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387B1 - 띠톱날 - Google Patents

띠톱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387B1
KR100478387B1 KR1019970008086A KR19970008086A KR100478387B1 KR 100478387 B1 KR100478387 B1 KR 100478387B1 KR 1019970008086 A KR1019970008086 A KR 1019970008086A KR 19970008086 A KR19970008086 A KR 19970008086A KR 100478387 B1 KR100478387 B1 KR 100478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tooth
virtual
teeth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츠지모토
이와오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아마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마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97000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38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awing (AREA)

Abstract

[과제]
절삭이 어려운 재질의 절단에 있어서, 소직경재와 대직경재에서 절단할 수 있는 절단면적의 차이를 적게 함과 아울러, 절삭저항을 감소시켜 절곡 및 소음의 억제를 도모한다.
[해결수단]
띠톱날(1)은 동체부(3)의 배면에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 상의 톱날 배면(5)을 구비하고,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톱날 배면(5)에 형성한 웨이브의 모양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L1, L2)을 형성하고, 이 가상곡선(L1, 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2S, 4R, 6L, 8R, 10L)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삭이 어려운 재질의 절단에 있어서, 소직경재와 대직경재에서 절단할 수 있는 절단면적의 차이를 적게 함과 아울러, 절삭저항을 감소시켜 절곡 및 소음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띠톱날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이 어려운 재질의 절단에 있어서, 소직경재와 대직경재에서 절단할 수 있는 절단면적의 차이를 적게 함과 아울러, 절삭저항을 감소시켜 절곡 및 소음의 억제를 도모한 띠톱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띠톱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피절단재의 절단시에 있어서 절곡 및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띠톱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띠톱날의 전형적인 것으로는, 띠폭이 일정하고, 좌우의 각 세트톱니에서의 좌우의 세트굽힘량이 일정한 띠톱날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띠톱날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공경화를 일으키기 쉬운 절삭이 어려운 재질의 절단시에는, 절삭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절삭이 어려운 재질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재료의 절삭시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띠톱날의 톱니의 고저차, 세트굽힘량 및 피치를 바꾸는 등, 다양한 띠톱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419554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띠폭이 일정하고 띠폭방향으로 웨이브형상을 갖춘 띠톱날이나, 다른 예로 미국특허 4557172호(대응 특공소 61-5073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톱니 높이에 고저차를 마련한 띠톱날이나, 미국특허 4727788호(대응 특공평 7-24973호) 및 미국특허 4813324호(대응 특공평 7-4146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톱니 높이에 고저차를 마련하고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의 세트폭을 크게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띠톱날이 알려져 있다. 또한, 미국특허 5094135호(대응 특개평 2-279209)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톱날 배면이 직선적이고 톱날의 톱니끝이 가상곡선상에 일치하는 웨이브형상을 갖춘 띠톱날 등도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띠톱날에서는, 예를 들면,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소직경재의 절단에서는, 띠톱날의 톱니 끝에 이용되고 있는 톱니 재료가 동일하면, 전술한 미국특허 4195543호, 4813324호, 5094135호의 띠톱날이여도, 절단할 수 있는 누계 절단면적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대직경재의 절단에 있어서는, 각각의 띠톱날에서 현저한 차가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에 관해서 종래의 개량한 띠톱날로 절단을 한 경우에 절단할 수 있는 절단면적과, 소직경재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면적을 비교하면, 대직경재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면적이 현저하게 적은 것이 현 상황이다.
또한, 상기 미국특허 4195543호에 기재된 띠톱날에서는, 톱날 배면과 톱니 끝은 웨이브형상이기는 하지만, 잘라낸 부스러기는 세분화되지 않는다. 상기 미국 특허 4813324호에 기재된 띠톱날에서는, 잘라낸 부스러기는 세분화되지만 웨이브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절삭길이는 짧아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미국특허 5094135호에 기재된 띠톱날에서는,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톱니 끝측에만 가상곡선에 일치하는 웨이브형상을 갖춘 구성이기 때문에, 절삭길이를 짧게 하는 효과는 작고,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2항에 의한 발명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을 구비하고,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상기 톱날 배면에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보다 큰 구성이다.
