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995B1 -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995B1
KR100476995B1 KR10-2003-0011391A KR20030011391A KR100476995B1 KR 100476995 B1 KR100476995 B1 KR 100476995B1 KR 20030011391 A KR20030011391 A KR 20030011391A KR 100476995 B1 KR100476995 B1 KR 100476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member
operation button
housing
cam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570A (ko
Inventor
히로세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00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목적) 래치부재의 걸림력과 조작버튼의 압압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조작버튼 및 래치부재의 작동특성을 양호하게 하거나 오작동을 없게 한다.
(구성) 조작버튼(3) 및 래치부재(4)가 하우징(2) 내에서 대략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조작버튼(3)을 탄지력에 저항해서 누름으로써 래치부재(4)를 하우징(2) 밖으로 돌출된 걸림위치에서 퇴피되는 비걸림위치로 전환하는 로크장치(1)에 있어서, 조작버튼(3) 및 래치부재(4)는 하우징(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형성되는 캠 볼록부(35) 및 캠 오목부(45)의 하나를 가지며, 래치부재(4)가 캠 볼록부(35)·캠 오목부(45)의 캠 작동을 통해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로크장치{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본체에 대해 덮개체의 폐쇄상태를 걸림하는 로크장치 중, 특히 조작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걸림이 해제되는 타입의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로크장치의 2개의 종래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로크장치(일본국 특개평11-159215호)(60)는 조작버튼(62) 및 래치부재(63)가 하우징(61) 내에서 대략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수납본체(70)에 대해 덮개체(75)를 덮개 폐쇄방향에 대한 회동에 의해서 래치부재(63)를 통해 걸림하게 되고, 조작버튼(62)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래치부재(63)를 움직이게 하여 걸림이 해제된다. 즉, 하우징(61)은 수납본체(70)의 개구측 부분을 이용한 오목개소(71)로서, 오목개소(71)의 대향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61a,61b)을 형성하고 있다. 래치부재(63)는 슬라이드 구멍(61a)에 출몰하는 선단부 걸어맞춤부(63a)와 슬라이드 구멍(61b)에 삽입되는 후측 축부(63b)와 중간부에 형성된 연결구멍(63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부재(63)는 슬라이드 구멍(61a,61b)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축부(63b)에 축에 끼워져 있는 탄지부재(64)의 탄지력에 의해서 걸림위치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다. 조작버튼(62)은 조작부(62a)와 연결구멍(63c)에 관통되어 있는 슬라이드부(62b)와 슬라이드부(62b)의 후단부에 형성된 빠짐방지돌조(62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버튼(62)은 래치부재(63)에 대해 슬라이드부(62b)의 경사단면과 연결구멍(63c)의 경사단면이 맞닿은 상태로 조립된다. 조립상태에서는 (b)와 같이, 래치부재(63)가 걸림위치로 탄지 이동되고, 조작버튼(62)이 상기 양 경사단면 사이의 맞닿음을 통해 동도면의 돌출상태에 있다. 덮개체(75)는 회동되어서 폐쇄상태에 도달되기 직전에 걸어맞춤부(63a)에 닿은 후, 래치부재(63)가 탄지부재(64)의 탄지에 저항하여 퇴피되면서 폐쇄상태가 된다. 그러면, 래치부재(63)는 걸어맞춤부(63a)가 덮개체(75)의 대응단면에 형성된 오목부(76)와 대향되고, 탄지부재(64)에 의한 탄지력에 의해 이동되어서 오목부(76)에 걸어맞추어져 걸림위치가 된다. 또 걸림을 해제할 때는 조작버튼(62)을 누름조작하면 래치부재(63)가 상기 경사단면 사이의 맞닿음을 통해 퇴피되어, 상기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된다.
