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181B1 -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181B1
KR100476181B1 KR10-2003-0005596A KR20030005596A KR100476181B1 KR 100476181 B1 KR100476181 B1 KR 100476181B1 KR 20030005596 A KR20030005596 A KR 20030005596A KR 100476181 B1 KR100476181 B1 KR 100476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or
support frame
deck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142A (ko
Inventor
김종재
박현선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시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시마스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1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22Connecting elements between stanchions, e.g. roof supporting elements, stiff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되는 적재물 지지용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높이가 높거나 부피가 큰 적재물인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면서 적재물의 적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단에는 각각 제1,2부재(110)(120)가 결합되고 측면에는 관통공(310)이 형성된 연결구 몸체(300)와, 일단에 끼움구멍(41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410) 내부에는 구멍(421)이 형성된 격벽(420)이 설치되어 있는 보조연결구(400)와, 제3부재(130)의 양단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체결공(141)이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너트(142)가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140)과, 일단에는 체결부(510)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구(500)를 구성하므로서, 몸체(300)의 양단에 제1,2부재(110)(120)가 각각 결합되고, 몸체 (300)의 관통공(310) 일측에 결합되는 보조연결구(400)의 끼움구멍(410)에는 제3부재(130)가 끼워진 다음 고정구(500)를 관통공(310)과 구멍(421)과 체결공(141)을 통해 너트(142)에 체결시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제3부재(130)를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간단히 탈착시킬 수 있어 부피와 높이가 다양한 적재물을 데크(200)에 효과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Connector for support frame installed on the deck of pickup truck}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지지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중 일부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적재물을 데크에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데크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을 수송하는 용도로 제작된 차량은 승용차라고 하며, 물건을 수송하는 용도로 제작된 차량은 트럭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트럭도 여러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엔진이 운전석 앞쪽에 위치되어 있는 트럭은 본네트 트럭이라고 하며, 엔진이 운전석 아래에 위치한 트럭은 카뷰오버트럭이라고 하고, 상자형 화물실을 갖추고 있는 트럭은 밴이라고 하며, 운전석과 화물실이 한몸으로 되어 있는 밴은 패널밴이라고 하고, 소형의 패널밴은 라이트밴이라고 하며, 화물실에 지붕이 없고 측판이 운전석과 한몸으로 되어 있는 소형의 트럭은 픽업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픽업차량은 전방의 승차석(Cabin)과 후방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데크(Deck)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데크의 양측 상면과 승차석의 후면에는 데크의 전체적인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데크 가니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 은 픽업차량의 데크 내부에 설치된 적재물 지지용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서, 데크(20)의 내부에 각종 적재물을 적재하는 경우 주행중 적재된 적재물이 데크(20) 외부로 떨어질 경우 적재물이 분실 또는 파손되는 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지지프레임(10)을 데크(20) 내부에 설치하여 적재된 적재물이 데크(20)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프레임(10)의 구성은 양단과 일측면에 각각 끼움홈(31)이 형성된 2개의 연결구(30)와, 파이프 형태의 제1부재(11) 한쌍과 제2부재(12) 한쌍과 제3부재(13)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조립은 2개의 연결구(30)의 양단에 세로방향으로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를 대향된 상태로 각각 끼워 고정시킨 다음 일정한 거리를 두고 데크(20)의 양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연결구(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31)에 제3부재(13)를 가로방향으로 연결시키므로서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0)의 하단을 데크(20)의 내부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데크(20)의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데크(20)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지프레임(10)은 높이가 낮고 부피가 작은 적재물인 경우 지지프레임(10)에 의해 적재물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 반면에 높이가 높거나 부피가 큰 적재물인 경우는 상기 제3부재(13)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3부재(13)는 연결구(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으므로 데크(20)에 부피가 크고 높이가 높은 적재물은 적재시킬 수 없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되는 적재물 지지용 지지프레임중 일부분이 탈착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적재물의 부피나 크기에 따라 지지프레임의 구조를 변경시켜 적재물의 적재를 더욱 용이하고 효과적을 할 수 있도록 한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3부재와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적재물 지지용 지지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에는 각각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되고 측면에는 전후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구 몸체와, 일단은 상기 연결구 몸체의 관통공 일측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 내부에는 구멍이 구비된 격벽이 설치되어 있는 보조연결구와, 상기 보조연결구의 끼움구멍을 끼워지는 제3부재의 양단에 설치되어 제3부재의 중공부를 차단하며 중앙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의 내면에는 너트가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과, 일단에 상기 연결구 몸체의 관통공과 보조연결구의 구멍과 브라켓의 체결공을 통해 