청구항 3항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좌우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청구항 2 및 3항에 의한 발명의 띠톱날로 함으로써, 이 띠톱날에 의해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이 톱날의 백업 가이드를 따라 요동하기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커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진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절삭저항이 감소되고 소음이 억제됨과 아울러, 절곡을 잘 발생시키지 않게 절삭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4항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도브테일(dovetail) 세트 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 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청구항 4항에 의한 발명의 띠톱날은, 전술한 청구항 3항에서 채용된 좌우세트톱니를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바꾼 것이기 때문에, 그 기본적인 작용효과는 전술한 것과 완전히 동일하지만,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함으로써, 절단면의 유레이모양이 아주 작아지고, 절단면이 깨끗하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청구항 6항에 의한 발명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상기 톱날 배면에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보다 큰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청구항 7항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6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좌우 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청구항 6 및 7항에 의한 발명의 띠톱날로 함으로써, 이 띠톱날에 의해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이 톱날의 백업 가이드를 따라 요동하기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커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진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절삭저항이 감소되고, 소음이 억제됨과 아울러, 절곡을 잘 발생시키지 않게 절삭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8항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6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청구항 8항에 의한 발명의 띠톱날은, 전술한 청구항 7항에서 채용된 좌우세트톱니를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바꾼 것이기 때문에, 그 작용효과는 전술한 것과 완전히 동일하지만,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함으로써, 절단면의 유레이모양이 아주 작아지고, 절단면이 깨끗하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항에 의한 발명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을 구비하고,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톱날 배면과는 상관성 또는 동기성을 갖지 않고 서로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상기 톱날 배면에 먼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보다 큰 띠톱날이다.
청구항 11항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0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좌우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띠톱날이다.
청구항 12항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0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띠톱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띠톱날(1)는 동체부(3)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띠톱날(1)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5)을 구비하고,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톱날 배면(5)에 형성한 웨이브상의 모양에 병행하는 제1의 가상곡선(L1)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2S, 6L, 8R)의 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1의 가상곡선(L1)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4R, 10L)의 군을 구비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각 톱니(2S, 6L, 8R)의 톱니 선단을 원활한 곡선으로 연결하면,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병행하는 제1의 가상곡선(L1)이 얻어지는 것이고, 또한, 각 톱니 (4R, 10L)의 톱니 선단을 원활한 곡선으로 연결하면, 제1의 가상곡선(L1)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곡선(L2)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의 가상곡선(L1)은 외측에 위치하고, 제2의 가상곡선(L2)은 톱날 배면(5)에 가까운 내측으로 위치하므로, 제1의 가상곡선(L1)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2S, 6L, 8R)은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이고, 제2의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4R, 10L)은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이다.
또한, 가상곡선은 L1, L2의 2개를 채용했으나, 예를 들면,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톱니 높이가 중간인 톱니를 설치한 경우에는, 가상곡선은 3개가 된다. 즉, 톱니 높이가 여러가지로 다른 톱니군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상곡선의 갯수는 여러가지 높이의 톱니군의 수에 따른 복수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띠톱날(1)에 있어서, 톱니(2S)는 좌우의 세트굽힘을 하지 않은 평톱니이고, 톱니(4R, 8R)은 우 세트굽힘을 한 우 세트톱니, 톱니(6L,10L)은 좌 세트굽힘을 한 좌 세트톱니이다. 도 1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제1의 가상곡선(L1)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6L, 8R)의 좌우의 세트폭(A1)보다, 제2의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4R, 10L)의 좌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즉, 톱니높이가 다른 복수의 톱니군에 있어서,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의 세트폭(A1)보다,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을 크게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톱날 배면(5)의 웨이브 또는 복수의 가상곡선(L1, L2)의 진폭이 0.1∼3.0㎜로, 가상곡선(L1)과 가상곡선(L2) 사이의 거리는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가상곡선(L1, L2)과 복수의 톱니군 사이에 규칙적인 관련성을 마련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가상곡선의 정상부에 평톱니(2S)가 일치하는 규칙적인 관련성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트의 굽힘을 좌우로 한 좌우 세트 톱니(4R, 6L, 8R, 10L)로 하였지만, 이 좌우 세트톱니 대신에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띠톱날(1)에 의해 대직경재인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5)이 띠톱날(1)의 백업가이드를 따라 요동하기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4R, 10L) 의 세트폭(A2)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잘삭저항이 감소되고, 소음이 억제됨과 아울러, 절곡이 잘 발생되지 않게 절삭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띠톱날(1)로 절삭한 시험결과의 일례를 아래에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SUS304의 직경 100㎜의 중실재를 피절단재로 하여 시험을 하였다. 