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127B1 -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 - Google Patents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127B1
KR100475127B1 KR10-2002-0058790A KR20020058790A KR100475127B1 KR 100475127 B1 KR100475127 B1 KR 100475127B1 KR 20020058790 A KR20020058790 A KR 20020058790A KR 100475127 B1 KR100475127 B1 KR 10047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elastic body
support plate
contact surfac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062A (ko
Inventor
조한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1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7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 F16F1/4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loaded mainly in to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projections, studs, serrations or the like on at least on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방진 장치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지지판과, 제1 및 제2 지지판 각각에 마련된 체결 수단과, 탄성체의 외주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과과, 제1 및 제2 지지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으로부터 다른 지지판쪽으로 돌출되어 접촉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구비하여, 탄성체의 비틀림 변형시에 접촉면이 스토퍼에 접촉됨으로써 탄성체의 비틀림 변형량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면은 탄성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홈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방진 장치의 진동 및 충격 흡수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탄성체의 과도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방진 장치의 내구 수명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Vibration-proof device having stopper}
본 발명은 방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진이 요구되는 구조물에 체결될 때 방진 고무와 같은 탄성체의 과도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방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진 장치는 두 개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로서, 자동차, 항공기, 선박, 기계장치 및 정보기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방진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방진 장치(10)는 두 개의 지지판(12, 13) 사이에 탄성체로서 방진 고무(11)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방진 고무(11)의 양측 단면은 두 개의 지지판(12, 13) 각각에 강력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인서트 몰딩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지지판(12, 13) 각각에는 방진을 요하는 구조물(21, 22)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볼트체결홀(15) 또는 볼트(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볼트체결홀(15)에는 상부 구조물(21)에 마련된 볼트삽입홀(23)을 통해 외부로부터 볼트(25)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볼트(16)는 하부 구조물(22)에 마련된 볼트삽입홀(24)에 삽입된 후 너트(26)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방진 고무(11)의 양측에 마련된 두 개의 지지판(12, 13) 모두에 상기 볼트(16)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두 개의 지지판 모두(12, 13) 모두에 상기 볼트체결홀(15)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진 장치(10)는, 일측의 구조물(21)로부터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을 방진 고무(11)의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이 타측의 구조물(2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진 장치(10)를 구조물(21, 22)에 체결할 때, 볼트(25)나 너트(26)의 체결 토크에 의해 방진 고무(11)가 비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방진 장치(10)를 구조물(21, 22) 사이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하고자 하거나, 지지판(12, 13)과 구조물(21, 22)을 밀착시키기 위하여 볼트(25)나 너트(26)에 보다 큰 체결 토크를 가하는 경우에는, 방진 고무(11)가 심하게 비틀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진 고무(11)의 내부에 과도한 응력이 잔류하게 되어 방진 장치(1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방진 고무(11)가 그 항복점을 넘어 극심하게 비틀려지게 되면, 방진 고무(11)와 지지판(12, 13) 사이의 접착부에 전단 변형이 일어나, 접착면이 분리되거나 방진 고무(11)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방진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2-119536호에 개시된 방진 장치의 여러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방진 장치(30)는, 탄성체(31)의 양측에 부착된 플레이트(32, 33)와, 각 플레이트(32, 33)에 마련된 볼트(34, 3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측 플레이트(32)의 외주에는 하측 플레이트(33)쪽으로 돌출된 돌기부(37)가 마련되어 있고, 하측 플레이트(33)에도 상측 플레이트(32)쪽으로 돌출된 돌기부(38)가 마련되어 있으며, 두 개의 돌기부(37, 38)는 서로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방진 장치(30)를 구조물에 체결할 때 서로 접촉된 두 개의 돌기부(37, 38)에 의해 탄성체(31)의 비틀림이 방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가진 방진 장치(30)는 돌기부들(37, 38)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36)에서 금속간 마찰이 발생하게 되므로, 진동이나 충격 흡수 능력이 저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돌기부(37, 38)가 처음부터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탄성체(31)의 볼트(34, 35) 체결 방향으로의 비틀림 변형이 완전히 저지되어 이 방향으로의 진동이나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방진 장치(40)는, 상측 플레이트(42)와 하측 플레이트(43) 각각의 외주에 홈(47, 