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679B1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679B1
KR100477679B1 KR10-2002-0070058A KR20020070058A KR100477679B1 KR 100477679 B1 KR100477679 B1 KR 100477679B1 KR 20020070058 A KR20020070058 A KR 20020070058A KR 100477679 B1 KR100477679 B1 KR 100477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splitter
recording medium
optical
non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948A (ko
Inventor
박수한
김봉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6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3Shape of individual detector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8Separate aberration correction lenses; Cylindrical lenses to generate astigmatism; Beam expan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Abstract

비선형 물질로 이루어진 빔스프리터의 복굴절 현상을 이용하여 광기록매체의 불균일에 기인한 복굴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광픽업장치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것으로, 입사광의 편광방향에 따라 굴절각이 다르도록 비선형 물질로 이루어진 비선형 빔스프리터와;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집속하여 광기록매체에 광스폿이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와;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편광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되어 입사된 광 각각을 수광하여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Optical pickup}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의 불균일에 기인한 복굴절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비선형 물질로 이루어진 빔스프리터의 복굴절 현상을 이용하여 광기록매체의 불균일에 기인한 복굴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장치는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광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한다.
도 1은 통상의 빔스프리터를 채용한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픽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1)과, 입사광의 진행방향을 변환하는 빔스프리터(5)와, 상기 빔스프리터(5)와 광기록매체(13)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광기록매체(13)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11)와, 상기 빔스프리터(5)와 대물렌즈(11)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된 발산광을 수렴하여 평행광이 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팅렌즈(7)와, 상기 광기록매체(13)에서 반사되고 상기 빔스프리터(5)를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17)를 포함한다.
상기 빔스프리터(5)는 입사광 중 일 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고, 다른 편광의 광은 투과시키는 편광빔스프리터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광학적 배치에 있어서는 상기 광원(1) 쪽에서 입사된 광은 반사시켜 상기 광기록매체(13)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광기록매체(13)에서 반사된 광은 투과시켜 상기 광검출기(17)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빔스프리터(5)와 대물렌즈(11)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상기 광기록매체(13)에 원형 편광의 광이 입사되도록 하는 1/4 파장판(9)이 더 구비된다. 이 1/4 파장판(9)은 입사된 선형 편광의 광은 원형 편광의 광으로, 그리고, 원형 편광의 광은 선형 편광의 광으로 바꾸어준다.
상기 광검출기(17)는 각각 독립적으로 광을 수광하고, 광전변환하는 다수의 분할판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판 각각에서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동증폭 및 합산함에 의하여 상기 광기록매체(13)에 기록된 정보신호, 트랙오차신호 및, 포커스오차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트랙오차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3빔법이 널리 쓰인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원(1)과 상기 빔스프리터(5)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입사광을 0차광, ±1차광, ±2차광,...등으로 회절 투과시키는 그레이팅(3)이 더 구비된다.
또한, 포커스오차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비점수차법이 널리 이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빔스프리터(5)와 광검출기(17) 사이에는 상기 빔스프리터(6)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코마수차를 아울러 보정할 수 있도록 된 비점수차렌즈(15)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광기록매체(13)는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등의 디스크형 광기록매체이다. 이 광기록매체(13)는 주형안에 레진을 삽입하여 찍어내는 형태로 제작되는 바, 레진이 주형 내의 공간에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불균일 정도에 따라서 광기록매체의 밀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광기록매체의 밀도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수행하는 경우에, 서로 굴절률이 다른 매질을 지나는 것과 같이 입사광의 굴절각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매질의 불균일성이 복굴절 현상으로 작용을 한다.
따라서, 광기록매체(13)의 밀도가 원하는 규격을 만족하는 부분과, 만족하지 않는 부분 각각에 대하여 입사광을 조사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굴절현상을 가진다. 따라서, 굴절각이 서로 다르게 되어 소망하는 편광의 광과, 이와는 다른 편광의 광으로 나뉘게 된다. 이 편광의 크기는 복굴절성의 정도에 따라서 좌우된다.