또한, 이 시험에 이용된 띠톱날을 살펴보면, 띠톱날 A는 띠폭이 일정하고 웨이브형상이 아니며, 또한 톱니의 선단의 고저차가 없고, 또한 좌우의 세트폭이 일정한 일반적인 종래의 띠톱날이며, 띠톱날 B는 미국특허 4195543호에 개시되어 있는 띠톱날과 동일한 구성의 띠톱날이며, 띠톱날 C는 미국 특허 4813324호에 개시되어 있는 띠톱날과 동일한 구성의 띠톱날이며, 띠톱날 D는 미국특허 5094135호에 개시되어 있는 띠톱날과 동일한 구성의 띠톱날이며, 띠톱날 E는 본 발명의 도 1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띠톱날이다. 또한, 이 시험에서는, 띠톱반, 톱니의 재료, 톱니의 재료경도, 절단속도, 절삭율, 절삭유 등의 시험환경 및 시험조건은 가능한 통일하여 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5종류의 띠톱날 A, B, C, D, E에 의해 절단할 수 있었던 피절단재의 절삭단면적을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바와 같이, 5종류의 띠톱날중의 어느 것이나 큰 차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피절단재가 직경 100㎜의 비교적 소직경재였기 때문에, 절삭저항이 비교적 작고, 절삭저항을 작게 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띠톱날 B, C, D, E의 특징이 나타나기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이 실험결과는,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SUS304의 직경 400㎜의 중실재를 피절단재로 하여 시험을 하였다. 이 시험에 이용된 띠톱날, 시험환경 및 시험조건 등은 도 2에 나타낸 시험시와 동일하다. 결과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5종류의 띠톱날 A, B, C, D, E에 의해 절단할 수 있었던 피절단재의 단면적을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종류의 띠톱날A, B, C, D, E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난다. 특히 본 발명의 띠톱날 E는 종래의 띠톱날 A에 비하여 4배 이상이나 양호하고, 예측한 바를 넘는다고도 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졌다.
다음으로, 도 4에는 전술한 도 2와 도 3의 결과를 일람표로 하여, 5종류의 띠톱날 A, B, C, D, E에 관하여, 비교적 대직경재인 직경 400㎜와 비교적 소직경재인 직경 100㎜의 피절단재를 절단할 수 있었던 단면적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띠톱날 E는 소직경재를 절단할 수 있었던 단면적의 74.2%에 달하고 있어, 종래의 띠톱날 A의 경우의 17.2%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있고, 2번째로 양호했던 띠톱날 D의 경우의 56.5%에 비해서도 상당히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효과를 고찰해보면, 톱날 E의 구성은, 톱날 배면(5)에 웨이브상의 모양을 갖춘 구성이기 때문에, 피절단재의 절삭시에, 띠톱반에서의 좌우의 톱날 가이드의 백업 가이드에 톱날 배면(5)이 안내될 때 띠톱날(1)에 좌우의 톱날 가이드 폭과 톱날 배면의 웨이브상의 모양과의 관계로 결정되는 요동이 발생하게 되고, 피절단재가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톱니측에도 웨이브 상의 모양을 갖춘 구성이기 때문에, 피절단재를 컷팅할 때에 진동절삭적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의 세트폭을 크게 형성하였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져, 각 톱니에 발생하는 부하가 경감된다. 이상과 같은 효과가 동시에 발생하는 상승효과에 의해, 직경이 큰 피절단재에 대해서도 비교적 큰 컷팅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공경화층을 문지르는 일없이, 가공경화층 이상의 깊은 컷팅이 이루어져 절삭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띠톱날(1)의 톱날 배면(5) 및 톱니측의 양방으로 웨이브상의 모양을 형성함과 아울러, 톱니 높이가 낮은 톱날의 세트폭을 크게 한 것에 의한 3요소의 상승효과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양호한 절삭이 이루어져 특이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띠톱날(1)의 톱날 배면(5)에 웨이브상의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띠톱날(1)의 요동을 효과적으로 행하는 데는, 좌우의 톱날 가이드의 백업 가이드의 간격을 W로 하고, 톱날 배면(5)의 웨이브상의 모양의 주기를 P로 하면, W=np/2(n은 정의 홀수)의 관계로 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띠톱날(1)은, 동체부(3)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띠톱날(1)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5)을 구비하고,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병행하는 제1의 가상직선(L3)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2S, 6L, 8R)의 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1의 가상직선(L3)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4R, 10L)의 군을 구비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각 톱니(2S, 6L, 8R)의 톱니 선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제1의 가상직선(L3)이 얻어지는 것이고, 또한, 각 톱니 (4R, 10L)의 톱니 선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제1의 가상직선(L3)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직선(L4)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의 가상직선(L3)은 외측에 위치하고, 제2의 가상직선(L4)은 내측에 위치하므로, 제1의 가상직선(L3)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2S, 6L, 8R)은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이고, 제2의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4R, 10L)은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직선(L3, L4)은 2개이지만, 예를 들면, 톱니 높이가 중간인 톱니를 설치한 경우에는, 가상곡선은 3개가 된다. 즉, 톱니 높이가 여러가지로 다른 톱니군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상직선의 갯수는 여러가지 높이의 톱니군의 수에 따른 복수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띠톱날(1)에 있어서, 톱니(2S)는 좌우의 세트굽힘을 하지 않은 평톱니이고, 톱니(4R, 8R)은 우 세트굽힘을 한 우 세트톱니, 톱니(6L,10L)은 좌 세트굽힘한 좌 세트톱니이다. 