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792B1 - 소형모터 - Google Patents

소형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792B1
KR100476792B1 KR1019970030565A KR19970030565A KR100476792B1 KR 100476792 B1 KR100476792 B1 KR 100476792B1 KR 1019970030565 A KR1019970030565 A KR 1019970030565A KR 19970030565 A KR19970030565 A KR 19970030565A KR 100476792 B1 KR100476792 B1 KR 100476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support member
hole
shaft support
bea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556A (ko
Inventor
고히치 사이토
세이지 가와하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3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79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3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retained in or near the bea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갯수의 감소 및 조립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치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회전축 지지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소형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를 위해,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1)는 개략 원형의 브래킷 본체(2)로 구성되며, 그 외주에는 외주벽(3)이 설치되며, 그의 중심부에는 회전자의 회전축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4)가 브래킷 본체(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4)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41)을 갖는다. 이 축공(41)은 회전축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42)과 회전축의 단면이 맞닿는 저면(43)을 갖는다. 또, 브래킷 본체(2)는 리드선이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공(5)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 본체(2)는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Description

소형 모터
본 발명은 회전축 지지부재 및 이것을 구비한 소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 내에 설치된 고정자 및 회전자를 가지며 케이싱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브래킷에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회전자의 회전축은 소결금속에 예를 들면 18vol%의 윤활유를 함침(含侵)시킨 전용의 함유(含油)축받이에 의해 지지되며 이 축받이는 수지제의 브래킷의 중앙부 내측에 결합 및 고정되어있다.
그러나, 이같은 구성에서는 분리부재인 브래킷과 축받이를 조립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갯수가 증대하고 조립작업, 특히 축받이의 브래킷에 대한 위치결정 작업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근래, 예를 들면 포켓벨, 휴대전화, 카메라, 휴대용 테이프레코더 등에 쓰이는 소형 모터의 개발이 진전되고 있으며 이 모터의 소형화에 따라 회전자, 브래킷 및 축받이 등의 부품의 치수도 작아지고 있다.
이같은 소형 모터에서는 대형, 중형의 모터에 비해서 조립된 각 구성 부품의 치수, 위치결정 등에 의해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자를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재에 있어서,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된 부재인 축받이가 상기 브래킷에 합체되므로, 조립 정밀도, 즉 축구멍의 위치 정밀도 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갯수의 감소 및 조립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치수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회전축받이 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소형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소형모터로서,
단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면, 저면 및 하면과 캐비티를 한정하는 측벽을 갖는 회전축 지지부재와, 축받이부에 결합하는 단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는 고정자와, 분기부를 가지며 축받이부에 인접한 회전축 지지부재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리드선과, 상기 리드선을 상기 관통공에 고정하도록 상기 분기부 내에 접착제를 구비하며, 상기 하면은 측벽과 함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보어와 축수용 축받이부를 한정하는 저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의 측벽이 케이싱의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는 윤활성을 갖는 수지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축의 윤활을 위한 