도 9의 종래예는 조작버튼(82) 및 래치부재(83)가 하우징(81) 내에서 교차하도록 조립되어 있는 점, 덮개 폐쇄방향에 대한 회동에 의해서 래치부재(83)를 통해 덮개체를 걸림하고, 조작버튼(82)의 탄지부재(84)에 저항한 누름조작에 의해서 래치부재(83)를 움직이게 하여 걸림이 해제되는 점에서 도 8과 동일하다. 바꿔 말하면, 하우징(81)은 상측의 테두리 형상부의 양 측벽에 가이드홈(81a)을 가지고 있다. 조작버튼(82)은 조작부(82a) 및 테두리부(82b)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부(82b)의 대향측부에 경사구멍(82c)을 형성하고 있다. 래치부재(83)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83a) 및 후단부에 돌출된 가이드축(83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82) 및 래치부재(83)는 하우징(81)에 대해 테두리부(82b)가 탄지부재(84)와 함께 상측 개구(81b)로부터 넣어지고, 래치부재(83)가 상기 테두리부(82b)에 전면 개구(81c)로부터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배치된 후, 핀(85)이 일측 가이드홈(81a), 일측 경사구멍(82c), 관통구멍(83a), 타측 경사구멍(82c), 타측 가이드홈(81a)에 꼬치형상으로 관통됨으로써 조립된다. 조립상태에서는 조작버튼(82)이 탄지부재(84)를 통해서 돌출되고, 래치부재(83)가 경사구멍(82c)의 전(前)부 하측으로 이동되는 핀(85)을 통해서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위치가 된다. 이 걸림위치는 도 8의 걸어맞춤부(63a)가 오목부(76)에 걸림한 상태이다. 상기 걸림을 해제할 때는 조작버튼(82)을 탄지부재(84)의 탄지에 저항해서 누름조작하면 래치부재(83)가 경사구멍(82c)의 후부 상측으로 이동되는 핀(85)을 통해 하우징(81)의 후방으로 퇴피된 비걸림위치가 된다.
이상의 각 종래 구조는 간단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아직 만족할 수 없다. 즉, 첫째, 로크장치(60,80)는 래치부재(63,83)의 걸림력과 조작버튼(62,82)의 압압력이 모두 탄지부재(64,84)의 스프링압에 비례한 강도가 된다. 그런데, 용도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래치부재의 걸림력을 보다 증대하고 동시에, 조작버튼의 압압력을 다른 기기류에 대응해서 보다 약하게 하고자 하기도 한다. 종래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
둘째, 래치부재(63,83)는 덮개체(75)가 폐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선단부 걸어맞춤부(63a) 등에 닿았을 때 받는 부하에 의해 일단 비걸림위치 방향으로 퇴피하면서 덮개체(75)의 오목부(76) 등과 대향하고, 다시 탄지부재(64,84)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오목부(76)와 걸어맞춤하는 걸림위치가 된다. 이 과정에서는 래치부재(63,83)가 상기 부하에 의해 돌출상태로부터 퇴피될 때 조작버튼(62,82)의 하측 이동을 동반하기 때문에, 위화감을 주는 요인이 되므로 이와 같은 움직임을 없애고자 한다.