상기 빔스프리터(5)는 광원(1)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의 편광특성에 맞추어 반사 및 투과특성이 맞추어 진 것으로, 정상적인 편광의 광만을 투과시켜 광검출기(17)로 향하도록 한다. 즉, 비정상적인 편광의 광은 광검출기(17)에 맺히지 못한다. 따라서, 광기록매체(13)의 밀도가 변한 부분에 대해서는 수광되는 광량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광기록매체(13)는 스핀들모터(미도시)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 밀도가 변한 부분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정보의 기록과 재생이 수행되는 바, 광검출기를 통하여 수광되는 신호 크기의 증감이 주기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주기성은 신호 재생 및 신호 변화에도 에러로 작용하여 재생 능력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선형 물질로 이루어진 빔스프리터의 복굴절 현상을 이용하여 광기록매체의 불균일에 기인한 복굴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것으로, 입사광의 편광방향에 따라 굴절각이 다르도록 비선형 물질로 이루어진 비선형 빔스프리터와;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집속하여 광기록매체에 광스폿이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편광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되어 입사된 광 각각을 수광하여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레이저 광(L)을 조사하는 광원(21)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비선형 빔스프리터(25)와, 입사광을 집속하여 광기록매체(31)에 광스폿이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29)와, 상기 광기록매체(31)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40)를 포함한다.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는 입사광의 편광방향에 따라 굴절각이 다르도록 비선형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비선형 물질로는 KDP(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KH2PO4), BBO(Beta-Barium Borate, β-BaB2O4), LBO(Lithium Triborate, LiB3O5 ), KTP(Potassium Titanyl Phosphate, KTiOPO4), PPLN(Periodically Poled LN), LN(Lithium Niobate, LiNbO3), 비선형 폴리머(Nonlinear Polymer)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비선형 재질로 이루어진 비선형 빔스프리터(25)는 소정 비율 예컨대, 50 : 50의 비율로 입사광을 투과 및 반사시킨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이 배치된 경우는 상기 광원(21)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L)은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에 입사되며, 그 일부는 반사되고 나머지는 투과한다. 이때, 반사된 광을 유효광으로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광원(21)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정 편광의 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21)에서 조사되어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에서 반사된 광은 특정 편광방향을 가지는 광이 된다.
한편, 상기 광원(21)과 빔스프리터(25)의 광학적 배치에 있어서, 상기 빔스프리터(25)를 투과한 광을 유효광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원(21) 쪽에서 입사되고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대물렌즈(29)에 의해 집속되어 광기록매체(31)에 광스폿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광기록매체(31)로 향하는 광은 상기 광원(21)의 편광특성에 따라서, 특정 편광방향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와 상기 대물렌즈(29)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상기 대물렌즈(29)로 향하는 광이 평행광이 되도록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콜리메이팅렌즈(27)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기록매체(3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제조공정시 야기되는 매질의 불균일성에 의하여 복굴절을 야기한다. 따라서, 상기 광기록매체(31)에서 반사된 광은 입사광과 같은 편광특성을 갖는 광과, 이와 다른 편광특성을 갖는 광으로 나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기록매체(31)에서 반사되어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에 재입사된 광은 그 편광방향에 따라 굴절각이 서로 달라, 실선으로 표시된 제1투과경로(La)와, 점선으로 표시된 제2투과경로(Lb)로 나뉘어 진행하게 된다.
상기 광검출기(40)는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에서 제1 및 제2투과경로(La)(Lb)로 분기되어 입사된 광 각각을 수광하여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광검출기(40)를 통하여, 상기 트랙오차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3빔법이 널리 쓰인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원(21)과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입사광을 0차광, ±1차광,...등으로 회절 투과시키는 그레이팅(23)이 더 구비된다. 또한, 포커스오차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비점수차법이 널리 이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와 광검출기(40) 사이에 비점수차렌즈(33)가 더 구비된다. 이 비점수차렌즈(33)는 아울러 코마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비점수차렌즈(33)는 오목기둥 형상의 요(凹)렌즈로 구성되어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방향에 대해서는 입사광을 직진투과시키고, 단면형상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방향으로는 발산 투과시켜, 비점수차의 광이 광검출기(40)에 맺히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광검출기(4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검출기(40)는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에서 분기된 일 편광의 광(La)를 수광하는 제1광검출부(41)와, 다른 편광의 광(Lb)를 수광하는 제2광검출부(45)로 구성된다.
상기 제1광검출부(41)는 田 형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분할판(A1, B1, C1, D1)과, 이 제1 내지 제4분할판(A1, B1, C1, D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트랙오차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제5 및 제6분할판(E1, F1)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2광검출부(45)는 田 형상으로 배치된 제7 내지 제10분할판(A2, B2, C2, D2 )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분할판(A1, B1, C1, D1)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와, 상기 제7 내지 제10분할판(A2, B2, C2, D2)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를 합산하고, 이 합산된 신호 각각을 차동 및/또는 합산하여 포커스 오차신호와 정보신호를 검출한다.
즉, 포커스오차신호(FES;Focus Error Signal)는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부(41)(45) 각각에서 검출된 포커스 오차신호의 합신호로 구해진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정보신호(RFS;Radio Frequency Signal)는 상기 제1 내지 제4분할판(A1, B1, C1, D1)과, 상기 제7 내지 제10분할판(A2, B2, C2, D2) 각각에서 수광되고 광전변환된 신호를 합산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2와 같다.