4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47, 48)에 링크부재(46)가 끼워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진 장치(40)도 링크부재(46)에 의해 탄성체(41)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한 도 2a에 도시된 방진 장치(30)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방진 장치(50)는, 상측 플레이트(52)와 하측 플레이트(53)를 연결하는 연결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진 장치(50)에서는 탄성체(51)의 비틀림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나, 상측 플레이트(52)와 하측 플레이트(53)가 연결부(56)에 의해 연결되어 한 몸체로 되어 있으므로, 진동이나 충격의 흡수 작용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방진 장치(60)는, 하측 플레이트(63)의 외주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두 개의 하측 돌기부(68)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 플레이트(62)에는 상기 두 개의 하측 돌기부(68) 사이에 끼워지도록 아래쪽으로 돌출된 상측 돌기부(67)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가진 방진 장치(60)는, 하측 돌기부(68)와 상측 돌기부(67)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66)에서 금속간 마찰이 발생하게 되며, 탄성체(61)의 볼트 체결 방향 뿐만 아니라 그 반대 방향의 비틀림 변형이 완전히 저지되므로, 진동이나 충격 흡수 능력이 저해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금속간의 마찰로 인한 방진특성의 저해 없이 탄성체의 과도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방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지지판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 각각에 마련된 체결 수단을 구비하는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으로부터 다른 지지판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체의 비틀림 변형시에 상기 접촉면이 상기 스토퍼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탄성체의 비틀림 변형량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돌출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홈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탄성체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토퍼의 단부는 상기 다른 지지판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판에 마련된 스토퍼의 단부와 상기 제2 지지판에 마련된 스토퍼의 단부는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면과 상기 스토퍼는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스토퍼는,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토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및 충격 흡수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탄성체의 과도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방진 장치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평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장치(100)는, 방진을 요하는 구조물(151, 152) 사이에 설치되어 그 구조물(151, 15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방진 장치(100)는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체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여러가지 탄성중합체(elastomer), 예컨대 고무(11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진고무(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지지판(120, 130)이 고정 설치된다. 방진고무(110)와 지지판(120, 130) 사이의 결합은 강력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인서트 몰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지지판(120, 130) 각각에는 상기 구조물(151, 152)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 수단으로서, 상부 지지판(120)에는 볼트체결홀(128)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 지지판(130)에는 볼트(13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트체결홀(128)에는 상부 구조물(151)에 마련된 볼트삽입홀(153)을 통해 외부로부터 볼트(155)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볼트(138)는 하부 구조물(152)에 마련된 볼트삽입홀(154)에 삽입된 후 너트(156)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두 개의 지지판(120, 130) 모두에 볼트(138)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두 개의 지지판 모두(120, 130) 모두에 볼트체결홀(128)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방진고무(110)의 외주면에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2)에는 접촉면(112a)이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 지지판(130)에는 상부 지지판(120)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32)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32)는 상기 접촉면(112a)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방진 장치(100)를 구조물(151, 152)에 체결할 때, 방진고무(110)가 접촉면(112a)과 스토퍼(132) 사이의 간격만큼 비틀려지게 되면, 돌출부(112)의 접촉면(112a)이 스토퍼(132)에 접촉됨으로써 방진고무(110)가 더 이상 비틀려지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판(120, 130)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판 또는 강판과 같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강화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32)는 하부 지지판(13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토퍼(132)와 하부 지지판(130)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이캐스팅이나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132)와 하부 지지판(130)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12)의 접촉면(112a)과 스토퍼(132) 사이의 사잇각(θ)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여기에서, T는 접촉면(112a)이 스토퍼(132)에 접촉했을 때의 체결 토크를 나타내며, L은 방진고무(110)의 길이를 나타내고, G는 방진고무(110)의 전단 탄성계수를 나타내며, J는 방진고무(110)의 극관성 모멘트를 나타낸다. 원기둥 형상의 방진고무(110)인 경우에 그 직경을 D라고 할 때, J는 (πD4)/64 로 정의된다.