셋째, 도 8의 장치(60)에서는 조작버튼(62)이 래치부재(63)의 연결구멍(63c)에 슬라이드부(62b)를 단지 삽입해서 상기한 경사단면 사이를 맞닿음한 상태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경사단면 사이에 모이는 먼지 등에 의해서 압압력을 해방했을 때 본래의 돌출상태로 복귀하지 않게 되거나 진동 등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래치부재(63)가 오작동될 염려도 있다. 이에 대해, 도 9의 장치(80)에서는 조작버튼(82)의 압압력이 핀(85)의 움직임을 동반해서 래치부재(83)를 퇴피하게 하는 관계로, 핀(85)의 이동에 기인한 마찰에 의해서 조작버튼(82)의 압압력이 커지거나 마모가 진행되기 쉬어지는 등의 품질 저하 요인을 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소하도록 연구한 것이다. 제 1의 목적은 구조를 복잡화하는 일 없이 래치부재의 걸림력과 조작버튼의 압압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제 2의 목적은 조립성이 우수한 것에 더하여, 조작버튼 및 래치부재의 작동특성을 양호하게 하거나 오작동을 없애거나 상기한 바와 같은 핀의 움직임에 기인한 마모 등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 1∼도 7의 예로 특정하면, 조작버튼(3) 및 래치부재(4)가 하우징(2) 내에서 대략 교차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버튼(3)을 탄지력에 저항해서 누름으로써 상기 래치부재(4)를 하우징(2) 밖으로 돌출된 걸림위치에서 하우징(2) 내로 퇴피되는 비걸림위치로 전환하는 로크장치(1)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3) 및 상기 래치부재(4)는 상기 하우징(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형성되는 캠 볼록부(35) 및 캠 오목부(45)의 하나를 가지며, 상기 래치부재(4)가 상기 캠 볼록부(35) 및 캠 오목부(45)의 캠 작동을 통해 상기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발명 장치에서는 조작버튼(3)이 탄지력에 저항해서 압압되면 래치부재(4)가 캠 볼록부(35) 및 캠 오목부(45)의 작동에 의해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된다. 구조적인 특징은 캠 볼록부(35) 및 캠 오목부(45)가 조작버튼(3)과 래치부재(4)를 작동 연결하는 캠 기구를 형성하고 있고, 형태예와 같이 조작버튼(3)의 하우징(2) 측에 대한 압압력을 효율적이고 또한 부드럽게 래치부재(4)에 전달해서 래치부재(4)를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하고, 부가해서 청구항 2∼5와 같이 전개할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항 2) 상기 조작버튼(3) 및 래치부재(4)가 독립된 전용 탄지부재(5,6)에 의해서 각각 탄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재(4)가 상기 비걸림위치 방향에 대한 부하를 받았을 때 상기 조작버튼(3)의 움직임을 동반하지 않고 상기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조작버튼(3)이 전용 탄지부재(5)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탄지되고, 래치부재(4)가 전용 탄지부 재(6)에 의해 걸림위치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상기한 래치부재(4)의 걸림력과 조작버튼(3)의 압압력을 용도에 따라서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확대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조작버튼(3)은 래치부재(4)가 걸림위치에서 래치부재(4)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비걸림위치 방향으로 퇴피되어도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위화감 등이 없어져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3) 상기 조작버튼(3)은 조작부(30)에 하설된 테두리 형상부(31)를 가지며 상기 테두리 형상부(31)의 테두리 내면에 상기 캠 볼록부(35)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재(4)는 상기 테두리 형상부(31)의 테두리 내에 배치되는 측벽부(기부(42)의 양 측부)에 상기 캠 오목부(45)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캠 볼록부(35) 및 캠 오목부(45)의 형성개소로서 조작버튼(3)의 테두리 형상부(31) 및 거기에 배치되는 래치부재(4)의 측벽부(기부(42)의 양 측부)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조작버튼(3)과 래치부재(4)의 서로의 대향부를 용이하고도 넓게 확보하기 쉬운 것, 래치부재(4)의 좌우의 움직임을 별도로 규제하지 않아도 되는 것 등의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 상기 조작버튼(3)은 하단부측에 돌조(34)가 있는 하부 연장편(33)을 가지며 상기 하부 연장편(33)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재(4)는 후단부측에 걸림돌조(44)를 가지며, 상기 걸림돌조(44)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조작버튼(3) 및 래치부재(4)를 하우징(2)에 대해서 단독으로 조립해도 복잡화되지 않고 형태예와 같이 조립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는 적합한 일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로크장치를 나타내고, 동(a)는 개략 외관도, 동(b)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로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동(a)는 하우징만을 단면한 모식 구성도, 동(b)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작동도로서, 각 (a)는 래치부재의 걸림위치에 대한 모식 종단면도, 각 (b)는 래치부재의 비걸림위치에 대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 단품을 나타내고, 동(a)는 상면도, 동(b)는 (a)의 B-B선 단면도, 동(c)는 정면도, 동(d)는 (c)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조작버튼 단품을 나타내고, 동(a)는 측면도, 동(b)는 정면도, 동(c)는 (b)의 D-D선 단면도, 동(d)는 하면도이다. 도 7은 래치부재 단품을 나타내고, 동(a)는 측면도, 동(b)는 상면도, 동(c)는 (b)의 E-E선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요, 요부 구조 및 작동의 순서대로 상술한다.
