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123B1 - 색영역검출회로및그를이용한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색영역검출회로및그를이용한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123B1
KR100474123B1 KR1019970013451A KR19970013451A KR100474123B1 KR 100474123 B1 KR100474123 B1 KR 100474123B1 KR 1019970013451 A KR1019970013451 A KR 1019970013451A KR 19970013451 A KR19970013451 A KR 19970013451A KR 100474123 B1 KR100474123 B1 KR 10047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color information
imaging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975A (ko
Inventor
다카시 카메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7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성으로 정밀도가 양호한 특정 색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색 영역 검출 회로 및 촬영자가 원하는 촬영 화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기준색(x0+l)과 검출 임계치(xth) 또는 기준색(y0+l)과 검출 임계치(yth)를 선택기(44, 45)에서 시분할로 선택하고, 승산기(47, 48)로 W 매트릭스부(41)로부터의 휘도 신호(WU)와 승산한다. 승산기(47)의 결과로부터 선택기(55)에서 선택한 촬상 신호(DRc) 또는 촬상 신호(DBc)를 감산하고, 절대치 산출부(61)에서 감산 결과의 임계치를 산출한다. 비교기(65)에서 절대치 산출부(61)와 승산기(48)의 결과를 비교한다. 비교기(65)에서 얻어진 시분할의 비교 결과를 레지스터(67)에서 타이밍 조정하여 AND 게이트(68)에서 논리 적을 얻는다. 게이트(68)의 출력에 기초하여 특정 색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CT)를 생성한다. 신호(CT)를 이용하여 특정 색 영역에 대하여 바람직한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 영역 검출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촬상 장치
본 발명은 색 영역 검출 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을 설정하고, 이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색 영역 검출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색 영역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계수 공급 회로로부터 색 보정 회로에 색 보정 연산 처리용 계수를 바꾸어 공급하며, 특정 색 영역과 이 색 영역과는 다른 영역인 각각의 영역에 따른 색 보정을 행하기도 하여, 예를 들면, 레벨 제어 수단에서 특정 색 영역 내로 된 컬러 촬상 신호를 선택하여, 이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의 출력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것이다.
종래,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 소자의 응답 열화의 보상이나, 선명도를 강조하기 위해서 윤곽 보정 회로가 포함되어, 예를 들면, 인물의 피부가 촬영된 경우에는 피부를 깨끗이 보이기 위해서 피부색 부분에서 윤곽 강조의 정도가 억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부색 부분에서 윤곽강조의 정도를 억압하는 처리를 스킨색조 디테일 처리라고 한다.
또한, 촬상 소자로부터 얻어진 아날로그의 컬러 촬상 신호가, 예를 들면, 일단 디지털화되어, 디지털화된 촬상 신호에 대하여 색 보정 처리나, 감마 보정에 의해서 계조 특성을 보정하거나, 굴곡(knee) 보정에 의해 고 휘도의 피사체를 촬상했을 때에 알맞은 콘트라스트(contrast)를 얻을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또한, 촬상 화면 전체 또는 촬상 화면의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촬상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조리개가 구동되어, 촬상 소자에 공급되는 입사광의 광량이 자동 제어된다.
그런데, 스킨 색조 디테일 처리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차 신호(R-Y, B-Y)를 가산하여, 가산비를 바꾸는 것으로 색상( ф U, ф L)이 결정되는 동시에, 가산 출력이 비교 회로에 입력되어 기준 전압과 비교되어, 도면에 사선으로 도시된 원하는 색 영역(AR), 예를 들면, 피부색 부분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게이트 신호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휘도 신호(Y)에 의해서 신호 레벨이 변화되는 색차 신호(R-Y, B-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의 검출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촬상 화면 전체 또는 촬상 화면의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촬상 신호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에 공급되는 입사광의 광량이 자동 제어되어, 배경의 밝기가 변화하거나 피사체의 위치가 변화하여, 원하는 피사체의 밝기가 촬영자의 의지와 반대로 가변되면, 휘도 레벨의 변화에 따라서 색차 신호(R-Y, B-Y)의 신호 레벨이 가변되어 피부색 부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색 보정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선형 매트릭스 처리로 원하는 색 재현성을 얻는 경우, 원하는 피사체를 원하는 색이 되도록 조정하면, 색의 조정이 불필요한 다른 피사체의 색도 맞추어 변경된다. 이 때문에, 원하는 피사체의 색 보정은 다른 피사체의 색 변화를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게 되어, 원하는 피사체의 색을 최량의 상태로 조정할 수 없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정밀도가 양호한 특정 색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색 영역 검출 회로 및 그것을 사용하여 촬영자가 원하는 촬영 화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색 영역 검출 회로는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과,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신호 생성 수단을 갖는 것이다. 이 제 1 색 정보(x) 및 제 2 색 정보(y)는 휘도 신호(W)와 적색 신호(R)와 청색 신호(B)를 사용하고, 「x =(R-WW」, 「y = (B-W)/W」 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영역 설정 수단에서는 제 1 색 정보(x)의 기준색(x0)과, 제 2 색 정보(y)의 기준색(y0)과, 제 1 색 정보(x)의 영역 범위를 나타내는 검출 임계치(xth)와, 제 2 색 정보(y)의 영역 범위를 나타내는 검출 임계치(yth)를 설정하고, 검출신호 생성 수단에서는 기준색(x0, y0)과 검출 임계치(xth, yth)와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에 휘도 신호(W)를 승산하고,
│W(x0+l)-R│≤ Wxth
│W(y0+1)-B│≤ Wyth
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는 제 1 색 정보(x)의 영역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의 검출과 제 2 색 정보(y)의 영역 범위 내에 있는지의 검출을 시분할로 행하고,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에 대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는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과,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신호 생성 수단과, 촬영 화상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디테일 신호를 생성하는 디테일 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디테일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디테일 신호의 신호 레벨을 가변하는 것이다.