상기한 수학식 1을 사용하면, 방진고무(110)의 비틀림 변형이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출부(112)의 접촉면(112a)과 스토퍼(132) 사이의 사잇각(θ)을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면(112a)을 가진 돌출부(112)와 스토퍼(132)는 각각 하나씩만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씩, 예컨대 4개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토퍼(132)에 의해 방진고무(110)에 가해지는 방진고무(110)의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이 여러개의 돌출부(112)에 분산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돌출부(112)에 과다한 저항력이 가해짐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돌출부(112)와 스토퍼(132)가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두 개 이상 마련되는 경우에는, 방진고무(110)의 굽힘 변형을 적정한 정도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방진고무(110)가 과도하게 굽혀짐으로써 방진고무(110)가 파손되거나 지지판(120, 130)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132)는 하부 지지판(130)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 지지판(1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촉면(112a)을 가진 돌출부(112)도 방진고무(110)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12)는 여러가지 형상, 예컨대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의 형상으로 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 형상으로 된 것이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132)의 상단부와 상부 지지판(120)은 소정 간격 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은 방진고무(110)의 수직방향 탄성 변형 범위 내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방진고무(110)가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압축 변형될 수 있으므로 수직방향 진동이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감쇄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장치(100)에 있어서, 상부 지지판(120)에 마련된 볼트체결홀(128)에 볼트(155)를 체결할 때 및 하부 지지판(130)에 마련된 볼트(138)에 너트(156)를 체결할 때, 상기 볼트(155)와 너트(156)의 체결 토크에 의해 상기 방진고무(110)가 비틀림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112)의 접촉면(112a)이 상기 스토퍼(132)에 접촉됨으로써 방진고무(110)의 비틀림 변형이 접촉면(112a)과 스토퍼(132) 사이의 간격 이내, 즉 탄성 변형 범위 내로 제한된다. 따라서, 방진고무(110)의 과도한 비틀림이 방지되므로, 방진고무(110)가 파손되거나 방진고무(110)와 지지판(120, 130) 사이의 접촉면이 분리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장치(100)에서는 방진고무(110)의 비틀림 변형시에 스토퍼(132)와 방진고무(110)가 접촉하게 되어 금속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며, 스토퍼(132)와 방진고무(110)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방진 장치(110)의 진동이나 충격 흡수 성능이 저해되지 않는다.
도 4, 도 5,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들과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방진 장치(200)는, 상부 지지판(220)과 하부 지지판(230)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스토퍼(222, 232)가 마련된다. 즉, 상부 지지판(220)에 마련된 제1 스토퍼(222)는 아래쪽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고, 하부 지지판(230)에 마련된 제2 스토퍼(232)는 위쪽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토퍼(222)와 상기 제2 스토퍼(232) 각각의 단부는 방진고무(210)의 수직방향 압축 변형이 가능하도록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다. 방진고무(210)의 외주면에는 접촉면(212a)을 가진 돌출부(212)가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지지판(220)과 하부 지지판(230) 각각에 스토퍼(222, 232)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부 지지판(220)과 하부 지지판(230)의 형상이 동일하게 되어 서로 공용될 수 있으므로 그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0)와 제1 및 제2 스토퍼(222, 232) 각각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씩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상부 지지판(220)과 하부 지지판(230) 각각에 체결 수단으로서 볼트(228, 238)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볼트들(228, 238)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두개 모두 볼트체결홀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200)의 작용 및 그 효과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진 장치(300)에 있어서, 방진고무(310)의 외주면에는 접촉면(312a)을 가진 돌출부(312)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예컨대 4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판(320)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제1 스토퍼(322)가 마련되고, 하부 지지판(330)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제2 스토퍼(332)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스토퍼(322)와 상기 제2 스토퍼(332)는 적어도 하나씩,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씩 마련되며, 이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한편, 참조부호 328과 338은 방진 장치(300)를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30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지지판(320)과 하부 지지판(330)의 형상이 동일하여 서로 공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방진 장치(300)의 작용 및 그 효과도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평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400)에 있어서, 방진고무(410)의 외주면에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412)이 형성되며, 상기 홈(412)에는 접촉면(412a)이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 지지판(430)에는 상부 지지판(420)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432)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432)는 상기 접촉면(412a)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홈(412a)에 그 일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방진 장치(400)에 있어서도, 방진 장치(400)를 구조물에 체결할 때, 방진고무(410)가 접촉면(412a)과 스토퍼(432) 사이의 간격만큼 비틀려지게 되면, 접촉면(412a)이 스토퍼(432)에 접촉됨으로써 방진고무(410)가 더 이상 비틀려지지 않게 된다.