(개요) 형태예의 로크장치(1)는 조작버튼(3) 및 래치부재(4)가 하우징(2) 내에서 대략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조작버튼(3)을 탄지력에 저항해서 누름으로써 래치부재(4)를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걸림위치에서 하우징 내로 퇴피되는 비걸림위치로 전환하는 타입이다. 부재수는 하우징(2)과 조작버튼(3)과 래치부재(4)와 2개의 탄지부재(5,6)의 5점으로 이루어진다. 재질은 하우징(2), 조작버튼(3), 래치부재(4)가 수지 성형품, 탄지부재(5,6)가 금속제이다. 단, 재질적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부재 내, 하우징(2)은 형태예와 같이 전용품에 의해 형성되는 이외에, 도 8과 같이 수납본체측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지장없다. 용도는 수납본체 또는 기기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커버)에 적합하다. 도 3의 덮개체(8)는 수납본체(7)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나 도 8의 예와 같이 수납본체의 전(前)부 개구를 개폐하는 타입이라도 된다. 통상은 덮개체(8)가 탄지수단에 의해서 개방방향으로 탄지되고, 상기 탄지력에 저항해서 폐쇄상태로 회동되어 로크장치(1)를 통해 걸려지게 된다.
(요부 구조) 하우징(2)은 도 1과 도 5와 같이 본체(10)가 대략 T형의 블록체로서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테두리부(11)와 테두리부(11)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부(12)를 가지고 있다. 본체(10)는 중간부(16)를 오목형상부로 형성하고, 좌우부분을 부착구멍(10a)이 있는 부착부(17)로 설정하고 있다. 중간부(16)에는 오목형상부의 저면측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된 안내구멍(16a)과 양 측벽부분을 포함해서 개구된 양측의 안내구멍(16b)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7)는 설치개소에 따라서 변경되고, 부착구멍(10a)의 수나 형상도 적당히 설계된다. 테두리부(11)는 상측의 상부 개구(13)와 전측의 전부 개구(14)를 형성하고 있고, 상부 개구(13)로부터 삽입되는 조작버튼(3)과 전부 개구(14)로부터 삽입되는 래치부재(4)를 대략 교차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게 한다. 테두리부(11)의 배면은 중앙부에 형성되며 통형상부(12)에 관통되어 있는 관통구멍(15a)과 상기 관통구멍(15a)의 양측에 형성되며 통형상부(12)에 관통되어 있는 안내홈(15b)을 가지고 있다. 통형상부(12)는 후측을 개구하고 양측 내면에 전후로 연장되는 수평홈(12a)을 형성하고 있다. 부호(11a)는 테두리부(11)의 전측 상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은폐용 소턱부이다. 부호(18)는 본체 중간부(16)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시의 회피용 오목부이다. 부호(19)는 테두리부(11)의 양측 내면에 미량으로 움푹 들어간 안내용 세로홈이다.
조작버튼(3)은 도 1과 도 6과 같이 상측의 조작부(30)와 상기 조작부(30)에 돌출 형성된 테두리 형상부(31)와 테두리 형상부(3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축부(32)와 테두리 형상부(31)의 양측에 접속된 하부 연장편(33)과 테두리 형상부(31)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 볼록부(35)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30)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 형상부(31)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고 저벽의 일부를 상기 소턱부(11a)에 대응해서 노치한 부분(31a)과, 양 측벽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쌍의 가이드돌기부(31b)를 형성하고 있다. 축부(32)는 상기한 중간부(16)의 안내구멍(16a)에 관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 연장편(33)은 상기한 중간부(16)의 안내구멍(16b)에 관통되는 판폭으로 형성되고, 선단부 외측에 돌출 형성된 빠짐방지용 돌조(34)를 가지고 있다. 캠 볼록부(35)는 테두리 형상부(31)의 양측 내면에 있어서 상하 중간보다도 상측 위치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캠 볼록부(35)는 세로돌기(35a)의 하측에 조금 경사진 맞닿음부(35b)를 형성하고 있다.