또한, 컬러 촬상 신호에 대하여 색 보정을 행하는 색 보정 회로와, 색 보정회로에서의 색 보정 연산 처리에 사용되는 계수를 공급하는 계수 공급 회로를 구비하며, 계수 공급 회로에서는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계수를 바꾸어 색 보정 회로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레벨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레벨 제어 수단에서는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컬러 촬상 신호를 선택하며, 선택된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이 설정되어, 이 색 영역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색 영역의 검출을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촬상 장치에서는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특정 색 영역에 대하여 바람직한 스킨 색조 디테일 처리나 색 보정 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입사광은 렌즈(10)와 조리개(11)를 통해 색 분해 프리즘(12)에 공급된다. 색 분해 프리즘(12)에서는, 입사광이 적색 광선과 녹색 광선과 청색 광선으로 분할되어 촬상 소자(이하, CCD 이미지 센서)(13R, 13G, 13B)에 공급되어, 그들로부터 3원색 신호가 컬러 촬상 신호로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렌즈(10)에 의해, 피사체의 광학상이 CCD 이미지 센서(13R, 13G, 13B)의 촬상면 상에 결상된다. 또한, 조리개(11)에 의해, CCD 이미지 센서(13R, 13G, 13B)로의 광량이 제어된다.
CCD 이미지 센서(13R, 13G, 13B)로부터 얻어진 촬상 신호(SR, SG, SB)는 각각 아날로그 처리 회로(14R, 14G, 14B)를 통해 A/D 변환기(15R, 15G, 15B)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처리 회로(14R, 14G, 14B)에서는 백 밸런스나 혹 밸런스 등의 레벨제어나 결함 보정이 행해진다. 또한, A/D 변환기(15R, 15G, 15B)에서는 아날로그의 촬상 신호가 제 1 샘플링 주파수(예를 들면, 18MHz)의 클럭 신호(CK1)에 의해 디지털화되어, 3원색 촬상 신호(DR, DG, DB)로 된다. 이 3원색 촬상 신호(DR, DG, DB)는 이미지 인헨서(20)에 공급되는 동시에, 제어부(25)에 공급된다.
또한, 적색 촬상 신호(DR)는 지연부(3OR)에서 1수평 주사 기간만큼 지연되어적색 촬상 신호(DR1H)로서 이미지 인헨서(20)에 공급된다. 또한, 적색 촬상 신호(DR1)는 지연부(31R)에서 또한 1수평 주사 기간만큼 지연되어, 적색 촬상 신호(DR2H)로서 이미지 인헨서(20)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녹색 촬상 신호(DC)는 지연부(3OG)에서 1수평 주사 기간만큼 지연되어 녹색 촬상 신호(DG1H)로서 이미지 인헨서(20)에 공급된다. 또한, 녹색 촬상 신호(DG1H)는 지연부(31G)에서 또한 1수평 주사 기간만큼 지연되어, 녹색 촬상 신호(DG2H)로서 이미지 인헨서(20)에 공급된다. 또한, 청색 촬상 신호(DB)는 이미지 인헨서(20)와 제어부(25)에 공급된다.
또한, 청색 촬상 신호(DB)와, 이 청색 촬상 신호(DB)와 화상 위치가 대응하는 적색 촬상 신호(DR1H)와 녹색 촬상 신호(DG1H)가 필터부(32R, 32G, 32B)에 공급된다.
이미지 인헨서(20)에서는 적색 촬상 신호(DR, DR1H, DR2H), 녹색 촬상 신호(DG, DG1H, DG2H), 청색 촬상 신호(DB)를 사용하여, 화상의 윤곽부를 강조하기 위한 디테일 신호(Da, Db)가 생성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색 영역 검출 회로(40)로부터의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디테일 신호(Da, Db)의 신호 레벨이 제어된다.
필터부(32R)와 필터부(32B)는 지연 소자와 저역 필터로 구성되어 있고, 지연소자에서 소정 시간 지연된 디지털의 적색 촬상 신호 및 청색 촬상 신호는 업 변환기(35R, 35B)에 공급된다. 또한, 저역 필터에서 대역 제한된 디지털의 적색 촬상신호 및 청색 촬상 신호는 적색 촬상 신호(DRc) 및 청색 촬상 신호(DBc)로서 색 영역 검출 회로(40)에 공급된다.
필터부(32G)는 지연 소자와 보간 필터로 구성되어 있고, 지연 소자에서 소정시간 지연된 디지털의 녹색 촬상 신호는 업 변환기(35G)에 공급된다. 또한, 보간 필터에 의해 적색 촬상 신호(DRc) 및 청색 촬상 신호(DBc)와 위상이 맞춰진 녹색 촬상 신호(DGc)가 색 영역 검출 회로(40)에 공급된다.
업 변환기(35R, 35G, 35B)에서는 필터부(32R, 32G, 32B)로부터의 디지털의 3 원색 촬상 신호가 A/D 변환기(15R, 15G, 15B)에서의 제 1 샘플링 주파수 fs보다도 충분히 높다. 예를 들면, 2배의 주파수(36MHz)의 클럭 신호(CK2)에 기초하여 변환(업 변환)되어 선형 매트릭스 회로(85)에 공급된다.
