용식물이나 재배식물 및 동물 등에서 추출한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색깔로 물을 들여주는 것으로서, 천연색소를 쌀의 내부까지 침투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고, 소량의 기능성 쌀과 일반쌀을 섞어 밥을 지을 경우 색상이 선명한 밥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기능성 쌀의 제조공정을 그 단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쌀 세척단계; 쌀의 표면에 묻어있는 미세 분말을 세척하는 것으로, 쌀 표면에 묻어 있는 미세 분말로 인해 색소의 소모량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유효 색소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이다.
활성화 처리단계; 저온플라즈마와 자화기를 이용하여 쌀 표면을 미세 물 분자와 오존 등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작게한 물을 이용하여 쌀 표면을 활성화하는 과정이다.
팽윤단계; 물 분자 군집이 작은 자화수로 쌀을 부풀려 쌀의 조직을 이완시키는 것으로, 색소가 쌀의 내부까지 빠르게 침투할 수 있도록 쌀을 부풀리는 과정이다.
감압탈수단계; 쌀의 내부까지 침투해 쌀의 조직을 이완시켜준 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적당한 수분유지를 하면서 감압탈수하는 과정이다.
색소첨가단계; 색소를 용질에 10ppm-1000ppm까지 녹인후 필터링한 다음 가공된 쌀에 주입하는 것으로, 색소는 순수한 색소 외에 불순물과 불용성 물질들을 제거함으로써 색소가 쌀 내부에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과정이다.
가압침투단계; 감압탈수된 쌀과 색소를 용기에 적당량 넣고 5㎏/㎠-15㎏/㎠까지 가압한 다음 1-5시간 후에 꺼내어주는 것으로, 쌀의 내부가 -압으로 감압된 상태에서 가압함과 동시에 색소를 침투시키기 때문에 단시간에 색소를 침투시킬 수 있는 과정이다.
쌀 건조단계;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저압저온 상태에서 쌀을 건조하여 주는 것으로, 쌀의 내부부터 건조가 진행되기 때문에 건조속도를 빠르게 하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상기 공정에 의해 기능성 쌀을 제조할 경우 치자 색소의 이용시 청색으로 변한 기능성 쌀이 70% 정도 되었고, 홍화꽃에서 추출한 색소를 첨가한 경우에는 노란색으로 변한 기능성 쌀이 70% 정도 되었으며, 홍국의 색소를 첨가한 경우에는 적색으로 변한 기능성 쌀이 80% 정도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색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김밥, 초밥, 떡, 떡볶이, 쌀과자 등 쌀로서 개발할 수 있는 식품의 전반에 적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시각을 미각으로 연결시켜 상기 쌀 식품의 소비를 증가시키게 되고, 결국 쌀 소비를 증가시킴으로써 국가경제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색깔이 있는 밥을 지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색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고, 색깔이 있는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김밥, 초밥, 떡 등과 같은 다양한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를 촉진함은 물론 소비자의 식품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기능성 쌀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킴으로써 쌀소비를 촉진시켜 농촌발전이나 쌀에 대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

  1. 쌀의 표면에 묻어있는 미세 분말을 세척하는 쌀 세척단계;와
    저온플라즈마와 자화기를 이용하여 쌀 표면을 미세 물 분자와 오존 등으로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처리단계;와
    물 분자 군집이 작은 자화수로 쌀을 부풀려 쌀의 조직을 이완시키는 팽윤단계;와
    쌀의 내부까지 침투해 쌀의 조직을 이완시켜준 물을 제거하는 감압탈수단계;와
    색소를 용질에 10ppm-1000ppm까지 녹인후 필터링한 다음 가공된 쌀에 주입하는 색소첨가단계;와
    감압탈수된 쌀과 색소를 용기에 적당량 넣고 5㎏/㎠-15㎏/㎠까지 가압한 다음 1-5시간 후에 꺼내어주는 가압침투단계; 및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저압저온 상태에서 쌀을 건조하여 주는 쌀 건조단계;를 거치도록 된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KR10-2002-0065398A 2002-10-25 2002-10-25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KR10047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398A KR100479325B1 (ko) 2002-10-25 2002-10-25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398A KR100479325B1 (ko) 2002-10-25 2002-10-25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389A KR20040036389A (ko) 2004-04-30
KR100479325B1 true KR100479325B1 (ko) 2005-03-31

Family

ID=3733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398A KR100479325B1 (ko) 2002-10-25 2002-10-25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309A (zh) * 2012-04-28 2012-09-12 广州玺明机械有限公司 一种保鲜米饭的加工方法
KR101487091B1 (ko) * 2013-07-08 2015-01-27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쌀 제조 방법
CN111657421A (zh) * 2020-05-11 2020-09-15 国家粮食和物资储备局科学研究院 冷等离子体处理大米的方法在改善大米品质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389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7806B (zh) 一种含有天然色素和果香的腌渍萝卜制作方法
CN105382899B (zh) 一种以苋菜为染色剂的竹材染色方法
CN103652252B (zh) 一种鲜花梅及其制备方法
CN103719766A (zh) 一种山楂片的加工工艺
CN105495432A (zh) 红油竹笋的制备方法
KR100479325B1 (ko) 천연색소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CN105995413A (zh) 一种民族特色五彩糯米饭的制备方法
CN105165967A (zh) 一种樱花洛神花糕点及其制备方法
CN104855631B (zh) 一种蓝莓保健茶及其制作方法
CN1084164C (zh) 高碘钙海带酱油
JP7076058B2 (ja) 藍葉加工産物を含有する着色料
KR101155082B1 (ko) 해초샐러드 제조방법
CN103773070A (zh) 一种制备亮天蓝色麦秸秆染料及生产方法
KR20130080991A (ko) 소나무류 수피 추출물을 이용한 목재류의 천연염색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염색목재
JP2012217407A (ja) 海藻食品の製造方法
CN104877877A (zh) 一种玫瑰蜜酒的配制方法
TWI622354B (zh) 變色麵條之製作方法
KR102264052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침지액을 이용한 착색미의 제조 방법 및 그 착색미
KR20120033399A (ko) 오색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JP2537420B2 (ja) 着色こんにゃく食品
KR101938186B1 (ko) 착색식물편 및 이의 가공방법
CN104664316A (zh) 一种芽菜酱油及其制备方法
CN1110521A (zh) 菜素粉丝及加工工艺
KR100826894B1 (ko) 마늘성분을 함유하는 쌀의 제조방법
KR20170136953A (ko) 착색 아몬드슬라이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아몬드슬라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