래치부재(4)는 전체가 조작버튼(3)의 테두리 형상부(31)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치수이고, 전측의 걸어맞춤부(40)와 쌍의 가이드편(41)과 양 가이드편(41)의 사이에 위치하는 축부(43)와 캠 오목부(45)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부(40)는 기부(42)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측이 하향 경사면(40a)으로 형성되고, 하측이 수평면(40b)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41)은 상기한 하우징측 테두리부(11)의 안내홈(15b)에 관통되는 치수이고, 기부(42)의 후측에 있어서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가이드편(41)에는 후단부측에 걸림돌조(44)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돌조(44)는 가이드편(41)의 대응부에 형성된 ㄷ형 슬릿(46)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요동변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축부(43)는 상기한 테두리부(11)의 관통구멍(15a)에 관통되는 치수로서, 기부(42)의 후측 중간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캠 오목부(45)는 캠 볼록부(35)와 캠 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기부(42)의 후측에 있어서 각 가이드편(41)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형상은 개략해서 위에서 아래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로서, 상측이 캠 볼록부(35)를 충분히 여유를 가지고 도입 가능한 개구 치수, 하측이 극히 좁은 개구 치수이다. 즉, 상기 오목부는 전부 내측 단면이 수직면(45a)으로 형성되고, 후부 내측 단면이 아래로 감에 따라서 점차 수직면(45a)에 접근하는 경사면(45b)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 기구로서는 상기 맞닿음부(35b)의 경사면이 캠 오목부(45)의 경사면(45b)을 따라서 슬라이드하여, 상부에서 하향으로 슬라이드될 때 래치부재(4)를 비걸림위치로 퇴피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상의 각 부재는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조립된다. 먼저 하우징(2)에 대해서 조작버튼(3)이 탄지부재(5)와 함께 짜 넣어진다. 이 작업에서는 축부(32)에 탄지부 재(5)의 권회부를 축에 장착한 상태에서, 조작버튼(3)을 테두리부(11) 내에 누르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양측의 하부 연장편(33)은 돌조(34)가 안내구멍(16b)에 닿은 후, 강하게 압압되면 요동변위를 동반하여 안내홈(16b)을 강제적으로 통과하고, 통과와 동시에 본래의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빠짐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버튼(3)이 하우징(2)에 대해서 탄지부재(5)의 탄지력에 의해 상승위치에 있다. 다음에 래치부재(4)가 탄지부재(6)와 함께 짜 넣어진다. 이 작업에서는 축부(43)에 탄지부재(6)의 권회부를 축에 장착하고, 또 테두리 형상부(31)가 전부 개구(14)와 중첩되도록 조작버튼(3)을 약간 누른 상태에서 래치부재(4)를 전부 개구(14)로부터 테두리 형상부(31) 내로 누르면서 관통하게 한다. 그러면, 양 가이드편(41)은 걸림돌조(44)가 안내구멍(15b)에 닿은 후, 강하게 압압되면 요동변위를 동반해서 안내구멍(15b)을 강제적으로 통과하고, 통과와 동시에 본래의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빠짐이 방지된다. 동시에 축부(43)의 선단부측이 관통구멍(15a)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래치부재(4)가 하우징(2)에 대해서 탄지부재(6)의 탄지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조에서는 조작버튼(3) 및 래치부재(4)를 모두 원터치조작에 의해서 하우징(2)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9의 구조에 비해 조립공정수를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작동) 다음에 이상의 로크장치(1)의 작동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상술한다. 도 3은 도 8(a)에 대응되는 덮개체(8)를 로크장치(1)에 의해 걸림(로크)된 상태를 상정하고 있다. 덮개체(8)는 예를 들면 우측의 단부가 수납본체(7)에 대해 도시생략된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또 탄지수단(S)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모양이다.