색 영역 검출 회로(40)에서는 필터부(32R, 32G, 32B)로부터의 3원색 촬상 신호(DRc, DGc, DBc)에 기초하여 특정 색 영역인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여기서, 색 영역의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신호를 (R, G, B)로 했을 때, 휘도 신호(W)(γ 보정 등의 비선형 처리전의 신호)는 식 1로 나타낸다. 또한, 식 2 및 식 3에서 산출되는 (x) 및 (y)에 의해 나타나는 (x, y)는 색만의 정보를 갖는 양으로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Figure pat00011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색 영역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색(x0, y0)과 검출 임계치(xth, yth)를 설정하면, x가 식 4를 만족함과 동시에, y가 식 5를 만족했을 때, 특정 색 영역의 범위, 즉, 위치 (x0+xth, y0+yth), (x0+xth, y0-yth), (x0-xth, y0-yth), (x0-xth, y0+yth)로 둘러싸인 범위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 x0 - x │≤ xth ...(식 4)
│ y0 - y │≤ yth ...(식 5)
이 식 4, 식 5를 식 2, 식 3에 대입하면, 식 6 및 식 7을 얻을 수 있다. 이식 6 및 식 7에서는 제산을 행하지 않은 특정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색 영역의 검출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 WxO - (R-W) │≤ Wxth ...(식 6)
│ Wy0 - (B-W) │≤ Wyth ...(식 7)
또한, 식 6 및 식 7의 항을 정리하면, 식 8 및 식 9를 얻을 수 있다.
│ W(x0+l) - R │≤ Wxth ...(식 8)
│ W(y0+l) - B │≤ Wyth ...(식 9)
또한, 기준색(x0, y0)에서는 식 10 및 식 11이 성립되기 때문에, (x0+l) 및(y0+l)은 양의 값이 되어,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인 것을 나타내는 부호 비트를 데이터에 부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산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식 8의 (xO+1)을 (yO+1)로, (xth)를 (yth)로, (R)을 (B)로 치환함으로써, 식 9와 같게 되기 때문에, (xO+1)과 (yO+1), (xth)와 (yth), (R)과 (B)를 시분할 다중화함으로써, 연산 처리를 규모가 작은 회로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된 색 영역의 검출 방법을 이용한 색 영역 검출 회로(40)의 구성을 도 2에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위상이 맞춰진 3원색 촬상 신호(DRc, DGc, DBc)는 W 매트릭스부(41)에 공급된다. 또한, 적색 촬상 신호(DRc)와 청색 촬상 신호(DBc)는 후술하는 선택기(55)에 공급된다.
W 매트릭스부(41)에서는 식 1의 처리가 행해진다. 식 1에 기초하여 산출된 휘도 신호(W)는 클립부(42)와 레지스터(43)를 통해 휘도 신호(WU)로서 승산기(47, 48)에 공급된다. 이 레지스터(43) 및 후술하는 레지스터(50 내지 53, 56 내지 58, 66)는 클럭 신호(CK2)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동시에, 레지스터(69)는 클럭 신호(CK1)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도 1에 도시된 제어부(25)는 적분 회로를 갖고 있고, 피사체가 지정한 영역의 3원색 촬상 신호(DR, DG, DB)가 적분되어 적분치(RS, GS, BS)가 산출된다. 여기서 산출된 적분치(RS, GS, BS)로부터 식 12에 기초하여 휘도 적분치(WS)가 산출되는 동시에, 이 휘도 적분치(WS)와 적분치(RS, GS)로부터 식 13, 식 14에 기초하여 기준색 (xO+1)와 (yO+1)이 산출된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04
이와 같이, 영역 설정 수단인 제어부(25)에서 산출된 기준색(xO+l, yO+l)은 선택기(44)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부(25)에서는 검출 임계치(xth, yth)가 설정되어 선택기(45)에 공급된다. 또한, 검출 임계치(xth, yth)는 색 영역 검출이 가장 양호하게 행하여지도록 가변되는 것이다.
선택 신호 발생부(46)에는 도시하지 않은 신호 발생부로부터 클럭 신호(CK1)와 클럭 신호(CK1)의 2배의 주파수인 클럭 신호(CK2)가 공급되고, 클럭 신호(CK1, CK2)에 기초하여 선택기 제어 신호(SE)가 생성된다. 이 선택기 제어 신호(SE)는 선택기(44, 45) 및 선택기(55)에 공급된다.
선택기(44, 45)에서는 선택기 제어 신호(SE)에 기초하여 선택기(44, 45)에서 기준색(xO+1)과 검출 임계치(xth)가 선택되고, 또는 선택기(44, 45)에서 기준색(yO+1)과 검출 임계치(yth)가 선택된다. 선택된 기준색(xO+1) 또는 기준색(yO+1)은 승산기(47)에 공급된다. 또한, 선택된 검출 임계치(xth) 또는 검출 임계치(yth)는 승산기(48)에 공급된다.
승산기(47)에서는 기준색(xO+1)과 휘도 신호(WU)가 승산되고, 또는 기준색(yO+1)과 휘도 신호(WU)가 승산되어, 승산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는 레지스터(50, 51)를 통해 데이터 신호(DMR)로서 감산기(60)에 공급된다.
승산기(48)에서는 검출 임계치(xth)와 휘도 신호(WU)가 승산되어, 또는 검출임계치(yth)와 휘도 신호(WU)가 승산되어, 승산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는 레지스터(52, 53)를 통해 데이터 신호(DMT)로서 비교기(65)에 공급된다.