오일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소형모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형모터로서, 단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면, 저면 및 하면과 캐비티를 한정하는 측벽을 갖는 회전축 지지부재와, 축받이부에 의해 수용된 단부를 갖는 회전축과, 분기부를 가지며 축받이부에 인접한 회전축 지지부재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리드선과, 상기 리드선을 상기 관통공에 고정하도록 분기부 내에 접착제를 구비하며, 상기 하면은 측벽과 함께 내부에 원통형 보어와 축수용 축받이부를 한정하는 저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의 측벽이 케이싱의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는 윤활성을 갖는 수재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축의 윤활을 위한 오일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소형모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 및 소형 모터에 의하면 브래킷 본체에 축받이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품갯수의 감소 및 조립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브래킷 본체의 축받이부가 액정 폴리머로 대표되는 윤활성을 갖는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축공에 대한 회전축의 미끄럼 저항이 감소되고, 모터 토크의 손실을 적게 할 수가 있다. 특히, 액정 폴리머로 구성되는 경우 모터 구동시의 정숙성, 축받이부의 내구성, 성형성이 우수하며 또한, 성형 수축율이 낮으므로 각 부품의 치수 정밀도, 특히 축공의 내경 및 깊이의 치수 정밀도가 매우 높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본체에 리드선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은 그 내경이 브래킷 본체의 내측으로 향해 점증(漸增)하는 부분을 갖는 경우, 관통공에 관통된 리드선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드선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 및 소형 모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회전축 지지부재를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했을 때의 수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에 대해서 도 1 및 도 2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1)는 개략 원형의 브래킷 본체(2)로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 본체(2)의 외주에는 외주벽(3)이 세워 설치되고 있으며 브래킷 본체(2)의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회전자(13)의 회전축(133)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4)가 브래킷 본체(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부(4)는 회전자(13)의 회전축(133)이 삽입되는 축공(41)을 갖는다. 이 축공(41)은 회전축(133)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42)과 회전축(133)의 단면이 맞닿는 저면(43)을 가지며 외주벽(3)으로 둘러싸이는 공간(31)으로 개방(연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주면(42)은 축방향을 따라서 그 내경이 개략 일정인 원통면을 구성하며 저면(43)은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 축공(41)의 내주면(42)의 도 2중 상부에는 회전축(133)을 삽입하고 쉽게 공간(31)으로 향해서 확개하는 테이퍼면(안내면)(44)이 형성되어 있다.
축공(41)의 치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회전축 지지부재(1)가 소형 모터에 쓰이는 것일 경우, 축공(41)의 내주면(42)의 부분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mm 정도, 더욱 바람직하기는 0.6 내지 0.8mm 정도로 되며 축공(41)의 깊이는 바람직하기는 0.5 내지 1.5mm 정도, 더욱 바람직하기는 0.6 내지 0.8mm 정도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축공(41)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내주면(42)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공간(31)으로 향해서 그 내경이 점증하는 테이퍼면 또는 단차(段差)를 갖는 면이어도 좋으며, 또, 저면(43)이 볼록상 또는 오목상의 만곡면 또는 단차를 갖는 면이어도 좋다.
또, 브래킷 본체(2)에는 축받이부(4)를 중점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브래킷 본체(2)를 관통하는 1쌍의 관통공(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5)에는 회전자(13)를 회전구동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리드선(15)이 삽입 관통된다.
이 관통공(5)의 도 2중 하측부분의 내경은 피복을 실시한 리드선(15)의 외경과 동일 또는 약간 크게 설정되며 관통공(5)의 축방향을 따라서 일정으로 되어 있다. 또, 관통공(5)의 도 2중 상측에는 그 내경이 브래킷 본체 내측의 공간(31)으로 향해서 점증하는 부분, 즉, 공간(31)으로 향해서 확개하는 테이퍼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51)는 리드선(15)을 관통공(5)에 관통한 상태로 후술하는 접착제(16)가 충전되는 접착제통을 구성하지만, 반드시 접착제(16)나 기타의 고정부재가 충전되지 않아도 좋다.