너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가 형성된 고정구를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2개의 연결구 몸체의 양단에 제1,2부재가 각각 결합되고, 양쪽 연결구 몸체의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제3부재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프레임이 구성된 후 데크에 설치됨에 따라 부피가 크거나 작은 적재물 또는 높이가 낮거나 높은 적재물이 상기 프레임에 의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결합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7a 와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2,3부재와 상기 제1,2,3부재를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구로 구성된 적재물 지지용 지지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에는 각각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결합되며, 측면으로는 전후를 관통하는 관통공(310)이 형성된 한쌍의 연결구 몸체(300)와; 일단은 상기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의 끼움구멍(410) 내부에는 중앙에 구멍(421)이 형성되도록 격벽(420)이 설치되어 있는 보조연결구(400)와; 제3부재 (130)의 중공부(131) 양단을 막아주면서 결합되며, 중앙에는 체결공(141)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141) 내면에는 너트(142)가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140)과; 일단에 상기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과 보조연결구(400)의 구멍(421)과 브라켓(140)의 체결공(141)을 통해 너트(14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510)가 형성된 고정구(500)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00)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31)은 제3부재(130)의 중공부이며, (200)은 데크이고, (3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예시된 이탈방지구이며, (321)은 상기 이탈방지구(320)에 형성된 절결부이고, (511)은 고정구(500)의 체결부(510)에 형성된 나사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데크(200)에 설치되어 적재물이 데크(200)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지지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100)의 일부분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착되면서 다양한 적재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데크(200)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을 예시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00)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그리고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1개의 제3부재(130)와 상기 제1,2,3부재(110)(120) (130)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2개의 연결구 몸체(300)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연결구 몸체(300)의 양단으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연결되어 데크(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구 몸체(300)의 양단 또한 다른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연결되어 데크(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양쪽 연결구 몸체(300)의 사이로 제3부재(130)가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양쪽 연결구 몸체(300)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부재(130)가 필요에 따라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데크(20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부피나 높이에 따라 제3부재 (130)를 탈착하면서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4 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한쪽 연결구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 몸체의 측면으로 제3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연결구의 몸체(300) 양단에는 각각 제1,2부재(110)(120)가 결합되며, 측면에는 전후를 관통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연결구(400)의 일단은 상기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보조연결구(400)의 타단에는 끼움구멍(4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끼움구멍(410)의 내부에는 격벽(4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420)의 중앙에는 구멍(4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140)은 제3부재(130)의 양단에 설치되어 제3부재(130)의 중공부 (131)를 막아주게 되며, 이때 브라켓(140)의 중앙 또한 체결공(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141)의 내면에는 너트(142)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구(500)의 일단에는 체결부(5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부 (510)는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과 보조연결구(400)의 구멍(421)과 브라켓 (140)의 체결공(141)을 통해 너트(142)와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구 몸체와 제1부재와 제2부재와 보조연결구와 브라켓이 설치된 제3부재와 고정구의 결합과정을 도 5a 와 도5b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5a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의 몸체(300)의 양단에는 각각 제1,2부재(110)(120)가 끼워져 결합되고,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 내측에는 보조연결구(40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보조연결구(400)의 타단인 끼움구멍(410)에는 브라켓(140)이 설치되어 있는 제3부재(130)의 일단이 끼워지게 되면서 상기 제3부재(130)의 끝단과 브라켓(140)이 끼움구멍(410) 내부에 형성된 격벽(420)에 접면됨에 따라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과 보조연결구(400)의 구멍(421)과 브라켓(140)의 체결공(141)이 자연적으로 일치가 되는 것이다.