선택기(55)에서는 선택 신호 발생부(46)로부터의 선택기 제어 신호(SE)에 기초하여, 선택기(44, 45)에서 기준색(xO+l)과 검출 임계치(xth)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적색 촬상 신호(DRc)가 선택된다. 또한, 선택기(44, 45)에서 기준색(yO+1)과 검출 임계치(yth)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청색 촬상 신호(DBc)가 선택된다. 이 선택기(55)에서 선택된 적색 촬상 신호(DRc) 또는 청색 촬상 신호(DBc)는 선택 색 데이터신호(DRB)로서 레지스터(56, 57, 58)를 통해 감산기(60)에 공급된다.
감산기(60)에서는 데이터 신호(DMR)로부터 선택 색 데이터 신호(DRB)가 감산되어, 감산 신호(DSB)가 절대값 산출부(61)에 공급된다. 즉, 감산기(60)에서는 (W(xO+1)-DRc) 또는 (W(yO+1)-DBc)의 연산이 행해져, 연산 결과가 감산 신호(DSB)로서 절대치 산출부(61)에 공급된다.
이 절대치 산출부(61)에서는 감산 신호(DSB)의 절대치가 산출되어, 식 8 또는 식 9의 좌변의 연산 결과에 상당하는 절대치 신호(DAB)가 비교기(65)에 공급된다
비교기(65)에서는 절대치 신호(DAB)와 데이터 신호(DMT)가 비교된다. 여기서, 절대치 신호(DAB)가 (W(xO+1)-DRc)의 연산 결과의 절대치를 나타낼 때에는, 데이터 신호(DMT)는 검출 임계치(xth)와 휘도 신호(WU)의 승산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절대치 신호(DAB)가 (W(yO+1)-DBc)의 연산 결과의 절대치를 나타낼 때에는, 데이터 신호(DMT)는 검출 임계치(yth)와 휘도 신호(WU)의 승산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비교기(65)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는 식 8 또는 식 9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로 된다.
비교기(65)로부터 출력된 비교 신호는 레지스터(66)를 통해 신호(CMA)로서AND 게이트(68)에 공급되는 동시에, 레지스터(66)와 선택기 제어 신호(SE)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레지스터(67)를 통해 신호(CMB)로서 AND 게이트(68)에 공급된다. 여기서, 특정 색 영역의 범위 내일 때에는 신호(CMA)의 신호 레벨은 하이 레벨「H」로 되고, 특정 색 영역의 범위 내가 아닐 때에는 신호(CMA)의 신호 레벨은 로우 레벨 「L」로 된다. AND 게이트(68)의 출력 신호는 레지스터(69)를 통해 신호(CMC)로 되는 동시에, 또한 클럭 신호(CK1)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레지스터(70)를 통함으로써 색 영역 검출 신호(CT)로 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인헨서(20)와 제어부(25) 및 계수 공급 회로(80)에 공급된다.
다음에, 도 3A 내지 도 3Q를 참조하여 색 영역 검출 회로(4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선택 신호 발생부(46)에 공급되는 클럭 신호(CK1)이고, 도 3B는 클럭 신호(CK2)이다. 이 클럭 신호(CK1, CK2)에 기초하여 도 3C에 도시된 선택기 제어 신호(SE)가 생성된다. 이 선택기 신호(SE)는 클럭 신호(CK2)의 신호 레벨의 상승 하강(이하 「부에지」라고 함)에 동기하여 신호 레벨이 반전되는 신호이다.
도 3D는 필터부(32R, 32G, 32B)로부터 공급된 3원색 촬상 신호(DRc, DGc, DBc)를 도시하고 있다. 이 3원색 촬상 신호(DRc, DGc, DBc)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W 매트릭스부(41)에서 도 3E에 도시된 휘도 신호(W)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3원색 촬상 신호(DRc, DGc, DBc)의 데이터 값이 「r0, g0, b0」일 때에는 휘도 신호(W)의 데이터 값은 「w0」 으로 되고, 3원색 촬상 신호(DRc, DGc, DBc)의 데이터 값이 「r1, g1, b1」일 때에는 휘도 신호(W)의 데이터 값은 「w1」이 된다. 이 휘도 신호(W)는 레지스터(43)에 의해 클럭 신호(CK2)의 부에지의 타이밍으로 휘도 신호(W)의 데이터 값이 일시 기억되어, 도 3F에 도시된 휘도 신호(WU)가 된다.
여기서, 선택기 제어 신호(SE)의 신호 레벨이 하이 레벨 「H」 로 되었을 때에는,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기(44)에서 기준색(xO+1)이 선택되는 동시에,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기(45)에서 검출 임계치(xth)가 선택된다. 또한, 신호 레벨이 로우 레벨 「L」 로 되었을 때에는, 선택기(44)에서 기준서(yO+1)이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기(45)에서 검출 임계치(yth)가 선택된다.
승산기(47)에서는 기준색(xO+1) 또는 기준색(yO+1)과 휘도 신호(H)가 승산된다. 이 승산 결과는 레지스터(50, 51)를 통해 감산기(60)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교환기(60)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DMR)는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신호(CK2)의 2주기분 지연되어 감산기(60)에 공급된다.