도 5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제1의 가상직선(L3)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6L, 8R)의 좌우의 세트폭(A1)보다, 제2의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4R, 10L)의 좌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즉, 톱니높이가 다른 복수의 톱니군에 있어서,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의 세트폭(A1)보다,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을 크게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톱날 배면(5)의 웨이브의 진폭이 0.1∼3.0㎜로, 가상직선(L3)과 가상직선(L4) 사이의 거리는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트의 굽힘을 좌우로 한 좌우 세트 톱니(4R, 6L, 8R, 10L)로 하였지만, 이 좌우 세트톱니 대신에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띠톱날(1)에 의해 대직경재인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전술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띠톱날(1)의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5)이 띠톱날(1)의 백업 가이드를 따라 요동한다. 이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4R, 10L)의 세트폭(A2)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절삭저항이 감소되고 소음이 억제됨과 아울러, 절곡이 잘 발생되지 않게 절삭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는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띠톱날(1)은 동체부(3)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띠톱날(1)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5A, 5B)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5)을 구비하고, 웨이브(5A)는 소 웨이브이고, 웨이브(5B)는 대 웨이브로 되어 있어, 웨이브(5B)의 모양에 따라서 웨이브(5A)는 형성되어 있다. 이 웨이브(5A)에 병행하는 제1의 가상곡선(L5)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2S, 6L, 8R)의 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1의 가상곡선(L5)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곡선(L6)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4R, 10L)의 군을 구비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각 톱니(2S, 6L, 8R)의 톱니 선단을 원활한 곡선으로 연결하면, 웨이브(5A)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병행하는 제1의 가상곡선(L5)이 얻어지는 것이고, 또한, 각 톱니 (4R, 10L)의 톱니 선단을 원활한 곡선으로 연결하면, 제1의 가상곡선(L5)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곡선(L6)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의 가상곡선(L5)은 외측에 위치하고, 제2의 가상곡선(L6)은 내측에 위치하므로, 제1의 가상곡선(L5)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2S, 6L, 8R)은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이고, 제2의 가상곡선(L6)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4R, 10L)은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이다.
또한, 가상곡선은 L5, L6의 2개를 채용했으나, 예를 들면,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톱니 높이가 중간인 톱니를 설치한 경우에는, 가상곡선은 3개가 된다. 즉, 톱니의 높이가 여러가지로 다른 톱니군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상곡선의 갯수는 여러가지 높이의 톱니군의 수에 따른 복수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띠톱날(1)에 있어서, 톱니(2S)는 좌우의 세트굽힘을 하지 않은 평톱니이고, 톱니(4R, 8R)은 우 세트굽힘을 한 우 세트톱니, 톱니(6L,10L)은 좌 세트굽힘을 한 좌 세트톱니이다. 도 6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제1의 가상곡선(L5)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6L, 8R)의 좌우의 세트폭(A1)보다, 제2의 가상곡선(L6)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4R, 10L)의 좌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즉, 톱니높이가 다른 복수의 톱니군에 있어서,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의 세트폭(A1)보다,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곡선(L6)에 톱니 선단이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을 크게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톱날 배면(5)의 웨이브(5A, 5B) 또는 복수의 가상곡선(L5, L6)의 진폭이 0.1∼3.0㎜로, 가상곡선(L5)과 가상곡선(L6) 사이의 거리는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가상곡선(L5, L6)과 복수의 톱니군 사이에 규칙적인 관련성을 마련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가상곡선(L5)의 정상부에 평톱니(2S)가 거의 일치하는 규칙적인 관련성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트의 굽힘을 좌우로 한 좌우 세트 톱니(4R, 6L, 8R, 10L)로 하였지만, 이 좌우 세트톱니 대신에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띠톱날(1)에 의해 대직경재인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5A, 5B)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5)이 띠톱날의 백업 가이드를 따라 요동하기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곡선(L6)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4R, 10L)의 세트폭(A2)이 커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잘삭저항이 감소되고, 띠톱날(1)의 공진(共振)에 의한 소음의 증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아울러, 절곡이 잘 발생되지 않게 절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띠톱날(1)은 동체부(3)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띠톱날(1)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5A, 5B)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5)을 구비하고, 웨이브(5A)는 소 웨이브이고, 웨이브(5B)는 대 웨이브로 되어 있어, 웨이브(5B)의 모양에 따라서 웨이브(5A)는 형성되어 있다. 이 웨이브(5B)에 병행하는 제1의 가상곡선(L1)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2S, 6L, 8R)의 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1의 가상곡선(L1)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4R, 10L)의 군을 구비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각 톱니(2S, 6L, 8R)의 톱니 선단을 원활한 곡선으로 연결하면, 웨이브(5B)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병행하는 제1의 가상곡선(L1)이 얻어지는 것이고, 또한, 각 톱니(4R, 10L)의 톱니 선단을 원활한 곡선으로 연결하면, 제1의 가상곡선(L1)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곡선(L2)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의 가상곡선(L1)은 외측에 위치하고, 제2의 가상곡선(L2)은 내측에 위치하므로, 제1의 가상곡선(L1)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2S, 6L, 8R)은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이고, 제2의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4R, 10L)은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이다.
