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173B1 -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173B1
KR100478173B1 KR10-2001-0059932A KR20010059932A KR100478173B1 KR 100478173 B1 KR100478173 B1 KR 100478173B1 KR 20010059932 A KR20010059932 A KR 20010059932A KR 100478173 B1 KR100478173 B1 KR 10047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pressed audio
cdrom
decoding
au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757A (ko
Inventor
오기노나오유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CDROM 데이터로서 기입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DROM 디코더(22)는 CDROM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결과 얻어진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데이터 I/F(24)는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장치{APPARATUS FOR REPRODUCING COMPRESSED AUDIO DATA}
본 발명은 CDROM 데이터로서 기억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은, 통상,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한 PCM 신호 등 웨이브 신호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를 고압축시킨 MP3(MPEG Layer3) 등의 압축 오디오 신호가 보급되고 있다. 이 MP3에 따르면, 통상의 웨이브 신호의 10배 정도의 압축율이 얻어져, 용량이 한정된 기억 매체에 10배의 신호를 기억시킬 수 있다.
이 MP3 포맷의 데이터는 각종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데, 이것을 CD에 기억하는 경우에는 CDROM 데이터 포맷으로 기억한다. 즉, MP3 데이터를 통상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처리하고, 이것을 CDROM 데이터로 코드화하여 CD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CD를 기록 매체로 한 압축 오디오에서는, CDROM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 오디오 데이터(MP3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것을 다시 디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CDROM 데이터의 디코더 LSI는 종래부터 있으며, 또한 압축 오디오에 대한 디코더 LSI가 개발되어 있다. 그래서, 통상의 경우에, CDROM 디코더의 디코딩에 의해 얻은 데이터, 즉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오디오 디코더로 전달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다. 특히, 이들 전체 동작은 별도의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CDROM 데이터와 MP3 데이터는 그 데이터 포맷이 서로 달라, 디코딩하는 단위인 데이터 블록의 크기가 다르다. 통상, CDROM 데이터의 블록 사이즈는 MP3 데이터의 블록 사이즈보다 크다.
그래서, CDROM 디코더에서 디코딩한 데이터를 그대로 압축 오디오 디코더에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CDROM 디코더 LSI의 디코딩 데이터를 일단 기억하고, 압축 오디오 LSI에 필요한 데이터 단위로 압축 오디오 디코더 LSI에 공급하고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는 두개의 LSI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CDROM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하고, 압축 오디오 포맷에 맞춘 사이즈의 데이터를 압축 오디오 디코더에 공급하는 처리를 수행하여야 했다. 따라서, 처리 능력이 높은 마이크로 컴퓨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마이크로 컴퓨터의 부하를 감소시켜 효율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CDROM 데이터로서 기억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로서, CDROM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CDROM 디코딩 수단과, CDROM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딩되어 얻어진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CDROM 데이터의 디코딩으로 얻어지는 데이터 단위로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기억 데이터 단위로 순차적으로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압축 오디오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CDROM 디코딩 수단의 디코딩에 의해 얻어진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오디오의 기억 데이터 단위로 판독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 사이의 기입 및 판독을 하나의 기억 수단에 대한 기입 및 판독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절차가 간단하게 되어, 디코드 수단 전체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CDROM 디코딩 수단 상에 상기 판독 수단 및 상기 압축 오디오 디코딩 수단은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억 수단에는 시계열(time-series)의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어드레스순으로 기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CD(10)에는 CDROM 데이터로서 압축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픽업(12)은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고, CD(10)로부터의 반사광(또는 투과광)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픽업(12)에서 얻어진 신호는 RF·CDDSP(14)에 공급되어, 고주파로 증폭됨과 동시에 CDROM 데이터로 복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CDROM 데이터는 마이크로 컴퓨터(16)에 공급됨과 함께 디코더 LSI(20)에 공급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6)는 RF·CDDSP(14)로부터 공급되는 CDROM 데이터가 압축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는 것인지 통상의 데이터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판정한 다음, 디코더 LSI(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코더 LSI(20)는 CDROM 디코더(22), 데이터 I/F(24) 및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를 갖고 있으며, 데이터 I/F(24)에는 외부의 데이터 버퍼 메모리(30)가 접속되어 있다.
CDROM 디코더(22)에는 RF·CDDSP(14)로부터의 CDROM 데이터가 입력된다. CDROM 디코더(22)는 입력된 CDROM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 때, CDROM 디코더(22)는 데이터 I/F(24)를 통해 데이터 버퍼 메모리(3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하여 데이터 디코딩을 행함과 함께 디코딩 결과를 시계열로 기억해 간다.