또한, 선택기(55)에서는 선택기 제어 신호(SE)의 신호 레벨이 하이 레벨「H」로 되었을 때에는, 적색 촬상 신호(DRc)가 선택되고, 로우 레벨「L」이 되었을 때에는 청색 촬상 신호(DBc)가 선택된다. 선택된 촬상 신호는 레지스터(56, 57, 58)를 통해 감산기(60)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감산기(60)에서의 감산 결과를 나타내는 감산 신호(DSB)는 도 3K가 된다. 이 감산 신호(DSB)는 절대치 산출부(61)에 공급되어 절대치가 산출된다. 이 절대치 산출부(61)에서의 산출 결과를 나타내는 절대치 신호(DAB)는 비교기(65)에 공급된다.
승산기(48)에서는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기(45)에서 선택된 검출 임계치(xth) 또는 검출 임계치(yth)와 도 3F에 도시된 휘도 신호(WU)가 승산된다. 이 승산 결과는 레지스터(52, 53)를 통해 비교기(65)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비 교기(65)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DMT)는 도 3L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신호(CK2)의 2주기분 지연되어 비교기(65)에 공급된다.
이 비교기(65)에서는 절대치 신호(DAB)와 데이터 신호(DMT)가 비교되어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 즉 식 8 및 식 9를 만족하는지의 여부가 검출되어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가 생성된다. 이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는 레지스터(66)를 통해 도 3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CMA)로서 AND 게이트(68)에 공급되는 동시에, 레지스터(66, 67)를 통해 도 3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CMB)로서AND 게이트(68)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AND 게이트(68)로부터 레지스터(69)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신호는 레지스터(69)를 거침으로써 도 3P에 도시된 신호(CMC)가 된다. 또한, 클럭 신호(CK1)에서 구동되는 레지스터(70)를 거침으로써 특정 색 영역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데이터만이 선택되어 도 3Q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 영역 검출 신호(CT)가 된다.
또한, 비교기(65)에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갖는 비교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면, 절대치 신호(DAB)나 데이터 신호(DMT)의 신호 레벨이 약간의 변동이나 노이즈 등에 의해 비교 결과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색 영역의 검출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색 영역 검출 회로(40)에서 얻어진 색 영역 검출 신호(CT)는 이미지 인헨서(20)와 제어부(25) 및 계수 공급 회로(80)에 공급된다.
이미지 인헨서(20)에서는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디테일 신호(Da, Db)의 신호 레벨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피부색 영역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디테일 신호(Da, Db)의 신호 레벨이 작은 것으로 되어 피부 거칠어짐 등이 강조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수 공급 회로(80)로부터 선형 매트릭스 회로(85)에는 선형 매트릭스 연산처리에 사용하는 계수(a 내지 f)가 공급되고,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계수(a 내지 f)의 계수치가 전환된다.
여기서, 도 4에 계수 공급 회로(80)의 구성을 도시한다. 계수 공급 회로(80)에는 계수(a)를 산출하기 위해 2개의 기준치 A(1), A(2)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계수(a)가 기준치 A(1) 내지 A(2)의 범위 내에서 가변된다. 또한, 계수(b 내지 f)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계수에 대하여 2개의 기준치 B(1), B(2), C(1), C(2), D(1), D(2), E(1), E(2), F(1), F(2)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계수(b 내지 f)가 각각 기준치 B(1) 내지 B(2), C(1) 내지 C(2), D(1) 내지 D(2), E(1) 내지 E(2), F(1) 내지 F(2)의 범위 내에서 가변된다.
이 기준치 A(1), A(2), ..., F(2)의 값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a 내지 f)가 각각 기준치 A(1), B(1), ..., F(1)과 같은 값으로 되었을 때에는 검출된 색 영역이 다른 색 영역과 같은 색 보정이 행해지고, 계수(a 내지 f)가 각각 기준치 A(2), B(2),......., F(2)와 같은 값으로 되었을 때에는 검출된색 영역이 다른 색 영역과 다른 색 보정이 행해져, 예를 들면, 햇볕에 그을리도록 한 피부색으로 색 보정된다.
여기서, 기준치 A(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산기(81a)와 가산기(82a)에 공급된다. 또한, 기준치 A(2)는 감산기(81a)에 공급된다. 이 감산기(81a)에서는 기준치 A(2)로부터 기준치 A(1)가 감산되어 감산치(AS)가 숭산기(83a)에 공급된다. 승산기(83a)에는 후술하는 저역 필터부(84)로부터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생성된 승산 계수(MK)가 공급되고, 이 승산 계수(MK)와 감산기(81a)로부터 공급된 감산치(AS)가 승산되어 얻어진 승산치(ASM)가 가산기(82a)에 공급되어 기준치 A(1)와 가산되어 계수(a)가 산출된다.
즉, 감산기(81a)와 가산기(82a) 및 승산기(83a)를 사용하여 식 15의 연산이행해져, 기준치 A(1), A(2) 및 승산 계수(MK)로부터 계수(a)가 산출된다.
a = ASM + A(1)
= MK × AS + A(1)
= MK{A(2)-A(1)} + A(1) ... (식 15)
저역 필터부(84)는, 예를 들면, FIR 필터로서 구성된 저역 필터를 갖고 있고, 공급된 디지털 색 영역 검출 신호(CT)가 저역 필터에서 처리되어 신호 레벨의 변화가 원활하게 된다. 다음에, 필터 처리 후의 색 영역 검출 신호(CT)의 신호 레벨에 따라서 승산 계수(MK)의 계수치가 「0」 내지 「1」 의 범위로 설정된다. 여기서, 색 영역 검출 신호(CT)의 신호 레벨의 변화가 원활하게 됨으로써, 승산 계수(MK)의 계수치의 변화도 원활하게 된다.