또한, 가상곡선은 L1, L2의 2개를 채용했으나, 예를 들면,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톱니 높이가 중간인 톱니를 설치한 경우에는, 가상곡선은 3개가 된다. 즉, 톱니의 높이가 여러가지로 다른 톱니군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상곡선의 갯수는 여러가지 높이의 톱니군의 수에 따른 복수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띠톱날(1)에 있어서, 톱니(2S)는 좌우의 세트굽힘을 하지 않은 평톱니이고, 톱니(4R, 8R)은 우 세트굽힘을 한 우 세트톱니, 톱니(6L,10L)은 좌 세트굽힘을 한 좌 세트톱니이다. 도 7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제1의 가상곡선(L1)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6L, 8R)의 좌우의 세트폭(A1)보다, 제2의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4R, 10L)의 좌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즉, 톱니높이가 다른 복수의 톱니군에 있어서,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의 세트폭(A1)보다,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을 크게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톱날 배면(5)의 웨이브(5A, 5B) 또는 복수의 가상곡선(L1, L2)의 진폭이 0.1∼3.0㎜로, 가상곡선(L1)과 가상곡선(L2) 사이의 거리는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가상곡선(L1, L2)과 복수의 톱니군 사이에 규칙적인 관련성을 마련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가상곡선(L1)의 정상부에 평톱니(2S)가 거의 일치하는 규칙적인 관련성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트의 굽힘을 좌우로 한 좌우 세트 톱니(4R, 6L, 8R, 10L)로 하였지만, 이 좌우 세트톱니 대신에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띠톱날(1)에 의해 대직경재인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5A, 5B)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5)이 띠톱날(1)의 백업 가이드를 따라 요동하기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곡선(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4R, 10L)의 세트폭(A2)이 넓어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잘삭저항이 감소되고, 띠톱날(1)의 공진에 의한 소음의 증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아울러, 절곡을 잘 발생되지 않게 절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띠톱날(1)은 동체부(3)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띠톱날(1)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5A, 5B)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5)을 구비하고, 웨이브(5A)는 소 웨이브이고, 웨이브(5B)는 대 웨이브로 되어 있으며, 웨이브(5B)의 모양에 따라서 웨이브(5A)는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병행하는 제1의 가상직선(L3)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2S, 6L, 8R)의 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1의 가상직선(L3)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4R, 10L)의 군을 구비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각 톱니(2S, 6L, 8R)의 톱니 선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제1의 가상직선(L3)이 얻어지는 것이고, 또한, 각 톱니(4R, 10L)의 톱니 선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제1의 가상직선(L3)에 병행하는 제2의 가상직선(L4)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의 가상직선(L3)은 외측에 위치하고, 제2의 가상직선(L4)은 내측에 위치하므로, 제1의 가상직선(L3)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2S, 6L, 8R)은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이고, 제2의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4R, 10L)은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직선(L3, L4)은 2개이지만, 예를 들면, 톱니 높이가 중간인 톱니를 마련한 경우에는, 가상직선은 3개가 된다. 