한편,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는 데이터 I/F(24)를 통해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이것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판독은 압축 오디오 디코더(26)에 있어서의 데이터 디코딩의 타이밍에 따라 제어된다. 즉, 압축 오디오 디코더(26)가 자기의 디코딩 처리 상황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6)에 데이터 요구를 출력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6)는 데이터 I/F(24)에 데이터 전송을 지시하여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압축 오디오 디코더(26)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로부터 출력된다.
그 후,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가 D/A 변환되어,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오디오가 출력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명령에 따라, 데이터 I/F(24)는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압축 오디오 디코더(26)에 전송을 한다. 이 동작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우선, CDROM 디코더(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의 일부를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디코딩에 의해 얻어진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I/F(24)를 통해서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의 소정의 영역에 순차적으로 기입해 간다. 이 때의, 기입 어드레스는 마이크로 컴퓨터(16)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0000h로부터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시계열로 기억된다. 여기서, previous는 신장(伸張) 재생을 종료한 영역이고, next는 이제부터 신장 재생하는 영역이다. 또한, CDROM 데이터 버퍼링 영역은 CDROM 디코더가 디코딩 시에 사용하고 있는 영역으로서, 디코딩 종료 후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이 경우는,「next6」으로 되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 일정량의 디코딩 데이터(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기입한 후에는 가장 오래된 데이터로부터 오버라이팅해 간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 I/F(2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로세스가 개시된 경우, 데이터 I/F(24)는 마이크로 컴퓨터(16)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요구를 출력한다 (단계 S11). 마이크로 컴퓨터(16)는 데이터 I/F(24)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에 응답하여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서의 메모리 판독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판독 어드레스를 데이터 I/F(24)에 설정한다 (단계 S12).
다음에, 데이터 I/F(24)는 판독 플래그 F가 H(하이레벨)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3). 이 플래그 F는 압축 오디오 디코더(26)에서 수신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종료했을 때 H로 되는 것으로, 압축 오디오 디코더(26)의 데이터 요구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13에서 플래그 F가 H가 아니면, H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 플래그 F가 H로 된 경우에는, 데이터 버퍼 메모리(30)로부터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로 전송한다 (단계 S14). 여기서, 이러한 데이터 판독은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 행해진다. 본 예에서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의 1 블록은 CDROM 데이터의 포맷의 1 블록에 비하여 작다.
그래서, 데이터 I/F(24)는 블록의 종료 여부를 판정하고 (S15), 종료가 아닌 경우에는 S13으로 복귀하여 데이터 판독 및 전송을 반복한다. 한편, 블록이 종료이면, 프로세스 종료 여부를 판정하고 (S16), NO이면 단계 S11로 복귀하여 다음 블록에 대한 판독 및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 S16에서 YES이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압축 오디오 디코더(26)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플래그 F를 H로 설정한다 (단계 S21). 이에 따라 데이터 I/F(24)로부터 판독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는 이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22).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는 데이터 수신 후, 플래그 F를 L(로우 레벨)로 전환하고 (단계 S23),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단계 S24). 이러한 디코딩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가 얻어지고 출력된다.
다음에, 압축 오디오 디코더(26)는 블록의 종료 여부를 판정하고 (S25), 종료가 아니면 S24로 복귀하여 디코딩을 계속하여 행하고, 종료이면 프로세스 종료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6). 단계 S26의 판정에서, 종료가 아니면 S21로 복귀하고, 종료이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CDROM 디코더와 압축 오디오 디코더를 1칩화하고 있기 때문에, 디코드된 CDROM 데이터를 데이터 버퍼 메모리 상에 보관해 놓고,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의 전송 명령에 의해서만 필요한 데이터를 LSI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오디오 처리 블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는 데이터 송수신 및 서로 다른 두개의 포맷 사이의 데이터 크기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도, 마이크로 컴퓨터의 부하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의 용량을 비교적 큰 것으로 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 버퍼 메모리(30) 내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는 언제나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 축적되어 있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앤티쇼크(antishock) 기능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픽업(12)이 연속 재생을 할 수 없게 된 경우에서도, 이미 기억되어 있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픽업에 의한 재생이 복귀되면 재생음이 도중에 끊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버퍼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범위 내이면, CD의 픽업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메모리 상에서 재생 데이터의 포워드 서치나 백 서치를 행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범위 내에서 판독 어드레스를 이동함으로써 재생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DROM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에 의해서 얻어진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오디오의 기억 데이터 단위로 판독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 사이의 기입 및 판독을 하나의 기억 수단에 대한 기입 및 판독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절차가 간단하게 되어 디코더 전체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버퍼 메모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I/F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압축 오디오 디코더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D