각 관통공(5)의 한쪽의 측부에는 각각 후술하는 브러시(17)를 고정하기 위한 브러시 고정부(6)가 브래킷 본체(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브래킷 본체(2)는 그 자체로 윤활성을 갖는 수지재료, 특히 마찰계수가 비교적 적고 내마모성을 갖는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LC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액정 폴리머를 주로 하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폴리머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저마찰계수로 내마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회전축(133)이 축공(41)의 내주면(42)이나 저면(43)과 미끄럼 운동하는데 유리하며, 특히, 미끄럼 운동음, 진동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정숙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액정 폴리머는 브래킷 본체(2)를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 용융시의 유동성이 높고 성형성이 우수하므로, 예를 들면, 미세하면서 복잡한 형상의 형성이나 외주벽(3)과 같은 얇은 부분의 형성에도 적합하며 또, 버블의 발생도 적다. 또한, 액정 폴리머는 고체-융체 사이에서의 구조변화가 적으므로 성형 수축율이 낮고 따라서 각부의 치수정밀도, 특히 축공(41)의 내경 및 깊이의 치수 정밀도가 매우 높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액정 폴리머로서는 그 열변형 온도로부터, I형, II형, III형으로 분류되는데 이중에서도 상술한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된다는 점에서 특히 II형의 액정 글리머(열변형온도가 20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II형의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폴리플라스틱사(社)제의 상품명 : 벡트라를 들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본체(2)의 구성재료는 액정 폴리머 단독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정 폴리머와 다른 폴리머와의 공중합체, 액정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혼합물이나 폴리머합금 등이어도 좋다. 또한,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재료 중에, 예를 들면, 충전제, 안료 등의 각종 첨가물이 첨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충전재(예컨대 그라파이트, 유리섬유 등의 무기충전제)의 첨가는 액정 폴리머의 이방성(異方性)을 완화하는데 유리하다.
이상과 같은 액정 폴리머로 대표되는 블래킷 본체(2)의 구성재료는 성형수축율이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치수 정밀도가 매우 높은 축공(4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브래킷 본체(2)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성형에 의하면 복잡한 형상의 브래킷 본체(2)를 치수정밀도 양호하게 게다가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브래킷 본체(2)는 게이트 흔적(수지 주입 위치)(8)이 브래킷 본체(2)의 축공(41)의 저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래킷 본체(2)의 저면의 축공(41)의 연장선상의 위치에 접시상의 오목부(7)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오목부(7)에, 특히 오목부(7)의 중앙부근(축공(41)의 축선과 개략 일치하는 위치)에 게이트 흔적(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 본체(2)의 사출성형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흐름은 도 4중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며, 즉, 축공(4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흐르며 또한, 수지의 일부가 축공(41)의 내주면(42)을 따라서 축선방향으로 도 4중 상방향으로 향해서 흐르고 있으므로 축공(41)의 치수 정밀도가 매우 높아지며 특히, 축공(41)의 횡단면을 진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본체(2)의 치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과 같은 소형 모터에 쓰이는 것일 경우, 브래킷 본체(2)의 외경은 바람직하기는 2mm 내지 15mm 정도, 보다 바람직하기는 2 내지 6mm 정도로 된다.
다음에 회전축 지지부재(1)를 구비한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3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소형 모터(10)는 직류 모터이며 통상의 몸통부(12)와 이 몸통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된 회전축 지지부재로 되는 케이싱(11)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케이싱(11)의 도 3 중 하단측의 회전축 지지부재는 상술한 회전축 지지부재(1)이며, 도 3 중 상단측의 회전축 지지부재(도면 중 생략)는 관통공(5) 및 브러시 고정부(6)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는 회전축 지지부재(1)와 동일하다.
또한, 케이싱(11) 내에는 회전자(13)가 양 회전축 지지부재(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자(13)는 코어(131)와 코어(131)에 권선을 실시하므로서 형성된 1쌍의 여자 코일(132)과 코어(131)의 중심에 결합된 회전축(133)과 코어(131)의 일단부에 설치된 정류자(134)로 구성되고 있으며 회전축(133)의 양단부가 각각 회전축 지지부재(1)의 축공(41)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싱(1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133)의 단면은 만곡 볼록면을 구성하며 축공(41)의 저면(43)에 대해서 소면적(점접촉)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13)의 회전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저감하고 있다.
회전축(133)의 구성재료로서는 고강도이며 저마찰계수의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SUS), 베어링강(SUJ) 등의 금속재료나 세라믹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회전자(13)의 회전시의 마찰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회전축(133)의 적어도 축공(41)과 접촉하는 부분은 평활화처리(표면거칠기를 작게 하는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류자(134)는 서로 절연된 1쌍의 정류자편이 대향 배치된 구조를 이루며 각 정류자편은 각각 대응하는 여자 코일(1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13)의 회전에 있어서 회전각 180도마다 정류된다.