즉, 톱니의 높이가 여러가지로 다른 톱니군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상직선의 갯수는 여러가지 높이와 톱니군의 수에 따른 복수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띠톱날(1)에 있어서, 톱니(2S)는 좌우의 세트굽힘을 하지 않은 평톱니이고, 톱니(4R, 8R)은 우 세트굽힘을 한 우 세트톱니, 톱니(6L,10L)은 좌 세트굽힘을 한 좌 세트톱니이다. 도 8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제1의 가상직선(L3)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6L, 8R)의 좌우의 세트폭(A1)보다, 제2의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좌우의 세트톱니(4R, 10L)의 좌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즉, 톱니높이가 다른 복수의 톱니군에 있어서, 톱니 높이가 높은 톱니군의 세트폭(A1)보다, 톱니 높이가 낮은 톱니군의 세트폭(A2) 쪽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을 크게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톱날 배면(5)의 웨이브(5A, 5B)의 진폭이 0.1∼3.0㎜로, 가상직선(L3)과 가상직선(L4) 사이의 거리는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세트의 굽힘을 좌우로 한 좌우 세트 톱니(4R, 6L, 8R, 10L)로 하였지만, 이 좌우 세트 톱니 대신에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띠톱날(1)에 의해 대직경재인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5A, 5B)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5)이 띠톱날(1)의 백업 가이드를 따라 요동하기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톱날 배면(5)에 가까운 가상직선(L4)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4R, 10L)의 세트폭(A2)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잘삭저항이 감소되고, 띠톱날(1)의 공진에 의한 소음의 증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아울러, 절곡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절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변경을 함으로써, 그 외의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톱날 배면(5)의 웨이브형상과 톱니측의 웨이브형상의 위상을 적당하게 비키어 놓아도 좋으며, 또한, 상기 양방의 웨이브형상의 주기, 진폭 등을 달리 하여도 좋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톱날(1)에 있어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5)의 반대측에, 상기 톱날 배면(5)과는 상관성 또는 동기성을 갖지 않으며, 서로 병행하여 마련한 복수의 가상곡선(L1, L2)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2S, 4R, 6L, 8R, 10L)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9에 나타낸 띠톱날(1)의 구성은,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5)과 복수의 가상곡선(L1, L2)이 상관성 또는 동기성을 갖지 않는 것 뿐이며,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띠톱날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도 전술한 띠톱날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낸 띠톱날(1)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띠톱날(1)에서의 톱날 배면(5)을 다이 형상의 요철이 반복되는 구성으로 이루고, 또한 도 5에 나타낸 좌우의 세트톱니(4R, 6L, 8R, 10L)의 고저를 반대로 한 것으로,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띠톱날과 동일하다.
즉, 도 10에 있어서는, 띠톱날(1)에서의 톱날 배면(5)의 웨이브형상은 여러 가지의 형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미 이해한 바와 같이, 톱날 배면(5)은 웨이브상, 즉, 오목부와 돌출부가 교대로 반복되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직선상의 부분에 초승달ㄴ같은 돌출부와 오목부를 적당한 간격으로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전술한 것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낸 띠톱날(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1의 구성에 있어서는, 톱니 높이의 치수가 큰 평톱니(4S)의 전후로 톱니 높이의 치수가 큰 좌우의 세트톱니(2L, 6R)을 배치하고, 그 외의 좌우의 세트 톱니(8L, 12R)의 톱니 높이의 치수를 작게 하고, 그 사이의 톱니 높이의 치수가 작은 평톱니(10S)를 배치한 구성이다.
즉, 도 11의 구성은, 톱니 높이의 치수가 큰 평톱니(4S), 톱니 높이의 치수가 작은 평톱니(10S)의 전후로 각각 동일한 톱니 높이의 치수를 갖는 좌우의 세트톱니(2L, 6R, 8L, 12R)를 배치하고, 또한 좌우의 각 세트톱니의 좌우방향의 세트폭을 거의 동일하게 마련한 것이다.