또한, 승산 계수(MK)의 계수치의 설정에 있어서는 처리 후의 색 영역 검출신호(CT)의 신호 레벨에 대하여 가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필터 처리 후의 색 영역 검출 신호(CT)의 신호 레벨이 작은 경우에는 승산 계수(MK)의 계수치가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신호 레벨의 변화에 대한 승산 계수(MK)의 계수치의 변화는 작게 된다. 신호 레벨이 큰 경우에는 승산 계수(MK)의 계수치가 큰 값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신호 레벨의 변화에 대한 승산 계수(MK)의 계수치의 변화는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승산 계수(MK)의 계수치의 변화가 원활하게 되는 동시에, 처리후의 색 영역 검출 신호(CT)의 신호 레벨에 대한 가중이 부가되어 승산 계수(MK)의 계수치가 설정되기 때문에, 이 승산 계수(MK)를 이용하여 식 15에 따라 산출되는 계수(a)의 계수치도 변화가 원활하게 되는 동시에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가중이 행해진 값이 된다. 또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계수(b 내지 f)의 계수치 도 계수(a)의 계수치와 같이 설정된다.
이 때문에, 계수(a 내지 f)의 계수치가 빈번하게 전환되어 화질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예를 들면, 피부색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의 연속량이 클 때, 즉, 피부색 영역이 클 때에는 검출된 피부색 영역의 색이 매끈매끈하게 햇볕에 탄 것과 같은 색으로 색 보정되며, 피부색 영역에서 검출된 영역의 연속량이 적을 때, 즉, 피부색 영역이 작을 때에는 검출된 피부색 영역의 색이 매끈매끈하게 약간 햇볕에 탄 것과 같은 피부색으로 색 보정되어, 화질이 양호함과 동시에 위화감이 없는 원활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기준치 A(1) 내지 F(2)의 값은 일례로서, 기준치 A(1)내지 F(2)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면, 피부색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을 햇볕에 탄 것과 같은 피부색뿐만 아니라 다른 색으로 보정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형 매트릭스 회로(85)에서는 필터부(32R, 32G, 32B)에 의해 소정 시간 지연됨으로써 타이밍 조정이 행해지고, 또한 업 변환기(35R, 35G, 35B)에 의해서 업 변환되어 공급된 3원색 데이터 신호(DRU, DGU, DBU)와 계수 공급 회로(80)로부터 공급된 계수(a 내지 f)를 사용한 선형 매트릭스 연산 처리에 따라 색 보정이 행해진다. 이 계수(a 내지 f)는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전환되기 때문에, 검출된 특정 색 영역과 다른 색 영역에서 상이한 색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다른 영역의 색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피부색만을 조정할 수 있다.
선형 매트릭스 회로(85)에서 얻어진 3원색 데이터 신호(DRUC, DGUC, DBUC)는 보정 회로(9OR, 9OG, 9OB)를 통해 가산부(91R, 91G, 91B)에 공급된다.
가산부(91R, 91G, 91B)에는 이미지 인헨서(20)에서 생성된 디테일 신호(Db)가 공급되고, 가산부(91R, 91G, 91B)에서는 각각 3원색 데이터 신호(DRUC, DGUC, DBUC)와 디테일 신호(DB)가 가산되어, 가산 신호가 γ 보정 회로(92R, 92G, 92B)를 통해 가산부(93R, 93G, 93B)에 공급된다.
가산부(93R, 93G, 93B)에는 이미지 인헨서(20)에서 생성된 디테일 신호(Da)가 공급되고, 가산부(93R, 9SG, 93B)에서는 γ 보정 회로(92R, 92G, 92B)를 통해 공급된 가산 신호와 디테일 신호(Da)가 가산되어, γ 보정 회로(92R, 92G, 92B)를 통해 공급된 가산 신호의 신호 레벨이 제어된다. 이 가산부(93R, 93G, 93B)에서 얻어진 가산 신호는 클립 회로(94R, 94G, 94B)를 통해 Y/C 매트릭스 회로(95)에 공급된다.
Y/C 매트릭스 회로(95)에서는 클립 회로(94R, 94G, 94B)를 통해 공급된 가산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Y)나 색차 신호(Cr, Cb)가 생성되어 클립 회로(96Y, 96RY, 96BY)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뷰파인더용 휘도 신호(YVF)가 생성되어 클립회로(96YV)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뷰파인더 장치에 공급된다.
색 영역 검출 회로(40)로부터 색 영역 검출 신호(CT)가 공급된 제어부(25)에서는 색 영역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특정 색 영역인 것이 검출되었을 때의 3원색 촬상 신호(DR, DG, DB)가 선택되어, 선택된 3원색 촬상 신호(DR, DG, DB)에 기초하여 조리개 제어 신호(IRC)가 생성되어 조리개 구동부(100)에 공급된다. 또는,셔터 제어 신호(SHC)가 생성되어 센서 구동부(16)에 공급된다.