12 : 픽업
14 : RF·CDDSP
16 : 마이크로 컴퓨터
20 : 디코더 LSI
22 : CDROM 디코더
24 : 데이터 I/F
26 : 압축 오디오 디코더
30 : 데이터 버퍼 메모리

Claims (3)

  1. CDROM 데이터로서 기억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CDROM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CDROM 디코딩 수단과,
    상기 디코딩 수단의 디코딩에 의해서 얻어진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CDROM 데이터의 디코딩으로 얻어지는 데이터 단위로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기억 데이터 단위로 순차적으로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압축 오디오 디코딩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압축 오디오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을 완료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디코딩 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ROM 디코딩 수단, 상기 판독 수단 및 상기 압축 오디오 디코딩 수단은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는 시계열의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어드레스순으로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KR10-2001-0059932A 2000-09-28 2001-09-27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장치 KR100478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7677A JP2002109828A (ja) 2000-09-28 2000-09-28 圧縮オーディオデータの再生装置
JPJP-P-2000-00297677 2000-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757A KR20020025757A (ko) 2002-04-04
KR100478173B1 true KR100478173B1 (ko) 2005-03-23

Family

ID=1877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932A KR100478173B1 (ko) 2000-09-28 2001-09-27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109828A (ko)
KR (1) KR100478173B1 (ko)
TW (1) TWI2446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46B1 (ko) * 2004-05-12 2006-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재생기에 있어서 충격보호기능을 위한 오디오부호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3244A (ja) * 1991-11-20 1993-06-11 Sanyo Electric Co Ltd 情報再生装置
JPH08107540A (ja) * 1994-10-06 1996-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縮映像再生装置
KR970050700A (ko) * 1995-12-15 1997-07-29 배순훈 비디오디스크의 멀티기억/기억재생기능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970071651A (ko) * 1996-04-25 1997-11-07 배순훈 비디오 컴팩트디스크의 교환시간 제어방법
JPH10162484A (ja) * 1996-11-29 1998-06-19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ビデオcd再生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0336570A (ja) * 1997-06-05 1998-12-18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ビデオcd再生制御処理方法及びビデオcd再生制御処理装置
KR20020002187A (ko) * 2000-06-20 2002-01-09 윤종용 다양한 포맷의 광디스크들을 재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광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3244A (ja) * 1991-11-20 1993-06-11 Sanyo Electric Co Ltd 情報再生装置
JPH08107540A (ja) * 1994-10-06 1996-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縮映像再生装置
KR970050700A (ko) * 1995-12-15 1997-07-29 배순훈 비디오디스크의 멀티기억/기억재생기능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970071651A (ko) * 1996-04-25 1997-11-07 배순훈 비디오 컴팩트디스크의 교환시간 제어방법
JPH10162484A (ja) * 1996-11-29 1998-06-19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ビデオcd再生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0336570A (ja) * 1997-06-05 1998-12-18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ビデオcd再生制御処理方法及びビデオcd再生制御処理装置
KR20020002187A (ko) * 2000-06-20 2002-01-09 윤종용 다양한 포맷의 광디스크들을 재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광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09828A (ja) 2002-04-12
KR20020025757A (ko) 2002-04-04
TWI244641B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1437B1 (ko) 자동차엠피쓰리플레이어
JPH0736630A (ja) データの高速ダビング方法
KR100478173B1 (ko)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장치
US6621777B2 (en) Complex optical disc player system reproducing optical discs having various formats
KR100360407B1 (ko) 다양한 포맷의 광디스크들을 재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광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
KR101016486B1 (ko)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7120734B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optical disk player having a shared memory for both an anti-shock mechanism and a CD-ROM decoder
JP3130747U (ja) メモリー空間を節約可能な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
JPH11120698A (ja) 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100600353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JPH06295532A (ja) データ処理装置
KR0176782B1 (ko) 디스크 재생 제어 장치
JP3172002B2 (ja) データの高速ダビング装置および高速ダビング方法
JP2001357612A (ja) 記録再生装置
KR200210832Y1 (ko)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보이스 레코더
KR100228670B1 (ko) 광디스크재생시스템의 효율적인 메모리관리장치
KR100537542B1 (ko) 카 오디오 시스템의 엠펙 음악파일 재생장치
KR100583453B1 (ko) 파일 재생장치
JP3604036B2 (ja) データ記録装置
KR100269689B1 (ko) 동화상에 관한 압축 표준 레이어 3을 이용한 컴팩트 디스크의 재생장치
JPH07104941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並びに情報記録装置
JP200125672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7220392A (ja) 情報信号ダビング方法及び情報信号記録再生装置
KR20000025786A (ko) 미니디스크시스템의 데이터더빙방법 및 장치.
JPH05135500A (ja)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