이 도 11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는, 톱니 높이의 치수가 큰 톱니군(2L, 4S, 6R)과 톱니 높이의 치수가 작은 톱니군(8L, 10S, 12R)이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됨으로써,톱니측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요철을 반복하는 양태가 되고, 톱니 높이의 치수가 큰 톱니군(2L, 4S, 6R)이 워크피스의 절삭에 비교적 강하게 작용하고, 난각재의 절삭에서는 가공경화층의 아래를 잘라내게 되어 절삭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톱니측이 전체적으로 요철을 반복하는 것과, 배면이 웨이브상인 것이 서로 어울려, 가공경화층의 아래를 잘라내는 효과와 절삭길이를 짧게 하는 효과를 나태내고, 워크피스가 대직경재인 경우에도 소직경재의 절삭시와 거의 동일하게 절삭할 수 있으며, 전술한 띠톱날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톱날측을 적당한 웨이브상으로 형성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물론 진동절삭적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도 12는, 톱니 높이의 치수가 큰 평톱니(2S)와 톱니 높이의 치수가 작은 도브테일 세트톱니(4B)를 교대로 배치하고, 또한, 가상곡선(L1, L2)에 따른 구성으로서 띠톱날(1)의 배면(5)측 및 톱니측을 함께 웨이브상으로 한 구성의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띠톱날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함으로써, 절단면의 유레이모양이 아주 작아지고, 절단면이 깨끗하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3은, 평톱니(2S)만을 톱니 높이의 치수가 큰 톱니로 하고, 좌우의 세트톱니(4R, 6L)를 톱니 높이의 치수가 작은 톱니로 하고, 또한 가상곡선(L1, L2)에 따른 구성으로서 띠톱날(1)의 배면(5) 및 톱니측을 함께 파상으로 구성한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도 전술한 띠톱날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설명으로 이해되듯이, 본 발명의 띠톱날은,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톱니의 높이가 다른 양태이면, 기본적인 효과로는 거의 동일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이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으로 하여도 좋고,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으로 하여도 좋으며, 또는 오목부와 돌출부가 교대로 반복되는 형상의 톱날 배면 등으로 하여도 좋으며, 더욱이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의 톱날 배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구체적으로 톱니의 높이가 다른 양태란,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으며,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톱날 배면과는 상관성 또는 동기성을 갖지 않고, 서로 병행하여 마련한 복수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으며, 톱니에 관해서는 평톱니, 세트톱니, 도브테일 세트톱니 등을 다양하게 조합시켜 실시 가능한 것이며, 그 외의 적당한 변경이나 조합을 하여 실시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서 이해되듯이, 청구항 1~4항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띠톱날에 의해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이 백업 가이드를 따라 요동하기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커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톱날 배면과 톱니측 양측에 모양을 형성한 양태에 관해서는 피절단재에 컷팅을 할 때, 진동절삭적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3요소의 상승효과에 의해, 또 다른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절삭저항이 감소되고, 소음이 억제됨과 아울러, 절곡을 잘 발생시키지 않고 절삭할 수 있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대직경재여도, 소직경재여도 동등한 정도의 띠톱날 수명이 되므로, 절단면적으로부터 띠톱날 수명예측이 용이해지고, 종래의 띠톱날에 비해서 절단관리 및 절단계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직경재의 절단에 관해서는, 종래의 띠톱날보다 비약적으로 띠톱날 수명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종래보다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좌우 세트톱니를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한 구성에 있어서는, 절단면의 유레이 모양이 아주 작아지고, 절단면이 깨끗하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항 5∼8항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띠톱날에 의해 피절단재의 절삭을 하면,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이 백업 가이드를 따라 요동하기 때문에, 대직경재라도 절삭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절삭이 어려운 재질인 대직경재라도, 유사하게 소직경재와 같이 절삭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잘라낸 부스러기의 세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절삭저항이 감소되고, 복수의 웨이브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으로 함으로써, 띠톱날의 공진에 의한 소음의 증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곡을 잘 발생시키지 않고 절삭할 수 있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대직경재여도, 소직경재여도 동등한 정도의 톱날 수명이 되므로, 절단면적으로부터 톱날 수명예측이 용이해지고, 종래의 띠톱날에 비해서 절단관리 및 절단계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직경재의 절단에 관해서는, 종래의 띠톱날보다 비약적으로 띠톱날 수명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종래보다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청구항 9∼12항에 의한 발명은,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 상의 톱날 배면을 구비하고,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톱날 배면과는 상관성 또는 동기성을 갖지 않고, 서로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톱날 배면의 웨이브와 톱니끝측의 웨이브의 동기성이 없어지고, 띠톱날의 공진에 의한 소음의 증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곡을 잘 발생시키지 않고 절삭할 수 있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대직경재여도, 소직경재여도 동등한 정도의 톱날 수명이 되므로, 절단면적으로부터 톱날 수명예측이 용이해지고, 종래의 띠톱날에 비해서 절단관리 및 절단계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대직경재의 절단에 관해서는, 종래의 띠톱날보다 비약적으로 띠톱날 수명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종래보다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2는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종 띠톱날을 이용하여 소직경재를 절삭할 때의 절삭단면적을 나타낸 막대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종 띠톱날을 이용하여 소직경재를 절삭할 때의 절삭단면적을 나타낸 막대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종 띠톱날을 이용하여 대직경재와 대직경재를 절삭할 때의 절삭단면적의 비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인 띠톱날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띠톱날
3:동체부
5:톱날 배면
5A,5B:웨이브
L1:제1의 가상곡선
L2:제2의 가상곡선
L3:제1의 가상직선
L4:제2의 가상직선
L5:제1의 가상곡선
L6:제2의 가상곡선
2S, 4R, 6L, 8R, 10L, 2L, 4S, 6R, 8L, 10S, 12R, 4B:톱니
A1, A2:세트폭

Claims (9)

  1.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한 띠톱날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상기 톱날 배면에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좌우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4.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웨이브가 겹쳐진 형상의 톱날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 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한 띠톱날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상기 톱날 배면에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좌우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에 병행하는 복수의 가상곡선 또는 복수의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 또는 가상직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7.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상의 톱날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상기 톱날 배면과는 상관성 또는 동기성을 갖지 않고 서로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을 구비한 띠톱날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까운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이 상기 톱날 배면에 먼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의 세트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 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좌우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좌우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배면의 반대측에 병행하여 설치한 복수의 가상 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복수의 톱니군 중에서, 상기 톱날 배면에 가장 먼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평톱니, 또는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 또는 복수의 평톱니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고, 그 외의 가상곡선에 톱니 선단이 거의 일치하는 톱니군은 복수의 도브테일 세트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날.