조리개 구동부(100)에서는 조리개 제어 신호(IRC)에 기초하여 조리개 구동신호(IRD)가 생성되어 조리개(11)가 구동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피부색 영역에서 알맞은 광량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 구동부(16)에서는 셔터 제어 신호(SHC)에 기초하여 이미지 센서 구동신호(RV)가 제어되어, CCD 이미지 센서(13R, 13G, 13B)에서의 전하의 축적 시간의 제어, 즉, 전자 셔터의 셔터 속도가 가변되어, 원하는 레벨의 촬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리개(11)나 전자 셔터로 바꾸어, 액정 또는 2장의 편광 필터 등을 사용하여 구성된 감광량 조정이 가능한 ND(neutral density) 필터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술된 실시예에 의하면, 3원색 촬상 신호(DRc, DGc, DBc)로부터 휘도 신호(W)를 얻어, 이 기준 신호(W)와 적색 촬상 신호(DRc)와 청색 촬상 신호(DBc), 및 특정 색 영역을 설정하는 기준색(xO+1, yO+1)과 검출 임계치(xth, yth)를 사용하여,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색 영역 검출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밝기가 조명이나 촬상 장치의 조임에 의해서 변화하여도, 안정하게 색 영역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색만의 정보에 의해 색 영역 검출이 행해지기 때문에 휘도가 양호한 색 영역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이 색 영역 검출은 적색 촬상 신호(DRc)와 기준색(xO+1)과 검출 임계치(xth), 또는 청색 촬상 신호(DBc)와 기준색(yO+1)과 검출 임계치(yth)를 시분할로 선택하여 행하는 동시에, 제산 처리를 포함하지 않게 행해지기 때문에, 색 영역 검출 회로(40)의 회로 규모를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색 영역 검출 회로(40)로 특정 색 영역이 검출되어, 이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계수 공급 회로(80)가 제어되어, 선형 매트릭스 회로(85)에서의 선형 매트릭스 연산 처리에 사용되는 계수가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특정 색 영역에 대한 계수와 상기 색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대한 계수를 상이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색 영역과 이 색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에 따른 색 보정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예를 들면, 인물의 피부색과 배경색을 별개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색 영역 검출 회로(40)로부터의 검출 신호(CT)에 기초하여 제어부(25)에 의해 특정 색 영역의 촬상 신호가 선택되어, 선택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조리개(11)나 전자 셔터의 셔터 속도가 자동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배경의 밝기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피사체를 원하는 밝기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휘도 신호(W)(γ 보정 등의 비선형 처리 전의 신호)를 사용하여 특정 색 영역의 검출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검출정밀도가 허용 레벨이면, γ 보정 등의 비선형 처리가 행해진 휘도 신호(Y) 등을 사용하여 검출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이 설정되어, 이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색 영역의 검출을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행해진다. 이 색 영역의 검출 처리는 제산을 포함하지 않고 행해지는 동시에,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에 대한 검출이 시분할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조명 조건이나 조리개 등이 변화하여 피사체의 밝기가 변화하여도, 안정하게 색 영역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색만의 정보에 의해서 색 영역검출이 행해지기 때문에 정밀도가 양호한 색 영역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색 영역 검출 처리는 제산을 포함하지 않는 동시에 시분할로 행해지기 때문에 색 영역검출 회로의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물상 장치에서는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색 영역을 검출하여, 색 보정 회로에 공급되는 색 보정 연산 처리용 계수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색 영역에 대한 계수와 이 색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대한 계수를 미리 설정하면, 특정 색 영역과 이 색 영역과 다른 영역에 따른 색 보정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인물의 피부색과 배경색을 별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적극적인 화면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색 영역이 검출되어, 이 색 영역에 맞추어, 예를 들면, 조임이나 전자 셔터의 셔터 속도가 자동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배경의 밝기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피사체를 원하는 밝기로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색 영역 검출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내지 도 3Q는 색 영역 검출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계수 공급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기준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색 영역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조리개 13R, 13G, 13B : CCD 이미지 센서
16 : 센서 구동부 20 : 이미지 인헨서
25 : 제어부 32R, 32G, 32B : 필터부
40 : 색 영역 검출 회로 41 : W 매트릭스부
44, 45, 55 : 선택기 46 : 선택 신호 발생부
47, 48 : 승산기 60 : 감산기
61 : 임계치 산출부 65 : 비교기
80 : 계수 공급 회로 84 : 저역 필터부
85 : 선형 매트릭스 회로

Claims (8)

  1. 색 영역 검출 회로에 있어서,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색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과,
    입력 신호가 상기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신호 생선 수단을 구비하고,
    휘도 신호(W)와 적색 신호(R)와 청색 신호(B)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색 정보(x)는 x = (R-W)/W
    상기 제 2 색 정보(y)는 y = (B-W)/W.
    로 설정하며,
    상기 영역 설정 수단에서는, 상기 제 1 색 정보(x)의 기준색(x0)과 상기 제 2 색 정보(y)의 기준색(yO)과 상기 제 1 색 정보(x)의 영역 범위를 나타내는 검출임계치(xth)와 상기 제 2 색 정보(y)의 영역 범위를 나타내는 검출 임계치(yth)를 설정하고,
    상기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는, 상기 기준색(xO, yO)과 상기 검출 임계치(xth, yth)와 상기 제 1 색 정보(x)와 상기 제 2 색 정보에 상기 휘도 신호(W)를
    승산하고,
    │W(xO+l)-R│≤ Wxth
    │W(yO+l)-B│≤ Wyth
    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영역 검출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는, 상기 제 1 색 정보(x)의 영역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의 검출과 상기 제 2 색 정보(y)의 영역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의 검출을 시분할로 행하고,
    상기 제 1 색 정보(x)와 상기 제 2 색 정보(y)에 대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영역 검출 회로.