이후 도 5b 와 같이 고정구(500)의 체결부(510)를 상기 일치된 연결구 몸체 (300)의 관통공(310)과 보조연결구(400)의 구멍(421)과 브라켓(140)의 체결공(141)으로 끼워넣어 상기 체결공(141) 내면에 고정되어 있던 너트(142)에 체결하게 되면 고정구(500)에 의해 연결구 몸체(300)와 제3부재(130)가 결합되는 것이며, 필요에 의해 연결구 몸체(300)로부터 제3부재(13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구 (500)의 체결부(510)를 상기 너트(142)로부터 풀어 연결구 몸체(300)로부터 제3부재(130)를 간단히 분리시키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 과 7a 및 7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고정구(500)를 이용하여 연결구 몸체(300)로부터 제3부재(130)를 분리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고정구(500)의 체결부(510)를 제3부재(130)의 브라켓(140)에 고정되어 있던 너트(142)로부터 풀어 연결구 몸체(300)로부터 제3부재(130)를 분리시킬 때 고정구(500)가 연결구 몸체(3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에 따라 제3부재(130)의 분리작업중 고정구(500)가 쉽게 분실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구의 몸체(300)에 구성된 관통공(310)의 내면에 절결부(321)가 구비된 이탈방지구(320)를 설치하여 고정구(500)의 체결부(510)가 연결구 몸체 (300)의 관통공(310)으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이탈방지구(320)는 양측면으로 절결부(321)가 구성됨에 따라 자체적으로 어느정도의 탄성을 가지면서 이탈방지구(320)의 구경이 신축 가능한 것이며, 상기 고정구(500)의 체결부(510)는 나사선(511)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나사선(5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나사선(511)이 형성된 부분이 더욱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고정구(500)의 체결부(510)를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집어넣게 되면 체결부(510)는 이탈방지구(320)에 끼워지게 되며 이때 이탈방지구(320)의 절결부(321)에 의해 이탈방지구(320)의 구경이 어느정도 커지면서 체결부(510)의 나사선(511)이 관통되며 이후 나사선(511)이 없는 부분에 의해 이탈방지구(320)의 구경이 원상태가 됨에 따라 이탈방지구(320)를 관통했던 체결부(510)의 나사선(511)이 다시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오게 되면 나사선(511)이 이탈방지구(320)에 걸리게 되면서 고정구(500)가 이탈방지구(320)에 의해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고정구(500)를 연결구 몸체(3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고정구(500)를 어느정도 힘을 주어 잡아당기게 되면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이탈방지구(320)가 벌어지게 되면서 체결부(510)의 나사선(511)이 이탈방지구로부터 빠져나가게 되어 고정구(500)를 연결구 몸체(30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데크의 설치되어 적재물을 보호 및 데크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지지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의 일부분을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적재물의 부피가 크거나 높이가 높은 적재물인 경우 지지프레임의 구조를 변경시켜 지지프레임의 간섭없이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데크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 지지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결합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7a 와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프레임 110 : 제1부재
120 : 제2부재 130 : 제3부재
131 : 중공부 140 : 브라켓
141 : 너트 200 : 데크
300 : 연결구 몸체 310 : 관통공
400 : 보조연결구 410 : 끼움구멍
420 : 격벽 421 : 구멍
500 : 고정구 510 : 체결부

Claims (2)

  1. 제1,2,3부재와 상기 제1,2,3부재를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구로 구성된 적재물 지지용 지지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에는 각각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결합되며 측면으로는 전후를 관통하는 관통공(310)이 형성된 한쌍의 연결구 몸체(300);
    일단은 상기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 일측면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끼움구멍(41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410)의 내부에는 중앙에 구멍(421)이 형성된 격벽(420)이 설치되어 있는 보조연결구(400);
    제3부재(130)의 중공부(131) 양단을 막아주면서 결합되며 그 중앙에는 체결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1)의 내면으로는 너트(142)가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140);
    상기 연결구 몸체(300)의 관통공(310)과 보조연결구(400)의 구멍(421)과 브라켓(140)의 체결공(141)을 통해 너트(142)와 체결되도록 일단에 체결부(510)가 형성된 고정구(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면에 절결부(321)가 구성된 이탈방지구(320)를 상기 연결구의 몸체(300)에 형성된 관통공(310) 일측 내면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KR10-2003-0005596A 2003-01-28 2003-01-28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KR100476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96A KR100476181B1 (ko) 2003-01-28 2003-01-28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596A KR100476181B1 (ko) 2003-01-28 2003-01-28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142A KR20040069142A (ko) 2004-08-04
KR100476181B1 true KR100476181B1 (ko) 2005-03-15

Family

ID=3735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96A KR100476181B1 (ko) 2003-01-28 2003-01-28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962B1 (ko) * 2015-09-17 2021-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픽업 차량의 적재함 확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142A (ko)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1096B2 (en) Frame mounting structure for frame body automotive vehicle
US7222913B2 (en) Frame for a motor vehicle
US20190275952A1 (en) Hinge mount system for utility vehicle
JP4078656B1 (ja) 車体の補強構造
MY127177A (en) Pick up truck
KR102481226B1 (ko) 픽업차량의 화물 적재함 및 적재함의 데크탑 설치구조
US6874844B2 (en) Notchback motor vehicle
KR100476181B1 (ko) 픽업차량의 데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용 연결구
JP4242686B2 (ja) 変形領域を有するタイダウンシステム
JP2006315572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JP4092484B2 (ja) 車両前部構造
KR102506240B1 (ko) 차량용 루프박스
JP2009184403A (ja) 車体前部構造
KR100551251B1 (ko) 스포츠유틸리티 차량의 리어 필라부 결합구조
KR100452964B1 (ko) 레저용 승합차량의 수하물 적재구조
KR100405610B1 (ko) 자동차용 트렁크보드의 힌지부 구조
KR100384595B1 (ko) 알브이차량의 리어시트 장착구조
KR20050038246A (ko) 자동차의 바디 프레임 마운팅부 지지 구조
KR200235371Y1 (ko) 왜건형 자동차의 화물실 보강 구조
JP3743151B2 (ja) フレーム付ボディ車におけるサードシート収納構造
JPH02147480A (ja) 車体構造
KR200149576Y1 (ko) 밴차량의 간막이판 장착구조
KR100302699B1 (ko) 에이프런레인포스
KR19980050625U (ko) 자동차의 플로워패널어셈블리
KR19980028968A (ko) 승합차의 거셋플레이트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