회전자(13)의 여자코일(132)이 배치된 부분의 외주부에는 고정자로서 몸통부(12)의 내면에 고정된 영구자석(스테이터 자석)(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영구자석(14)으로서는 원통상 자석, 세그먼트형(분리형) 자석 중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 영구자석(14)을 구성하는 자성재료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희토류 원소와 천이금속을 포함하는 것[예를 들면, SmCO계 자석, R-Fe-D계 자석(R는 Y를 포함하는 희토류 원소)]가 자기특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영구자석(14)의 형태도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소결 자석, 주조 자석, 수지결합형 자석 등, 어느 것이어도 좋으나 성형성 등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수지결합형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중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축 지지부재(1)의 양 관통공(5)에는 각각 리드선(15)이 관통되며 이들의 리드선(15)은 테이퍼부(51)에 접착제(16)를 충전하므로서 브래킷 본체(2)에 대해서 접착 고정되어 있다. 관통공(5)에 테이퍼부(5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서 고화된 접착제(16)가 마찬가지의 작용을 발생하고 리드선(15)이 관통공(5)에서 빠져서 단선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중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축 지지부재(1)의 양쪽 고정부(6)에는 각각 금속판으로 되는 브러시(17)가 고정되고 있다. 각 브러시(17)의 기단부는 대응하는 리드선(15)으로부터 노출된 금속선(151)과 납땜되어 있다. 또, 각 브러시(17)의 선단부(브래킷 본체(2)의 중심측단부)는 정류자(134)의 외주에 대해서 서로 회전각 180도 어긋난 위치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양 리드선(15)을 거쳐서 양 브러시(17)에 직류를 통전하면 각 여자 코일(132)이 여자되어서 회전자(13)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정류자(134)의 작용에 의해 180도 회전할 때마다 전류(轉流)되며 회전자(13)의 회전이 계속된다.
이같은 소형 모터(10)에서는 회전축(133)을 지지하는 축공(41)의 내주면(42) 및 저면(43)이 저마찰이자 내마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축공(41) 내에 윤활유를 주입해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종래의 함유 축받이를 쓴 경우같이 유분(油分)이 회전축(133)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정류자(134) 등에 부착하지 않고 유분에 의한 접촉불량, 먼지의 흡착 등에 기인하는 모터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윤활유의 보충 등을 고려할 필요도 없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모터는 직류 모터에 한하지 않으며 단상 또는 다른상의 교류 모터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 및 소형 모터를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회전축 지지부재의 전체 또는 각부의 형상, 소형 모터에 있어서의 회전축 지지부재의 배치, 회전자의 극수, 형상, 칫수 등은 상기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소형 모터는 포켓벨, 휴대전화, 카메라, 휴대용 테이프레코더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 및 소형 모터에 의하면 브래킷 본체에 축받이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서 부품갯수의 감소 및 조립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브래킷 본체의 축받이부가 액정 폴리머로 대표되는 윤활성을 갖는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축공에 대한 회전축의 미끄럼 저항이 감소되고 모터 토크의 손실을 적게 할 수가 있다. 특히, 액정 폴리머로 구성된 경우에는 모터 구동시의 정숙성, 축받이부의 내구성, 성형성이 우수하며 또한, 성형 수축율이 낮으므로 각 부품의 치수 정밀도, 특히 축공의 내경 및 깊이의 치수 정밀도가 매우 높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본체에 리드선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은 그 내경이 브래킷 본체의 내측으로 향해 점증(漸增)하는 부분을 갖는 경우에는 관통공에 관통된 리드선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드선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축 지지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중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4는 회전축 지지부재를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할 경우의 수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회전축 지지부재 2 : 브래킷 본체
3 : 외주벽 4 : 축받이부
5 : 관통공 6 : 브러시 고정부
7 : 오목부 8 : 게이트 흔적
10 : 소형 모터 11 : 케이싱
12 : 몸통부 13 : 회전자
41 : 축공 42 : 내주면
43 :저면 44 : 테이퍼면
51 : 테이퍼부

Claims (5)

  1. 소형모터에 있어서,
    단부를 갖는 케이싱과,
    공간을 둘러싸는 외주벽을 갖는 회전축 지지부재로서, 그 내부에 축받이부를 형성하는 내주면과 저면을 구비하며 상기 공간으로 개방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축공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벽이 케이싱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전축 지지부재와;
    축받이부에 결합하는 단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는 고정자와;
    분기부를 가지며 축받이부에 인접한 회전축 지지부재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리드선; 및
    상기 리드선을 상기 관통공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분기부 내의 접착제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는 윤활성을 갖는 수지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축의 윤활을 위한 오일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소형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재료는 액정 폴리머를 구비하는 소형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의 저면은 사출성형에 의해 수지재료가 주입된 축받이부 아래에 위치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소형모터.