  3.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과,
    컬러 촬상 신호가 상기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신호 생성 수단과,
    촬영 화상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디테일 신호를 생성하는 디테일 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테일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디테일 신호의 신호 레벨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촬상 신호에 대하여 비선형 레벨 변환을 포함한 신호 처리를 행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영역 설정 수단에서 이용되는 상기 제 1 색 정보(x)와 상기 제 2 색 정보(y)는, 상기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휘도 신호(W)와 상기 컬러 촬상 신호의 적색 화상 신호(R)와 청색 촬상 신호(B)를 이용하여,
    제 1 색 정보 x = (R-W)/W
    제 2 색 정보 y = (B-W)/W
    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되는 영상 신호는 휘도 신호(Y)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촬상 장치에 있어서,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과,
    컬러 촬상 신호가 상기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컬러 촬상 신호에 대하여 색 보정을 행하는 색 보정 수단과,
    상기 색 보정 수단에서의 색 보정 연산 처리로 사용되는 계수를 공급하는 계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계수 공급 수단에서는 상기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계수를 전환하여 상기 색 보정 수단에 공급하고,
    상기 영역 설정 수단에서 이용되는 상기 제 1 색 정보(x)와 상기 제 2 색 정보(y)는 상기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휘도 신호(W)와 상기 컬러 촬상 신호의 적색 촬상 신호(R)와 청색 촬상 신호(B)를 사용하여,
    제 1 색 정보 x = (R-W)/W
    제 2 색 정보 y = (B-W)/W
    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촬상 장치에 있어서,
    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 1 색 정보(x)와 제 2 색 정보(y)를 사용하여 색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수단과,
    컬러 촬상 신호가 상기 색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레벨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레벨 제어 수단에서는 상기 검출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컬러 촬상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신호의 출력 신호 레벨을 제어하며,
    상기 영역 설정 수단에서 이용되는 상기 제 1 색 정보(x)와 상기 제 2 색 정보(y)는 상기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휘도 신호(W)와 상기 컬러 촬상 신호의 적색 촬상 신호(R)와 청색 촬상 신호(B)를 이용하여,
    제 1 색 정보 x = (R-W)/W
    제 2 색 정보 y = (B-W)/W
    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제어 수단은 촬상 소자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량을 제어하는 조리개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개를 제어하여,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제어 수단은 촬상 소자의 전하 축적 시간을 가변하는 전자 셔터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컬러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셔터를 제어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19970013451A 1996-04-11 1997-04-11 색영역검출회로및그를이용한촬상장치 KR100474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82296 1996-04-11
JP96-089822 1996-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75A KR970072975A (ko) 1997-11-07
KR100474123B1 true KR100474123B1 (ko) 2005-07-07

Family

ID=1398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451A KR100474123B1 (ko) 1996-04-11 1997-04-11 색영역검출회로및그를이용한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5063A (ko)
EP (1) EP0801508B1 (ko)
KR (1) KR100474123B1 (ko)
CN (1) CN1161974C (ko)
DE (1) DE69710241T2 (ko)
ID (1) ID187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4038B2 (ja) * 2000-06-09 2008-03-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を用いた画像取得装置および画像取得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508256B2 (ja) * 2008-03-19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2016A2 (en) * 1992-01-13 1993-07-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processor and color video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15B2 (ja) * 1978-03-07 1984-05-07 ソニー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回路
US4506293A (en) * 1981-07-16 1985-03-19 Rca Corporation Independent fleshtone contours
US5031049A (en) * 1984-05-25 1991-07-09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object image follow-up device
JP2995683B2 (ja) * 1990-03-16 1999-12-27 日立電子株式会社 カラー映像信号の色補正回路
JP2505300B2 (ja) * 1990-03-22 1996-06-05 日立電子株式会社 カラ―映像信号の色調補正装置
JPH03277089A (ja) * 1990-03-27 1991-12-09 Sony Corp カラー撮像装置の輪郭強調装置
JP3248739B2 (ja) * 1991-10-04 2002-01-21 日本フィリップス株式会社 自動白バランス制御装置
JP3284583B2 (ja) * 1992-03-31 2002-05-20 ソニー株式会社 多重露光カメラ
JPH06141337A (ja) * 1992-10-28 1994-05-20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処理カメラ
BE1007006A3 (nl) * 1993-04-16 1995-02-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intdetectieschakeling.
JPH0884348A (ja) * 1994-09-09 1996-03-26 Canon Inc 撮像装置
JP3617087B2 (ja) * 1994-10-07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3302214B2 (ja) * 1995-04-03 2002-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2016A2 (en) * 1992-01-13 1993-07-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processor and color video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1508B1 (en) 2002-02-06
KR970072975A (ko) 1997-11-07
DE69710241D1 (de) 2002-03-21
CN1170308A (zh) 1998-01-14
ID18790A (id) 1998-05-07
EP0801508A1 (en) 1997-10-15
CN1161974C (zh) 2004-08-11
US6115063A (en) 2000-09-05
DE69710241T2 (de)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342B1 (ko) 디지털 자동 화이트 밸런스 장치
JP2002232906A (ja)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
US6611287B1 (en) Camer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amera signal processing method
US5144399A (en) Color image pickup apparatus
KR100474123B1 (ko) 색영역검출회로및그를이용한촬상장치
JP200821919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3748031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536588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00217127A (ja) 肌色補正装置
JP4028395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4320807B2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JPH09331543A (ja) 色領域検出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0354250A (ja) 撮像装置
JP3951993B2 (ja) 撮像装置及びこの撮像装置に用いられるカラーデータ計測方法
JP2004215063A (ja) 撮像装置及び輪郭補正方法
JP2005159693A (ja) 画像処理装置
JP4269367B2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JP4269366B2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JPH11220749A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JP4269369B2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JP2698404B2 (ja) 輝度信号処理装置
JP4269368B2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JP3299781B2 (ja) 画像処理装置
JP4273546B2 (ja) カメラ信号処理装置及びカメラ信号処理方法
JP200417304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