KR1019970008086A 1996-03-11 1997-03-11 띠톱날 KR10047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086A KR100478387B1 (ko) 1996-03-11 1997-03-11 띠톱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6-53417 1996-03-11
KR1019970008086A KR100478387B1 (ko) 1996-03-11 1997-03-11 띠톱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387B1 true KR100478387B1 (ko) 2005-10-05

Family

ID=4366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086A KR100478387B1 (ko) 1996-03-11 1997-03-11 띠톱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58U (ko) 2017-04-27 2018-11-06 김범환 인조 미끼 삽입용 낚시 지지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3781U (ko) * 1977-08-05 1979-08-10
US4195543A (en) * 1976-11-12 1980-04-01 Wallace Murray Canada Limited Band saw
JPS5882620A (ja) * 1981-11-12 1983-05-18 Amada Co Ltd 難削材用帯鋸刃
US4423653A (en) * 1982-10-15 1984-01-03 American Saw & Mfg. Company Band saw blade construction
JPH02160413A (ja) * 1988-12-07 1990-06-20 Amada Co Ltd 鋸刃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5543A (en) * 1976-11-12 1980-04-01 Wallace Murray Canada Limited Band saw
JPS54113781U (ko) * 1977-08-05 1979-08-10
JPS5882620A (ja) * 1981-11-12 1983-05-18 Amada Co Ltd 難削材用帯鋸刃
US4423653A (en) * 1982-10-15 1984-01-03 American Saw & Mfg. Company Band saw blade construction
JPH02160413A (ja) * 1988-12-07 1990-06-20 Amada Co Ltd 鋸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58U (ko) 2017-04-27 2018-11-06 김범환 인조 미끼 삽입용 낚시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2852B1 (en) Band saw blade
KR960000658B1 (ko) 톱날
JP4447665B2 (ja) 改良された帯鋸
US6220139B1 (en) Saw blade
CA1195904A (en) Saw blade
CA2329647C (en) Saw blade
KR860003874A (ko) 절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
JP5366512B2 (ja) 基体と、刃先を有する歯とを備える鋸刃
CA2228087A1 (en) Saw blade
KR20030017460A (ko) 감소된 소음과 균일한 치형 하중 특성을 갖는 띠 톱날
JP2005305639A (ja) 帯のこぎり歯及び帯のこぎり歯の製造方法
JP2004505787A (ja) 手持ち工作機械のための鋸刃
JPH0639631A (ja) 鋸 刃
JP2002505626A5 (ko)
KR20030046523A (ko) 톱날
JP3370166B2 (ja) 基体と目振りされてない歯とを備えた鋸刃
JP2003532546A (ja) 真っ直ぐな歯とあさり歯とを備える金属切削用鋸、及びその製造方法
ATE263649T1 (de) Schneidwerkzeug zum herstellen verzahnter werkstücke
JP4610038B2 (ja) 鋸刃
US4351210A (en) Shear cut tooth
KR100478387B1 (ko) 띠톱날
US6382068B1 (en) Strip-shaped or reciprocating knife
JPH09300131A (ja) 帯鋸刃
KR930008290B1 (ko) 톱날(saw blade)
JPH11508777A (ja) 切断用具特にナイフ用の微細歯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