로크장치(1)는 조립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3)이 탄지부재(5)를 통해 상승위치, 래치부재(4)가 탄지부재(6)를 통해 걸림위치에 있다. 캠 기구와의 관계에서는 도 3(b)에 모식화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측의 캠 볼록부(35)가 래치부재측의 캠 오목부(45)의 후부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맞닿음부(35b)의 경사면이 캠 오목부(45)의 경사면(45b)의 상측에 맞닿아 있다. 여기서, 걸림위치에 있어서 래치부재(4)의 걸림력은 탄지부재(5)의 스프링압에 좌우되지 않고 오로지 탄지부재(6)의 스프링압에 의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덮개체(8)(의 대응부(8a))에 대한 걸림력을 증대하거나 약하게 하고자 할 때는 그에 따른 스프링압의 탄지부재(6)를 사용하면 된다.
도 4는 덮개체(8)의 걸림(로크)을 해제하기 위해 조작부(30)를 눌러서 조작버튼(3)을 탄지부재(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강되게 한 상태이다. 캠 기구와의 관계에서는 도 4(b)에 모식화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측의 캠 볼록부(35)가 래치부재측의 캠 오목부(45)의 전부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래치부재(4)는 맞닿음부(35b)의 경사면이 캠 오목부(45)의 경사면(45b)을 따라서 하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결과, 테두리 형상부(31)(테두리부(11)) 내에 퇴피되도록 움직이게 되어 비걸림위치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상기 구조에서는 래치부재(4)가 캠 볼록부(35) 및 캠 오목부(45)에 의한 캠 작동에 의해서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부드러운 슬라이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조에서는 조작버튼(3)의 압압력이 탄지부재(6)의 스프링압에 좌우되지 않고, 오로지 탄지부재(5)의 스프링압에 의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버튼(3)의 압압력을 증대하거나 약하게 하고자 할 때는 그에 따른 스프링압의 탄지부재(5)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로크기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체(8)가 개방상태로부터 다시 폐쇄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걸어맞춤부(40)에 닿거나 상기 맞닿음에 의해서 래치부재(4)가 일단 퇴피된 후, 다시 걸림위치로 복귀된다. 종래 장치에서는 래치부재의 퇴피와 연동해서 조작버튼도 하측으로 이동되지만, 이 로크장치(1)에서는 조작버튼(3)이 래치부재(4)의 퇴피와 연동해서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 점은,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래치부재(4)가 퇴피방향으로 압압된 모양을 상정하면 되고, 캠 오목부(45)가 캠 볼록부(35)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후방(도면의 좌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서는 상기한 캠 작동에 의한 양호한 슬라이드와 함께, 종래 구조에서는 도저히 얻을 수 없는 작동을 실현하며, 종래와 같은 위화감의 염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크장치에서는 상기한 전 과제를 해소하고, 래치부재를 캠 볼록부 및 캠 오목부에 의한 캠 작동에 의해서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마찰이나 마모 등을 발생하는 일 없이 양호한 전환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조작버튼의 압압력이나 래치부재의 걸림력을 개개적으로 설정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조작버튼의 이동을 동반하지 않고 래치부재를 후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위화감을 해소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로크장치의 외관과 분해 구성도
도 2는 상기 로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로크장치를 래치 걸림위치에서 나타낸 모식 작동도
도 4는 상기 로크장치를 래치 비걸림위치에서 나타낸 모식 작동도
도 5는 상기 로크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상기 로크장치의 조작버튼을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상기 로크장치의 래치부재를 나타낸 상세도
도 8은 종래 로크장치를 나타내고, (b)는 (a)의 F-F선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다른 로크장치를 나타낸 분해 구성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크장치
2 - 하우징(10:본체, 11:테두리부, 12:통형상부)
3 - 조작버튼(30:조작부, 31:테두리 형상부, 32:축부)
4 - 래치부재(40:걸어맞춤부, 41:가이드편, 43:축부)
5,6 - 탄지부재 7,70 - 수납본체
8,75 - 덮개체 33 - 하부 연장편(34:돌조)
44 - 걸림돌조
35 - 캠 볼록부(35a:세로돌기, 35b:맞닿음부)