한편, 트랙오차신호(TES:Track Error Signal)는 상기 그레이팅(23)에 의해 분할된 광중 제5분할판(E1)과 제6분할판(F1)에 각각 수광된 ±1차회절광으로부터 검출된다. 즉, 상기 트랙오차신호는 상기 제5분할판(E1)과 제6분할판(F1) 각각에 수광되고 광전변환된 신호를 차동증폭함에 의해 검출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3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선형 빔스프리터(25)를 이용하여 광기록매체(31)의 불균일에 기인하여 야기된 광을 다른 경로로 유도하고, 제2광검출부(45)를 더 구비하여 이 광을 수광함으로써, 복굴절성에 의하여 야기되는 검출신호의 주기성을 제거할 수 있고, 정보신호와 포커스 오차신호 검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신호 재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광검출기(4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개시된 광검출기(40)는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25)에서 분기된 일 편광의 광(La)를 수광하는 제1광검출부(41)와, 다른 편광의 광(Lb)를 수광하는 제2광검출부(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광검출부(41)는 제1 내지 제4분할판(A1, B1, C1, D1) 및 제5 및 제6분할판(E1, F1)을 구비한다. 또한, 제2광검출부(55)는 제7 내지 제10분할판(A2 , B2, C2, D2)과, 이 제7 내지 제10분할판(A2, B2, C2, D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1 및 제12분할판(E2, F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제2광검출부(55)로서, 제11 및 제12분할판(E2, F2)를 구비한 점에서 구별되는 것으로, 제1광검출부(41)를 이루는 각 분할판과, 제7 내지 제10분할판(A2, B2, C2, D2)의 광학적 배치는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 분할판들을 통하여 포커스 오차신호 및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방식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랙오차신호(TES:Track Error Signal)는 상기 그레이팅(23)에 의해 분할된 광중 제5분할판(E1)과 제6분할판(F1)에 각각 수광된 ±1차회절광과, 제11분할판(E2)과 제12분할판(F2)에 각각 수광된 ±1차회절광으로부터 검출되는 것으로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4와 같다.
이와 같이, 제2광검출부(55)에 제11 및 제12분할판(E2)(F2)를 더 구비하여, 제1광검출부(41)의 제5 및 제6분할판(E1)(F1)에서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트랙오차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트랙오차신호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이용하여 광기록매체의 불균일에 기인하여 야기된 광을 다른 경로로 유도하고, 이 다른 경로로 유도된 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부를 더 구비하여, 제1 및 제2광검출부에서 수광된 광을 모두 이용하여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광기록매체의 불균일에 의하여 야기되는 검출신호의 주기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정보신호와 오차신호 검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신호 재생 능력을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도 2의 광검출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광검출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광원 23...그레이팅
25...비선형 빔스프리터 27...콜리메이팅렌즈
29...대물렌즈 31...광기록매체
33...비점수차렌즈 40...광검출기
41...제1광검출부 45...제2광검출부

Claims (8)

  1. 광기록매체의 불균일에 야기되는 검출신호의 주기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소정 편광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것으로, 입사광을 그 편광방향에 따라 다른 굴절각으로 굴절 투과시키도록 비선형 물질로 이루어진 비선형 빔스프리터와;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집속하여 광기록매체에 광스폿이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편광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되어 입사된 광 각각을 수광하여 정보신호 및 오차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는,
    KDP(KH2PO4), BBO(β-BaB2O4), LBO(LiB3O5 ), KTP(KTiOPO4), PPLN, LN(LiNbO3) 및 비선형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비선형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일 편광의 광을 수광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4분할판(A1, B1, C1, D1)과, 이 제1 내지 제4분할판(A 1, B1, C1, D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트랙오차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제5 및 제6분할판(E1, F1)을 구비한 제1광검출부와;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다른 편광의 광을 수광하는 것으로, 제7 내지 제10분할판(A2, B2, C2, D2)을 구비한 제2광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분할판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와, 상기 제7 내지 제10분할판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를 합산하고, 이 합산된 신호 각각을 차동 및/또는 합산하여 포커스 오차신호와 정보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일 편광의 광을 수광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4분할판(A1, B1, C1, D1)과, 이 제1 내지 제4분할판(A 1, B1, C1, D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5 및 제6분할판(E1, F1)을 구비한 제1광검출부와;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다른 편광의 광을 수광하는 것으로, 제7 내지 제10분할판(A2, B2, C2, D2)과, 이 제7 내지 제10분할판(A 2, B2, C2, D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1 및 제12분할판(E2, F2)을 구비한 제2광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분할판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와, 상기 제7 내지 제10분할판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를 합산하고, 이 합산된 신호 각각을 차동 및/또는 합산하여 포커스 오차신호와 정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5 및 제6분할판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와, 상기 제11 및 제12분할판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를 합산하고, 이 합산된 신호 각각을 차동하여 트랙오차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제1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적어도 3개의 광으로 회절 투과시키는 그레이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제1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된 발산광을 집속시켜 평행광이 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팅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와 상기 광검출기 상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비점수차를 발생시키는 비점수차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8. 광기록매체의 불균일에 야기되는 검출신호의 주기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소정 편광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적어도 3개의 광으로 회절 투과시키는 그레이팅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것으로, 입사광을 그 편광방향에 따라 다른 굴절각으로 굴절 투과시키도록 비선형 물질로 이루어진 비선형 빔스프리터와;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집속하여 광기록매체에 광스폿이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된 발산광을 집속시켜 평행광이 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팅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진행하는 광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비점수차를 발생시키는 비점수차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비선형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편광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되어 입사된 광 각각을 수광하여 정보신호, 포커스 오차신호 및 트랙 오차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광픽업장치.