상기 접촉면(412a)과 스토퍼(432) 사이의 사잇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1을 사용하여, 방진고무(410)의 비틀림 변형이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면(412a)을 가진 홈(412)과 스토퍼(4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씩 마련되는 것이 스토퍼(432)에 의해 방진고무(410)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412)와 스토퍼(432)가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두 개 이상 마련되는 경우에는, 방진고무(410)의 굽힘 변형을 적정한 정도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432)는 하부 지지판(430)이 아니라 상부 지지판(42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접촉면(412a)을 가진 홈(412)도 방진고무(410)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 수단으로서의 볼트(428, 438)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또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32)의 상단부와 상부 지지판(420)은 소정 간격 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은 방진고무(410)의 수직방향 탄성 변형 범위 내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방진고무(410)가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압축 변형될 수 있으므로 수직방향 진동이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감쇄시킬 수 있다.
한편, 방진고무(410)의 외주면에 홈(412)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400)도, 도 6a에 도시된 스토퍼(432) 대신에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토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장치에 의하면, 방진 장치를 구조물에 체결할 때 지지판에 마련된 스토퍼에 의해 탄성체인 방진고무의 과도한 비틀림이 방지되므로, 방진고무의 파손이나 방진고무와 지지판 사이의 접착면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내구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장치에서는 스토퍼와 방진고무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방진고무의 비틀림 변형시에 스토퍼와 방진고무가 접촉하게 되어 금속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방진 장치의 진동이나 충격 흡수 성능이 저해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방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방진 장치의 여러가지 다른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400...방진 장치 110,210,310,410...방진고무
112,212,312...돌출부 412...홈
112a,212a,312a,412a...접촉면 120,220,320,420...상부 지지판
130,230,330,430...하부 지지판 132,222,232,322,332,432...스토퍼
128...볼트체결홀 138,228,238,328,338,428,438...볼트

Claims (13)

  1.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지지판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 각각에 마련된 체결 수단을 구비하는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으로부터 다른 지지판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체의 비틀림 변형시에 상기 접촉면이 상기 스토퍼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탄성체의 비틀림 변형량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돌출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홈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탄성체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단부는 상기 다른 지지판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지지판에 마련된 스토퍼의 단부와 상기 제2 지지판에 마련된 스토퍼의 단부는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과 상기 스토퍼는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토퍼는,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토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판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판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장치.