45 - 캠 오목부(45a:수직면, 45b:경사면)

Claims (5)

  1. 조작버튼 및 래치부재가 하우징 내에 대략 교차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버튼을 탄지력에 저항해서 누름으로써 상기 래치부재를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걸림위치에서 하우징 내로 퇴피되는 비걸림위치로 전환하는 로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 및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형성되는 캠 볼록부 및 캠 오목부의 하나를 가지며,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캠 볼록부 및 캠 오목부의 캠 작동을 통해 상기 걸림위치에서 비걸림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 및 래치부재가 독립된 전용 탄지부재에 의해서 각각 탄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비걸림위치 방향에 대한 부하를 받았을 때 상기 조작버튼의 움직임을 동반하지 않고 상기 비걸림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조작부에 하설된 테두리 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테두리 형상부의 테두리 내면에 상기 캠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테두리 형상부의 테두리 내에 배치되는 측벽부에 상기 캠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하단부측에 돌조가 있는 하부 연장편을 가지며, 상기 하부 연장편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재는 후단부측에 걸림돌조를 가지며, 상기 걸림돌조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하단부측에 돌조가 있는 하부 연장편을 가지며, 상기 하부 연장편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래치부재는 후단부측에 걸림돌조를 가지며, 상기 걸림돌조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KR10-2003-0011391A 2002-07-09 2003-02-24 로크장치 KR100476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9880 2002-07-09
JP2002199880A JP2004044114A (ja) 2002-07-09 2002-07-09 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570A KR20040005570A (ko) 2004-01-16
KR100476995B1 true KR100476995B1 (ko) 2005-03-16

Family

ID=3170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391A KR100476995B1 (ko) 2002-07-09 2003-02-24 로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044114A (ko)
KR (1) KR100476995B1 (ko)
TW (1) TW55920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6190B2 (ja) * 2006-11-06 2011-12-14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JP5220683B2 (ja) * 2009-05-07 2013-06-26 美和ロック株式会社 錠のラッチ構造
JP5231352B2 (ja) * 2009-07-17 2013-07-10 豊田合成株式会社 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44114A (ja) 2004-02-12
TW559206U (en) 2003-10-21
KR20040005570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735B2 (en) Locking device
JP2565751B2 (ja) 折り畳み式収納ドア
KR101176345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JPH05338496A (ja) 蓋開閉装置
US6343816B1 (en) Lock with laterally-outwardly movable bolt supported in a housing
KR100476995B1 (ko) 로크장치
EP3904584B1 (en) Washing machine including drawer
JP5147587B2 (ja) ロック装置
US11498491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3098867B2 (ja) 蓋開閉装置
JP4966883B2 (ja) 開閉補助機構
US6283513B1 (en) Locking device for a two-door unit of swinging type
WO2006025184A1 (ja) スライド装置及び携帯電話
KR200314654Y1 (ko) 캐비닛의 잠금 장치
JP3146820B2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機構
JPH09323745A (ja) 蓋の開閉装置
JP5004560B2 (ja) 鎌錠
JPH09195608A (ja) 係止構造
JP4100795B2 (ja) ハート型カム式ロック装置
JPH0882152A (ja) 引戸のガイド構造
JP2024004746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7009528A (ja) 施錠装置、収納家具
JPH0535772Y2 (ko)
JP3587275B2 (ja) 家具用抽斗ロック装置
JP3944346B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