  4. 소형모터에 있어서,
    단부를 갖는 케이싱과;
    공간을 둘러싸는 외주벽을 갖는 회전축 지지부재로서, 그 내부에 축받이부를 형성하는 내주면과 저면을 구비하며 상기 공간으로 개방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축공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벽이 케이싱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전축 지지부재와;
    축받이부에 의해 수용된 단부를 갖는 회전축과;
    분기부를 가지며 축받이부에 인접한 회전축 지지부재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리드선; 및
    상기 리드선을 상기 관통공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분기부 내의 접착제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는 윤활성을 갖는 수지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축의 윤활을 위한 오일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소형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단부는 축받이부와 축 사이의 접촉영역을 감소시키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소형모터.
KR1019970030565A 1997-07-02 1997-07-02 소형모터 KR100476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565A KR100476792B1 (ko) 1997-07-02 1997-07-02 소형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565A KR100476792B1 (ko) 1997-07-02 1997-07-02 소형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556A KR19990008556A (ko) 1999-02-05
KR100476792B1 true KR100476792B1 (ko) 2005-07-11

Family

ID=4366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565A KR100476792B1 (ko) 1997-07-02 1997-07-02 소형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7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050A (ja) * 1984-09-27 1986-04-30 シー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永久磁石励磁小形電動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050A (ja) * 1984-09-27 1986-04-30 シー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永久磁石励磁小形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556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7944B2 (en) Motor with encapsulated st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928209B2 (e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029179B2 (en) Bearing unit, and motor using same
US4755709A (en) Electric machine having magnetic bearing means
JP2004236390A (ja) 小型ブラシレスモータ
US6342739B1 (en) Small-sized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00071206A (ko) 회전 기계용 회전자 조립체
KR101141002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H0944985A (ja) 動圧軸受装置を使用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1231236A (ja) 円筒コアレスモータ
JPH09303398A (ja) 含油軸受ユニットおよび含浸軸受ユニットを備えたモータ
US20030001451A1 (en) Eccentric rotor having high density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at coreless vibrator motor using the eccentric rotor
US6060807A (en) Rotating shaft support member and small motor
US20060043808A1 (en) Hydrodynamic pressure bearing spindle motor
KR100476792B1 (ko) 소형모터
JP3261329B2 (ja) 出力軸のない軸固定型モータ
EP4438902A1 (en) Rotor assembly of electronic water pump and electronic water pump
KR100422043B1 (ko) 모터용 코어 제조방법
JPS589563A (ja) トランジスタモ−タ
JP2002130257A (ja) 動圧軸受装置を使用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3324890A (ja) 小型コアレスモータ
JP2000092804A (ja) 振動を大にした超小型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KR100352858B1 (ko) 중심의이동을크게한편평코어리스진동모터
KR0154955B1 (ko) 캡스턴 모터의 베어링 홀더 조립체
JPS5829362A (ja) トランジスタモ−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7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2072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11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0012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113

Appeal identifier: 2004101005481

Request date: 20041124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1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1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001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23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