KR10-2002-0058790A 2002-09-27 2002-09-27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 KR100475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790A KR100475127B1 (ko) 2002-09-27 2002-09-27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790A KR100475127B1 (ko) 2002-09-27 2002-09-27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062A KR20040027062A (ko) 2004-04-01
KR100475127B1 true KR100475127B1 (ko) 2005-03-08

Family

ID=3732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790A KR100475127B1 (ko) 2002-09-27 2002-09-27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1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17B1 (ko) 2016-07-15 2016-11-02 (주)파워엔텍 방진장치용 3방향 내진 스토퍼
KR101671718B1 (ko) 2016-07-18 2016-11-02 (주)파워엔텍 편심유발 기계진동 스프링 방진장치
KR101707413B1 (ko) 2016-09-23 2017-02-16 (주)파워엔텍 방진장치용 볼슬라이더 내진 스토퍼
KR102345193B1 (ko) 2020-11-17 2021-12-30 주식회사 동원피앤피 소방설비 방진 겸용 내진 고정장치
FR3128262A1 (fr) * 2021-10-18 2023-04-21 Delmon Group Supports antivibratoires pour atténuation basse ou haute fréque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6612A (ja) * 2009-12-15 2011-06-30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
KR101704003B1 (ko) * 2011-04-22 2017-0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장치
DE102019202119B4 (de) 2019-02-18 2020-12-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schlagscheibe für ein Elastomerlag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9650U (ko) * 1986-03-14 1987-09-22
JPH02119536A (ja) * 1988-08-29 1990-05-07 Gardenamerica Corp 屋外照明装置の給電装置
JPH0317339A (ja) * 1989-06-14 1991-01-25 Tomoegumi Iron Works Ltd フープ筋の配筋方法
JP2001182767A (ja) * 1999-12-24 2001-07-06 Kinugawa Rubber Ind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の取付構造
JP2002037092A (ja) * 2000-07-24 2002-02-06 Koyo Seiko Co Ltd ブシュおよび舵取り装置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9650U (ko) * 1986-03-14 1987-09-22
JPH02119536A (ja) * 1988-08-29 1990-05-07 Gardenamerica Corp 屋外照明装置の給電装置
JPH0317339A (ja) * 1989-06-14 1991-01-25 Tomoegumi Iron Works Ltd フープ筋の配筋方法
JP2001182767A (ja) * 1999-12-24 2001-07-06 Kinugawa Rubber Ind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の取付構造
JP2002037092A (ja) * 2000-07-24 2002-02-06 Koyo Seiko Co Ltd ブシュおよび舵取り装置の取付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17B1 (ko) 2016-07-15 2016-11-02 (주)파워엔텍 방진장치용 3방향 내진 스토퍼
KR101671718B1 (ko) 2016-07-18 2016-11-02 (주)파워엔텍 편심유발 기계진동 스프링 방진장치
KR101707413B1 (ko) 2016-09-23 2017-02-16 (주)파워엔텍 방진장치용 볼슬라이더 내진 스토퍼
KR102345193B1 (ko) 2020-11-17 2021-12-30 주식회사 동원피앤피 소방설비 방진 겸용 내진 고정장치
FR3128262A1 (fr) * 2021-10-18 2023-04-21 Delmon Group Supports antivibratoires pour atténuation basse ou haute fréqu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062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274B2 (ja) 防振構造体
JP4622979B2 (ja) 筒型防振装置用ストッパ並びに筒型防振組付体
EP2019227B1 (en) Vibration damping support apparatus
EP1564054B1 (en) Engine mount
EP2095986A1 (en) Engine mounting structure
KR100475127B1 (ko) 스토퍼를 구비한 방진 장치
CN110873139B (zh) 防振单元
WO2010137585A1 (ja) 防振装置
US4895115A (en) Mount with insulation for solid-conducted sound, in particula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108912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及びダイナミックダンパ構成部材の組合せ構造体
JP2002101541A (ja) 架空線用ダンパー
CN112789427B (zh) 铁道车辆用的制动盘的安装结构、以及使用它的制动盘单元
JP4623696B2 (ja) 並列ケーブルの制振装置
US4580666A (en) Dynamic linear vibration damper
CN110753801B (zh) 复合防振体和使用该复合防振体的带金属弹簧的复合防振体
KR980010041A (ko)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US20180298977A1 (en) Stopper and antivibration unit
KR100764752B1 (ko) 변속기 마운트
JP3726967B2 (ja) 圧縮型弾性継手のゴムエレメント
CN218929119U (zh) 悬置装置和具有其的车辆
JP7408472B2 (ja) 防振装置
CN218000242U (zh) 缓冲垫以及车辆
RU23240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WO2023248672A1 (ja) キャブマウント
JP2014066297A (ja) 筒型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