KR10-2002-0070058A 2002-11-12 2002-11-12 광픽업장치 KR10047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058A KR100477679B1 (ko) 2002-11-12 2002-11-12 광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058A KR100477679B1 (ko) 2002-11-12 2002-11-12 광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948A KR20040041948A (ko) 2004-05-20
KR100477679B1 true KR100477679B1 (ko) 2005-03-21

Family

ID=3733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058A KR100477679B1 (ko) 2002-11-12 2002-11-12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67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3448A (ja) * 1985-04-08 1986-10-17 Canon Inc 光ピツクアツプ装置
JPS61261837A (ja) * 1985-05-15 1986-11-19 Toshiba Corp 消去可能な光ヘツド
JPH04205731A (ja) * 1990-11-29 1992-07-27 Nec Corp 光ヘッド装置
JPH05281036A (ja) * 1992-04-01 1993-10-29 Seiko Epson Corp 光信号検出器及びその製造法
JPH06243487A (ja) * 1993-02-16 1994-09-02 Nec Corp 偏光性ホログラム素子および光ヘッド装置
JPH06318330A (ja) * 1993-05-07 1994-11-15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5646778A (en) * 1991-05-28 1997-07-08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beamsplitter
JP2000207766A (ja) * 1999-01-07 2000-07-28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光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3448A (ja) * 1985-04-08 1986-10-17 Canon Inc 光ピツクアツプ装置
JPS61261837A (ja) * 1985-05-15 1986-11-19 Toshiba Corp 消去可能な光ヘツド
JPH04205731A (ja) * 1990-11-29 1992-07-27 Nec Corp 光ヘッド装置
US5646778A (en) * 1991-05-28 1997-07-08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beamsplitter
JPH05281036A (ja) * 1992-04-01 1993-10-29 Seiko Epson Corp 光信号検出器及びその製造法
JPH06243487A (ja) * 1993-02-16 1994-09-02 Nec Corp 偏光性ホログラム素子および光ヘッド装置
JPH06318330A (ja) * 1993-05-07 1994-11-15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0207766A (ja) * 1999-01-07 2000-07-28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光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948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2977B2 (en) Optical pickup with a hologram to limit the aperture of two light beams with different wavelengths
JPH07192297A (ja) 超解像光ヘッド装置
KR19980703842A (ko) 광픽업 및 그것에 사용하는 광학소자
KR100477679B1 (ko) 광픽업장치
US7450477B2 (en) Optical pickup having a polarization beam splitter
KR100477680B1 (ko) 광픽업장치
US6343059B1 (en) Reading-writing pickup head
KR100472475B1 (ko) 비선형 물질로 형성된 대물렌즈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
KR100234306B1 (ko) 광픽업
US5532477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lens group for determining paths of an incident beam and a reflected &amp; beam
KR100234313B1 (ko) 광픽업 장치
KR100640309B1 (ko) 광픽업 장치
KR200335121Y1 (ko) 웨이브 가이드형 광픽업 장치
KR19980058055A (ko) 광 픽업 장치
KR20030097331A (ko) 광픽업
KR19990050011A (ko) 액정소자를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KR19990050010A (ko) 액정소자를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KR19990050013A (ko) 반사형 액정소자를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KR19980057998A (ko) 광 픽-업장치
KR19990050021A (ko) 광조절 액정판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KR19990050001A (ko) 광투과반사를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JPH06124495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0048389A (ja) 光ピックアップ
KR19980057997A (ko) 광 픽-업장치
JPH10214435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